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076Y1 -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076Y1
KR200204076Y1 KR2019970033138U KR19970033138U KR200204076Y1 KR 200204076 Y1 KR200204076 Y1 KR 200204076Y1 KR 2019970033138 U KR2019970033138 U KR 2019970033138U KR 19970033138 U KR19970033138 U KR 19970033138U KR 200204076 Y1 KR200204076 Y1 KR 200204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insulating rod
high voltage
cu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747U (ko
Inventor
조형기
Original Assignee
조형기
삼흥중전기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기, 삼흥중전기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형기
Priority to KR2019970033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0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Fus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주로 주상변압기의 1차측에 부착하여 변압기를 보호해주는 한편 점검과 보수를 위한 개폐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cut-out switch)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를 몰드콘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류들에 의한 이상간의 단락사고피해를 방지하고 금구측으로의 방전을 차단해서 불필요한 오동작을 예방하며 또한 습기침투에 의한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고, 연결케이블을 컷아우트스위치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컷아우트스위치 설치시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시켜 주며, 또한 절연봉을 폴리머수지로 제작함으로써 초경량이 되어 운반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전주와의 접촉시 균열 등의 손상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봉(10')의 외피(15')는 폴리머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봉(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일측단부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절연봉(10')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일측단부에는 몰드콘조립체(80')가 씌워져 있으며; 또한 상기 몰드콘조립체(80')는, 내부에 설치된 결합용 소켓(81')·상기 결합용 소켓(81')에 단부가 연결된 연결슬리이브(82')·상기 연결슬리이브(82')에 단부가 고정된 연결케이블(83') 및 후방부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는 몰드부(8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를 제공해준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에 따른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는 특고압용 배전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특고압배전선로에 고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퓨즈를 용융시킴에 의해서 배전선로를 차단함으로써 변압기를 비롯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뿐 만아니라 점검이나 수리를 위해 전원을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압전원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본 고안은 주로 주상변압기의 1차측에 부착하여 변압기를 보호해주는 한편 점검과 보수를 위한 개폐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Cut-out switch)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 스위치는 특고압용 배선전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특고압배전선로에 고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퓨즈를 용융시킴에 의해서 배선전로를 차단함으로써 변압기를 비롯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점검이나 수리를 위해 전원을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압전원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기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제1도를 참조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참조번호 10은 외주에 다수의 갓형태를 가진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애자로된 절연봉이다. 상기 절연봉의 외주중간에는 취부로드(1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절연봉(10)의 상단에는 상부지지로드(13)가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절연봉(10)의 하단에는 하부지지로드(1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취부로드(12)에는 취부브라켓(20)이 체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로드(13)에는 상부접속부조립체(30)가 체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지지로드(14)에는 하부접속부조립체(40)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는 지지브라켓(31), 상부접속판(32) 및 로드버스터용 훅(3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는 힌지서포트(41), 하부접속판(42) 및 지지브라켓(4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와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단부에는 각각 클램프형 상 부커넥터(50)와 클램프형 하부커넥터(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와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 사이에는 퓨즈통조립체(7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상부는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중 상부접속판(3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하부는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힌지서포트(41)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퓨즈통조립체(70)는 선단과 연결된 전선(71)이 내부에 설치된 퓨즈통(72)과 상기 퓨즈통(7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체(7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체 전선(71)의 중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퓨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71)의 하단은 플리퍼(74)에 지지시켜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하부접속판(42)에 연결되어 있다.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배전선로로부터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상부접속판(32)으로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상부접속판(32)에 인가된 전류는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선단과 상기 퓨즈가 설치된 전선(71)을 통과하며, 또한 상기 전선(71)을 통과한 전류는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하부접속판(42)을 통해서 수용가로 인가된다. 한편, 과전류가 발생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상부접속판(32)으로 과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상부접속판(32)에 인가된 과전류는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선단과 상기 퓨즈가 설치된 전선(7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퓨즈를 용융시켜서 상기 전선(71)을 끊어주며, 따라서 상기 전선(71)에 인가된 과전류는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하부접속판(42)에 인가되지 못한다. 한편, 상기 퓨즈가 용융되면 상기 플리퍼(74)의 작용에 의해 상기 퓨즈통조립체(70)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회동하여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상단이 상기 상부접속판(32)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상기 전선(71)이 완전히 끊어져서 수용가측으로 과전류가 전혀 인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점검이나 수리를 위해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퓨즈통조립체(70)를 인위적으로 회동시켜주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전류가 발생되는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상단이 상기 상부접속판(32)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선(71)이 완전히 끊어져서 수용가측으로 전류가 전혀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에 의하면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가 노출되어 있어서 컷아우트 스위치가 전주의 완금에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 조류들의 양날개가 접속되거나 조류들의 서식처의 재료들인 금속도체들이 걸쳐짐에 따라 이상간에 단락이 발생되어 피뢰기가 손상되거나 상기 컷아우트스위치로부터 금구측으로 방전이 이루어져 불필요한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먼지나 습기에 의해서 상기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가 부식될 염려가 있었고, 별도의 연결케이블을 사용해서 상기 배전선로와 컷아우트스위치를 접속시켜주어야 하므로 컷아우트스위치의 설치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절연봉이 애자로 되어 있어서 중량이 많이 나가 운반 및 설치작업이 어려웠으며, 또한 전주와의 접촉시 균열 등의 손상이 용이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를 몰드콘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류들에 의한 이상간의 단락사고피해를 방지하고, 금구측으로의 방전을 차단해서 불필요한 오동작을 예방하며, 또한 습기침투에 의한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고, 연결케이블을 컷아우트스위치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컷 아우트스위치 설치시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시켜 주며, 또한 절연봉을 폴리머수지로 제작함으로써 초경량이 되어 운반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전주와의 접촉시 균열등의 손상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개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몰드콘조립체의 장착부위에 대한 분리상세도.
제4도는 상기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착탈구를 도시하는 상세단면도.
제5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절연봉을 도시하는 일부절개도.
제6(a)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절연보호커버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6(b)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절연보호커버조립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봉 11' : 돌출부
12' : 취부밴드조립체 30' : 상부접속부조립체
40' : 하부접속부조립체 60' : 하부커넥터
70' : 퓨즈통조립체 80' : 몰드콘조립체
81' : 결합용 소켓 82' : 연결슬리이브
83' : 연결케이블 84' : 몰드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외주에 다수의 갓형태를 가진 돌출부가 형성된 절연봉, 상기 절연봉의 외주에 고정된 취부밴드조립체, 상기 절연봉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부접속부조립체, 상기 절연봉의 하단부에 연결된 한편 단부에 하부커넥터를 갖는 하부접속부조립체, 상기 상부접속조립체와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 사이에 설치된 퓨즈통조립체 및 상기 절연봉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몰드콘조립체를 구비한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봉의 외피는 폴리머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봉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의 일측단부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절연봉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의 일측단부에는 몰드콘조립체가 씌워져 있으며; 또한 상기 몰드콘조립체는 내부에 설치된 결합용 소켓과, 상기 결합용 소켓에 단부가 연결된 연결슬리이브와, 상기 연결슬리이브에 단부가 고정된 연결케이블 및 후방부를 제외한 부위를 감는 몰드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를 제공해 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 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2도 내지 제6(b)도를 참조하여 상기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10'은 외주에 다수의 갓형태를 가진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봉이다. 상기 절연봉(10')의 외피(15')는 폴리머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봉(10')의 외주 중간에는 취부밴드조립체(12')가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취부밴드조립체(12')의 단부에는 취부브라켓(2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절연봉(10')의 상단부에는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일측단부가 너트(34')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는 수평방향으로 놓여진 지지브라켓(31'), 상기 지지브라켓(31')의 하부에 장착된 상부접속판(32') 및 상기 지지브라켓(31')과 상부접속판(3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6')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봉(10')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일측단부에는 몰드콘조립체(80')가 씌워져 있다. 상기 몰드콘조립체(80')는 내부에 설치된 결합용 소켓(81'), 상기 결합용 소켓(81')에 단부가 연결된 연결슬리이브(82'), 상기 연결슬리이브(82')에 단부가 고정된 연결케이블(83') 및 후방부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는 몰드부(8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연봉(10')의 하단부에는 하부지지브라켓(14')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4')의 단부에는 하부접속부조립체(40')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는 힌지서포트(41'), 하부접속판(42') 및 지지브라켓(4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단부에는 클램프형 하부커넥터(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와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 사이에는 퓨즈통 조립체(7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상부는 상기 상부접속 부조립체(30')중 상부접속판(3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퓨즈 통조립체(70')의 하부는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힌지서포트(41')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퓨즈통조립체(70')는 선단과 연결된 전선(71')이 내부에 설치된 퓨즈통(72')과 상기 퓨즈통(7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체(7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71')의 중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퓨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의 하단부는 플리퍼(74')에 지지시켜 상기 하부접속부조립체(40')의 하부접속판(42')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조립과 수리를 위해 상기 몰드콘조립체(80')를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해서는 상기 너트(34')의 외주에 삽입홈(35')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결합용 소켓(81')의 외주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35')에 단부가 삽입되는 착탈구(8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착탈구(85')는 외주의 일부에 나사산(86')이 형성된 중공용기(87')의 내부에 스프링(88')으로 지지된 가동돌기(89')를 내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15')와의 접착성을 높여주는 한편 내부 누설거리를 늘려 주기 위해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봉(10') 중심봉(16')의 외부는 요 철처리(knuring)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에는 절연보호커버조립체(90')를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보호커버조립체(90')는 절연보호커버(91')와, 로드버스터용 훅(92') 및 로드버스트용 접속단자(93')로 구성하고, 상기 절연보호커버(91')는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의 상부와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로드버스트용 훅(92')은 상기 절연보호커버(91')와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로드버스터용 접속단자(93')는 상기 로드버스터용 훅(92')에 형성하여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선단과 접속시킨다.
미설명 부호 37'은 스토퍼이며, 이 스토퍼(37')와 상기 취부밴드조립체(12')사이의 절연을 위해서 상기 스토퍼(37')의 단부와 상기 취부밴드조립체(12')의 취부부위에 각각 절연용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씌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취부브라켓(20')은 전주 등에 설치된 완금에 체결하여 장치전체를 고정해주고, 상기 연결케이블(83')은 배전선로에 연결하여 접속해주며, 또한 상기 클램프형 하부커넥터(60')는 수용가로 연결되는 케이블에 연결하여 접속시켜 준다. 이때, 컷아우트스위치를 배전선로에 연결하기 위해서 컷아우트스위치와 별도로 제작된 연결케이블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본 고안에 따른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작용은 종래의 작용과 유사하며 종래기술과 본 고안의 구성상 차이에 따른 작용에서 차이가 있다. 즉,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가 몰드콘 타입으로 제작됨으로써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조류들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방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습기침투를 막아준다. 그리고, 연결케이블을 컷아우트스위치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컷아우트 스위치를 배전선로와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한편, 상기 너트(34')의 외주에 삽입홈(35')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결합용 소켓(81')의 외주를 관통해서 상기 삽입홈(35')에 단부가 삽입되는 착탈구(8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몰드콘 조립체(80')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착탈구(85')가 외주의 일부에 나사산(86')이 형성된 중공용기(87')의 내부에 스프링(88')으로 지지된 가동돌기(89')를 내장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약간의 힘으로 상기 몰드콘 조립체(80')를 밀어넣어도 상기 가동돌기(89')가 밀려서 상기 너트(34')의 삽입공(35')에 삽입되므로 상기 몰드콘조립체(80')가 용이하게 장착되지만 분리 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상기 몰드부(84')를 찢은 후 상기 착탈구(85')를 회전시켜 주어야 하므로 의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때 외에는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절연봉(10') 중심봉(16')의 외부에 요철처리(Knuring)를 한 경우에는 접착성이 높아져서 상기 심봉(16')과 외피(15')가 용이하게 밀착되는 한편 내부 누설거리가 늘어난다.
즉, 중심축으로 사용되는 심봉(16')의 외부에 요철처리함으로써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의 외피(15')와 접착시 완전 밀착되게 되며, 이 요철에 의해 내부섬락을 방지할 수 있어 단락시 발생하는 기계적 충격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의 둘레에 절연커버조립체를 고정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30')가 접속이 불필요한 부분과 완전히 절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에 따르면 본 고안은 연결케이블과 컷아우트스위치의 연결부를 몰드콘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류들에 의한 이 상간의 단락사고 피해를 방지하고 금구측으로의 방전을 차단해서 불필요한 오동작 을 예방하며 또한 습기 침투에 의한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고, 연결케이블을 컷아우트스위치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컷아우트스위치 설치시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시켜 주며, 또한 절연봉을 폴리머수지로 제작함으로써 초경량이 되어 운반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전주와의 접촉시 균열 등의 손상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게 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착탈구가 외주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용기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된 가동돌기를 내장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몰드콘조립체가 용이하게 장착되지만 분리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때 이외에는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조립, 유지 및 보수를 더욱 더 편리하게 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봉(10') 중 심봉(16')의 외부에 요철처리(Knuring)를 한 경우에는 접착성이 높아져서 상기 심봉(16')과 외피(15')가 용이하게 밀착되어 구조가 견고해지는 한편 내부 누설거리가 늘어나서 누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의 둘레에 절연커버조립체를 고정설치한 경우에는 상부접속부가 접속이 불필요한 부분과 절연됨으로써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에 조류들이 직접 접촉하거나 조류들의 서식지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조류들에 의한 사고피해(이상간의 단락)를 방지하고,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로부터 금구측으로 발생될 수 있는 방전을 차단함으로써 방전사고를 예방하는 한편, 상기 상부접속부조립체로의 습기침투를 방지 해줌으로써 습기침투에 의한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외주에 다수의 갓형태를 가진 돌출부(11')가 형성된 절연봉(10'), 상기 절연봉(10')의 외주에 고정된 취부밴드조립체(12'), 상기 절연봉(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부접속부조립체(30'), 상기 절연봉(10')의 하단부에 연결된 한편 단부에 하부 커넥터(60')를 갖는 하부접속부조립체(40'), 상기 상부조립체(30')와 상기 하부접속조립체(40') 사이에 설치된 퓨즈통조립체(70') 및 상기 절연봉(10')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접속조립체(30')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몰드콘조립체(80')를 구비한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에 있어서, 그 내부에 설치된 결합용 소켓(81')과, 상기 결합용 소켓(81')에 단부가 연결된 연결슬리이브(82')와, 상기 연결슬리이브(82')에 단부가 고정된 연결케이브(83')과, 후방부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는 몰드부(84')와, 상기 결합용 소켓(81')의 외주를 관통해서 절연봉(10')의 삽입홈(35')에 그 단부가 삽입되는 착탈구(85')로 이루어진 몰드콘조립체(80')와; 상부접속부조립체(30')에 고정설치되되, 상부접속조립체(30')의 상부와 측부를 감싸는 절연보호커버(91')와, 상기 절연보호커버(91')와 일체로 형성된 로드버스터용 훅(92')과, 상기 로드버스터용 훅(92')에 형성되어 상기 퓨즈통조립체(70')의 선단에 접속되는 로드버스터용 접속단자(93')로 이루어진 절연보호커버조립체(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봉(10') 중 심봉(16')의 외부가 요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KR2019970033138U 1997-11-21 1997-11-21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KR200204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38U KR200204076Y1 (ko) 1997-11-21 1997-11-21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138U KR200204076Y1 (ko) 1997-11-21 1997-11-21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747U KR19990019747U (ko) 1999-06-15
KR200204076Y1 true KR200204076Y1 (ko) 2000-12-01

Family

ID=1951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138U KR200204076Y1 (ko) 1997-11-21 1997-11-21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17B1 (ko) 2009-04-08 2009-07-16 김영선 컷아웃스위치의 교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24Y1 (ko) * 2010-12-16 2012-06-28 조형기 일체형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CN110416900A (zh) * 2019-06-13 2019-11-0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隔离开关固定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17B1 (ko) 2009-04-08 2009-07-16 김영선 컷아웃스위치의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747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5106A1 (en) Method of using an extender for a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US8282410B2 (en) Adaptor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US11936135B2 (en) Automatic tripping and anti-falling arrester and a lightning protection and fuse integrated combination device
MX2008006753A (es) Montaje de terminación de un cable aislado y mètodo de fabricación.
KR101915323B1 (ko)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KR20010095261A (ko) 엘보우 캐니스터 퓨즈홀더
WO2015149585A1 (zh) 具有浪涌防护功能的光控器
KR200204076Y1 (ko)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US7327213B2 (en) Encapsulated fuse with corona shield
CN208570511U (zh) 能够快速更换熔体的熔断器
US7897275B2 (en) Electrical rechargeable battery
EP2073241B1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CN109637912B (zh) 熔断器
US8129618B2 (en) Cable joint
KR100295471B1 (ko) 피뢰기 내장형 컷 아웃 스위치
KR200147818Y1 (ko)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CN212209410U (zh) 熔断器
CN214542105U (zh) 一种熔断器的导电连接结构及保护装置
CN209212449U (zh) 一种起动机
KR200183478Y1 (ko) 가스절연 부하 개폐기 부착형 휴즈홀더
JP5804443B2 (ja) 短絡接地工具
US4633360A (en) Station protector
CN208570512U (zh) 能够快速更换熔体的熔断器
KR200324780Y1 (ko) 캐치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