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753B1 -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 Google Patents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753B1
KR100827753B1 KR1020070121335A KR20070121335A KR100827753B1 KR 100827753 B1 KR100827753 B1 KR 100827753B1 KR 1020070121335 A KR1020070121335 A KR 1020070121335A KR 20070121335 A KR20070121335 A KR 20070121335A KR 100827753 B1 KR100827753 B1 KR 10082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istribution line
coupled
fixing
suppor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자
Original Assignee
(주) 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2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 완철과 결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연결된 연결로드로 이루어져, 배전선이 연결된 애자를 연결로드의 선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연결로드가 결합되는 앞판과, 앞판의 상하단에서 완철의 상하면을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장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연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로드는 브라켓의 앞판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완철의 상하방향으로 관통결합되며 상하단이 브라켓의 장공에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관통구멍에 결합되며 지지축의 상하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상호 마주보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연장판과 지지축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져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브라켓이 완철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연결로드가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배전선이 요동칠 때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배전선이 요동칠 때 발생되는 충격에도 애자나 각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예상된다.

Description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Distribution Line Supporting Bar Structur of The Hume-Pipe }
본 발명은 배전선이 연결된 애자를 고정시켜 배전선을 지지하도록 하는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배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완철이 구비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완철구조는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10), 완철(10)과 결합되는 브라켓(20)과, 브라켓(20)에 연결된 연결로드(30)로 이루어져, 배전선(W)이 연결된 애자(I)를 연결로드(30)의 선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배전선(W)을 가설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철(10)은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주의 상부 전후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은 상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판(22)이 연장되어, 연장판(22)이 완철(10)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볼트(b)와 너트(n)로 결합되며, 브 라켓(20)의 전방에는 연결로드(30)가 끼워지는 관통공(2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30)는 기단에 걸림부(31)가 형성되어, 걸림부(31)가 브라켓(20)의 내측에 걸리도록 관통공(21a)에 끼워지는 것으로, 선단에는 애자(I)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30)는 기단의 걸림부(31)가 브라켓(20)의 내측면에 걸려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W)이 요동칠 때, 연결로드(30)와 애자(I)가 걸림부(31)를 중심으로 배전선(W)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완철구조는, 배전선(W)의 요동에 추종하여 연결로드(30)가 상하로 회동될 때, 배전선(W)에 의해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당기면서, 연결로드(30)의 걸림부(31)가 브라켓(20)에 반복적으로 충돌하므로, 연결로드(30)와 애자(I)에 충격이 가해져, 애자(I)와 각 연결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로드가 브라켓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애자나 각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 완철과 결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연결된 연결로드로 이루어져, 배전선이 연결된 애자를 연결로드의 선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연결로드가 결합되는 앞판과, 앞판의 상하단에서 완철의 상하면을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장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연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로드는 브라켓의 앞판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완철의 상하방향으로 관통결합되며 상하단이 브라켓의 장공에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관통구멍에 결합되며 지지축의 상하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상호 마주보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연장판과 지지축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져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브라켓이 완철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연결로드가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배전선이 요동칠 때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배전선이 요동칠 때 발생되는 충격에도 애자나 각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완철구조는,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10), 완철(10)과 결합되는 브라켓(20)과, 브라켓(20)에 연결된 연결로드(30)로 이루어져, 배전선(W)이 연결된 애자(I)를 연결로드(30)의 선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완철(10)은 사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전주의 상부 전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은 연결로드(30)가 결합되는 앞판(21)과, 앞판(21)의 상하단에서 완철(10)의 상하면을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판(22)과, 앞판(21)의 측면에 구비되어 연결로드(30)가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23)으로 구성되어, 전체 형상이 대략 디귿자 형을 이룬다. 이때, 상기 앞판(21)에는 연결로 드(30)가 끼워지는 관통공(21a)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로드(30)가 관통공(21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판(22)의 중간부에는 장공(22a)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로드(30)는 기단에 구비된 힌지핀(p)이 브라켓(20)의 측판(23)에 수평방향을 결합되며, 브라켓(20)의 관통공(21a)을 통해 브라켓(2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힌지핀(p)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완철구조는, 완철(10) 및 브라켓(20)에 결합되는 지지축(40)과; 상기 지지축(4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와; 상기 연장판(22)과 지지축(40)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40)은 길이방향의 관통구멍(41)이 형성된 원형의 파이프로서, 완철(10)의 상하부로 노출되는 양단이 브라켓(20)의 장공(22a)에 끼워져 브라켓(2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40)은 완철(10)에 고정되어, 브라켓(20)이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때, 브라켓(20)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브라켓(20)을 지지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하단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의 걸림턱(51)이 형성되어, 지지축(40)의 관통구멍(41)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재(50)는 볼트(b)과 너트(n)로 구성되어, 볼트(b)의 헤드와 너트(n)가 걸림턱(51)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60)는 연장판(22)과 지지축(40)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져 브라켓(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40)의 전후면과, 이 에 마주보는 장공(22a)의 내측면에는 각각 돌기(r)가 구비되어, 탄성부재(60)의 양단을 각각의 돌기(r)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바람 등에 의해 배전선(W)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요동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선(W)의 요동에 추종되어 연결로드(30)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도 4), 브라켓(20)이 지지축(40)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된다(도 5).
그리고, 상기 배전선(W)에 의해 연결로드(30)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힘이 발생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0)이 탄성부재(60)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후진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브라켓(20)이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가 비틀리면서, 브라켓(2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는, 상기 연결로드(30)가 브라켓(20)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브라켓(30)은 지지축(40)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탄성부재(60)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0)에 연결로드(30)가 끼움결합되어, 연결로드(30)의 전후진시 브라켓(20)에 부딪히는 종래의 완철구조와 달리, 연결로드(30)가 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충격이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연결로드(30)의 전후진운동을 브라켓(20) 및 브라켓(2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60)가 흡수하여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 배전선(W)이 요동치더라도 애자(I)나 각 연결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부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다른 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를 도시한 다른 정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완철, 20:브라켓,
21:앞판, 21a:관통공,
22:연장판, 22a:장공,
30:연장로드, 31:걸림부,
40:지지축, 41:관통구멍,
50:고정부재, 51:걸림턱,
60:탄성부재, b:볼트,
n:너트, p:힌지핀,
r:돌기, W:배전선,
I:애자.

Claims (1)

  1.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10), 완철(10)과 결합되는 브라켓(20)과, 브라켓(20)에 연결된 연결로드(30)로 이루어져, 배전선(W)이 연결된 애자(I)를 연결로드(30)의 선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연결로드(30)가 결합되는 앞판(21)과, 앞판(21)의 상하단에서 완철(10)의 상하면을 덮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장공(22a)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연장판(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로드(30)는 브라켓(20)의 앞판(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의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완철(1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결합되며 상하단이 브라켓(20)의 장공(22a)에 결합되는 지지축(40)과;
    상기 지지축(40)의 관통구멍(41)에 결합되며 지지축(40)의 상하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상호 마주보는 걸림턱(51)이 형성된 고정부재(50)와;
    상기 연장판(22)과 지지축(40)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져 브라켓(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20070121335A 2007-11-27 2007-11-27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82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335A KR100827753B1 (ko) 2007-11-27 2007-11-27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335A KR100827753B1 (ko) 2007-11-27 2007-11-27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753B1 true KR100827753B1 (ko) 2008-05-07

Family

ID=3964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335A KR100827753B1 (ko) 2007-11-27 2007-11-27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7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12-18 (주)협동전기감리단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175314B1 (ko) 2012-05-25 2012-08-20 배규보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CN110544915A (zh) * 2018-05-29 2019-12-06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华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自调式直通型耐张金具
KR102449656B1 (ko) * 2021-12-24 2022-09-30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변압기가 설치된 특고압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02B1 (ko) 2007-06-01 2007-09-28 (주)청암엔지니어링 전선을 고정하는 전신주의 완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02B1 (ko) 2007-06-01 2007-09-28 (주)청암엔지니어링 전선을 고정하는 전신주의 완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12-18 (주)협동전기감리단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175314B1 (ko) 2012-05-25 2012-08-20 배규보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CN110544915A (zh) * 2018-05-29 2019-12-06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华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自调式直通型耐张金具
KR102449656B1 (ko) * 2021-12-24 2022-09-30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변압기가 설치된 특고압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282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0827753B1 (ko)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827754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완철 연결구조
KR100840351B1 (ko)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KR100841466B1 (ko) 특고압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0830711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안정화 고정기구
KR100720037B1 (ko) 송배전용 전신주의 전선지지구조
CN210380182U (zh) 一种具有自动减振机构的电力铁附件
KR101175314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858114B1 (ko) 가공배전선의 애자 고정형 완철
CN111224289A (zh) 一种电力设备用金具
KR100840348B1 (ko) 인입주의 배전선 지지용 완금구조물
KR100890660B1 (ko) 지상변압기 엘보 접속보강 클램프
CN209246360U (zh) 一种用于暖通空调固定装置
KR100892155B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CN109537783A (zh) 一种安全可靠的用于建筑幕墙的支撑结构
CN215378314U (zh) 一种间距可调节多电缆抱箍
JP5205813B2 (ja) 耐張がいし装置
KR100869365B1 (ko) 특고압 송전용 철탑의 완금구조
KR100858117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CN219203877U (zh) 一种壁挂式减震支架及壁挂式电气柜
CN201601421U (zh) 一种电缆防护装置
CN211417392U (zh) 一种独立转向拉杆总成
KR102598021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CN219980060U (zh) 防小动物绝缘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