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021B1 -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021B1
KR102598021B1 KR1020220008768A KR20220008768A KR102598021B1 KR 102598021 B1 KR102598021 B1 KR 102598021B1 KR 1020220008768 A KR1020220008768 A KR 1020220008768A KR 20220008768 A KR20220008768 A KR 20220008768A KR 102598021 B1 KR102598021 B1 KR 10259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stribution line
support
main block
coupl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2474A (ko
Inventor
김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22000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0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상부에 하나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면 중앙부에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애자가 하나 이상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설치를 이루는 지지대; 후면에 배전선이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랜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애자의 전단부가 체결되는 연결을 이루며, 중앙부에 배전선이 삽입 관통되어 상기 결합플랜지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는 관통홀을 형성한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의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축볼트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중앙부에 연결홀을 형성한 보조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 지지봉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블록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메인블록과 연결을 이루며, 상기 결합플랜지에 결합된 상기 배전선이 통과하는 지지홀을 중앙부에 형성한 지지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Removal device for pet hair}
본 발명은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람에 의한 배전선의 요동에 어느 정도 대응하면서도 그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전주를 따라 포설되는데, 배전선의 방향을 전환시켜 포설할 부분에는 전주를 설치하고, 배전선을 분할하여 전주에 설치한 후, 점프선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거나, 전주를 중심으로 배전선을 절곡시켜 방향을 전환한 후 포설한다.
이와 같이, 전주를 중심으로 배전선을 절곡시켜 설치할 경우에는 배전선이 바람에 의해 요동되면서 절곡된 부분에 피로가 쌓여 배전선이 쉽게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완충을 수행할 수 없어, 이 또한 배전선이 쉽게 단선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138호(2018.01.2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에 의한 배전선의 요동에 어느 정도 대응하면서도 그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는, 전주의 상부에 하나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면 중앙부에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애자가 하나 이상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설치를 이루는 지지대; 후면에 배전선이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랜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애자의 전단부가 체결되는 연결을 이루며, 중앙부에 배전선이 삽입 관통되어 상기 결합플랜지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는 관통홀을 형성한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의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축볼트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중앙부에 연결홀을 형성한 보조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 지지봉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블록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메인블록과 연결을 이루며, 상기 결합플랜지에 결합된 상기 배전선이 통과하는 지지홀을 중앙부에 형성한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블록과 보조블록은 상기 축볼트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토션스프링을 통한 연결을 이루고, 상기 축볼트는 상기 보조블록의 측면 길이방향 중앙부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 단부에 체결되어 편심된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상기 배전선의 요동에 따라 상기 배전선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블록이 함께 요동하면 상기 지지블록의 수평방향 양측에 연결된 상기 지지봉이 요동하여 상기 지지봉에 연결된 상기 보조블록이 상기 축볼트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블록이 상기 메인블록에 상기 토션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배전선의 요동을 잡아줄 수 있다.
삭제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메인블록과 보조블록의 연결 관계에 따라 바람에 의한 배전선의 요동에 어느 정도 대응하면서도 그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의 메인블록과 보조블록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바람에 의한 배전선의 요동에 어느 정도 대응하면서도 그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 메인블록(20), 보조블록(30) 및 지지블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대(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주(1)의 상부에 하나 이상(예를 들어, 전주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면 중앙부에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애자(2)가 하나 이상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설치를 이룰 수 있다.
지지대(10)는 통상의 금속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애자(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애자(2)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하는 체결고리(22) 또는 통상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지지대(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블록(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전주(1)를 향하는 후면에 배전선(3)이 결합되는 결합플랜지(21)를 구비하고, 결합플랜지(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고리(22)를 구비하여 애자(2)의 전단부가 체결되는 연결을 이루며, 중앙부에 배전선(3)이 삽입 관통되어 결합플랜지(21)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는 관통홀(23)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고리(22)는 상호 대응(애자측의 체결고리와 결합플랜지측의 체결고리)하는 체결고리(22)에 체결홀을 형성하여 동시에 체결볼트 또는 체결핀을 체결하여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블록(30)은, 메인블록(20)의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축볼트(31)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중앙부에 연결홀(32)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홀(32)에는 후술할 지지블록(40)의 지지봉(41) 후단부가 삽입되는 연결을 이루고, 이에 의해 배전선(3)을 지지하는 지지블록(40)과 메인블록(20)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메인블록(20)에 결합되면서 후술하는 지지봉(41)이 연결된 보조블록(30) 또한 지지블록(40)과 함께 배전선(3)을 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때 보조블록(30)의 회동은 바람에 의한 배전선(3)의 요동에 어느 정도 대응하면서도 그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더욱이, 보조블록(30)은 후술할 지지봉(41)이 삽입 결합되는 연결홀(32)을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하고, 메인블록(20)과의 체결수단인 축볼트(31)가 보조블록(30)의 측면 길이방향 중앙부가 아닌 중앙부의 상측 또는 하측을 관통하여 메인블록(20)의 양측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편심된 형태의 결합을 이루게 되어 바람의 의한 배전선(3)의 요동에 대응하기 위한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과도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블록(20)과 보조블록(30)의 연결관계에 있어 축볼트(31)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토션스프링(S)을 통한 연결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배전선(3)의 요동에는 보조블록(30)의 회동을 통해 어느 정도는 대응하면서도, 또한 편심되도록 메인블록(20)과 체결을 이룬 보조블록(30)과 토션스프링(S)에 의해 보조블록(3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함에 따른 배전선(3)의 움직임도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블록(4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메인블록(20)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 지지봉(41)의 후단부가 연결홀(32)에 삽입되어 보조블록(3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메인블록(20)과 연결을 이루며, 결합플랜지(21)에 결합된 배전선(3)이 통과하는 지지홀(42)을 중앙부에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봉(41)은 지지블록(40)의 후면으로부터 그 후단부가 연결홀(32)에 삽입되어 연결홀(32)의 후방으로 돌출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는, 배전선(3)의 요동에 따라 배전선(3)을 지지하는 지지블록(40)이 함께 요동하면 지지블록(40)에 연결된 지지봉(41)이 요동하여 지지봉(41)에 연결된 보조블록(30)이 축볼트(31)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때 보조블록(30)이 메인블록(20)에 토션스프링(S)으로 연결되어 토션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배전선(3)의 요동을 잡아주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전주 2 : 애자
3 : 배전선 10 : 지지대
20 : 메인블록 21 : 결합플랜지
22 : 체결고리 23 : 관통홀
30 : 보조블록 31 : 축볼트
32 : 연결홀 40 : 지지블록
41 : 지지봉 42 : 지지홀
S : 토션스프링

Claims (3)

  1. 전주의 상부에 하나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면 중앙부에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애자가 하나 이상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설치를 이루는 지지대;
    후면에 배전선이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랜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애자의 전단부가 체결되는 연결을 이루며, 중앙부에 배전선이 삽입 관통되어 상기 결합플랜지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는 관통홀을 형성한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의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축볼트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중앙부에 연결홀을 형성한 보조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수평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 지지봉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블록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메인블록과 연결을 이루며, 상기 결합플랜지에 결합된 상기 배전선이 통과하는 지지홀을 중앙부에 형성한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블록과 보조블록은 상기 축볼트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토션스프링을 통한 연결을 이루고, 상기 축볼트는 상기 보조블록의 측면 길이방향 중앙부의 상측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 단부에 체결되어 편심된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상기 배전선의 요동에 따라 상기 배전선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블록이 함께 요동하면 상기 지지블록의 수평방향 양측에 연결된 상기 지지봉이 요동하여 상기 지지봉에 연결된 상기 보조블록이 상기 축볼트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블록이 상기 메인블록에 상기 토션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배전선의 요동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08768A 2022-01-20 2022-01-20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259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68A KR102598021B1 (ko) 2022-01-20 2022-01-20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68A KR102598021B1 (ko) 2022-01-20 2022-01-20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74A KR20230112474A (ko) 2023-07-27
KR102598021B1 true KR102598021B1 (ko) 2023-11-03

Family

ID=8743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68A KR102598021B1 (ko) 2022-01-20 2022-01-20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14B1 (ko) * 2012-05-25 2012-08-20 배규보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1394076B1 (ko) * 2014-02-21 2014-05-13 (주)이림엔지니어링 송배전 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1851704B1 (ko) * 2017-03-29 2018-04-24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 배전철탑의 댐퍼 장치 구조
KR102265394B1 (ko) * 2020-11-02 2021-06-15 (주)토우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138B1 (ko) 2017-06-30 2018-01-29 (주)오성이엠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14B1 (ko) * 2012-05-25 2012-08-20 배규보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1394076B1 (ko) * 2014-02-21 2014-05-13 (주)이림엔지니어링 송배전 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1851704B1 (ko) * 2017-03-29 2018-04-24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 배전철탑의 댐퍼 장치 구조
KR102265394B1 (ko) * 2020-11-02 2021-06-15 (주)토우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74A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351B1 (ko)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KR102598021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0827754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완철 연결구조
KR100503025B1 (ko)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US7290748B2 (en) Breakaway support for overhead lines
KR102199147B1 (ko) 도시 배전선로의 조류 퇴치시스템
KR100830711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안정화 고정기구
KR102343722B1 (ko) 철탑 금구
JP5252903B2 (ja) 懸垂碍子装置
CN201877760U (zh) 单柱组合换位耐张塔软跳线系统
KR100827753B1 (ko)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841466B1 (ko) 특고압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200336925Y1 (ko) 회전제어용 스토퍼를 갖는 현수애자용 쇄클
JP2007305307A (ja) 電気柵用電線碍子
KR20120066694A (ko) 송배전선용 가공지지대 연결부 완충장치
JP4314485B2 (ja) 電線張替装置
KR102585361B1 (ko) 간접활선용 전주의 쇄클 연결장치
JP6483055B2 (ja) 架線装柱金具
US3218009A (en) Mounting for conductor clamps
JPH0767236A (ja) ジャンパー線の横振れ防止装置
JP2580026Y2 (ja) ジャンパ補強装置
CN214303134U (zh) 一种高桩拉线装置
JP4201387B2 (ja) 懸垂状耐張装置
JP5341018B2 (ja) 鉄塔におけるアース棒取付け金具
KR200336931Y1 (ko) 송전선로용 v련애자장치의 6도체 지지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4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629

Effective date: 2023092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