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122B1 - 스터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터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122B1
KR101091122B1 KR1020100060499A KR20100060499A KR101091122B1 KR 101091122 B1 KR101091122 B1 KR 101091122B1 KR 1020100060499 A KR1020100060499 A KR 1020100060499A KR 20100060499 A KR20100060499 A KR 20100060499A KR 101091122 B1 KR101091122 B1 KR 10109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socket
bolt
arres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맹호
조수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6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Abstract

스터드 커넥터를 개시한다. 피뢰기와 인하선을 연결하는 스터드 커넥터는 피뢰기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1 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소켓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소켓 볼트부 및 인하선에 연결되며, 제1 홈에 삽입되는 전극봉과 전극봉을 수납하여 제1 소켓부에 결합되는 제2 소켓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터드 커넥터{Stud Connector}
본 발명은 스터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뇌격 전류 증가와 기자재 제작 불량 등으로 배전선로의 피뢰기 파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뢰기 교체 작업도 증가하고 있다.
피뢰기 교체 작업은 전기 사용자의 무 정전 욕구에 따라 모두 활선으로 시행하고 있다. 피뢰기와 1차 인하선을 연결하기 위해 피뢰기 스터드와 금구류는 볼트로 체결하여 결속한다. 또한, 금구류와 1차 인하선을 연결하기 위해 금구류와 인하선 하부 단말은 다양한 결합 부재를 연결하고, 인하선 상부 단말과 전력선은 분기 스리브로 압축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각 금구류의 첨예한 부분은 과도시 전하 밀도가 급증하여 불확정적인 방전을 초래하고, 피뢰기의 정상적인 방전 특성에 장애를 준다. 또한, 금구류의 첨예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방전은 피뢰기의 열화 촉진 및 파손 원인이 된다. 또한 다양한 결합부재와 인하선 단말은 전압이 충전된 경우 분리 또는 결합이 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피뢰기의 스터드 부분에서의 활선작업이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도시 피뢰기 방전 성능을 유지하고 피뢰기 활선 교체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터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터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피뢰기와 인하선을 연결하는 스터드 커넥터는 피뢰기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1 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소켓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소켓 볼트부 및 인하선에 연결되며, 제1 홈에 삽입되는 전극봉과 전극봉을 수납하여 제1 소켓부에 결합되는 제2 소켓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터드 소켓 볼트부는 제1 소켓부의 일측단에서 돌출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피뢰기에 결합되는 볼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터드 소켓 스리브는 전극봉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소켓부와 결합되며 인하선에 연결되는 스리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터드 커넥터는 스터드 소켓 볼트와 스터드 소켓 스리브가 피뢰기의 스터드부와 인하선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속 작업 개소를 감소시킨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원형 단면의 직선 연결이 가능해짐에 따라 첨예한 부분이 일소되며 피뢰기의 스터드부에 인하선의 탈착이 용이해지고 작업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히 접속되어 전기 저항에 의한 과열이 예방되고, 첨예한 부분의 전하 밀집에 따른 과도시 불특정한 방전이 감소되어 피뢰기의 고장 요인 감소와 방전 특성 변화 요인을 최소화 한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피뢰기의 스터드부와 인하선의 결합 및 해체가 활선 상태에서도 가능하고, 피뢰기만 분리하여 폐기함으로써 최초 시공되었던 인하용 전선과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스터드 소켓 스리브의 폐기가 감소되어 전력선 또는 전력케이블 1차 리드선에 피뢰기 인하선을 다시 압축 접속하지 않으므로 전력선 또는 전력케이블 1차 리드선의 내구성이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소켓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터드 소켓 볼트를 일 방향에서 관측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일 방향에서 관측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타 방향에서 관측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터드 커넥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커넥터는 특고압 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활선 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커넥터는 피뢰기(50)에 연결되는 스터드 소켓 볼트(100) 및 인하선(미도시)에 연결되는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뢰기(50)는 이상 전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스터드 소켓 볼트(100)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피뢰기(50)의 스터드부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터드 소켓 볼트(100)는 피뢰기(50)와 인하선(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해 피뢰기(50)의 스터드에 결합된다. 스터드 소켓 볼트(100)는 과도시 전하 밀도가 급증하지 않도록 첨예한 부분이 없는 형태로 형성된다. 스터드 소켓 볼트(1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는 인하선과 연결되어 스터드 소켓 볼트(1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는 인하선의 종단에 연결되어 스터드 소켓 볼트(100)와 나사 결합한다.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는 과도시 전하 밀도가 급증하지 않도록 첨예한 부분이 없는 형태로 형성된다.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소켓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스터드 소켓 볼트를 일 방향에서 관측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터드 소켓 볼트를 일 방향(D1)에서 관측하여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소켓 볼트(100)는 제1 소켓부(110)와 볼트부(130)를 포함한다.
제1 소켓부(110)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소켓부(110)는 내측에 형성된 제1 홈(120)과 외측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1)을 포함한다. 제1 홈(120)은 제1 소켓부(110)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홈(12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홈(120)은 후술된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의 전극봉(도 2의 210)에 대응하는 직경과 깊이를 갖는다.
제1 나사산(111)은 제1 소켓부(110)의 외측면에서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와 결합되는 영역만큼 형성된다. 한편, 제1 소켓부(110)는 제1 나사산(111)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소켓부(110)는 실질적으로 첨예한 부분이 없도록 형성된다.
볼트부(130)는 제1 소켓부(11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트부(130)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부(130)는 외측면에 제2 나사산(131)이 형성된다. 볼트부(130)는 피뢰기(50)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소켓부(110)와 볼트부(130)는 일체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소켓부(110)와 볼트부(130)는 접속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일 방향에서 관측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타 방향에서 관측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일 방향(D1)에서 관측하여 도시하였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타 방향(D2)에서 관측하여 도시하였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소켓 스리브(200)는 전극봉(210), 스리브부(220) 및 제2 소켓부(230)를 포함한다.
전극봉(210)은 스터드 소켓 볼트부(130)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전극봉(210)은 스터드 소켓 볼트(100)의 제1 소켓부(110)의 제1 홈(120)에 삽입된다. 전극봉(210)은 제1 홈(120)에 압축 접속된다. 이때, 전극봉(210)은 제1 홈(120)에 대응하는 직경과 길이를 갖는다.
스리브부(220)는 인하선과 연결된다. 스리브부(22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극봉(2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스리브부(220)는 전극봉(2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리브부(220)는 인하선과 전극봉(210) 사이에서 전기를 중계한다.
제2 소켓부(230)는 전극봉(210)과 스리브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된다. 이때, 제2 소켓부(230)는 내측에 전극봉(210)을 수납한다. 이를 위해 제2 소켓부(230)는 내측에 형성된 제2 홈(24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소켓부(230)는 스터드 소켓 볼트부(130)의 제1 소켓부(110)를 수납한다. 제2 소켓부(230)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켓부(230)는 제1 소켓부(110)와 나사 결합한다. 이를 위해 제2 소켓부(230)는 제1 소켓부(110)의 제1 나사산(111)과 접촉하는 제2 홈(240)에 제3 나사산(24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소켓부(230)는 전극봉(210) 또는 스리브부(2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소켓부(230)는 제3 나사산(241)이 회전하면서 제1 나사산(111)과 결합한다. 여기서 제2 홈(24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홈(240)은 제1 소켓부(110)에 대응하는 직경과 깊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홈(240)은 제1 나사산(111)을 포함한 제1 소켓부(1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홈(240)은 제1 나사산(111)이 형성된 제1 소켓부(110)의 면적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터드 커넥터는 스터드 소켓 볼트와 스터드 소켓 스리브가 피뢰기의 스터드부와 인하선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속 작업 개소를 감소시킨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원형 단면의 직선 연결이 가능해짐에 따라 첨예한 부분이 일소되며 피뢰기의 스터드부에 인하선의 탈착이 용이해지고 작업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히 접속되어 전기 저항에 의한 과열이 예방되고, 첨예한 부분의 전하 밀집에 따른 과도시 불특정한 방전이 감소되어 피뢰기의 고장 요인 감소와 방전 특성 변화 요인을 최소화 한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피뢰기의 스터드부와 인하선의 결합 및 해체가 활선 상태에서도 가능하고, 피뢰기만 분리하여 폐기함으로써 최초 시공되었던 인하용 전선과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커넥터는 스터드 소켓 스리브의 폐기가 감소되어 전력선 또는 전력케이블 1차 리드선에 피뢰기 인하선을 다시 압축 접속하지 않으므로 전력선 또는 전력케이블 1차 리드선의 내구성이 보장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피뢰기
100: 스터드 소켓 볼트
110: 제1 소켓부
130: 볼트부
200: 스터드 소켓 스리브
210: 전극봉
230: 제2 소켓부
220: 스리브부

Claims (8)

  1. 피뢰기와 인하선을 연결하는 스터드 커넥터에 있어서,
    피뢰기에 결합되며, 내측에 제1 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소켓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소켓 볼트부; 및
    인하선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을 수납하여 상기 제1 소켓부에 결합되는 제2 소켓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소켓 스리브를 포함하는 스터드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소켓 볼트부는
    상기 제1 소켓부의 일측단에서 돌출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피뢰기에 결합되는 볼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부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소켓 스리브는
    상기 전극봉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소켓부와 결합되며 상기 인하선에 연결되는 스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켓부는 상기 제1 소켓부를 수납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소켓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켓부는 상기 전극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켓부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커넥터.
KR1020100060499A 2010-06-25 2010-06-25 스터드 커넥터 KR10109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99A KR101091122B1 (ko) 2010-06-25 2010-06-25 스터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99A KR101091122B1 (ko) 2010-06-25 2010-06-25 스터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122B1 true KR101091122B1 (ko) 2011-12-09

Family

ID=4550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99A KR101091122B1 (ko) 2010-06-25 2010-06-25 스터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9-19 율삼엔지니어링(주)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992A (ja) 2002-10-23 2004-05-20 Imoto Hamono Kk 埋込ボルト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992A (ja) 2002-10-23 2004-05-20 Imoto Hamono Kk 埋込ボルト用ソケ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9-19 율삼엔지니어링(주)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3776A (zh) 插头及电源连接器
US9728307B2 (en) R-stack arrester
CN204516914U (zh) 配电线路及设备停电检修时用接地装置
KR101091122B1 (ko) 스터드 커넥터
CN206774746U (zh) 一种可拆卸式连接器
CN201196941Y (zh) 高压熔断器用的保险丝筒
US11286912B2 (en) Wind turbine rotor blade and lightning protec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rotor blade
CN209844017U (zh) 一种插拔式的接地线安装装置
CN208690037U (zh) 一种避雷器
CN105097157A (zh) 跌落式避雷器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CN205863425U (zh) 一种可调节方向的接地线
CN206774690U (zh) 一种电连接器
CN105790000B (zh) 一种具有自我保护功能的电缆插头
CN105161878A (zh) 配电快速声光验电接地线
JP2015146697A (ja) 地中線機器用端末変換アダプタ
KR101283642B1 (ko) 절연 리드선이 부착된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CN108674203A (zh) 充电电池用充放电插座、插头及包括其的电池箱
US9622454B2 (en) Electric fence box fuse system
CN203660276U (zh) 间隙防雷保护装置
KR101339094B1 (ko) 아크 방전봉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CN103022917A (zh) 一种不停电装拆移动式配电变压器
CN209948080U (zh) 一种避雷器的接地装置
CN103337761B (zh) 用于电流端子短接的短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