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12B1 -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112B1
KR102218112B1 KR1020190125817A KR20190125817A KR102218112B1 KR 102218112 B1 KR102218112 B1 KR 102218112B1 KR 1020190125817 A KR1020190125817 A KR 1020190125817A KR 20190125817 A KR20190125817 A KR 20190125817A KR 102218112 B1 KR102218112 B1 KR 102218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turnbuckle
body portion
separation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이지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는: 애자의 상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된 한 쌍의 고정몸체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몸체부를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애자에 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부; 턴버클부 내부에 장착되고, 턴버클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턴버클 분리방지부; 및 턴버클부에 형성되고, 턴버클 분리방지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APPARATUS FOR INCREASING AN INSULATOR OF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기존의 애자련에 추가로 애자를 증결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탑 또는 전신주에는 여러 개의 송전선이 애자를 매개로 설치된다. 애자는 절연재질로 송전선과 송전탑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송전선의 고압전류가 송전탑 또는 전신주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애자는 경질의 자기재질로 제작되어 온도와 태양광선에 강하나 취성이 강해서 강풍이나 번개 등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 지역에서는 애자의 교체작업이 빈번이 일어난다.
종래에는 애자련의 불량애자 교체시 철탑과 밸런스 요크간에 윈치로 장력을 가하여 애자련에 전선의 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한 후, 해당 불량애자가 포함된 내장애자련에서 이 불량애자를 교체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불량애자 교체시 애자련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기 위한 간선 철거 작업에는 장비와 인력이 많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상기 애자련에 전선의 장력을 제거하여도 이 긴 애자련의 자체 중량에 의한 처짐에 의해서 불량애자의 교체에 많은 작업 곤란성이 있었다.
종래기술에서 애자교체장치를 이용하여 불량애자를 교체할 때, 이 불량 애자 양단에 설치된 정상애자에 애자 교체기의 상하부 고정몸체를 설치한 다음, 턴버클 조여서 불량애자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한 후 늘어지게 하여 상기 불량애자를 교체한다.
그러나, 상기한 애자교체장치는 그 작동 가능한 길이가 594 mm에 불과하므로 애자를 겨우 3장만 취부 가능하고, 턴버클의 과도 작동시 턴버클이 분리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의 송전설비 환경에서는 애자의 증결이 크게 요구되는 실정이지만 기존의 애자교체장치로는 애자의 증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7868호(2004.05.08 공개, 발명의 명칭: 송전선로의 불량애자 교체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애자련에 추가로 애자를 증결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는: 애자의 상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된 한 쌍의 고정몸체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고정몸체부를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애자에 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부; 상기 턴버클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턴버클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턴버클 분리방지부; 및 상기 턴버클부에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 분리방지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턴버클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제1고정몸체부에 장착되는 제1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제2고정몸체부에 장착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단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단부에 각각 나사 체결되는 작동로드부; 및 상기 작동로드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로드부를 회전시키는 라쳇핸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로드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 각각 체결되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턴버클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측단 각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부; 및 상기 작동로드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부에 걸리면서 상기 작동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작동로드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부의 마모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에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에 의하면, 애자의 교체나 증결이 간단하게 수행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자 교체 또는 증결 작업시 턴버클부 분리 등으로 인한 애자 낙하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부에서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애자증결장치를 이용하여 애자를 증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부에서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애자증결장치를 이용하여 애자를 증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는 고정몸체부(100), 턴버클부(200), 턴버클 분리방지부(300), 확인부(400)를 포함한다.
고정몸체부(100)는 애자(10)의 상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몸체부(100)는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몸체부(110)는 애자(10)의 상측을 지지하는 것이고, 제2고정몸체부(120)는 애자(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는 각각 힌지부(130)에 의해 회전되고 개폐 가능하여 내부 공간에 애자(1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는 각각 체결부(140)가 장착되어, 체결부(140)에 의해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의 개방을 제한한다. 즉 체결부(140)의 해제시,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턴버클부(20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몸체부(100)의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를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애자에 장력을 제공한다.
턴버클부(200)는 제1몸체부(210), 제2몸체부(220), 작동로드부(230), 라쳇핸들부(240)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210)는 고정몸체부(100)의 제1고정몸체부(110)에 장착된다. 제1몸체부(210)는 제1고정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몸체부(220)는 고정몸체부(100)의 제2고정몸체부(120)에 장착된다. 제2몸체부(220)는 제2고정몸체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작동로드부(230)는 제1몸체부(210)의 단부(도 1 기준 하단부) 와 제2몸체부(220)의 단부(도 1 기준 상단부)에 각각 나사 체결된다. 제1몸체부(210)의 단부와 제2몸체부(220)의 단부는 각각 작동로드부(230)의 나사산에 치합 가능하게 나사산이 형성된다.
작동로드부(230)는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에 각각 체결되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즉 작동로드부(230)가 라쳇핸들부(24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 또는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라쳇핸들부(240)는 작동로드부(23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작동로드부(230)를 회전시킨다. 라쳇핸들부(240)는 작동로드부(230)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라쳇핸들부(2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턴버클 분리방지부(300)는 턴버클부(200)의 내부에 장착되고, 턴버클부(200)에서 작동로드부(230)가 제1몸체부(210) 및 제2몸체부(2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서 턴버클부(200)의 제1몸체부(210)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턴버클부(200)의 제2몸체부(220)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턴버클 분리방지부(300)는 이탈방지턱부(310)와 이탈방지돌기부(320)를 포함한다.
이탈방지턱부(310)는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의 내측단 각각에 형성된다. 이탈방지턱부(310)는 제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의 내측단 각각에 형성되되, 작동로드부(230)는 이동 가능하나, 이탈방지돌기부(3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탈방지돌기부(320)는 작동로드부(23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이탈방지턱부(310)에 걸리면서 작동로드부(230)가 제1몸체부(210) 또는 제2몸체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돌기부(320)는 작동로드부(230)의 외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돌기부(320)는 작동로드부(230)의 외측면에 확인부(400)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돌기부(320)가 이탈방지턱부(310)에 걸림으로써, 작동로드부(230)가 제1몸체부(210) 또는 제2몸체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인부(400)는 턴버클부(200)에 형성되고, 턴버클 분리방지부(300)의 상태를 확인한다. 확인부(400)는 작동로드부(23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부(320)의 마모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제1몸체부(210) 또는 제2몸체부(220)에 관통 형성된다.
확인부(400)는 턴버클부(200)의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이탈방지돌기부(320)에 대향되게 관통 형성된다. 작업자는 확인부(400)를 통해 이탈방지돌기부(320)의 마모 상태를 파악하고, 이탈방지돌기부(320)를 수리, 보수, 교체하거나, 턴버클부(200) 전체를 수리, 보수,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에서는 턴버클부(200)의 작동으로 인해 제1고정몸체부(110)와 제2고정몸체부(120) 사이에 애자(10)를 취부 가능한 공간은 550 내지 80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애자(10)를 새로운 애자(15)로 증설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라쳇핸들부(240)를 회전시킨다. 라쳇핸들부(240)의 회전에 따라 작동로드부(230)도 회전된다. 작동로드부(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 또는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새로운 애자(15)의 증설 또는 교체를 위해 작업자는 작동로드부(230)가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라쳇핸들부(240)를 회전시킨다.
이때 턴버클 분리방지부(300)에서 이탈방지돌기부(320)가 이탈방지턱부(310)에 걸려서, 작동로드부(230)가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에서 각각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중 확인부(400)를 통해 이탈방지돌기부(320)를 마모 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새로운 애자(15)의 증설 또는 교체가 완료된 후, 작업자는 작동로드부(230)가 제1몸체부(210)와 제2몸체부(220)는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라쳇핸들부(24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에 의하면, 애자의 교체나 증결이 간단하게 수행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자 교체 또는 증결 작업시 턴버클부 분리 등으로 인한 애자 낙하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15: 애자 100: 고정몸체부
110: 제1고정몸체부 120: 제2고정몸체부
130: 힌지부 140: 체결부
200: 턴버클부 210: 제1몸체부
220: 제2몸체부 230: 작동로드부
240: 라쳇핸들부 300: 턴버클 분리방지부
310: 이탈방지턱부 320: 이탈방지돌기부
400: 확인부

Claims (5)

  1. 애자의 상하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된 한 쌍의 고정몸체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고정몸체부를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애자에 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부;
    상기 턴버클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턴버클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턴버클 분리방지부; 및
    상기 턴버클부에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 분리방지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턴버클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제1고정몸체부에 장착되는 제1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제2고정몸체부에 장착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단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단부에 각각 나사 체결되는 작동로드부; 및
    상기 작동로드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로드부를 회전시키는 라쳇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턴버클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측단 각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부; 및
    상기 작동로드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부에 걸리면서 상기 작동로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턱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내측단 각각에서 상기 라쳇핸들부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 각각 체결되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작동로드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부의 마모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KR1020190125817A 2019-10-11 2019-10-11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KR10221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17A KR102218112B1 (ko) 2019-10-11 2019-10-11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17A KR102218112B1 (ko) 2019-10-11 2019-10-11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112B1 true KR102218112B1 (ko) 2021-02-23

Family

ID=7468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17A KR102218112B1 (ko) 2019-10-11 2019-10-11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91A (ko) * 2022-02-11 2023-08-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내장 애자 교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5642A (ja) * 1991-11-08 1993-06-01 Ngk Insulators Ltd 避雷碍子装置
KR20040037868A (ko) * 2002-10-30 2004-05-08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의 불량애자 교체기
KR100984845B1 (ko) * 2009-10-30 2010-10-04 (주)이시스이엔지 선로전환장치용 턴버클
JP2016001035A (ja) * 2014-06-12 2016-01-07 港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固縛用ターン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5642A (ja) * 1991-11-08 1993-06-01 Ngk Insulators Ltd 避雷碍子装置
KR20040037868A (ko) * 2002-10-30 2004-05-08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의 불량애자 교체기
KR100984845B1 (ko) * 2009-10-30 2010-10-04 (주)이시스이엔지 선로전환장치용 턴버클
JP2016001035A (ja) * 2014-06-12 2016-01-07 港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固縛用ターンバック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91A (ko) * 2022-02-11 2023-08-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내장 애자 교체기
KR102598235B1 (ko) 2022-02-11 2023-1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내장 애자 교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1903B2 (en) General closed type clamp means for replacing uhv insulators and use method thereof
KR102246338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CN108599003B (zh) 架空线验电接地环线夹护罩带电安装工具
KR102024874B1 (ko) 와이어 밴딩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밴딩 공법
KR101806529B1 (ko) 특고압 배전가공전선의 연결애자구조
KR102218112B1 (ko) 송전선로용 애자증결장치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CN103618249A (zh) ±500kV同塔双回直流输电线路带电检修工艺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US20240162695A1 (en) Trap-type live wire terminal insulation cap and indirect live wire insulation method for jumper wire using same
KR200472209Y1 (ko)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CN110648885B (zh) 35kV高空高压熔断器套管式保险管抓取装置
CN113972589B (zh) 一种架空裸露导线安全防护装置
CN202186862U (zh) 铁塔间隙撑开装置
WO2021056915A1 (zh) 35kV高空高压熔断器套管式保险管更换装置
JP6481438B2 (ja) 防護用部材支持装置および防護用部材の設置方法
CN210350617U (zh) 旁路绝缘引流线托架
CN102358593A (zh) 铁塔间隙撑开装置及制备方法
KR102315624B1 (ko) 컷아웃스위치용 결합장치
CN110492385B (zh) 一种带电更换10kV耐张绝缘子的组合工具及作业方法
KR20200071557A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CN113889918B (zh) 一种输电线路螺栓开口销带电补装系统
CN215009297U (zh) 一种应用于10kV架空配电线路的引下线带电剪除工具
KR200233711Y1 (ko) 다도체 송전선용 스페이서댐퍼의 잠금장치
CN209249923U (zh) 一种便于安装的低压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