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49B1 -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49B1
KR101959949B1 KR1020180148646A KR20180148646A KR101959949B1 KR 101959949 B1 KR101959949 B1 KR 101959949B1 KR 1020180148646 A KR1020180148646 A KR 1020180148646A KR 20180148646 A KR20180148646 A KR 20180148646A KR 101959949 B1 KR101959949 B1 KR 10195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case
current
case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전력
Priority to KR102018014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여 주는 한편, 제1,2케이스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CONTROL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여 주는 한편, 제1, 2케이스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는 산업 및 일상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동력원으로서, 통상 발전소에서 변전소를 거쳐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변전소로부터 최종소비자인 공장이나 주택 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취부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신주에 취부되는 배전선로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고 있으며, 배전선로는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배전선로를 고정시켜 주는 전신주의 애자 등 기구물의 노후, 번개에 의한 소손, 수목이나 조류의 접촉 등에 의해 배전선로의 절연이 파괴될 경우 변전소 또는 전기공급 보호기기 등의 개폐기가 동작하여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정전이 발생하면, 산업 설비의 구동이 중단되고, 가정 내에서의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 등의 동작이 정지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되므로 배전선로의 고장 발생시에는 단시간 내에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배전선로의 고장지점의 탐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물망처럼 광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배전선로의 어느 곳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과전류가 흘렀는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특정 고장 지점을 색출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40033호(2018.03.19.)에는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은 제1,2케이스 간에 대한 점검이 어렵기 때문에 제1,2케이스 간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 등에 따른 변형, 부식 등을 점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0516호(2011.04.26.)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여 주는 한편, 제1,2케이스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며, 제1,2케이스(112,114)로 분할되면서 타이밴드(116)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1)에 고정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가 통전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 또는 중앙관제실(200)과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 및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에서 측정되는 상시 전류 및 전압정보를 상기 신호송신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300)는, 상기 배전선로(1)로부터 상기 제1케이스(11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310); 상기 제2케이스(114)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판(320); 및 상기 제1,2케이스(112,114)로부터 상기 타이밴드(1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112)로부터 상기 고정판(32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이 이격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판(320)을 가압해제하여 상기 제1,2케이스(112,114)가 접하도록 하는 탈착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310)은, 상기 제1케이스(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311); 상부에 후크(312a)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양단부에 이웃하도록 상기 배전선로(1)로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311)을 통과하는 지지바(312); 및 상기 지지바(312)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판(311)을 상기 지지바(312)에 결속하는 지지부재(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는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선로의 통전 전류 및 전압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중앙관제실에 통보함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과전류 통전시 과전류 발생 장소가 즉시 파악되어 배전선로의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고, 과전압 발생시 과전압 발생 장소가 즉시 파악되어 배전선로의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배전선로로부터 구동전원을 확보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서도 독립적이고도 반영구적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1,2케이스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서 탈착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서 탈착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탈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22,900V의 고압을 공급하는 전선로인 배전선로(1)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며, 배전선로(1)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신하여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려준다.
이때, 상기 배전선로(1)는 통상적으로 전신주(10)에 설치된 지지대(20) 상부의 절연물체인 애자(30)에 취부되어 가설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를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 전자기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와,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및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에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것으로, 기설치된 배전선로(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1,2케이스(112,114)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2케이스(112,114)를 체결시에는 배전선로(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결수단으로서 금속재질의 타이밴드(116)를 이용하여 제1,2케이스(112,114)를 조여주게 된다.
상기 타이밴드(116)를 사용하는 대신 제1,2케이스(112,114)를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됨)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고리 모양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배전선로(1)에 직접 취부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철심체(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철심체(120) 역시 제1,2철심체(122,124)로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제1,2케이스(112,114) 내에 각각 구비되어 배전선로(1)를 감싸게 되며, 상기 철심체(120)의 일측에는 유도코일(130)이 권취되어 배전선로(1)가 통전되는 경우 유도전류가 생성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60)는 상기 유도코일(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로부터 전류정보를 입력받으면 과전류인지를 비교하고, 과전류이면 기기의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시에는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전류를 감지하고, 전압감지부(150)를 통해 전압을 감지하여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시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하여 동작상태를 알려준다.
상기 전류감지부(140)는 아날로그 형태의 유도 전류값을 디지털 형태의 전류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감지부(150)는 아날로그 형태의 유도 전압값을 디지털 형태의 전압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디지털 형태의 전류 및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과전류인지 유무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는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내장메모리를 가지는 마이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는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 등의 여러가지로 구현될 수 있지만, 설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무선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의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 정보 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로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은 GSM, CDMA, IMT 2000, 와이브로, 무선 TRS, UHF, VHF,AM, FM등 상용화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사용한다.
또한, 근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등으로 정보를 송출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은 블루투스(blue tooth), 직비(ZIPBee) 등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174)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내장함도 가능하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신호 송출이 원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는 충전지(18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충전지(182)는 상기 유도코일(130)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지(182)의 충전전원은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정전압IC 및 DC/DC컨버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정전압IC 및 DC/DC컨버터의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로 전원부(180)의 충전지(182)를 충전하고 이를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고 줌으로서,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더라도 반영구적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배전선로(1)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100)을 설치하고, 배전선로(1)에 전기가 통전되면, 철심체(120)가 자화되고 이로 인해 유도코일(13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부(180)를 구성하는 충전지(182)로 전원이 충전되며 충전지(182) 전원에 의해 제어부(160)가 구동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되는 유도 전류 및 전압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유도코일(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로부터 전류정보가 설정된 허용전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고, 허용전류를 초과하면 배전선로(1)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등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는 신호송신부(170)를 구성하는 무선송신모듈(172)을 거쳐 실시간으로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174)를 통해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이 아닌 경우에도 전압 및 전류값인 상시정보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 경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나 수신장치(210)와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고장정보가 전송되면 중앙관제실(200)에서 고장정보를 통해 기기의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인력을 투입하여 해당 배전선로(1)를 복구하게 된다.
상기 배전선로(1)에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장상태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충전지(182)의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 인해 배전선로(1)의 고장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어 안정적인 신호 송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케이스(112,114)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부(300)를 더 포함한다.
탈착부(300)는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이나 부식 등을 점검하여 제때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탈착부(300)는 배전선로(1)로부터 제1케이스(11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310), 제2케이스(114)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판(320) 및 제1,2케이스(112,114)로부터 타이밴드(1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케이스(112)로부터 고정판(320)을 가압하여 제1,2케이스(112,114) 간이 이격되도록 하거나, 고정판(320)을 가압해제하여 제1,2케이스(112,114)가 접하도록 하는 탈착수단(330)을 포함한다.
지지수단(310)은 제1케이스(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311), 상부에 후크(312a)가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양단부에 이웃하도록 배전선로(1)로 결합되고 하부가 지지판(311)을 통과하는 지지바(312) 및 지지바(312)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지지판(311)을 지지바(312)에 결속하는 지지부재(313)를 포함한다.
지지판(311)은 양단부가 배전선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판 형태를 이룬다.
후크(312a)는 하부가 개방되는 '∩'와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배전선로(1)로 결합되며, 지지바(312)의 상부가 하방향으로 벤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312)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후크(312a)는 절연재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바(312)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31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312)의 하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지지부재(313)는 회전에 따라 후크(312a)가 배전선로(1)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밀착해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13)는 회전에 따라 후크(312a)가 배전선로(1)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밀착해제되도록 하면서 제1케이스(112)가 지지판(31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수단(310)은 제1,2케이스(112,114) 간에 대한 점검을 필요로 하는 경우, 배전선로(1)로 결합되며, 케이스(110)의 내부에 대한 점검이 완료된 후에는 배전선로(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310)은 배전선로(1)로의 케이스(110)의 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지수단(310)은 지지판(31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면서 제1케이스(112)가 안착되도록 하는 거치부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3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2케이스(114)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된다.
탈착수단(330)은 고정판(320)과 대향되도록 제1케이스(112)의 양측에 구비되는 기초판(331), 상부가 고정판(320)에 고정되고 하부가 기초판(331)을 통과하는 가이드바(332)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114)는 상부에 손잡이(114a)가 구비되면서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제2케이스(114)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탈착수단(330)은 가이드바(331)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332)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33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가이드바(331)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탈착수단(330)은 기초판(33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바(3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잠금부재(334)를 더 포함한다.
잠금부재(33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가이드바(332)의 하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잠금부재(334)는 제2케이스(114)의 승강시, 가이드바(332)와 함께 승강됨이 없이 기초판(33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다 제2케이스(114)가 일정 높이만큼 승강되면 가이드바(332)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나사결합된다.
잠금부재(334)는 회전에 따라 기초판(331)에 밀착되면서 승강된 제2케이스(114)가 하강됨이 없이 승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탈착수단(330)은 기초판(331)에 구비되며 가이드바(332)가 통과하는 가이드관(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관(335)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부가 기초판(331)에 고정되면서 내측으로 가이드바(332)가 흔들림 없이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로 인해, 탈착부(300)는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이나 부식 등을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점검을 통해 제때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배전선로 10: 전신주
20: 지지대 30: 애자
100: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200: 중앙관제실
300: 탈착부 310: 지지수단
311: 지지판 312: 지지바
313: 지지부재 320: 고정판
330: 탈착수단 331: 기초판
332: 가이드바 333: 이탈방지부재
334: 잠금부재 335: 가이드관

Claims (1)

  1.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며, 제1,2케이스(112,114)로 분할되면서 타이밴드(116)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1)에 고정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가 통전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및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 또는 중앙관제실(200)과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에 대한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300)는,
    상기 배전선로(1)로부터 상기 제1케이스(11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310);
    상기 제2케이스(114)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판(320); 및
    상기 제1,2케이스(112,114)로부터 상기 타이밴드(1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112)로부터 상기 고정판(320)을 가압하여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이 이격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판(320)을 가압해제하여 상기 제1,2케이스(112,114)가 접하도록 하는 탈착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310)은,
    상기 제1케이스(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311);
    상부에 후크(312a)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양단부에 이웃하도록 상기 배전선로(1)로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311)을 통과하는 지지바(312); 및
    상기 지지바(312)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판(311)을 상기 지지바(312)에 결속하는 지지부재(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20180148646A 2018-11-27 2018-11-27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195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646A KR101959949B1 (ko) 2018-11-27 2018-11-27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646A KR101959949B1 (ko) 2018-11-27 2018-11-27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949B1 true KR101959949B1 (ko) 2019-03-19

Family

ID=6590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646A KR101959949B1 (ko) 2018-11-27 2018-11-27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9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10B1 (ko) * 2019-04-10 2019-10-04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강풍피해를 줄인 가공 배전선로장치
KR102029009B1 (ko) * 2019-08-20 2019-10-07 주식회사 조이테크 배전선로 자동화의 시스템
KR102117344B1 (ko) * 2020-03-02 2020-06-01 이삼종 산악지역 가공배전선로의 누전 감시시스템
CN116599238A (zh) * 2023-07-18 2023-08-15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模块化故障指示器取能模块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6B1 (ko) 2009-01-09 2011-04-26 황인기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1598983B1 (ko) * 2015-04-27 2016-03-02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의 고장선로 분리 방법이 적용된 장치
KR101840033B1 (ko) * 2017-12-15 2018-03-19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KR101842669B1 (ko) * 2018-01-05 2018-03-28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6B1 (ko) 2009-01-09 2011-04-26 황인기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1598983B1 (ko) * 2015-04-27 2016-03-02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의 고장선로 분리 방법이 적용된 장치
KR101840033B1 (ko) * 2017-12-15 2018-03-19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KR101842669B1 (ko) * 2018-01-05 2018-03-28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10B1 (ko) * 2019-04-10 2019-10-04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강풍피해를 줄인 가공 배전선로장치
KR102029009B1 (ko) * 2019-08-20 2019-10-07 주식회사 조이테크 배전선로 자동화의 시스템
KR102117344B1 (ko) * 2020-03-02 2020-06-01 이삼종 산악지역 가공배전선로의 누전 감시시스템
CN116599238A (zh) * 2023-07-18 2023-08-15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模块化故障指示器取能模块及其使用方法
CN116599238B (zh) * 2023-07-18 2023-10-31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模块化故障指示器取能模块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949B1 (ko)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1772605B1 (ko) 가공송전선로의 고장정보 데이터 수집장치
KR101030516B1 (ko)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1840033B1 (ko)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KR101643358B1 (ko) 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US87602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overhead monitoring device
US5656931A (en) Fault curren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US5550476A (en) Faul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KR102029009B1 (ko) 배전선로 자동화의 시스템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JP2000171492A (ja) 自己給電型電力線センサ
KR101842669B1 (ko)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KR101769876B1 (ko) 고장 정보 전송을 위한 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KR20170044309A (ko) 배전반 또는 부스덕트의 부스바 온도 모니터링용 무전원 송수신 시스템
KR20170025757A (ko)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65984B1 (ko) 송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KR102217142B1 (ko)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
KR101104320B1 (ko) 송배전 선로 감시용 무선 변류기
KR102213565B1 (ko) 배전선로 무인 통합관리시스템
CN214750597U (zh) 一种变压器在线状态自动化检测装置
JP2015076955A (ja) 無線センサ端末
KR101765066B1 (ko) 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KR102099186B1 (ko) 배전선로의 보수작업시 안전시스템
JP2004229400A (ja) 送電遠隔制御装置及び送電遠隔制御システム
CN216052061U (zh) 一种跌落式熔断器的智能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