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915A -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 Google Patents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915A
KR20210089915A KR1020200003073A KR20200003073A KR20210089915A KR 20210089915 A KR20210089915 A KR 20210089915A KR 1020200003073 A KR1020200003073 A KR 1020200003073A KR 20200003073 A KR20200003073 A KR 20200003073A KR 20210089915 A KR20210089915 A KR 20210089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d
unit
live wire
indirect liv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상현
Original Assignee
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현 filed Critical 지상현
Priority to KR102020000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915A/ko
Publication of KR2021008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전선의 좌측을 고정하는 제1 장선클램프; 상기 전선의 우측을 고정하는 제2 장선클램프; 상기 제1 장선클램프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 사이에 설치되고, 앞쪽에 형성되는 회전입력부,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1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1 회전봉; 상기 제2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2 회전봉; 상기 제1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1 회전봉을 결합시키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2 회전봉을 결합시키는 제2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봉 및 상기 제2 회전봉은 상기 장력조절부의 회전입력부로 입력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봉의 나사선 방향과 상기 제2 회전봉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봉 및 상기 제2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2 장선클램프가 상기 장력조절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INDIRECT LIVE WIRE WORK DEVICE}
본 발명은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힘으로도 전선의 인장 작업이 가능하게 해주고, 절단된 전선의 이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접활선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 작업은 배전선로에 송전을 계속하면서 실시하는 선로 작업을 말한다. 활선 작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송배전 설비와 같이 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수행되며, 활선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절연용 보호구나 방호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은 직접활선 작업과 간접활선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접활선 작업은 절연된 버켓 안에서 작업자가 절연 장갑을 착용한 후 활선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직접활선 작업은 간편하고 작업 시간이 절약되는 반면, 감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종종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간접활선 작업은 핫스틱 등의 절연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간접활선 작업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활선 작업으로는 지지 애자 등의 전선로 구성 부품을 점검, 수리, 교체, 청소하는 작업 등이 있으며, 작업의 종류에 따라 직접활선 작업 방식 또는 간접활선 작업 방식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최근, 배전선로의 신규 및 유지보수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기의 공급을 중단시키지 않는 활선 또는 무정전 공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고압의 전력선과 직접 접촉하는 직접활선 작업이 많았지만,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간접활선 작업으로 작업 방식이 전환되는 과정에 있다.
간접활선 작업 시 전주에 설치 또는 철거되는 활선 상태의 전선 또는 기자재를 파지하여 고정하거나 철거하고 자르고 벌리는 등 다양한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보조 작업자가 절연장비를 착용하고 직접 선로와 접촉하는 위험을 감수하고 전선 또는 기자재를 안정적으로 잡아 고정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핫스틱 등 인력에만 의존한 간접활선 기구는 파지력이 부족하고 다양한 고난도 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노동 강도가 커서 연속 작업 시 작업자의 실수 또는 체력의 한계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011호(2019.05.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힘으로도 전선의 인장 작업이 가능하게 해주고, 절단된 전선의 이격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접활선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전선의 좌측을 고정하는 제1 장선클램프; 상기 전선의 우측을 고정하는 제2 장선클램프; 상기 제1 장선클램프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 사이에 설치되고, 앞쪽에 형성되는 회전입력부,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1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1 회전봉; 상기 제2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2 회전봉; 상기 제1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1 회전봉을 결합시키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2 회전봉을 결합시키는 제2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봉 및 상기 제2 회전봉은 상기 장력조절부의 회전입력부로 입력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봉의 나사선 방향과 상기 제2 회전봉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봉 및 상기 제2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2 장선클램프가 상기 장력조절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상기 제1 장선클램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 및 상기 제1 회전봉을 연결하는 제1 보조연결부;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 및 상기 제2 회전봉을 연결하는 상기 제2 보조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상기 장력조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부의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어, 좌측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고, 우측에서는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감속구조를 활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전선의 인장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간접활선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감속구조의 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간접활선 작업 중간 원하는 시점에 전선의 인장을 중지한 상태로 고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이에 따라 간접활선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전선의 인장 및 절단 후, 절단된 전선의 자연스럽게 이격되도록하는 전선이격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접활선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의 실시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의 실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전선(W)의 좌측을 고정하는 제1 장선클램프(100); 전선(W)의 우측을 고정하는 제2 장선클램프(200); 제1 장선클램프(100) 및 제2 장선클램프(200) 사이에 설치되고, 앞쪽에 형성되는 회전입력부(330),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회전부(310) 및 제2 회전부(320)를 포함하는 장력조절부(300); 제1 회전부(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1 회전봉(400); 제2 회전부(3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2 회전봉(500); 제1 장선클램프(100)와 제1 회전봉(400)을 결합시키는 제1 연결부(600); 및 제2 장선클램프(200)와 제2 회전봉(500)을 결합시키는 제2 연결부(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제1 회전봉(400) 및 제2 회전봉(500)이 장력조절부(300)의 회전입력부(330)로 입력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며, 제1 회전봉(400)의 나사선 방향과 제2 회전봉(500)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제1 회전봉(400) 및 제2 회전봉(500)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장선클램프(100)와 제2 장선클램프(200)가 장력조절부(30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1 장선클램프(100)와 제2 장선클램프(200)가 장력조절부(300)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장선클램프(100)와 제2 장선클램프(200)가 각각 고정하고 있는 전선(W)의 좌측에서 중앙 방향, 우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선(W)의 인장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는 장력조절부(300)의 회전입력부(330)로 회전력이 입력되기 직전, 도 3에는 장력조절부(300)의 회전입력부(330)로 회전력이 입력된 후가 도시되어 있다.
장력조절부(300)는 회전입력부(330)와 제1 회전부(310)의 기어비, 회전입력부(330)와 제2 회전부(320)의 기어비에 따라 감속이 가능하고, 이에 상응하여 작은 회전력으로 더 큰 회전력을 제1 회전봉(400) 및 제2 회전봉(50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장치를 이용하면 작은 힘으로도 전선(W)의 인장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간접활선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장치의 동작을 조금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장력조절부(300)는 내부에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구조(감속기와 같은 감속구조)가 적용되어, 회전입력부(330)에서 입력되는 회전축의 직각 방향으로 제1 회전부(310) 및 제2 회전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310)에는 제1 회전봉(400)이 연결되며, 제2 회전부(320)에는 제2 회전봉(500)이 연결되어, 회전입력부(330)에서 입력되는 회전력에 따라 제1 회전봉(400) 및 제2 회전봉(50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회전봉(400)과 제2 회전봉(500)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는데, 제1 회전봉(400)과 결합되는 제1 연결부(600) 및 제2 회전봉(500)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700) 각각은 제1 회전봉(400) 및 제2 회전봉(50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600)는 제1 회전봉(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회전봉(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2 연결부(700)는 제2 회전봉(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회전봉(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제1 연결부(600)에 결합된 제1 장선클램프(100)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제2 연결부(700)에 결합된 제2 장선클램프(20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장선클램프(100)가 장력조절부(300) 쪽으로 이동하거나 장력조절부(300) 반대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제2 장선클램프(200)도 장력조절부(300) 쪽으로 이동하거나 장력조절부(300) 반대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회전봉(400)의 나사선 방향과 제2 회전봉(500)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장선클램프(100)와 제2 장선클램프(2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입력부(330)에서 입력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장선클램프(10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장선클램프(20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장선클램프(10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장선클램프(200)가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장선클램프(100) 및 제2 장선클램프(200)에 고정된 전선(W)의 인장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장력조절부(300)에 설치되며 장력조절부(3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어, 좌측에서는 제1 연결부(600)와 결합되고, 우측에서는 제2 연결부(700)와 결합되는 가이드봉(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봉(800)은 제1 연결부(600)와 결합되는 제1 회전봉(400), 제2 회전봉(500)과 결합되는 제2 연결부(7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제1 장선클램프(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선(W)과 제1 회전봉(400)을 연결하는 제1 보조연결부(910); 및 제2 장선클램프(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선(W)과 제2 회전봉(500)을 연결하는 제2 보조연결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연결부(910) 및 제2 보조연결부(920)는 제1 장선클램프(100) 일측 및 제2 장선클램프(200) 일측 각각 부위에서 제1 장선클램프(100)와 제2 장선클램프(200)를 보조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좌측에서 전선(W)과 제1 결합봉(400) 사이의 간격, 우측에서 전선(W)과 제2 결합봉(5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장력조절부(300)에 설치되어 제1 회전부(310) 및 제2 회전부(32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풀림방지부는 작업자가 동작시키기 편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는 장력조절부(300)와 풀림방지부를 동작시켜, 전선(W)을 가운데로 모으는(잡아 당기는) 작업, 전선(W)을 다시 양쪽으로 늘리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간접활선 작업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를 설치하고, 장력조절부(300)를 회전입력부(330)에 회전력을 입력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을 가운데로 모으는(잡아 당기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선(W)의 가운데 부분을 절단하는데, 이때 아래에서 설명되는 전선이격부에 의해 전선 각각의 끝단(좌측 전선의 끝단과 우측 전선의 끝단)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을 전선 각각의 끝단을 슬리브로 압착 연결하기 위해, 전선(W)에 가해진 장력을 조금 풀어줄 필요성이 있는데, 장력조절부(300)와 풀림방지부를 동작시켜 전선(W)을 다시 양쪽으로 늘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작업을 통해 간접활선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훨씬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풀림방지부는 제1 회전부(310) 및 제2 회전부(320) 각각에 래칫기어 구조가 적용되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때 제1 회전봉(400) 및 제2 회전봉(500)이 회전되도록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헛돌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회전부(310) 및 제2 회전부(320)가 의도치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는 상기 전선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이 절단된 이후, 상기 절단된 전선 각각의 끝단이 이격되도록 하는 전선이격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선이격부는 전선 각각의 끝단이 이격되도록함과 동시에 그 방향을 다르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전선의 끝단이 앞쪽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우측 전선의 끝단이 뒤쪽으로 움직이도록 전선이격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제1 장선클램프 200: 제2 장선클램프
300: 장력조절부 310: 제1 회전부
320: 제2 회전부 330: 회전입력부
400: 제1 회전봉 500: 제2 회전봉
600: 제1 연결부 700: 제2 연결봉
800: 가이드봉 910: 제1 보조연결부
920: 제2 보조연결부

Claims (5)

  1. 전선의 좌측을 고정하는 제1 장선클램프;
    상기 전선의 우측을 고정하는 제2 장선클램프;
    상기 제1 장선클램프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 사이에 설치되고, 앞쪽에 형성되는 회전입력부,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장력조절부;
    상기 제1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1 회전봉;
    상기 제2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2 회전봉;
    상기 제1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1 회전봉을 결합시키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2 회전봉을 결합시키는 제2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봉 및 상기 제2 회전봉은 상기 장력조절부의 회전입력부로 입력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봉의 나사선 방향과 상기 제2 회전봉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봉 및 상기 제2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장선클램프와 상기 제2 장선클램프가 상기 장력조절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이 절단된 이후, 상기 절단된 전선 각각의 끝단이 이격되도록 하는 전선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선클램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 및 상기 제1 회전봉을 연결하는 제1 보조연결부; 및
    상기 제1 장선클램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 및 상기 제2 회전봉을 연결하는 상기 제제2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부의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어, 좌측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고, 우측에서는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KR1020200003073A 2020-01-09 2020-01-09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KR20210089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073A KR20210089915A (ko) 2020-01-09 2020-01-09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073A KR20210089915A (ko) 2020-01-09 2020-01-09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915A true KR20210089915A (ko) 2021-07-19

Family

ID=7712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073A KR20210089915A (ko) 2020-01-09 2020-01-09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9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677B1 (ko) * 2024-01-25 2024-09-30 제룡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용 이탈방지 안전강화형 이도 조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1B1 (ko) 2019-02-27 2019-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1B1 (ko) 2019-02-27 2019-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677B1 (ko) * 2024-01-25 2024-09-30 제룡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용 이탈방지 안전강화형 이도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829B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CN104092034A (zh) 一种导线快速连接装置及带电导线连接结构
KR20210089915A (ko) 간접활선 작업용 장치
CN206490196U (zh) 一种开关柜内电缆头专用接地线
KR102352787B1 (ko)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CN205406775U (zh) 一种接地线装置
CN105703097A (zh) 一种接地线总成
CN105896123A (zh) 一种配网带电作业线夹与引线双功能传送杆
KR102403952B1 (ko)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CN103398221B (zh) 平行集束电缆归方器
DE102006036178A1 (de) Stromverbraucher oder zugehöriges Netzteil
CN213460866U (zh) 一种配电安装使用的绝缘操作装置
CN112242663B (zh) 一种用于架空输电线路修护管的封合装置
CN111799696B (zh) 一种超特高压输电线路线夹更换工具
KR102218112B1 (ko)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CN203932644U (zh) 一种钢芯铝绞线剥丝器
CN210380167U (zh) 一种用于母线槽插接箱的推拉机构
CN212085670U (zh) 一种建筑机电安装用的电缆架设机构
CN213870684U (zh) 一种防松铁丝的捆扎装置
CN204835377U (zh) 电缆敷设工具
CN205128797U (zh) 带电小母线切割器
CN107425469B (zh) 一种绝缘子装拆爪及其装拆装置
CN204927951U (zh) 一种二次回路硬质导线的专用线钳
CN220903012U (zh) 装表接电工艺钳
CN211028425U (zh) 一种新型螺杆套丝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