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757A -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 Google Patents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757A
KR20170025757A KR1020150122684A KR20150122684A KR20170025757A KR 20170025757 A KR20170025757 A KR 20170025757A KR 1020150122684 A KR1020150122684 A KR 1020150122684A KR 20150122684 A KR20150122684 A KR 20150122684A KR 20170025757 A KR20170025757 A KR 2017002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ic wire
wire
insulato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휘
심준수
이성현
성낙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넥스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넥스챌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2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757A/ko
Publication of KR2017002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6Joining insulating bodies together, e.g. by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에 관한 것으로, 완철(3)에 고정되는 애자(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선(L)이 통과하는 관통부(21)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21)를 통과하는 전선(L)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클램프(20)와, 상기 전원생성클램프(20)가 생성한 전원을 인출하여 상기 전주(1)에 설치하는 기기(K)에 조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주에 설치되는 IOT 기기 등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전류 측정 센서를 애자와 결합하여 전선을 흐르는 상시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ENERGY HARVESTING LINE POST INSULATOR}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완철에 고정되어 특고압 전선의 전류를 이용하여 IOT 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에 관한 것이다.
전주에 다양한 인프라 설비들을 원격 관리하기 위해 IOT(사물인터넷) 기기가 설치되고 있다.
전주에 설치되는 IOT 기기는 전력설비 진단감시 기능을 도입해 배전선로 고장시 전력기기 스스로 상태를 확인하고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람이 가기 곤란한 산간 오지 등에 인간에게 유용한 정보(예: 산불감시, 산사태, 기상예측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전주에 설치되는 IOT 기기는 축전지 공급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있어 일정기간 후 축전지 교체 및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IOT 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539204호(2015.07.17 등록)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는 부하관리, 고장전류 탐지 등 선로의 관리를 위해 전류측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는 배전선로의 자동화개폐기 설치장소에만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 고장시 정전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장구간에 가까운 자동화개폐기들을 개방시켜 인력순시를 통한 고장점을 찾고 있다. 이는 분리구간내 고장복구를 지연되게 하며 국민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완철에 고정되어 특고압 전선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주에 설치하는 IOT 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고압 전선의 전류를 상시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시팅 라인포스트 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완철에 고정되는 애자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는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클램프와 상기 전원생성클램프가 생성한 전원을 인출하여 상기 전주에 설치하는 기기에 조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생성클램프는 상기 전선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전선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가 결합하여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전선과 접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자심재료가 포함된 외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전선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전선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부는 상기 전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속이 형성되는 1차 코일과상기 1차 코일을 감아 유기기전력을 발생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에서 발생된 유기기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전선을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도록 일측은 힌지부로 연결되고 타측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턱과 체결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생성클램프에 상기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완철에 고정되는 애자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는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클램프와, 상기 전원생성클램프가 생성한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자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주에 구비된 데이터 집중장치 또는 전력관리국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자에 자심재료를 포함하는 전원생성클램프를 구비하여 특고압 전선을 고정함으로써, 전선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주에 설치하는 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전선을 흐르는 전류의 자계를 활용하여 유기기전력을 발생시켜 전원을 생성하므로 전력손실 없이 전류가 흐르는 어떤 선로에 적용하여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생성클램프에 전류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전선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가 적용된 전주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에서 전원생성클램프 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전원생성클램프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L)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주(1)에 설치하는 기기(K)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이며, 애자(10), 전원생성클램프(20), 전원공급수단(40)을 포함한다.
애자(10)는 완철(3) 상에 세워져 전선(L)을 완철(3)로부터 절연시키고 전선(L)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애자(10)는 절연재질의 에폭시, 자기재 등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주름을 다수 개 형성하여 표면누설거리를 길게 한다. 전선(L)은 22.9kv의 특고압 전선일 수 있다.
애자(10)는 완철(3) 상에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완철(3)은 특고압 전선(L)을 지지할 때 사용하며,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생성클램프(20)는 완철(3)에 고정되는 애자(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전원생성클램프(20)는 전선(L)을 지지하는 역할과 전선(L)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전원생성클램프(20)는 애자(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생성클램프(20)를 애자(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면 애자(10) 설치시 함께 설치되고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원생성클램프(20)는 전선(L)이 통과하는 관통부(21)가 구비되며, 관통부(21)를 통과하는 전선(L)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한다.
전원생성클램프(20)는 전선(L)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자심재료가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심재료는 1차 코일(31), 2차 코일(33), 정류회로(35)를 포함한다.
1차 코일(31)은 철심 형상으로 전선을 흐르는 전류의 자속에 의해 자속이 형성된다. 2차 코일(33)은 1차 코일(31)을 감아 유기기전력을 발생한다. 정류회로(35)는 2차 코일(33)에서 발생된 유기기전력을 직류로 변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심재료는 레귤레이터와 제어회로를 더 포함한다. 레귤레이터는 직류로 변환된 전원의 전압을 조정하고, 제어회로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수단(40)에 공급한다.
자심재료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고압 전선(L)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사각 형상의 1차 코일(31)에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에 의해 자속이 형성되며, 자속은 2차 코일(33)과 쇄교하여 2차 코일(33)에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유기기전력을 발생한다. 유기기전력은 정류회로(35)와 레귤레이터를 거쳐 전원(AC,DC)으로 생성된 후 제어회로(미도시)에 공급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생성클램프(20)는 전선(L)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23)와, 전선(L)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25)가 결합하여 전선(L)이 통과하는 관통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몸체(23)와 제2 몸체(25)는 전선(L)을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도록 일측은 힌지부(27)로 연결되고, 타측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턱(28)과 체결후크(29)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몸체(23)와 제2 몸체(25)의 결합구조는 전선(L)에 결합 및 분리의 용이성과 전선(L)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체결턱(28)과 체결후크(29)는 상호 체결되어 제1 몸체(23)와 제2 몸체(25)가 결합한 상태를 고정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몸체(23)와 제2 몸체(25)는 전선(L)과 접하는 절연부(23a,25a)와, 절연부(23a,25a)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심재료가 포함되는 외함부(25a,25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23)가 전선(L)과 접하는 절연부(23a) 및 절연부(23a) 외측의 자심재료가 포함되는 외함부(23b)로 구성되고, 제2 몸체(25)도 전선(L)과 접하는 절연부(25a) 및 절연부(25a) 외측의 자심재료가 포함되는 외함부(25b)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부(23a,25a)는 특고압 전선(L)과 자심재료의 절연을 위한 것이다.
절연부(23a,25a)는 전선(L)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전선고정돌기(26)가 형성된다. 전선고정돌기(26)는 내경을 따라 형성된 요철형상 또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전선고정돌기(26)는 전선의 외경에 밀착되어 전선(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외함부(23b,25b)가 실질적으로 제1 몸체(23)와 제2 몸체(25)의 외형을 형성한다. 자심재료는 외함부(23b,25b)의 성형시 내측에 매립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외함부(23b,25b)도 자심재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절연재질로 제작된다.
상술한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10)는 특고압 전선의 전압 및 전류를 취득하고 전선(L)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형성되는 자계를 활용하여 유기기전력을 발생시키므로 전력손실이 없이 전주(1)에 설치되는 기기(K)에 전원을 공급할수 있다.
전원공급수단(40)은 전원생성클램프(20)가 생성한 전원을 인출하여 전주(1)에 설치하는 기기(K)에 조작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주(1)에 설치하는 기기(K)는 IOT(사물인터넷) 기기일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40)은 전원생성클램프(20)의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애자(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전주에 설치된 기기(K)와 전선(L)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전원생성클램프(20)에 특고압 전선(L)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50)가 구비된다.
센서(50)는 전선(L)을 흐르는 전류로 인해 발생한 자기장을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는 홀(Hall) 센서 또는 원형으로 감긴 코일 속으로 전선(L)을 통과시켜 교류 전기의 변압기 작동원리를 활용한 CT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센서(50)는 제1 몸체(23) 또는 제2 몸체(25) 중 어느 하나의 외함부(23b,25b)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50)는 측정한 전류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관리국 등에 송신할 수 있다.
센서(50)는 특고압 전선(L)을 흐르는 상시 전류를 측정할 수 있어 배전선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는 전원생성클램프(20)와 센서(50)가 포함되고, 전원공급수단(40)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전원생성클램프(20)는 전선(L)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속이 형성되는 1차 코일(31)과, 1차 코일(31)을 감아 유기기전력을 발생하는 2차 코일(33)과, 2차 코일(33)에서 발생된 유기기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35)를 포함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50)는 전원생성클램프(20)가 생성한 전원을 제공받아 전선(L)에서 흐르는 전류 및 전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50)가 측정한 전류 및 전압 정보는 모뎀을 통해 전주(1)에 구비된 데이터 집중장치(data concentration unit) 또는 전력관리국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은 애자(10)에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전원생성클램프(20)가 생성한 자체 전원을 이용하여 전선(L)을 흐르는 전류 및 전압 정보 측정하고, 측정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주(1)에 구비된 데이터 집중장치 또는 전력관리국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40)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ℓ)의 절연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성이 간단해 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생성클램프(20)가 생성한 자체 전원을 이용하여 전선(L)을 흐르는 전류 및 전압 정보를 커넥터 등의 접촉단자 없이도 무선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를 전주의 완철 상에 설치하고 애자 상부의 전원생성클램프에 전선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완철(3) 상에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세워진 상태로 애자(10)의 하부를 고정한다. 애자(10)는 완철 상에 3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애자(10)의 상부에 구비된 전원생성클램프(20)에 전선(L)을 고정한다.
그 방법은 제1 몸체(23)의 체결후크(29)가 제2 몸체(25)의 체결턱(28)에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고, 제2 몸체(25)의 내경 절연부(23a,25a) 부분에 전선(L)을 위치시킨 후, 제1 몸체(23)를 힌지부(27)를 중심으로 제2 몸체(25)의 체결턱(28) 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체결후크(29)를 체결턱(28)에 다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애자(10) 상부의 전원생성클램프(20)들에도 전선(L)을 고정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 후, 애자(10) 하부의 전원공급수단(40)과 전주(1)에 설치된 IOT 기기(K)를 전선(ℓ)으로 연결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특고압 전선(L)에 전류가 흐르면 전원생성클램프(20)에 포함된 자심재료가 패러데이 전자유도 법칙에 의해 유기기전력을 발생하고, 발생한 유기기전력은 AC 또는 DC 등으로 변화된 후 애자(10) 하부에 구비된 전원공급수단(40)을 통해 전주(1)에 설치된 IOT 기기(K)의 조작 전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IOT 기기(K)에 공급되는 조작 전원은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형성되는 자계를 활용하므로 전원 공급이 안정적이고 기존의 축전지 교체 및 지속적인 관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전원생성클램프(20)에 구비한 센서(50)를 이용하여 선로를 흐르는 상시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로의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센서(50)가 측정한 정보는 모뎀 등을 통해 무선으로 전주(1)에 구비된 데이터 집중장치(data concentration unit) 또는 전력관리국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전원생성클램프(20)가 생성한 자체 전원을 이용하여 전선(L)을 흐르는 전류, 전압 등의 정보만 전주(1)에 구비된 데이터 집중장치(data concentration unit) 또는 전력관리국 등에 전송할 경우 전원공급수단(40)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자체 전원을 생성하여 전선을 흐르는 전류 및 전압 등의 정보만 주변 기기에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도 배전선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파급 효과가 크다.
상술한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는 전력 손실이 없어 전류가 흐르는 어떤 선로에 적용하여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전주 3: 완철
L,ℓ: 전선 10: 애자
20: 전원생성클램프 21: 관통부
23: 제1 몸체 23a,25a: 절연부
23b,25b: 외함부 25: 제2 몸체
26: 전선고정돌기 27: 힌지부
28: 체결턱 29: 체결후크
31: 1차 코일 33: 2차 코일
35: 정류회로 40: 전원공급수단
50: 센서 K: (IOT) 기기

Claims (10)

  1. 완철에 고정되는 애자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는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클램프; 및
    상기 전원생성클램프가 생성한 전원을 인출하여 상기 전주에 설치하는 기기에 조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생성클램프는
    상기 전선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전선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가 결합하여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전선과 접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자심재료가 포함된 외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전선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전선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함부는
    상기 전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속이 형성되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을 감아 유기기전력을 발생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에서 발생된 유기기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전선을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도록 일측은 힌지부로 연결되고 타측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턱과 체결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생성클램프에 상기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8. 완철에 고정되는 애자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는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클램프; 및
    상기 전원생성클램프가 생성한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선에서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애자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주에 구비된 데이터 집중장치 또는 전력관리국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생성클램프는
    상기 전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속이 형성되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을 감아 유기기전력을 발생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에서 발생된 유기기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KR1020150122684A 2015-08-31 2015-08-31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KR20170025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84A KR20170025757A (ko) 2015-08-31 2015-08-31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84A KR20170025757A (ko) 2015-08-31 2015-08-31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57A true KR20170025757A (ko) 2017-03-08

Family

ID=5840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84A KR20170025757A (ko) 2015-08-31 2015-08-31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75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7746A (zh) * 2017-11-01 2018-03-20 国网江苏省电力公司南通供电公司 一种降低瓷瓶螺母松动率的方法
KR20190063628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코아칩스 전력선 에너지 하베스터
KR101986078B1 (ko) * 2018-12-21 2019-09-30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전력선에서의 전압강하를 고려한 자기장 에너지 하베스팅 결선 방법 및 장치
KR102048654B1 (ko) * 2019-04-01 2019-11-25 김장운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안전 시스템
KR20210054096A (ko) 2019-11-04 2021-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팬터그래프 검측장치
KR102382939B1 (ko) * 2021-07-19 2022-04-08 유영희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전력미터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CN115450482A (zh) * 2022-08-11 2022-12-09 江西腾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瓷横担绝缘子金属附件
KR20220163761A (ko) * 2021-06-03 2022-12-12 한국전력공사 계측용 케이블 커넥터
KR102548375B1 (ko) 2022-11-09 2023-07-25 (주)케이디이엔지 자기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이용한 철로 장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7746A (zh) * 2017-11-01 2018-03-20 国网江苏省电力公司南通供电公司 一种降低瓷瓶螺母松动率的方法
KR20190063628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코아칩스 전력선 에너지 하베스터
KR101986078B1 (ko) * 2018-12-21 2019-09-30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전력선에서의 전압강하를 고려한 자기장 에너지 하베스팅 결선 방법 및 장치
WO2020130357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전력선에서의 전압강하를 고려한 자기장 에너지 하베스팅 결선 방법 및 장치
KR102048654B1 (ko) * 2019-04-01 2019-11-25 김장운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안전 시스템
KR20210054096A (ko) 2019-11-04 2021-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팬터그래프 검측장치
KR20220163761A (ko) * 2021-06-03 2022-12-12 한국전력공사 계측용 케이블 커넥터
KR102382939B1 (ko) * 2021-07-19 2022-04-08 유영희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전력미터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CN115450482A (zh) * 2022-08-11 2022-12-09 江西腾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瓷横担绝缘子金属附件
CN115450482B (zh) * 2022-08-11 2024-02-27 江西腾泽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瓷横担绝缘子金属附件
KR102548375B1 (ko) 2022-11-09 2023-07-25 (주)케이디이엔지 자기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이용한 철로 장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5757A (ko)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CA280729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overhead device
US9983254B2 (en) Wireless power line sensor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1030516B1 (ko)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0898150B1 (ko)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1959949B1 (ko)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JP2017220983A (ja) 電力線の線路監視装置
FI111995B (fi) Teholähdejärjestely
KR20110110658A (ko) 송배전 선로 감시용 무선 변류기
CN104133103A (zh) 架空线负荷电流监测装置
CN209417203U (zh) 开合式失地信号传感器
CN101777802B (zh) 夹式电源
CN105353303B (zh) 碳纤维导线线路运行工况评测方法
KR100332839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정전압 발생장치
CN205487636U (zh) 一种电子式互感器安装架
CN103700475A (zh) 电压互感器保险安装底座
CN108878098A (zh) 一种副边多绕组混合接法的高过载节能配电变压器
CN203909116U (zh) 一种反窃电采样器
CN205484674U (zh) 一种绝缘子检测机器人动力机构的电磁式固定装置
KR20090000484U (ko) 전력 데이터 지그비 무선 통신 센서
Jung et al. Deriva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Power Supply System in Metro Substation
RU2009140813A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однофазного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в разветвленной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то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3954817A (zh) 一种反窃电采样器
KR20110045966A (ko) 지중 또는 수중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한 에너지 수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