KR20190034785A - 바이패스 케이블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785A
KR20190034785A KR1020170123222A KR20170123222A KR20190034785A KR 20190034785 A KR20190034785 A KR 20190034785A KR 1020170123222 A KR1020170123222 A KR 1020170123222A KR 20170123222 A KR20170123222 A KR 20170123222A KR 20190034785 A KR20190034785 A KR 2019003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connector
bypass cab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454B1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의 교체 공사시 사용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이 내설된 케이블; 전선과 연결되어 케이블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고전압전선 또는 변압기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체결부; 및 전선과 연결되어 케이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고전압전선 또는 변압기 단자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체결부;를 포함하며, 제1단자체결부와 제2단자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식 퓨즈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케이블{BYPASS CABLE}
본 발명은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의 교체 작업시 바이패스 케이블과 임시 컷아웃스위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던 작업을 임시 컷아웃스위치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컷아웃스위치는(COS : Cut-Out Switch)는 전주에 배선되는 가공 고전압전선으로부터 수용가 측으로 배선되는 분기전선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시켜 주도록 설치되어서 수용가 측에서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과부하를 차단하여 주거나 수용가 측의 선로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즉, 단상 배전선로를 보호하거나 주상변압기의 고장을 차단함으로써 배전선로 전체로 고장이 파급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컷아웃스위치의 교체 작업시에는 수용가 측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무정전 상태) 진행해야 하므로, 바이패스 케이블과 임시 컷아웃스위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우회시켜 흐르도로 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즉, 고전압전선에 제1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1바이패스 케이블의 타단부를 임시 컷아웃스위치의 퓨즈 일단부에 연결하며, 제2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부를 임시 컷아웃스위치의 퓨즈 타단부에 연결하고, 제2바이패스 케이블의 타단부를 변압기 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체작업은 두 개의 바이패스 케이블과 임시 컷아웃스위치를 구비하여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연결과정에서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전기가 흐르고 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또한, 바이패스 케이블을 일반적으로 실리콘재질의 피복으로 마감처리되나, 작업, 보관 및 운반과정 등에서 케이블이 손상될 경우 고가의 케이블을 폐기처리해야 하므로 이를 해결할 필요성도 함께 대두되었다.
(0001)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978호(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퓨즈를 내장시킨 바이패스 케이블 하나만을 이용하여 무정전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바이패스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통전(通電)시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바이패스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실리콘 재질의 피복을 나일론 재질로 직조된 쉴드피복으로 감싸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바이패스 케이블은, 전선이 내설된 케이블; 상기 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고전압전선 또는 변압기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체결부; 및 상기 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고전압전선 또는 변압기 단자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체결부와 상기 제2단자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식 퓨즈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자체결부와 상기 제2단자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통전(通電)시 점등되는 검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피복의 외측 둘레부는 나일론 재질로 직조된 쉴드피복으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케이블의 단자체결부 내부에 탈착식 퓨즈를 내설시킴으로써, 별도의 임시 컷아웃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 별도의 임시 컷아웃스위치와 여분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만 휴대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단자체결부에 통전(通電)시 점등되는 검전기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시간 동안 안전사고에 대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은 물론 안전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피복의 외측 둘레부에 나일론 재질로 직조된 쉴드피복을 구성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바이패스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바이패스 케이블의 제1단자체결부(200)와 제2단자체결부(300)는 'C'형 클램프가 승강되면서 고전압전선과 변압기 단자에 체결 및 분리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도면상에 도시된 형상과 구조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본 명에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의한 구조를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바이패스 케이블은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의 무정전 교체 공사시 사용하는 것으로, 케이블(100)과 케이블(100)의 양단에 체결되는 제1단자체결부(200) 및 제2단자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100)은 전선(110)이 내설된 것으로, 일반적인 케이블은 크게 전선과 전선을 감싸는 피복으로 구성된다. 피복은 전선을 감싸는 내피복과 내피복을 감싸는 외피복으로 구성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전선(110)과 외피복인 실리콘피복(120) 및 본 발명에만 적용되는 쉴드피복(130)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전선(110)이 내설된 실리콘피복(120)은 일반적인 케이블의 형태이며, 본 발명은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피복(120)이 보관, 운반 및 작업 중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피복(120)의 외측에 나일론 재질의 쉴드피복(130)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였다.
실리콘피복(120)이 손상된 상태로 고전압전선에 사용될 경우 인명사고(사망)로 직결되므로 스크래치나 갈라짐 및 뜯김 등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고가(高價)의 케이블은 대부분 폐기처리되며, 이는 곧 비용상승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쉴드피복(130)을 구성하여 이와 같은 케이블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쉴드피복(130)은 낙하산줄의 재질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여 쉴드피복(130) 내부의 실리콘피복(120)이 손상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해주며, 나일론 재질로 제작되어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제1단자체결부(200)와 제2단자체결부(300) 중 어느 하나는 고전압전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단자체결부(200)가 고전압전선에 연결되고 후술할 검전기(280)와 퓨즈(26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제1단자체결부(200)는 제1승강클램프(210), 제1-1클램핑몸체(220), 제1-1커넥터(230), 제1-2커넥터(240), 제1-3커넥터(250), 퓨즈(260), 제1-2클램핑몸체(270) 및 검전기(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승강클램프(210)는 도체로 구성되고, 상부는 'C'형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 외측 둘레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제1-1클램핑몸체(220)는 부도체로 구성되며, 중심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 내측 둘레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암나사부 하부에는 내외측으로 각각 단턱이 형성된다.
제1-1커넥터(230)는 도체로 구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제1-1클램핑몸체(220)의 상부 내측으로 체결되며, 수나사부는 외측 둘레면 전체 또는 제1-1클램핑몸체(220)에 결합되는 부위에만 구성할 수 있다. 제1-1커넥터(23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홈의 내측 둘레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제1승강클램프(210)의 하부가 체결되며,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된다. 제1-1커넥터(230)의 하단부는 제1-1클램핑몸체(220)의 내측 단턱 상부에 지지되며, 제1-1커넥터(230)의 하부에 형성된 홈의 내경은 제1-1클램핑몸체(220)의 내측 단턱에 의한 내경 이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퓨즈(260)는 바이오넷 퓨즈가 사용되며, 퓨즈(260)의 상부와 하부는 도체로 구성되어 각각 내측으로 암나사선이 형성된 홈을 갖는 것으로, 바이오넷 퓨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2커넥터(240)는 도체로 구성되고, 상부가 제1-1커넥터(230)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며, 하부 외측 둘레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퓨즈(26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체결된다. 제1-2커넥터(240)의 외측 둘레면에는 단턱이 구성되어 체결시 제1-1클램핑몸체(22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과 퓨즈(260)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한편, 도면상에는 개념적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제1-1커넥터(230)와 제1-2커넥터(240)의 체결 방식은 암수 회전식 억지끼움방식으로, 제1-1커넥터(230)에는 수평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서 테이퍼진 형태의 홈까지는 후술할 돌기가 삽입되는 경로가 형성되며, 제1-2커넥터(240)의 외측 둘레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경로를 통해 삽입되어 테이퍼진 형태의 홈에 회전하면서 고정의 저항을 가지며 억지끼움결합된다. 물론, 상호 간을 나사결합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나, 체결(작업) 속도를 고려하여 도시된 결합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클램핑몸체(270)는 부도체로 구성되며, 내측 중심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제1-1클램핑몸체(22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상에는 소정의 저항을 가지며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나사결합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2클램핑몸체(270)의 상부 내측 둘레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암나사부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내측 하부에서 단턱을 형성한다.
제1-3커넥터(250)는 도체로 구성되며, 내측 중심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피복이 벗겨진 전선(110)이 삽입되고, 외측둘레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부는 퓨즈(260)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며, 하부는 제1-2클램핑몸체(270)의 상부 내측에 체결된다. 이때, 제1-3커넥터(250)의 하부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1-2클램핑몸체(270)에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죄이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제1-3커넥터(250)가 제1-2클램핑몸체(270)에 결합되면서 삽입된 전선(110)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전선(110)을 감싸는 실리콘피복(120)과 쉴드피복(130)은 제1-2클램핑몸체(270)의 내측 단턱 하부에 지지된다. 죄임 결합 구조는 도시된 바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죄임 결합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제1-1클램핑몸체(220)의 외측에 형성된 단턱 상부에는 검전기(280)가 체결된다. 검전기(280)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출원등록된 고리 형상의 검전기(280)가 사용되며, 통전(通電)시 점등되는 구조를 갖는다. 통전시 점등구조는 작업자로 하여금 전기가 흐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하며, 작업하는 동안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 통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 케이블의 고장 여부도 바로바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검전기(280)의 체결 위치 역시 도시된 바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2단자체결부(300)는 제1단자체결부(2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퓨즈(260)가 생략된 형태로 제2승강클램프(310), 제2-1클램핑몸체(320), 제2-1커넥터(330), 제2-2커넥터(340) 및 제2-2클램핑몸체(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승강클램프(310), 제2-1클램핑몸체(320) 및 제2-1커넥터(330)는 각각 제1승강클램프(210), 제1-1클램핑몸체(220) 및 제1-1커넥터(230)와 동일하다.
제2-2커넥터(340)는 도체로 형성되고, 제1-2커넥터(240)와 유사하나 내측 중심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2-1커넥터(330)에 체결되고, 하부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2-2클램핑몸체(340)의 상부 내측에 체결된다. 즉, 제2-2커넥터(340)는 제1-2커넥터(240)와 제1-3커넥터(250)를 혼합한 형상이라 할 수 있다.
제2-2클램핑몸체(350)는 제1-2클램핑몸체(270)와 구조와 재질은 동일하나 제2단자체결부(300)에서는 퓨즈(260)가 생략되므로 제2-1클램핑몸체(3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몸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물론, 제2-1클램핑몸체(32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체결할 수도 있으며, 제2-2클램핑몸체(350)와 제2-2커넥터(340)의 체결 및 전선(110) 고정방식은 제1단자체결부(20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비율 등은 다소 틀릴 수 있으므로 전술한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100 : 케이블
110 : 전선 120 : 실리콘피복
130 : 쉴드피복
200 : 제1단자체결부
210 : 제1승강클램프 220 : 제1-1클램핑몸체
230 : 제1-1커넥터 240 : 제1-2커넥터
250 : 제1-3커넥터 260 : 퓨즈
270 : 제1-2클램핑몸체 280 : 검전기
300 : 제2단자체결부
310 : 제2승강클램프 320 : 제2-1클램핑몸체
330 : 제2-1커넥터 340 : 제2-2커넥터
350 : 제2-2클램핑몸체

Claims (3)

  1.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의 교체 공사시 사용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전선이 내설된 케이블;
    상기 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고전압전선 또는 변압기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단자체결부; 및
    상기 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고전압전선 또는 변압기 단자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단자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체결부와 상기 제2단자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식 퓨즈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체결부와 상기 제2단자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통전(通電)시 점등되는 검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피복의 외측 둘레부는 나일론 재질로 직조된 쉴드피복으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KR1020170123222A 2017-09-25 2017-09-25 바이패스 케이블 KR10201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22A KR102019454B1 (ko) 2017-09-25 2017-09-25 바이패스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22A KR102019454B1 (ko) 2017-09-25 2017-09-25 바이패스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785A true KR20190034785A (ko) 2019-04-03
KR102019454B1 KR102019454B1 (ko) 2019-09-09

Family

ID=6616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222A KR102019454B1 (ko) 2017-09-25 2017-09-25 바이패스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29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KR20230114104A (ko) 2022-01-24 2023-08-01 한국전력공사 지중용 바이패스케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708U (ko) * 1985-07-24 1987-02-09
JPH04108845U (ja) * 1991-03-07 1992-09-21 株式会社中電工 ヒユーズ内蔵電気ケーブル及びヒユーズ内蔵電気接続器
JPH05120929A (ja) * 1991-04-25 1993-05-18 Champlain Cable Corp 電線・ケーブル製品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8-09-26 주식회사 평일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708U (ko) * 1985-07-24 1987-02-09
JPH04108845U (ja) * 1991-03-07 1992-09-21 株式会社中電工 ヒユーズ内蔵電気ケーブル及びヒユーズ内蔵電気接続器
JPH05120929A (ja) * 1991-04-25 1993-05-18 Champlain Cable Corp 電線・ケーブル製品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8-09-26 주식회사 평일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29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KR20230114104A (ko) 2022-01-24 2023-08-01 한국전력공사 지중용 바이패스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54B1 (ko)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KR101830353B1 (ko) 전선분리봉이 구비된 전등선
KR20190034785A (ko) 바이패스 케이블
JP2008226621A (ja) 分岐付ケーブル
KR100659023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CN201655698U (zh) 断路器扩展端子及断路器
KR200441978Y1 (ko)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20130020389A (ko) 배전선로용 활선 클램프
CN203722151U (zh) 一种电缆护套
KR200147818Y1 (ko)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KR20110008576U (ko) 다중 소켓 전등케이블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CN210838949U (zh) 低压快速接入联络装置及供电网络
US2091851A (en) Electric cord set
CN103337761B (zh) 用于电流端子短接的短接装置
CN220627479U (zh) 一种防水线束
CN218448815U (zh) 一种变压器测试电缆切换转接头
KR200204076Y1 (ko)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KR102382976B1 (ko)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US10663488B1 (en) Arc safe electrical testing system
CN102088172B (zh) 全封闭屏顶小母线组合装置
CN206657776U (zh) 一种铜鼻子及继电器
JPH02223109A (ja) 保護接地機能付電源コード
KR20230009741A (ko) 이동용 변압기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