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023B1 -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023B1
KR100659023B1 KR1020060102162A KR20060102162A KR100659023B1 KR 100659023 B1 KR100659023 B1 KR 100659023B1 KR 1020060102162 A KR1020060102162 A KR 1020060102162A KR 20060102162 A KR20060102162 A KR 20060102162A KR 100659023 B1 KR100659023 B1 KR 100659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ball cap
hole
circular
circula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순
Original Assignee
이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순 filed Critical 이이순
Priority to KR102006010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선분기고리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분기슬리브나 활선분기고리의 교체 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3개의 연결핀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각 연결핀의 말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1 반원형 볼캡과, 제1 반원형 볼캡과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중앙부에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절개부가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결합 시 제1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들과 동일 수평선상에 각각 위치하는 3개의 연결핀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각 연결핀의 말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반원형 볼캡과,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띠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와 직교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들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을 갖는 수용돌기가 형성된 중앙 접속구 및, 중앙 접속구의 수용공 내에 위치하여, 수용공 내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들을 결속시키는 것으로서, 일측 말단에는 제1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1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 말단에는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 고리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볼형 안전장치, 분기슬리브, 리드선, 반원형 볼캡, 연결핀, 중앙 접속구, 수용돌기, 탄성부재, 고리

Description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Ball type Safety Device of Branch a Link for The Transformer Pole}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기슬리브 및 활선분기고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의 내부에 분기슬리브 및 활선분기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가 전력선 상에 결합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력선 3 : 분기슬리브
5 : 활선분기고리 6 : 1차 리드선
7 : 컷아웃스위치 8 : 2차 리드선
9 : 주상변압기 10 : 제1 반원형 볼캡
12, 22 : 테이퍼 형상 관통공 13 : 23 : 절연재
14, 24, 32 : 절개부 16, 26 : 연결핀
16a, 26a : 결합공 20 : 제2 반원형 볼캡
30 : 중앙 접속구 35 : 수용돌기
35a : 수용공 40 : 탄성부재
42 : 제1 고리 45 : 제2 고리
본 발명은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분기고리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분기슬리브나 활선분기고리의 교체 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 단상 또는 3상 전력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기슬리브 및 활선분기고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주(1) 상부의 전력선(2)에 결합된 분기슬리브(3)에는 활선분기고리(5)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활선분기고리(5)와 컷아웃스위치(7)에는 각각 1차 리드선(6)이 연결되며, 상기 컷아웃스위치(7)와 주상변압기(9) 에는 각각 2차 리드선(8)이 연결되어, 상기 주상변압기(9)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전주(1)의 전력선(2)에 분기슬리브(3) 및 활선분기고리(5)가 반드시 설치되는 바, 상기 활선분기고리(5)는 전력의 공급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신, 증축 또는 철거 등로 인하여 주상변압기(9)를 제거하여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고압의 전원이 흐르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기슬리브(3)는 통상 커버(미도시)에 쌓여 보호되나, 상기 활선분기고리(5)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사트럭의 사다리차나 건설용 펌프카 또는 버켓트럭 등 비교적 높은 높이를 갖는 차량이, 상기 활선분기고리(5)에 닿아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은박지나 젖은 낙엽 또는 나무가지 등이 상기 활선분기고리(5)에 닿아 화재 또는 선로고장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활선분기고리의 안전커버가 있으나, 이는 볼트 너트에 의해 조립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분기슬리브나 활선분기고리의 교체 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활선분기고리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나 활선분기고리의 교체 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3개의 연결핀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각 연결핀의 말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1 반원형 볼캡과, 제1 반원형 볼캡과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중앙부에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절개부가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결합 시 제1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들과 동일 수평선상에 각각 위치하는 3개의 연결핀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각 연결핀의 말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반원형 볼캡과,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띠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와 직교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들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을 갖는 수용돌기가 형성된 중앙 접속구 및, 중앙 접속구의 수용공 내에 위치하여, 수용공 내에 수 용되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들을 결속시키는 것으로서, 일측 말단에는 제1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1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 말단에는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 고리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반원형 볼캡과 제2 반원형 볼캡의 테이퍼 형상 관통공 내에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와 동일선상에 일치되는 절개부를 갖는, 절연재가 각각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는, 좌우 대칭형의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10, 20)과,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10, 20)이 양측에 서로 접속되는 중앙 접속구(30) 및, 상기 중앙 접속구(30)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10, 2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반원형 볼캡(10)은 우레탄 발포재나 기포재 등의 경량재로 이루어지는 바, 중앙부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12)과 연결되는 절개부(14)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3개의 연결핀(16)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12) 내에는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의 절개부(14)와 일치하는 절개부를 갖는 절연재(13)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연결핀(16)의 말단부에는 결합공(16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 반원형 볼캡(20)은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의 재질 및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반원형 볼캡(20)은 제1 반원형 볼캡(10)과 마찬가지로 우레탄 발포재나 기포재 등의 경량재로 이루어지는 바, 중앙부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1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절개부(24)가 상기 관통공(22)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결합 시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들과 동일 수평선상에 각각 위치하는 3개의 연결핀(26)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22) 내에는 상기 제 2 반원형 볼캡(20)의 절개부(24)와 일치하는 절개부를 갖는 절연재(23)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연결핀(26)의 말단부에는 결합공(26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중앙 접속구(3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형 띠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10, 20)에 각각 형성된 절개부(14, 24)와 직교하는 절개부(32)가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들과 제2 반원형 볼캡(20)의 연결핀(26)들을 수용하는 수용공(35a)을 갖는 3개의 수용돌기(3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수용돌기(35)의 수용공(35a)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35a) 내에 수용되는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들과 제2 반원형 볼캡(20)의 연결핀(26)들을 연결하여 결속시키는 것으로서, 일측 말단에는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에 형성된 결합공(16a)에 결합되는 제1 고리(42)가 형성되고, 타측 말단에는 제2 반원형 볼캡(20)의 연결핀(26)에 형성된 결합공(26a)에 결합되는 제2 고리(45)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의 결합 및 설치관계에 대해 도 3 및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의 내부에 분기슬리브 및 활선분기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가 전력선 상에 결합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볼형 안전장치의 내부에 분기슬리브 및 활선분기고리가 설치되어 보호되는 것으로서, 먼저 분기슬리브(3)와 이에 결합된 활선분기고리(5)를 중앙 접속구(30) 내에 위치시키되, 상기 활선분기고리(5)는 중앙 접속구(30)의 절개부(32) 측에 위치시킨다. 이는 상기 활선분기고리(5)에 접속되는 1차 리드선(6)이 상기 중앙 접속구(30)의 절개부(32)를 통해 인출되어 컷아웃스위치(7)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앙 접속구(30) 내에 위치된 분기슬리브(3) 및 활선분기고리(5)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중앙 접속구(30)의 양측에 각각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을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중앙 접속구(30)의 양측에 각각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을 밀착시키면, 분기슬리브(3)의 양단 테이퍼부가 각각 제1 반원형 볼캡(10)의 관통공(12)에 삽입된 테이퍼 형상 절연재(13)와 제2 반원형 볼캡(20)의 관통공(22)에 삽입된 테이퍼 형상 절연재(23)에 밀착되고, 상기 양단 테이퍼부에서 연장된 양 말단의 전력선(2) 결합구(도면번호 미부여)는 각각의 관통공(12, 22)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앙 접속구(30)의 양측에 각각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을 밀착시킬 때,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에 형성된 결합공(16a)에는 탄성부재(40)의 제1 고리(42)를 결합시키고, 상기 탄성부재(40)의 제2 고리(45)에는 철사나 고리 등의 직경이 가늘고 긴 인출도구(미도시)를 결합시 킨다.
상기한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과 탄성부재(40) 및 인출도구를 중앙 접속구(30)의 수용돌기(35)에 형성된 수용공(35a) 내부에 차례로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수용공(35a) 내에 밀어 넣으면, 인출도구만이 상기 수용공(35a)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노출된 인출도구를 잡아 당겨 탄성부재(40)를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의 제2 고리(45)를 수용공(35a)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노출된 탄성부재(40)의 제2 고리(45)를 제2 반원형 볼캡(20)의 연결핀(26)에 형성된 결합공(26a)에 결합시킨 후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40)의 양 말단 고리에 각각 결합된 제1 반원형 볼캡(10)의 연결핀(16)과 제2 반원형 볼캡(20)의 연결핀(26)은, 상기 탄성부재(40)의 압축력에 의해 중앙 접속구(30)의 수용돌기(35)에 형성된 수용공(35a) 내부에서 서로 결속력을 가지면서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반원형 볼캡(10) 및 제2 반원형 볼캡(20)에 각각 형성된 절개부(14, 24)들은, 컷아웃스위치(7)에 연결되는 1차 리드선(6)이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강풍에 상기 1차 리드선(6)이 흔들릴 때 여유공간 역할을 하여 1차 리드선(6)이 쉽게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내에 분기슬리브(3) 및 활선분기고리(5)가 수용됨에 따라, 활선분기고리의 노출이 방지됨으로써, 종래 와 같은 활선분기고리의 노출로 인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기슬리브(3)나 활선분기고리(5)의 교체 시, 결합 상태에 있는 제1 반원형 볼캡(10) 및 제2 반원형 볼캡(20)을 양 측으로 확장시키면,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 및 제2 반원형 볼캡(20)을 결속시키고 있는 탄성부재(40)가 신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의 신장으로 인해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 및 제2 반원형 볼캡(20) 사이에는 분기슬리브(3) 및 활선분기고리(5)를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확보된 공간의 유지를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재(40)를 계속적으로 신장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 사이에 수평봉 등의 막대를 걸쳐 놓을 수 있다. 이어 작업의 완료 후에는 상기 수평봉 등의 막대를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 사이에서 제거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40)가 다시 압축되어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의 결속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 내부에 분기슬리브(3) 및 활선분기고리(5)가 수용되어 보호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볼형 안전장치의 작용에 의하여 분기슬리브(3)나 활선분기고리(5)의 신속하고도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는, 활선분기고리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분기슬리브나 활선분기고리의 교체 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교체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절개부(14)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3개의 연결핀(16)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각 연결핀의 말단부에는 결합공(16a)이 형성된 제1 반원형 볼캡(10)과;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과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중앙부에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감소된 직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1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절개부(24)가 상기 관통공(22)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결합 시 상기 제1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16)들과 동일 수평선상에 각각 위치하는 3개의 연결핀(26)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각 연결핀(26)의 말단부에는 결합공(26a)이 형성된 제2 반원형 볼캡(20)과;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10, 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띠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14, 24)와 직교하는 절개부(32)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16, 26)들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35a)을 갖는 수용돌기(35)가 형성된 중앙 접속구(30) 및;
    상기 중앙 접속구(30)의 수용공(35a) 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35a) 내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16, 26)들을 결속시키는 것으로서, 일측 말단에는 상기 제1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에 형성된 결합공(16a)에 결합되는 제1 고리(42)가 형성되고, 타측 말단에는 상기 제2 반원형 볼캡의 연결핀에 형성된 결합공(26a)에 결합되는 제2 고리(45)가 형성된 탄성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원형 볼캡(10)과 제2 반원형 볼캡(20)의 테이퍼 형상 관통공(12, 22) 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볼캡의 절개부(14, 24)와 동일선상에 일치되는 절개부를 갖는, 절연재(13, 23)가 각각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KR1020060102162A 2006-10-20 2006-10-20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KR100659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62A KR100659023B1 (ko) 2006-10-20 2006-10-20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62A KR100659023B1 (ko) 2006-10-20 2006-10-20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023B1 true KR100659023B1 (ko) 2006-12-21

Family

ID=3781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162A KR100659023B1 (ko) 2006-10-20 2006-10-20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0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66B1 (ko) 2008-01-11 2008-04-04 육지웅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25228B1 (ko) 2008-02-04 2008-04-25 견금자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31964B1 (ko) 2008-03-11 2008-05-23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1800B1 (ko) 2011-09-26 2011-11-09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864736B1 (ko) 2018-01-12 2018-06-07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분기슬리브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장치
KR101864753B1 (ko) 2018-01-12 2018-06-07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사용이 용이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66B1 (ko) 2008-01-11 2008-04-04 육지웅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25228B1 (ko) 2008-02-04 2008-04-25 견금자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31964B1 (ko) 2008-03-11 2008-05-23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1800B1 (ko) 2011-09-26 2011-11-09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864736B1 (ko) 2018-01-12 2018-06-07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분기슬리브를 활용한 가공배전선 연결장치
KR101864753B1 (ko) 2018-01-12 2018-06-07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사용이 용이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023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의 볼형 안전장치
US8007312B2 (en) Modular test plug
US9437986B2 (en) Shockless plug and socket assembly for safe interconnection of live circuits
KR20140143407A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CN206211101U (zh) 一种低成本、可靠性高的pcb板连接端子
US2407894A (en) Electrical connecting unit
CN203839303U (zh) 便拆装式漏电断路器
KR102319044B1 (ko) 배터리 단자 안전장치
CN204885695U (zh) 带断电保护的手机充电器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CN106505542B (zh) 电涌保护器底座
KR20180003170U (ko)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CN103956669A (zh) 中置开关柜专用接地线
KR102013257B1 (ko) 분전반용 콘센트
KR101425809B1 (ko) 퓨즈링크의 착탈이 용이한 퓨즈 어셈블리
JP6629946B1 (ja) バイパスケーブル及び電線ヒューズの取替方法
KR20110008576U (ko) 다중 소켓 전등케이블
CN205282803U (zh) 漏电保护插座
JP2016180604A (ja) 継電器用試験治具
KR101345260B1 (ko) 전선의 접속 단자
WO2012156925A2 (en) Support for electrical components
CN205159685U (zh) 一种带保险丝的插头
US8383968B2 (en) Lever switch for safe breaking of a circuit of an exercise apparatus
KR101091122B1 (ko) 스터드 커넥터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