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829A -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829A
KR20210152829A KR1020200069788A KR20200069788A KR20210152829A KR 20210152829 A KR20210152829 A KR 20210152829A KR 1020200069788 A KR1020200069788 A KR 1020200069788A KR 20200069788 A KR20200069788 A KR 20200069788A KR 20210152829 A KR20210152829 A KR 2021015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ypass
electric wire
mo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952B1 (ko
Inventor
이장호
김정환
도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05Means to increase the friction-coeffic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이 개방되어 전선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클램프;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의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클램프에는, 상기 상부클램프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하부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상기 접속단자를 거쳐 상기 하부클램프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을 따라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BYPASS CLAMP AND HOT LINE WORK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활선작업 시 이용되는 바이패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는 체결을 위한 부품 또는 도구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전기 분야에서는 전선을 체결하기 위한 부품을 일컫는 용어로 쓰인다. 클램프는 우회하는 전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클램프로 정의되기도 한다.
전기 분야에서 바이패스 케이블과 연결되어 활선작업에 주로 이용된다. 여기서 활선작업이란, 전기가 통하고 있는 전선에 고장수리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봇대의 변압기 등이 고장나는 경우나 전기시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전기공사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고압선로의 유지보수나 수리를 위해 선로를 정전시킨 후 공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는 정전으로 인한 피해나 손해 방지를 위해 전기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전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활선작업을 통해 수리가 필요한 부분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고장수리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양 쪽에 클램프를 체결하고 체결된 클램프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게 되면,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활선작업을 통해 선로를 정전시키지 않고도 전기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활선작업을 하는 경우 직접활선 방식을 채용하고 있었다. 여기서 직접활선이란, 작업자가 직접 고압전선을 만지며 활선작업에 필요한 부재를 고압 전선에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직접활선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고압전선에 의해 감전되는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간접활선 방식을 채용하여 전기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간접활선이란, 작업자가 절연 스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활선작업에 필요한 부재를 고압 전선에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간접활선 방식은 직접활선 방식에 비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나사와 같은 부재를 회전시켜 클램프를 전선에 설치하여야 하고,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직접활선 방식에 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클램프 암과 클램프 몸체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본체, 클램프 턱, 클램프 턱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변시키는 턱 조절 부재 및 케이블 관통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 홀이 형성되는 클램프 몸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연결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2212호).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클램프의 미세한 방향 제어를 하지 않고도 단순 기계적인 동작만으로도 클램프의 제어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클램프를 고압전선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클램프의 부재를 회전시켜야 한다. 통상적으로 작업자는 활선작업이 필요한 부분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에 공사를 위한 부재들을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 간접활선 작업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간접활선에 사용되는 부재의 무게로 인해 절연스틱을 장시간 다루어야 하는 작업자에게 목 및 팔 등에 근골격계 질환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간접활선 방식으로 전선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경우 작업자의 손에 의해 체결되는 것보다 클램프의 체결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바이패스 케이블이 고압전선에서 탈락하게 되고, 추락하는 전선에 의해 안전사고 및 배전선로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바이패스 클램프가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클램프가 고압전선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간접활선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으며, 전선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바이패스 클램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2212호(2020.01.08. 공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바이패스 클램프를 원격으로 조작함으로써, 간접활선 작업 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이패스 클램프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바이패스 클램프에 설치된 제어부를 통해 바이패스 클램프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경우보다 바이패스 클램프가 전선에 체결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바이패스 클램프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클램프에 형성된 접속단자를 통해 클램프가 전선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지 않고도 활선이 가능한 바이패스 클램프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기존의 바이패스 클램프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을 절단한 후 하부 클램프에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바이패스 클램프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바이패스 클램프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이 개방되어 전선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클램프;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의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클램프에는, 상기 하부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상기 접속단자를 거쳐 상기 하부클램프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을 따라 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클램프를 향해 돌출되는 승하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클램프의 측면에는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안내가이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는, 상기 상부클램프의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클램프가 상기 하부클램프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의 내측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상부클램프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프는, 상기 상부클램프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에서 원통형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선과의 통전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이 탈착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위치되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를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전선을 관통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기 축나사와 작용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외부 신호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복수 개의 바이패스 클램프를 갖는 활선장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이동방향을 바꾸어 주는 바이패스 케이블; 및 상기 전선의 복수개의 개소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클램프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이 개방되어 전선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클램프;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의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클램프에는, 상기 하부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상기 접속단자를 거쳐 상기 하부클램프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을 따라 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클램프를 향해 돌출되는 승하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클램프의 측면에는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안내가이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는, 상기 상부클램프의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클램프가 상기 하부클램프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의 내측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상부클램프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프는, 상기 상부클램프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에서 원통형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선과의 통전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이 탈착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위치되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를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전선을 관통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기 축나사와 작용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외부 신호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효과는, 바이패스 클램프가 제어부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활선 작업시 작업자가 전선에 직접 클램프를 체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자동으로 전선이 클램프에 체결됨으로써, 작업자가 활선 작업시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효과는,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축에 의해 연결되는 축나사 부분이 회전하게 되면, 축나사와 상호 회전에 의해 상부클램프가 승하강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전선이 클램프에 체결되는 시간보다 클램프가 체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효과는, 하부클램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가 피복을 뚫고 직접 전선에 접속되도록 하여, 별도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지 않고도 전류를 우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활선 작업의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활선 작업에 필요한 시간도 대폭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효과는, 하부클램프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새로운 케이블을 생산하지 않고 기존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재활용하여 바이패스 클램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클램프를 갖는 활선장치가 전봇대의 전선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활선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바이패스 클램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바이패스 클램프의 전선수용공간에 전선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나사를 구비하는 모터와 축나사에 결합되는 상부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축나사를 구비하는 모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측면에 승하강 안내가이드가 관통 형성된 상부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고정지지부와 접속부로 이루어지는 하부클램프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탈착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바이패스 클램프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어부가 조작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으로 바이패스 클램프가 구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승하강 안내부와 승하강 안내가이드를 따라 상부클램프가 승하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전선이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에 의해 체결 및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접속단자가 상부클램프에 의해 가압되어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전선에 체결된 바이패스 클램프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갖는 활선장치(200)가 전봇대(30)의 전선(1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일반 가정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선(10)을 통해 전기를 송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기를 송전하는 방식으로는 3상 4선식, 3상 3선식 등의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3상 3선식이란, 3선을 이용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3상 4선식이란, 3상 전력의 송전에서 1선을 지선으로 하여 4선을 이용하여 송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3상 3선식은 수전 전력, 최대 선간 전압, 전력 손실을 일정하게 하여 전선(10)의 무게를 다른 방식에 비교했을 때 가장 유리하기 때문에 통상의 송전 및 동력선의 배전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3상 4선식은 1선을 지선을 더 사용함으로써 상기 3상 3선식에 비해 효율이 뛰어나다. 이로 인해, 에어컨 등의 동력을 많이 사용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3상 4선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전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갖는 활선장치(200)가 전봇대(30)의 전선(10)에 체결되어 있다.
즉, 활선장치(200)란, 복수개의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각각 전선(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전선(10)에 흐르는 전류가 우회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다시 말해, 활선작업시 전봇대(30)의 전선(10)에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체결해, 전류가 바이패스 케이블(160)을 통해 흐르게 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선이란, 전기가 통하고 있는 전선(10)을 고장 수리를 위하여 전기를 끊는 것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장 수리나 유지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양 측에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체결하여 바이패스 클램프(100)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160)을 통해 전류를 우회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체결된 부분의 전선(10)은 전류가 끊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설치되는 위치지는 고장수리 등이 필요한 부분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장치(2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장치(200)는 전선(10)에 체결되는 제1 바이패스 클램프(100a) 제2 바이패스 클램프(100b), 전선(10)에서 우회하는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케이블(160) 및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조작하는 조작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클램프(100a) 및 제2 바이패스 클램프(100b)는 케이싱(110, 100'), 모터(120, 120'), 상부클램프(130, 130') 및 하부클램프(140, 140')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1 바이패스 클램프(100a)와 제2 바이패스 클램프(100b)가 공통으로 갖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120, 120')의 일 측에는 배터리(121, 121')와 제어부(122, 12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120, 120')는 회전축(123, 123')을 구비하며, 회전축(123, 123')에 연결되는 축나사(124, 124')가 형성될 수 있다.
축나사 외주면(124a, 124a')에는 제1 나사산(124a1, 124a1')이 형성되고, 축나사(124, 124')는 모터(120, 12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부클램프(130, 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클램프(130, 13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나사산(124a1, 124a1')과 나사 체결되는 제1 나사홈(130a1, 130a1')이 상부클램프 내주면(130a, 130a')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클램프 외주면(130b, 130b')에서 리세스되어 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 130c')가 형성된다.
하부클램프(140, 140')는 고정지지부(141, 141')와 접속부(142, 142')를 포함한다. 상부클램프(130, 130')는 하부클램프(140, 140')의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고정지지부 내주면(141a, 141a')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하부클램프(140, 140')가 케이싱(110, 1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고정지지부 외주면(141b, 141b')의 직경은 케이싱(110, 100')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142, 142')의 일 측에는 접속단자(143, 14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141, 141')와 접속부(142, 142')의 사이에 전선(10)이 수용되는 전선 수용부(144, 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42, 142')의 하부에는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45, 1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부(142, 142')와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삽입홀(145, 145')에는 제2 나사홈(145a, 145')이 형성될 수 있다.
앞으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바이패스 클램프(100a)와 제2 바이패스 클램프(100b)를 구분하지 않고, 바이패스 클램프(100)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바이패스 클램프(100)는 전선(10)에 체결되어 전선(10)에 흐르는 전류의 이동방향을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즉,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전선(10)에서 이동하는 전류가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우회하게 한다.
바이패스 클램프(100)는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양 측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바이패스 클램프(100a)가 일 측에 설치되고, 제2 바이패스 클램프(100b)가 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봇대(30)와 같은 전기시설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 활선장치(200)가 이용될 수 있다. 수리가 필요한 부분의 양 측에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전류가 우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가 활선장치(200)를 통해 흐르게 하여 단전하지 않고도 전기공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도 감전의 우려없이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봇대(30)에는 3개의 전선(10)이 연결된다. 즉, 전봇대(3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3개의 활선장치(200)가 필요할 수 있다. 3개의 활선장치(200)를 이용해 3개의 전선(10)에서 흐르는 전기를 모두 우회하게 해야, 감전 사고의 위험없이 전봇대(30)의 고장수리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클램프(100)는 모터(120), 상부클램프(130), 하부클램프(140) 및 상부클램프(130)와 하부클램프(140)가 수용되는 케이싱(11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상에서 전선(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개방되는 부분은 전선수용공간(S1)을 의미할 수 있다.
전선수용공간(S1)은 케이싱 외주면(110a)에서 케이싱(110)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수용공간(S1)은 케이싱(110)에서 하부클램프(140)가 수용되는 부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클램프(140)에 형성되는 전선 수용부(14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싱(1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는 경우에 따라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하부는 하부클램프(140)와 바이패스 케이블(160)이 연결되기 위해 개방된 형태이어야 한다.
모터(120)는 구동장치로서, 축나사(124)에 회전력을 전달해 축나사(124)가 회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120)의 일 측에는 모터(120)를 구동하게 하는 배터리(121)와 조작부(20)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모터(120)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23)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123)은 모터(120)와 축나사(124)를 연결하며, 모터(1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축나사(12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120)는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케이싱 내주면(110b)과 모터(120)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터(120)에 연결되는 축나사(124)도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2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축나사(124)가 제자리 회전을 하면서, 상부클램프(130)와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부클램프(130)가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축나사(124)의 회전에 의해 상부클램프(13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모터(120)는 좌우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축나사 외주면(124a)과 상부클램프(130)의 내주면이 맞닿도록 결합된다. 즉, 축나사(124)의 제1 나사산(124a1)과 상부클램프(130)의 제1 나사홈(130a1)이 나사 체결된다.
좌우로 구동하는 모터(120)에 의해 축나사(124)가 회전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클램프(13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120)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시계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상부클램프(130)의 외경은 케이싱(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클램프(130)의 내경의 축나사(124)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클램프(140)는 고정지지부(141)와 접속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지지부(141)는 상부클램프(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고정지지부 내주면(141a)으로 상부클램프(130)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전속부의 상단에는 접속단자(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43)는 상부클램프(130)와 하부클램프(140)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10)을 관통하여 전선(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선(10)이 수용되는 전선 수용부(144)를 갖는다. 전선 수용부(144)에 전선(10)을 체결할 수 있는 접속단자(143)가 형성된다.
도 4는, 바이패스 클램프(100)의 전선수용공간(S1)에 전선(10)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선 장치(200)가 전선(10)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우선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전선(10)에 거치되어야 한다.
전선(10)이 케이싱(110)의 전선수용공간(S1)을 지나 하부클램프(140)에 형성된 전선 수용부(144)로 삽입될 필요가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10)이 전선 수용부(144)에 안착된 후, 구동하는 모터(120)에 의해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할 수 있다.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부클램프(130)는 하부클램프(140)와 함께 전선(10)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선(10)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가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우회하기 위해서는, 전선(10)의 피복(10a)에 벗겨진 상태로 전선 수용부(144)에 안착될 필요가 있다.
도 5는, 회전축(123)에 연결되는 축나사(124)를 구비하는 모터(120)와 축나사(124)에 결합되는 상부클램프(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축나사(124)를 구비하는 모터(120)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축나사(124)와 상부클램프(130)의 상호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축나사(124)의 외경은 상부클램프(1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축나사(124)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나사 외주면(124a)과 상부클램프(130)의 내주면이 밀착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나사 외주면(124a)에는 제1 나사산(124a1)이 형성되고, 상부클램프(13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홈(130a1)이 형성된다. 제1 나사산(124a1)과 제1 나사홈(130a1)에 의해 축나사(124)와 상부클램프(130)는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모터(120)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조작부(20)에 모터(120)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작부(20)에 설치된 버튼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부에서 전달받아 모터(120)를 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120)가 구동하게 되면, 회전축(123)에 연결된 축나사(124)는 모터(120)의 구동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하는 축나사(124)에 의해 상부클램프(130)는 아래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110)의 상부에 수용되는 축나사(124)는 모터(120)에 의해 제자리 회전을 한다. 축나사(124)가 제자리 회전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상부클램프(1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축나사(124)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부클램프(130)가 상승할 수 있고,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클램프(130)가 상승한다는 것은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에서 상방향을 의미하고, 하강한다는 것은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에서 아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나사산(124a1)과 제1 나사홈(130a1)에 형성된 구조에 따라 이동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조작부(20)의 신호에 따라 모터(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하는 축나사(124)에 의해 상부클램프(130)는 상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축나사(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부클램프(130)가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클램프(130)에 형성된 제1 나사홈(130a1)의 상단 부분이 축나사(124)에 형성된 제1 나사산(124a1)의 하단 부분과 맞닿게 될 때까지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할 수 있다. 즉, 상부클램프(130)에 형성된 제1 나사홈(130a1)의 구조가 상부클램프(130)의 하강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부클램프(130)의 측면에서 승하강 안내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은 상부클램프(130)가 축나사(1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축나사(124)에 의해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하게 되는 경우, 홀의 상부에 승하강 안내부가 닿게 됨으로써 상부클램프(130)의 하강을 막을 수 있다. 즉, 홀과 승하강 안내부는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하는 깊이를 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120)의 일 측에는 제어부(122)와 배터리(1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모터(120)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0)로부터 외부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120)에 구동을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터(12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는 모터(12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측면에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가 관통 형성된 상부클램프(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부클램프(130)의 측면에는 승하강 안내부(111a, 111b)가 삽입될 수 있는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는 상부클램프(130)의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는 상부클램프 외주면(130b)의 일 측에서 함몰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승하강 안내부(111a, 111b)의 일단이 상기 홈에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는 상부클램프 외주면(130b)에서 1개소 이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 안내부(111a, 111b)가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소 이상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고정지지부(141)와 접속부(142)로 이루어지는 하부클램프(140)에 바이패스 케이블(160)이 탈착될 수 있는 삽입홀(145)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클램프(140)는 고정지지부(141)와 접속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141)는 상부클램프(13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접속부(142)는 고정지지부(141)의 하부에서 원통형의 도체로 이루어진다.
접속부(142)의 상단에 접속단자(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따르면, 접속단자(143)의 상단은 고정지지부(141)의 내주면과 이어지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선(10)을 통해 이동하는 전류를 하부클램프(140)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유도하기 위해, 고정지지부(141)는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연체란, 전기 전도도가 떨어지는 물질을 말한다.
하부클램프(140)에는 전선(10)이 수용될 수 있는 전선 수용부(144)가 형성된다. 전선 수용부(144)는 고정지지부(141)와 접속부(142)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접속단자(143)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접속단자(143)는 하강하는 상부클램프(130)와 함께 전선(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접속단자(14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의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선(10)의 피복(10a)을 관통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하부클램프(140)는 기존의 바이패스 케이블(160)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부클램프(140)의 하부에는 바이패스 케이블(16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클램프(140)에 삽입홀(145)이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이용하던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끝을 가공하여, 바이패스 케이블(160)을 삽입홀(145)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본원발명에 따른 활선장치(200)를 생산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삽입홀(145)의 내경은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145)에 삽입되는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끝은 도선이 드러나 전류가 통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클램프(140)와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홀(145)의 내주면은 제2 나사홈(145a)이 형성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말단은 제2 나사산(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산(11a)이 형성되는 부분은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도선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145)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홈(145a)과 바이패스 케이블(160)의 말단에 형성된 제2 나사산(11a)에 의해 나사체결되는 경우, 양 부재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바이패스 클램프(100)의 케이싱(1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상부클램프(130)가 수용되며, 하부에는 하부클램프(140)가 수용된다.
케이싱(110)에는 전선(10)이 관통할 수 있는 전선수용공간(S1)이 형성된다. 전선수용공간(S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싱(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싱(110)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부클램프(140)에 형성되는 전선(10)수용부와 전선수용공간(S1)이 대응되도록, 하부클램프(140)가 케이싱(110)의 내측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상부클램프(130)가 수용된다. 따라서, 상부클램프(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케이싱(110)의 상부는 상부클램프(1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선수용공간(S1)은 전봇대(30) 등에 설치되는 전선(10)의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전선(10)에 용이하게 체결되기 위해 전선(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제어부(122)가 조작부(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으로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구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원격 조작에 의해 전선(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거리에서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조작하는 조작부(20)가 필요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봇대(30)에는 3개의 전선(10)이 연결된다. 전봇대(30)를 기준으로 양 측에 총 6개의 전선(10)이 연결된다.
조작부(20)에 도시된 A, B 및 C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전선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봇대의 수리를 위해 서로 다른 전선에 설치되는 활선장치
즉, 전봇대(30)에 연결되는 3개의 전선(10)에 구분되어 설치되는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하나의 조작부(20)로 조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봇대(3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총 3개의 전선(10)에 대한 활선작업이 필요하다. 3개의 활선장치(200)에 구비되는 6개의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전선(10)에 체결되면서 전봇대(30)로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우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활선장치(200)가 함께 사용되므로, 조작부(20)에 총 3개의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이 형성된다.
R 버튼를 누르게 되면, 도면을 바라본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하게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방향은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클램프(130)가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L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면을 바라본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방향은 시계반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모터(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클램프(130)가 케이싱(110)의 상부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10)의 상부 방향이란, 하부클램프(14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조작부(20)를 통해 3개의 활선장치(200)를 원격조작함으로써,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전선(10)에 체결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전선(10)에 거치한 후, 조작부(20)를 통해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전선(10)을 체결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원격제어를 통해 활선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승하강 안내부(111a, 111b)와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를 따라 상부클램프(130)가 승하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클램프(130)의 측면에서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가 형성된다.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에 삽입되되록 케이싱(11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승하강 안내부(111a, 111b)가 형성된다.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하는 경우,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가 승하강 안내부(111a, 111b)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홀의 형태로 형성된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승하강 안내부(111a, 111b)를 수용하되, 밀착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 안내부(111a, 111b)는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가 형성된 곳으로 삽입되어, 축나사(12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클램프(13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승하강 안내부(111a, 111b)와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가 형성됨에 따라, 상부클램프(130)가 안정적으로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부클램프(130)가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승하강 안내부(111a, 111b)가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의 내측 상단과 간섭되어 상부클램프(13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축나사(124)와 함께 회전하려는 상부클램프(1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1쌍 이상의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와 승하강 안내부(111a, 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120)의 회전력으로부터 상부클램프(1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승하강 안내부(111a, 111b)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2쌍 이상의 승하강 안내가이드(130c)와 승하강 안내부(111a, 111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전선(10)이 상부클램프(130)와 하부클램프(140)에 의해 체결 및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접속단자(143)가 상부클램프(130)에 의해 가압되어 전선(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고하여, 전선(10)이 바이패스 클램프(100)에 체결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선(10)이 클램프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전선(10)이 전선수용공간(S1)을 지나 전선 수용부(144)으로 수용된 후 상부클램프(130)가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하강되어야 한다.
상세히, 전선(10)이 바이패스 클램프(100)에 형성되는 전선 수용부(144)에 위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전봇대(30)에 연결되는 전선(10)에 위치시켜야 한다.
그 후,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조작부(20)를 통하여 바이패스 클램프(100)의 모터(120)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클램프(130)는 하부클램프(140)의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부클램프(130)는 상부클램프(130)와 하부클램프(140) 사이에 위치한 전선(10)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선(10)이 가압되는 방향은 접속단자(143)가 설치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부클램프(130)에 의해 서서히 가압되는 전선(10)의 피복(10a)을 접속단자(143)가 관통하게 된다. 전선(10)의 피복(10a)을 완전히 관통하게 되면 접속단자(143)와 전선(10)의 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 과정이 마쳐지면, 전선(10)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일 측의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우회한다. 바이패스 케이블(160)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타 측의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다시 전선(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설치된 전선(10)의 내측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즉, 감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부클램프(130)의 하단과 하부클램프(140)의 접속단자(143) 사이의 거리는 전선(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하부클램프(140)에 접속단자(1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체결되는 부분은 전선(10)의 피복(10a)을 벗긴 상태이어야 한다. 즉, 도선이 드러난 상태로 바이패스 클램프(100)에 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부클램프(130)와 전선 수용부(144) 사이에 도선이 체결될 수 있을만큼 상부클램프(130)가 하강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바이패스 클램프(100)는 하부 클램프에 접속단자(143)가 형성되어 별도로 전선(10)의 피복(10a)을 벗길 필요없다. 전선(10)의 피복(10a)을 벗기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이패스 클램프(100)가 전선(10)에 체결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4는, 전선(10)에 체결된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하부클램프(140)에는 접속단자(143)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43)는 전선(10)의 피복(10a)을 뚫고 전선(10)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143)는 끝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속단자(143)는 상부클램프(130)와 함께 전선 수용부(144)에 위치되는 전선(10)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 발생하던 바이패스 클램프(100) 탈락 및 추락사고가 감소될 수 있다.
접속단자(143)가 피복(10a)을 뚫고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접속단자(143)가 피복(10a)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도선에 닿을 수 있다. 하강하는 상부클램프(130)에 의해 전선(10)은 하부클램프(140)의 접속단자(143) 방향으로 가압 되고, 접속단자(143)는 피복(10a)을 뚫게 된다.
전선(10)은 상부클램프(130)에 의해 하강하므로, 상부클램프(130)는 도선과 접속단자(143)가 닿을 수 있을만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단자(143)는 전류가 통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체와 같은 부재로 이루어져야 도선에 맞닿아 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우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선(10)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접속단자(143)를 통해 접속부(142)로 전달된다. 접속단자(143)로부터 전달된 전류는 접속부(142)의 삽입홀(145)에 결합된 바이패스 케이블(160)로 이동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160)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반대편에 설치된 바이패스 클램프(100)를 통해 전선(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선로에 전기가 계속 흐르게 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기를 끊고 공사를 하게 되면 많은 피해가 발생하나,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장치(200)를 통해 효율적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원격조작용 바이패스 클램프(100)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200)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전선
10a: 피복
20: 조작부
30: 전봇대
100: 바이패스 클램프
100a: 제1 바이패스 클램프
100b: 제2 바이패스 클램프
110, 110': 케이싱
110a, 110a': 케이싱 외주면
110b, 110b': 케이싱 내주면
S1, S1': 전선수용공간
111a, 111b: 승하강 안내부
120, 120': 모터
121, 121': 배터리
122, 122': 제어부
123, 123': 회전축
124, 124': 축나사
124a, 124a': 축나사 외주면
124a1, 124a1': 제1 나사산
130, 130': 상부클램프
130a, 130a': 상부클램프 내주면
130a1, 130a1': 제1 나사홈
130b, 130b': 상부클램프 외주면
130c, 130c': 승하강 안내가이드
140, 140': 하부 클램프
141, 141': 고정지지부
141a, 141a': 고정지지부 내주면
141b, 141b': 고정지지부 외주면
142, 142': 접속부
143, 143': 접속단자
144, 144': 전선 수용부
145, 145': 삽입홀
145a, 145a': 제2 나사홈
150: 조작부
160: 바이패스 케이블
161: 제2 나사산
200: 활선장치

Claims (20)

  1.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이 개방되어 전선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클램프;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의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클램프에는, 상기 하부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상기 접속단자를 거쳐 상기 하부클램프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을 따라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클램프를 향해 돌출되는 승하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클램프의 측면에는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안내가이드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는, 상기 상부클램프의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클램프가 상기 하부클램프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의 내측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상부클램프의 하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램프는,
    상기 상부클램프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에서 원통형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선과의 통전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이 탈착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위치되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를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전선을 관통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기 축나사와 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외부 신호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클램프.
  11.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양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복수개의 개소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클램프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이 개방되어 전선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클램프;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클램프의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클램프에는, 상기 하부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전류는 상기 접속단자를 거쳐 상기 하부클램프에 연결된 바이패스 케이블을 따라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클램프를 향해 돌출되는 승하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클램프의 측면에는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안내가이드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는, 상기 상부클램프의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클램프가 상기 하부클램프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안내부가 상기 승하강 안내가이드의 내측 상단과 간섭되어 상기 상부클램프의 하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램프는,
    상기 상부클램프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에서 원통형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선과의 통전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이 탈착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위치되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를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과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전선을 관통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기 축나사와 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외부 신호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장치.
KR1020200069788A 2020-06-09 2020-06-09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KR102403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88A KR102403952B1 (ko) 2020-06-09 2020-06-09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88A KR102403952B1 (ko) 2020-06-09 2020-06-09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29A true KR20210152829A (ko) 2021-12-16
KR102403952B1 KR102403952B1 (ko) 2022-06-02

Family

ID=7903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788A KR102403952B1 (ko) 2020-06-09 2020-06-09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960A (ko)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바이패스케이블의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240U (ko) * 2011-02-28 2012-09-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CN102832569A (zh) * 2012-09-05 2012-12-19 国家电网公司 基于遥控控制的配网带电作业引流装置
KR20190034785A (ko) * 2017-09-25 2019-04-03 제룡산업 주식회사 바이패스 케이블
KR20200002212A (ko) 2018-06-29 2020-01-08 조덕승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240U (ko) * 2011-02-28 2012-09-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CN102832569A (zh) * 2012-09-05 2012-12-19 国家电网公司 基于遥控控制的配网带电作业引流装置
KR20190034785A (ko) * 2017-09-25 2019-04-03 제룡산업 주식회사 바이패스 케이블
KR20200002212A (ko) 2018-06-29 2020-01-08 조덕승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952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856B2 (en) System for servicing cable
KR102115777B1 (ko)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KR102403952B1 (ko)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CN112490928B (zh) 基于无人机技术的高空配电架空线路带电作业方法及平台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CN104767153A (zh) 一种绝缘导线智能穿刺接地夹具
KR102045932B1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
CN108899811A (zh) 一种全自动剥线器
CN213782731U (zh) 一种配网带电作业专用接引线工具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CN114243584A (zh) 一种电缆剥皮器
CN108599028A (zh) 一种架空绝缘线带电剥线机器人机构
KR102650799B1 (ko)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CN105006661A (zh) 一种接地装置
CN111740296B (zh) 一种电缆线接头连接辅助装置
CN210536180U (zh) 一种适用于室外带电作业机器人的电缆剥线器
CN214153766U (zh) 基于无人机技术的高空配电架空线路带电作业平台
CN113422220B (zh) 一种用于高压线接地的自动绝缘操作装置
CN112821276A (zh) 一种带电自动绑扎绝缘子机器人
CN110757729B (zh) 清理设备
CN208423591U (zh) 一种用于变电设备带电短接分流装置
CN207117076U (zh) 三芯交联电缆接头自动预处理设备用精密锯片切割机机构
CN106785942B (zh) 高压熔断器作业保护装置以及高压熔断器防触电作业方法
CN207542687U (zh) 三芯交联电缆接头自动预处理设备用旋转刀片机构
US1940162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handling strain insul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