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094B1 - 아크 방전봉 - Google Patents

아크 방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094B1
KR101339094B1 KR1020130084399A KR20130084399A KR101339094B1 KR 101339094 B1 KR101339094 B1 KR 101339094B1 KR 1020130084399 A KR1020130084399 A KR 1020130084399A KR 20130084399 A KR20130084399 A KR 20130084399A KR 101339094 B1 KR101339094 B1 KR 10133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round
ground rod
ro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권중
Original Assignee
비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9877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90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제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Landscapes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전봉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길게 연장된 접지봉케이스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피보호기기가 접지되는 접지단자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접지봉이 접속되게 설치된 접지봉덮개부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접지봉덮개부에 고정된 접지단자부에 접속되며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길이의 중간만큼 연장되고 중간에는 복수의 방전침이 삽입고정되고 각 방전침은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고정된 접지봉과, 상기 접지봉의 하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30~33의 회전수로 감켜 임피던스가 높아져 역서지 전류를 차단하는 임피던스코일부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본체와 상기 고정부본체의 하부나사부에 나사조립되며 하부는 지면을 파고들어 고정되게 원추형 삽입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본체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의 하단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공이 형성된 쐐기형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되어, 접지봉케이스의 내부에 불활성가스의 충진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방전되고 결로현상이 방지되며, 접지봉에 고정되는 각 방전침이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고정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풀림현상이 방지되어 아크발생효율이 높게 되며, 각 방전침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예리하게 절취되어 방전능력이 향상되고 접지봉의 표면까지 경사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적이 크게 되므로 방전면적이 크게 되어 큰 방전이 가능하게 되고, 방전침과 접지봉케이스와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므로 쇼트에 의한 방전침의 손상의 우려가 없게 되며, 임피던스코일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임피던스가 높아서 역 서지전류의 차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아크 방전봉{ A arc electrical discharge bar }
본 발명은 아크 방전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에 불활성가스가 충진되게 제조되어 결로현상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방전이 가능하게 되며, 접지봉에 고정되는 각 방전침이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압입 고정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풀림현상이 방생되지 않고 삽입고정만 되어 방전침의 풀림이 방지되고 방전침과 접지봉케이스와의 간격의 변동이 없으므로 아크발생효율이 높게 되며, 각 방전침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단위면적이 넓게 되므로 방전능력이 향상되며 방전침의 손상이 작게 되어 수명이 오래가며, 아크유도코일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임피던스가 높아서 역 서지전류의 차단이 향상되는 아크 방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뢰기는 전력계통에 발생되는 과전압으로부터 비자기회복절연(non-self restoring insuation) 특성을 갖는 발전기, 변압기, 리액터(reactor), 케이블 및 GIS 모선 등의 절연(絶緣)을 보호하는 설비로서, 정상적인 계통 운전상태에서는 계통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서지 침입시 서지에너지를 대지로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다.
즉, 배전계통에 이상전압이 침입되면 피뢰기는 급준한 서지를 억제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뇌전류를 대지로 방류하여야 하며,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피뢰기의 경우 주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피뢰기 리드선의 길이, 피뢰기 접지저항 등의 제반여건은 피뢰기의 보호특성에 제약을 주게 되고, 이러한 여러 제약중 뇌전류가 피뢰기의 리드선과 접지극을 통하여 방류되는 과정에서 서지전류에 의한 접지 임피던스의 증가로 대지전위가 상승하게 되어 피뢰기의 보호범위를 축소시키고, 대전력 설비기기, 통신 및 약전류 계통, 건축설비 등의 피보호기기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져 피뢰기의 설치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아크유도형 접지봉의 사용상태도이고, 지상에 설치되는 각종 전력 설비기기, 통신계통, 건축설비 등의 피보호기기를 천둥, 번개시 발생되는 뇌전류에 의한 이들의 절연파괴 및 이들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들과 접지되는 동피막된 철심봉(100)을 지중에 소정간격으로 매설시켰으며, 이러한 철심봉은 가격이 저렴하며, 시공방법 및 보수유지가 용이하여 사후관리가 수월한 이점을 갖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철심봉은 접지극 간의 이격거리가 협소하여 타 접지극으로의 역류되는 전압으로 인해 피뢰기를 포함한 배전계통, 전력기기 등이 절연파괴되거나, 또는 이들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통신장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되고, 또한, 대지표면 저항에 따른 지중방전이 상단부터 발생하게 되어 감전과 같은 인명피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339924호 '아크 유도형 침부 접지봉'이라는 발명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특허에서는 침 전극부의 침 전극이 스테인레스로 제조되어 사용되므로 높은 이상전압에서는 스테인레스로된 침 전극이 녹아내려서 침 전극과 방전관이 서로 연결되게 되어 아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접지봉의 수명이 다하게 되어 접지봉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어 접지봉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며, 상기 침 전극이 설치되는 침홀더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게 형성되므로 접지봉의 제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방전관내에 수분이 침투되어 결로현상이 발생되고 불완전한 방전이 이루어지며,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방전침이 풀려서 쇼트가 발생되어 방전침의 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339924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지봉케이스의 내부에 불활성가스를 충진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수분이 침투되지 않아 결로현상이 방지되며 안정된 분위기에서 아크방전이 원활하게 되고, 접지봉에 고정되는 각 방전침이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고정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풀림현상이 방지되어 방전침과 접지봉케이스와의 간격의 변동이 없으므로 아크발생효율이 높게 되며, 각 방전침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예리하게 절취되어 방전능력이 향상되고 접지봉의 표면까지 경사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적이 크게 되므로 방전면적이 크게 되어 큰 방전이 가능하게 되고, 방전침과 접지봉케이스와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므로 쇼트에 의한 방전침의 손상의 우려가 없게 되며, 임피던스코일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임피던스가 높아서 역 서지전류의 차단이 향상되는 아크 방전봉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길게 연장된 접지봉케이스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피보호기기가 접지되는 접지단자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접지봉이 접속되게 설치된 접지봉덮개부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접지봉덮개부에 고정된 접지단자부에 접속되며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길이의 중간만큼 연장되고 중간에는 복수의 방전침이 삽입고정되고 각 방전침은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고정된 접지봉과, 상기 접지봉의 하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30~33의 회전수로 감켜 임피던스가 높아져 역서지 전류를 차단하는 임피던스코일부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본체와 상기 고정부본체의 하부나사부에 나사조립되며 하부는 지면을 파고들어 고정되게 원추형 삽입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본체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의 하단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공이 형성된 쐐기형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되어 안정적인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전봉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전봉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길게 연장된 접지봉케이스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피보호기기가 접지되는 접지단자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접지봉이 접속되게 설치된 접지봉덮개부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접지봉덮개부에 고정된 접지단자부에 접속되며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길이의 중간만큼 연장되고 중간에는 복수의 방전침이 삽입고정되고 각 방전침은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고정된 접지봉과, 상기 접지봉의 하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30~33의 회전수로 감켜 임피던스가 높아져 역서지 전류를 차단하는 임피던스코일부와,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본체와 상기 고정부본체의 하부나사부에 나사조립되며 하부는 지면을 파고들어 고정되게 원추형 삽입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본체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의 하단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공이 형성된 쐐기형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봉케이스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되어, 접지봉케이스의 내부에 불활성가스의 충진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방전되고 결로현상이 방지되며, 접지봉에 고정되는 각 방전침이 일방향 와셔에 의하여 고정되어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풀림현상이 방지되어 아크발생효율이 높게 되며, 각 방전침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예리하게 절취되어 방전능력이 향상되고 접지봉의 표면까지 경사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적이 크게 되므로 방전면적이 크게 되어 큰 방전이 가능하게 되고, 방전침과 접지봉케이스와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므로 쇼트에 의한 방전침의 손상의 우려가 없게 되며, 임피던스코일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임피던스가 높아서 역 서지전류의 차단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지봉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의 방전침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의 접지봉덮개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의 쐐기형 고정단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크 방전봉(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에 암나사(1a,1b)가 형성되며 길게 연장된 원통형 접지봉케이스(1)와,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21)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피보호기기가 접지되는 접지단자부(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접지봉이 접속되게 설치된 접지봉덮개부(2)와,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접지봉덮개부(2)에 고정된 접지단자부(22)에 접속되며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길이의 중간만큼 연장되고 중간에는 복수의 방전침(31)이 삽입고정되고 각 방전침(31)은 일방향 와셔(32)에 의하여 고정된 접지봉(3)과, 상기 접지봉(3)의 하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30~33의 회전수로 감켜 임피던스가 높아져 역서지 전류를 차단하는 임피던스코일부(4)와,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부(51a)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돌출부(52)의 외주면에 하부나사부(52b)가 형성된 고정부본체(51)와 상기 고정부본체(51)의 하부나사부(52b)에 나사조립되며 하부는 지면을 파고들어 고정되게 원추형 삽입단부(53)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본체(51)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4)의 하단(4a)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관(54)이 형성된 쐐기형고정단부(5)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봉덮개부(2)와 쐐기형 고정단부(5)에 의하여 상하단부가 밀봉된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봉케이스(1)는 상단부의 암나사(1a)에 결합되는 접지봉덮개부(2)와 하단부의 암나사(1b)에 결합되는 쐐기형고정단부(5)에 의하여 밀폐되고, 상기 접지봉덮개부(2)의 결합나사부(21)는 결합되고 나면 결합나사부(21)의 상부가 실리콘(S)에 의하여 밀봉처리가 수행되어, 이후에 불활성가스의 충진이 이루어지게 되면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가 외부와는 차단된 상태로 밀폐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봉덮개부(2)의 접지단자부(22)는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23)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공(23)내에 절연체로서 우레탄(24)이 충진경화되어 상기 접지단자부(22)가 기밀상태로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봉(3)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봉본체(30)의 외측면에 방전침(31)과 동일한 수의 나사공(30a)이 형성되어, 방전침(31)의 조립나사부(31a)가 상기 나사공(30a)에 나사조립된다. 상기 방전침(31)은, 방전이 발생되는 원추형상의 방전침단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방전침단부(31b)에는 상기 조립나사부(31a)가 이어지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걸림턱(3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1c)과 접치봉본체(30)의 외측면상에 일방향 와셔(32)가 배치되어, 상기 방전침(31)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일방향 와셔(32)는 진동과 충격에도 풀리지 않는 안전 체결용 와셔로서 시중에서는 '회오리 와셔'라고 풀려지며, 탕성이 우수한 부등변 접시 스프링 형상의 양면에 회오리 문양을 가공하여 강한 체결력을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방향 와셔(32)는 방전침(31)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풀림이 방지되게 되므로서, 방전침(31)의 예리한 방전단부(31bb)와 접치봉케이스(1)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뇌전류의 발생시 안정적인 아크의 발생이 보장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방전침(31)은 접지봉본체(30)의 외측면에까지 원추형상의 방전침단부(31b)가 형성되므로, 방전되는 방전면적이 크게 되므로 그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방전효율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임피던스코일부(4)는 나선형 코일이 30회가 감겨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길이가 연장되게 되어 임피던스가 높아지게 되므로 에너지 소거율이 높아지게 되어 신속하게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쐐기형 고정단부(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부(51a)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돌출부(52)의 외주면에 하부나사부(52b)가 형성된 고정부본체(51)와, 상기 고정부본체(51)의 하부나사부(51b)에 나사조립되며 하부는 지면을 파고들어 고정되게 원추형 삽입단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쐐기형 고정단부(5)의 상기 고정부본체(51)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4)의 하단(4a)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관(54)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원추형 삽입단부(53)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나사부(52b)에 조립되는 암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측면부(55)와 밸브관(54)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밸브관수납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본체(5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나사부(51a)가 접지봉케이스(1)의 하단부의 암나사(1b)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면, 고정나사부(51a)의 하부가 실리콘(S)에 의하여 밀봉처리가 수행되어, 이후에 불활성가스의 충진이 이루어지게 되면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가 외부와는 차단된 상태로 밀폐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쐐기형 고정단부(5)가 접지봉케이스(1)의 하단부에 고정되면 자동적으로 임피던스코일부(4)의 하단(4a)이 쐐기형 고정단부(5)에 접속되어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위치되게 되어, 고장전류의 전압과 같은 이상 전압은 용이하게 접지되어 방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쐐기형 고정단부(5)가 접지봉케이스(1)에 밀봉고정된 상태에서, 밸브관(54)을 통하여 불활성가스를 주입시키고, 불활성가스의 주입이 종료되면,원추형 삽입단부(53)의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측면부(55)를 상기 고정부본체(51)의 하부나사부(52b)에 조립시키면, 불활성가스가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에 주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는 헬륨, 네온, 알곤, 크립톤, 크세논, 라돈, 질소, 이산화탄소, 프레온과 같은 것에서 선택되며 방전을 위한 용도로는 알곤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전봉(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은, 길게 연장된 원통형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에 임피던스코일부(4)가 부착된 접지봉(3)을 삽입하고,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기 접지봉덮개부(2)와 쐐기형 고정단부(5)의 고정부본체(51)를 조립시킨다. 상기 접지봉덮개부(2)와 쐐기형 고정단부(5)의 고정부본체(51)의 조립이 종료된 후에는, 결합나사부(21)의 상부와 고정나사부(51)의 하부가 실리콘에 의하여 밀봉처리가 수행되어, 이후에 불활성가스의 충진이 이루어지게 되면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가 외부와는 차단된 상태로 밀폐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쐐기형 고정단부(5)의 밸브관(54)을 통하여 불활성가스를 충진시키고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상태에서 불활성가스의 충진이 완료되면, 고정부본체(51)의 상기 하부나사부(52b)에 암나사측면부(55)가 형성된 상기 원추형 삽입단부(53)를 나사조립시키면, 밸브관(54)이 밸브관수납홈(56)상에 배치되면서, 밸브관(54)이 폐쇄되므로,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크 방전봉(A)은, 내부에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상태가 되므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수분이 아크 방전봉(A)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결로현상이 방지되므로 각 방전침(31)사이의 쇼트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방전침(31)과 접지봉케이스(1)의 내측에서 쇼트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내구수명이 연장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아크 방전봉(A)가 지중에 매립되어 진동이 발생되거나 설치된 장소에 진동이 발생되게 되더라도, 방전침(31)이 일방향 와셔(3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방전침(31)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항상 방전침(31)과 접지봉케이스(1)와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안정적이 아크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어 뇌전류의 소거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되게 되며, 방전침의 내구수명이 연장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 방전봉(A)의 방전침(31)은, 아크발생이 이루어지는 선단부의 방전단부(31bb)와 접지봉본체(30)와 접하는 방전침단부(31b)의 부분까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방전되는 방전면적이 크게 되어 방전효율이 향상되므로 방전시간도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효과적인 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아크 방전봉(A)는, 내부에 불활성가스가 충진되어 결로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방전효율이 뛰어나며, 방전침의 풀림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아크발생과 내구수명이 연장되게 되고, 임피던스가 높아져 역서지 전류의 차단이 가능하여 피보호기기가 더욱 안전하게 보호되며, 방전침의 방전효율이 우수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크 방전봉는 일반적인 접지봉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접지봉케이스 2. 접지봉덮개부
3. 접지봉 4.임피던스코일부
5. 쐐기형고정단부

Claims (4)

  1. 아크 방전봉(A)에 있어서,
    상기 아크 방전봉(A)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암나사(1a,1b)가 형성되며 길게 연장된 원통형 접지봉케이스(1)와,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21)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피보호기기가 접지되는 접지단자부(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접지봉이 접속되게 설치된 접지봉덮개부(2)와,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접지봉덮개부(2)에 고정된 접지단자부(22)에 접속되며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길이의 중간만큼 연장되고 중간에는 복수의 방전침(31)이 삽입고정되고 각 방전침(31)은 일방향 와셔(32)에 의하여 고정된 접지봉(3)과,
    상기 접지봉(3)의 하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30~33의 회전수로 감켜 임피던스가 높아져 역서지 전류를 차단하는 임피던스코일부(4)와,
    상기 접지봉케이스(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부(51a)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돌출부(52)의 외주면에 하부나사부(52b)가 형성된 고정부본체(51)와, 상기 고정부본체(51)의 하부나사부(52b)에 나사조립되며 하부는 지면을 파고들어 고정되게 원추형 삽입단부(53)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본체(51)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4)의 하단(4a)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관(54)이 형성된 쐐기형고정단부(5)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봉덮개부(2)와 쐐기형 고정단부(5)에 의하여 상하단부가 밀봉된 접지봉케이스(1)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침(31)은, 접지봉본체(30)의 외측면에 방전침(31)과 동일한 수의 나사공(30a)에 조립되는 조립나사부(31a)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나사부(31a)에 이어서 방전이 발생되는 원추형상의 방전침단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방전침단부(31b)와 조립나사부(31a)의 사이에는 걸림턱(3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1c)과 접치봉본체(30)의 외측면상에 일방향 와셔(32)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전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덮개부(2)와 쐐기형 고정단부(5)의 조립이 종료 후, 결합나사부(21)의 상부와 고정나사부(51)의 하부가 실리콘에 의하여 밀봉처리가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전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고정단부(5)의 상기 고정부본체(51)의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피던스코일부(4)의 하단(4a)이 결합되고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는 밸브관(54)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원추형 삽입단부(53)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나사부(52b)에 조립되는 암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측면부(55)와 밸브관(54)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밸브관수납홈(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방전봉
KR1020130084399A 2013-07-17 2013-07-17 아크 방전봉 KR10133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99A KR101339094B1 (ko) 2013-07-17 2013-07-17 아크 방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99A KR101339094B1 (ko) 2013-07-17 2013-07-17 아크 방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094B1 true KR101339094B1 (ko) 2013-12-09

Family

ID=4998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99A KR101339094B1 (ko) 2013-07-17 2013-07-17 아크 방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688A (ko) * 2015-08-12 2017-02-22 주식회사 국제통신 안정적인 방전 및 절연이 보장되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결로방지 아크 방전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924B1 (ko) * 2000-04-14 2002-06-10 박종순 아크 유도형 침부 접지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924B1 (ko) * 2000-04-14 2002-06-10 박종순 아크 유도형 침부 접지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688A (ko) * 2015-08-12 2017-02-22 주식회사 국제통신 안정적인 방전 및 절연이 보장되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결로방지 아크 방전봉
KR101719181B1 (ko) 2015-08-12 2017-03-23 주식회사 국제통신 안정적인 방전 및 절연이 보장되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결로방지 아크 방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3524B2 (en) Lightning arrester and a power transmission line provided with such an arrester
KR101291908B1 (ko) 고전압 절연체 및 이러한 절연체를 이용한 고전압 전력 선로
TWI398063B (zh) 避雷器
KR101354017B1 (ko)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CN104335296B (zh) 用于对过电压进行放电的设备
KR101339094B1 (ko) 아크 방전봉
KR100339924B1 (ko) 아크 유도형 침부 접지봉
JP4253510B2 (ja) 避雷針装置
KR101719181B1 (ko) 안정적인 방전 및 절연이 보장되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결로방지 아크 방전봉
KR101900386B1 (ko) 감쇄율이 현저히 향상된 아크 방전봉
KR100962242B1 (ko) 차량용 피뢰 접지장치
KR101106603B1 (ko) 하이브리드형 낙뢰보호 장치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JPH01209685A (ja) 避雷器
KR101091122B1 (ko) 스터드 커넥터
KR20130142049A (ko) 아크 유도형 침부 접지봉구조체
KR101088686B1 (ko) 아크방전형 침부 접지장치
US2280917A (en) Mounting for protective discharge devices
KR1020662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0366574Y1 (ko) 서지방전봉
KR200247534Y1 (ko) 평판형 방전궤
KR100460516B1 (ko) 공간전하 분산형 피뢰장치
WO2016011404A1 (en) Electric fence box fuse system
CN102738761A (zh) 间隙防雷保护装置
KR200305193Y1 (ko) 공간전하 분산형 피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13

Effective date: 2014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