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150B1 -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150B1
KR100898150B1 KR1020080122670A KR20080122670A KR100898150B1 KR 100898150 B1 KR100898150 B1 KR 100898150B1 KR 1020080122670 A KR1020080122670 A KR 1020080122670A KR 20080122670 A KR20080122670 A KR 20080122670A KR 100898150 B1 KR100898150 B1 KR 100898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urrent
arm member
jumper wire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영
Original Assignee
(주)진주전력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주전력감리단 filed Critical (주)진주전력감리단
Priority to KR102008012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주(P)의 상부에 수평설치되는 암부재(100)와; 일단이 송전선(L)에 장착되고 타단은 암부재(100)에 설치되어 송전선(L)을 팽팽하게 당겨줌과 동시에 암부재(100)와 접촉되지 않게 하는 애자(200)와; 고압의 전류를 이송될 수 있게 일측 애자(200)에 고정된 송전선(L)과 타측 애자(200)에 고정된 송전선(L)에 각각 연결되는 점퍼선(J)이 설치된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00)에는, 하측으로 장전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부(313a)가 형성된 체결봉(313)과, 직사각형에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체결봉(313)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12)와, 플랜지(31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보호케이스(311)를 구비한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의 저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케이스(321)와, 절연케이스(3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점퍼선(J)의 외면에 감착되어 억류하는 고정클램프(322) 및 회동클램프(323)와, 회동클램프(323)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클램프(323)를 절첩 및 전개되도록 하는 누름편(323a)를 구비하며, 점퍼선(J)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전달받아 이를 검출하는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와;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와 연결되어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유닛(330)과; 플랜지(312)의 저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변환유닛(330)으로부터 직류전류를 공급받아 점등되는 LED(340)를 갖춘 유도전류검출자치(30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측 송전선과 타측 송전선을 연결시켜 주는 점퍼선에 유도전류고정장치를 장착하여 암부재에 고정시켜 줌으로서, 강한 외력에 의해 점퍼선이 흔들려 암부재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합선 및 단선 등의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켜 줌과 동시에 점퍼선의 미소 유도기전력을 흡수하고 이를 클램프식전류검출부 및 변환유닛을 통해 변환시켜 LED로 공급함으로서 LED의 점등유무를 통해 전류의 통전유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의 단전으로 인한 정전시 보수공사에 따른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전주. 클램프식전류검출부. 변환유닛. LED.

Description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Electric Power Line Of Supporting Bar}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최적의 송배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 연결을 위한 점퍼선을 전주 상단 또는 하단에 마련된 완금에 장착하는 상향시공법 또는 하향시공법을 이용하였다.
즉, 전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 케이블을 전주 상단 양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완금의 양측에서 애자를 통해 결합하고, 각 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점퍼선은 완금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용 애자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하향시공법은 점퍼선을 하향으로 설치하고 점퍼선과 완금 사이에 점퍼선지지장치를 장착하여 점퍼선과 완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단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상향시공법에 의해 설치되거나 하향시공법에 의해 설치된 경우, 일반적으로 점퍼선을 통과하는 전류의 통전유무를 알 수 없어 작업자가 직접 송전탑 또는 전주에 올라가 통전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과 단전사고발생 시 단전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보수 또는 교체작업이 오래 걸리거나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암부재와 점퍼선 사이에 유도전류검출장치를 장착하여 유도전류검출장치의 LED의 발광유무를 통해 전류의 통전유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의 단전으로 인한 정전시 보수공사에 따른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주의 상부에 수평설치되는 암부재와; 일단이 송전선에 장착되고 타단은 암부재에 설치되어 송전선을 팽팽하게 당겨줌과 동시에 암부재와 접촉되지 않게 하는 애자와; 고압의 전류를 이송될 수 있게 일측 애자에 고정된 송전선과 타측 애자에 고정된 송전선에 각각 연결되는 점퍼선이 설치된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에는, 하측으로 장전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체결봉과, 직사각형에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체결봉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보호케이스를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저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케이스와, 절연케이스 하부에 설치되고 점퍼선의 외면에 감착되어 억류하는 고정클램프 및 회동클램프와, 회전클램프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클램프를 절첩 및 전개되도록 하는 누름편을 구비하며, 점퍼선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전달받아 이를 검출하는 클램프식전류검출부와; 클램프식전류검출부와 연결되어 클램프식전류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유닛과; 플랜지의 저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변환유닛으로부터 직류전류를 공급받아 점등되는 LED를 갖춘 유도전류검출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이다.
본 발명은, 애자와 애자 사이에 연결된 점퍼선의 외주면에 유도전류검출장치를 장착하여 암부재에 고정시켜 줌으로서, 강한 외력에 의해 점퍼선이 출렁되어 암부재와의 접촉으로 인한 합선 및 단선 등의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켜 줌과 동시에 점퍼선의 미소 유도기전력을 흡수하여 이를 검출하고 변환유닛을 통해 변환시켜 LED로 공급함으로서 LED의 점등유무를 통해 전류의 통전 유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송전선의 단전으로 인한 정전시 보수공사에 따른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서 유도전류검출장치(300)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전주(P)의 상부에 나란하게 수평설치되는 암부재(100)가 장착되고, 상기 나란하게 설치된 각 암부재(100)에는 일단이 송전선(L)에 장착되고 타단은 암부재(100)에 설치되어 송전선(L)을 팽팽하게 당겨줌과 동시에 암부재(100)와 접촉되지 않게 하는 애자(2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애자(200)와 애자(200') 사이에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를 이송될 수 있게 연결시켜 주는 점퍼선(J)이 설치된다.
상기 암부재(100)와 점퍼선(J) 사이에 장착되어 점퍼선(J)을 잡아 줌과 동시에 전류의 통전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유도전류검출장치(300)는 다음과 같으며, 이를 도 2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유도전류검출장치(300)는, 암부재(100)의 장착공(110)에 설치고정되는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와 이웃하게 설치되고 점퍼선(J)을 감착되어 유도전류를 검출하는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와;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도 변화시켜 주는 변환유닛(330)과; 변환유닛(330)으로부터 직류전류를 전달받아 발광하는 LED(340)로 구성된다.
상기 암부재(100)의 장착공(110)에 설치고정되는 본체부(3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암부재(100)에 하측으로 장전되어 체결수단 즉,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부(313a)가 형성된 체결봉(313)을 형성하고, 직사각형에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체결봉(313)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12)를 형성하며, 플랜지(31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재질은 절연재인 보호케이스(311)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봉(313)은 풍압 또는 외력에 탄력적으로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퍼선(J)의 외면에 감착되어 유도전류를 검출하는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는, 상기 본체부(310)의 저면에 연접되어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케이스(321)와, 절연케이스(3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점퍼선(J)의 외면에 감착되어 억류하는 고정클램프(322) 및 회동클램프(323)와, 회동클램프(323)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클램프(323)를 절첩 및 전개되도록 하는 누름부(324)를 구비하며, 점퍼선(J)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전달받아 이를 검출하는 것으로, 통칭 CT(Current Transfomer)라 지칭되는 변류기로, 일반적으로 원형공이 형성된 원통형 철심(코아) 또는 영구자석에 전류 검출을 위한 2차측 코일을 감고 그 원형공으로는 전선을 관통시켜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자기 변환을 통해 2차측의 소전류로 변환시켜는 일종의 트랜스포머이며, 상기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변환유닛(330)은,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류를 정류하고 평활처리하여 직류전류도 변화시켜 주는 것으로 변환유닛(33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310)의 플랜지(312)에는, 저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변환유닛(330)으로부터 직류전류를 입력받아 발광되는 LED(340)가 장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의 블록도를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서 유도전류검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작동관계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전류검출장치(3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313a)를 암부재(100)의 장전하고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준 다음, 절연케이스(321)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누름편(323a)를 내향으로 눌러 주게 되면 내부에 고정클램프(322)와 함께 축(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고정되어 있는 회동클램프(323)가 외향을 향해 벌어지면서 서로 연접된 부분이 떨어져 공간이 생기고, 이때 고정클램프(322)와 회동클램프(323) 사이의 공간으로 점퍼선(J)를 장전시켜 주며, 내향으로 가압하고 있던 누름편(323a)에 가압상태를 해제시켜 주면 고정클램프(322)와 회동클램프(323)은 서로 연접되면서 점퍼선(J)을 억류하게 된다.
삭제
상기와 같이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의 고정클램프(322)와 회동클램프(323) 사이에 점퍼선(J)이 장전되면 점퍼선(J)으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가 이를 검출하게 되고,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와 연결된 변환유닛(330)은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류를 정류하고 평활처리하여 직류전류도 변화시켜 주며, 변환유닛(330)과 연결된 LED(340)는 변환유 닛(330)으로부터 직류전류를 입력받아 발광하게 되며, 이를 도 4b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유도전류검출장치(300)를 제거하거나 교체해주는 방법은 상기의 장착과정에 역순으로 해주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서 유도전류검출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의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서 유도전류검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작동관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송전선 100: 암부재 200: 애자
J: 점퍼선 300: 유도전류검출장치 310: 본체부
320: 클램프식전류검출부 330: 변환유닛 340: LED

Claims (1)

  1.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주(P)의 상부에 수평설치되는 암부재(100)와; 일단이 송전선(L)에 장착되고 타단은 암부재(100)에 설치되어 송전선(L)을 팽팽하게 당겨줌과 동시에 암부재(100)와 접촉되지 않게 하는 애자(200)와; 고압의 전류를 이송될 수 있게 일측 애자(200)에 고정된 송전선(L)과 타측 애자(200)에 고정된 송전선(L)에 각각 연결되는 점퍼선(J)이 설치된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00)에는, 하측으로 장전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부(313a)가 형성된 체결봉(313)과, 직사각형에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체결봉(313)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12)와, 플랜지(31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보호케이스(311)를 구비한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의 저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케이스(321)와, 절연케이스(3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점퍼선(J)의 외면에 감착되어 억류하는 고정클램프(322) 및 회동클램프(323)와, 회동클램프(323)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클램프(323)를 절첩 및 전개되도록 하는 누름편(323a)를 구비하며, 점퍼선(J)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전달받아 이를 검출하는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와;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와 연결되어 클램프식전류검출부(32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유닛(330)과; 플랜지(312)의 저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변환유닛(330)으로부터 직류전류를 공급받아 점등되는 LED(340)를 갖춘 유도전류검출자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20080122670A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0898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70A KR100898150B1 (ko)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70A KR100898150B1 (ko)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150B1 true KR100898150B1 (ko) 2009-05-19

Family

ID=4086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70A KR100898150B1 (ko) 2008-12-04 2008-12-04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15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28B1 (ko) 2009-04-09 2010-02-19 주식회사 삼덕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493677B1 (ko)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CN104393554A (zh) * 2014-12-10 2015-03-04 马人欢 高空电力线固定装置
KR101762856B1 (ko) * 2017-02-28 2017-07-28 (주)하나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로 행거
KR101781118B1 (ko) * 2017-02-28 2017-09-27 주식회사 선진전기 배전선로용 풀림방지형 활선클램프
KR102073865B1 (ko) 2019-09-20 2020-02-05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안정적 지지를 위한 완철장치
KR102382980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클램핑장치
KR102382976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KR102491367B1 (ko) 2022-04-08 2023-01-26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726Y1 (ko) 2003-07-30 2003-11-10 한국전력공사 스틱분리형 cos점퍼 케이블
KR200417546Y1 (ko) 2006-03-22 2006-05-30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431182Y1 (ko) 2006-09-07 2006-11-15 (주)세진엔지니어링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80082067A (ko) * 2007-03-07 2008-09-11 (주)에디테크 배전선로의 순시용 고장 점 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726Y1 (ko) 2003-07-30 2003-11-10 한국전력공사 스틱분리형 cos점퍼 케이블
KR200417546Y1 (ko) 2006-03-22 2006-05-30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전력선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431182Y1 (ko) 2006-09-07 2006-11-15 (주)세진엔지니어링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80082067A (ko) * 2007-03-07 2008-09-11 (주)에디테크 배전선로의 순시용 고장 점 탐지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28B1 (ko) 2009-04-09 2010-02-19 주식회사 삼덕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493677B1 (ko)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CN104393554A (zh) * 2014-12-10 2015-03-04 马人欢 高空电力线固定装置
CN104393554B (zh) * 2014-12-10 2017-01-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费县供电公司 高空电力线固定装置
KR101762856B1 (ko) * 2017-02-28 2017-07-28 (주)하나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로 행거
KR101781118B1 (ko) * 2017-02-28 2017-09-27 주식회사 선진전기 배전선로용 풀림방지형 활선클램프
KR102073865B1 (ko) 2019-09-20 2020-02-05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안정적 지지를 위한 완철장치
KR102382980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클램핑장치
KR102382976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KR102491367B1 (ko) 2022-04-08 2023-01-26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150B1 (ko)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2246338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CN206274553U (zh) 一种螺旋压紧式接地线夹
KR100911237B1 (ko)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0898598B1 (ko) 특고압 송전선의 장력조절식 완금
CN201629222U (zh) 电缆固定式电流互感器
KR101959949B1 (ko)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CN110676607A (zh) 一种可带电作业的并沟搭接器及其操作方法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CN103928814B (zh) 高压设备接地线用的接地枪
CN202720248U (zh) 高压试验用绝缘支架
KR20200118547A (ko) 현수식 항공장애 라이트 장치
CN101777802B (zh) 夹式电源
CN210669312U (zh) 一种可带电作业的异型并沟搭接器
CN203800364U (zh) 用于装设或拆除高压设备接地线用的接地枪
CN220797197U (zh) 一种漏磁取电装置
CN207586254U (zh) 一种多功能电力高压试验用综合收放线装置
CN104990639A (zh) 一种用于10kv配电变压器上的光纤测温结构
CN204230646U (zh) 一种地震应急供电配电箱及其配电系统
CN212433366U (zh) 用于确定电缆发生接地故障的装置及系统
CN201388015Y (zh) 一种10kV配网绝缘隔板
KR100862260B1 (ko) 퓨즈홀더를 삭제한 전력퓨즈
CN204789647U (zh) 双分裂导线在线监测装置安装卡具
CN202393817U (zh) 一种基于感应蓄能的闪光电塔指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