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416A -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416A
KR20140145416A KR1020130067842A KR20130067842A KR20140145416A KR 20140145416 A KR20140145416 A KR 20140145416A KR 1020130067842 A KR1020130067842 A KR 1020130067842A KR 20130067842 A KR20130067842 A KR 20130067842A KR 20140145416 A KR20140145416 A KR 2014014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istribution line
cover
wir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699B1 (ko
Inventor
곽상영
최선규
진봉건
김용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 진흥이엔지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6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에 관한 것으로,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신축 가능하고 내부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공배전선이 배치되는 아웃터 커버부재와 인너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작업 범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범위를 모두 커버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PROTCETING COVER FOR LIVE FRONT OPERATE IN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공 배전 선로에서 필요한 작업 공간 길이만큼 신축해서 사용이 가능한 활선 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또는 특고압(23㎸) 가공 배전 선로 상에서 전력선의 접속 개소는 절연 전선, 인류 클램프, 인류 클램프 커버 및 애자 등으로 구성되어 지지물(전주)에 접속된다. 애자와 전선을 접속하는 인류 클램프에는 인류 클램프 커버가 씌워져 접속 개소의 충전 부위가 절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활선 작업과 같은 인위적인 접근이 없는 전제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시에는 작업자나 작업용 장비의 접근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충분한 절연 특성과 기계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가진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사용되는 전선덮개는 단품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활선 작업 범위를 모두 커버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전선덮개를 사용하는 경우 고압 또는 특고압(23㎸) 가공 배전 선로의 활선 상태에서 작업 시 작업 부분 중 일부분이 노출될 수 밖에 없어 작업 시 작업자의 감전에 의한 상해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선덮개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작업 중 이동되어 필요한 작업 범위를 커버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감전 사고에 대한 위험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45173호 '가공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2009. 6.2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범위에 따라 신축하여 사용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신축 가능하고 내부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공배전선이 배치되는 아웃터 커버부재와 인너 커버부재를 포함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작업 범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범위를 모두 커버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다른 구조물의 덮개와 연결되어 가공배전선로를 커버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작업 중 커버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아 더 안전하게 작업자가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자의 감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손쉽게 가공배전선로에 탈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A - A'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B - B'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C-C'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신축 가능하고 내부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공배전선(1)이 배치되는 아웃터 커버부재(10)와 인너 커버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전선 통로(10a)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다.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는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부로 가공배전선(1)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 2 전선 통로(20a)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다.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부로 가공배전선(1)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에 결합된다.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일 단부 측에서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로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일 단부 측에서 노출되는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와 상기 인너 커버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양 단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양 단부 중 일단부 또는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의 양 단부 중 일단부에는 가공배전선(1)로에 설치되는 다른 덮개와 연결되는 덮개 연결구(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연결구(30)는 애자 덮개와 연결되는 연결구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가 형성된 제 1 메인 커버몸체부(11)와, 상기 제 1 메인 커버몸체부(11)의 개방된 하부의 양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굴곡되어 길이 방향으로 전선 입구가 형성된 제 1 커버 개폐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에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개방된 하부가 전선에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제 1 전선 걸림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전선 걸림부(14)는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의 길이 방향에서 굴곡된 부분 중 일부분이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는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가공배전선(1)을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선 걸림부(14)는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가공배전선(1)을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공배전선(1)가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로 삽입된 후 상기 제 1 전선 걸림부(14)는 탄성에 의해 다시 좁혀져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로 삽입된 가공 배전선(1)에 걸리게 된다.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에서, 상기 제 1 전선 걸림부(14)는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좁혀지게 되므로,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부에 상기 가공배전선(1)을 삽입한 후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를 상기 가공배전선(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가 사용 중 뒤집히는 경우 즉,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개방된 하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 내에 삽입된 가공 배전선(1)이 상기 제 1 전선 걸림부(14)에 걸려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가 가공 배전선(1)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가 형성된 제 2 메인 커버몸체부(21)와, 상기 제 2 메인 커버몸체부(21)의 개방된 하부의 양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굴곡되어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전선 입구가 형성된 제 2 커버 개폐부(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에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개방된 하부가 전선에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제 2 전선 걸림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전선 걸림부(24)는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의 길이 방향에서 굴곡된 부분 중 일부분이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가공배전선(1)을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선 걸림부(24)는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가공배전선(1)을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공배전선(1)가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로 삽입된 후 상기 제 2 전선 걸림부(24)는 탄성에 의해 다시 좁혀져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로 삽입된 가공 배전선(1)에 걸리게 된다.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에서, 상기 제 2 전선 걸림부(24)는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좁혀지게 되므로,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부에 상기 가공배전선(1)을 삽입한 후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를 상기 가공배전선(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인너 커버부재(20)가 사용 중 뒤집히는 경우 즉,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의 개방된 하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 내에 삽입된 가공 배전선(1)이 상기 제 2 전선 걸림부(24)에 걸려 상기 인너 커버부재(20)가 가공 배전선(1)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메인 커버몸체부(11)와 상기 제 2 메인 커버몸체부(21)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메인 커버몸체부(21)는 적어도 상기 제 1 메인 커버몸체부(11)의 두께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상기 제 1 메인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메인 커버몸체부(21)는 상기 제 1 메인 커버몸체부(11)의 두께만큼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외측면이 상기 제 1 메인 커버몸체부(11)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와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는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가 적어도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의 두께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는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의 두께만큼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외측면이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내부에 마디 삽입부가 형성된 제 1 마디 돌출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상기 마디 삽입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2 마디 돌출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마디 돌출부(23)는 상기 제 1 마디 돌출부(13)의 마디 삽입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 2 마디 돌출부(23)는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의 위치 즉,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의 일 단부측에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다른 상기 마디 삽입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인너 커버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 1 마디 돌출부(13)와 상기 제 2 마디 돌출부(23)는, 각각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와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버 개폐부(12)와 상기 제 2 커버 개폐부(22)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이용하여 이동되어 서로 결합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는 전주(3)를 통해 설치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상기 가공배전선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와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는 서로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 측으로 각각 상기 가공배전선(1)이 각각 상기 제 1 전선 통로(10a)와 상기 제 2 전선 통로(20a)로 삽입되어 상기 가공배전선(1)을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활선 작업 범위에 따라 상기 인너 커버부재(20)를 이동시켜 길이 조절하여 활선 작업 범위를 커버한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는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10)와 상기 인너 커버부재(20)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된 덮개 연결구(30)로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된 덮개와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덮개 연결구(30)는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애자 덮개에 연결되는 덮개 연결구(30)로써 애자 덮개(2)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작업 범위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범위를 모두 커버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다른 구조물의 덮개와 연결되어 가공배전선로를 커버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작업 중 커버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아 더 안전하게 작업자가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 시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자의 감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손쉽게 가공배전선로에 탈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아웃터 커버부재 11 : 제 1 메인 커버몸체부
12 : 제 1 커버 개폐부 13 : 제 1 마디 돌출부
20 : 인너 커버부재 21 : 제2 메인 커버몸체부
22 : 제 2 커버 개폐부 23 : 제 2 마디 돌출부
30 : 덮개 연결구

Claims (6)

  1.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신축 가능하고 내부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공배전선이 배치되는 아웃터 커버부재와 인너 커버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의 양 단부 중 일단부 또는 상기 인너 커버부재의 양 단부 중 일단부에는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다른 덮개와 연결되는 덮개 연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전선 통로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인너 커버부재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 2 전선 통로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 1 전선 통로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내부에 마디 삽입부가 형성된 제 1 마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 커버부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상기 마디 삽입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2 마디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부재에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개방된 하부가 전선에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제 1 전선 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부재에는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개방된 하부가 전선에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제 2 전선 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1020130067842A 2013-06-13 2013-06-13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102091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42A KR102091699B1 (ko) 2013-06-13 2013-06-13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42A KR102091699B1 (ko) 2013-06-13 2013-06-13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416A true KR20140145416A (ko) 2014-12-23
KR102091699B1 KR102091699B1 (ko) 2020-03-23

Family

ID=5267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842A KR102091699B1 (ko) 2013-06-13 2013-06-13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93B1 (ko) 2019-01-09 2019-07-04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2076797B1 (ko) 2019-08-27 2020-02-12 (주)웅진엔지니어링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2092052B1 (ko) 2019-01-09 2020-03-23 주식회사 우성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20210132449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전력공사 연장형 전선 방호관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2U (ja) * 1991-02-25 1993-01-14 マサル工業株式会社 電線保護カバー
JP2004159452A (ja) * 2002-11-07 2004-06-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保護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445173Y1 (ko) 2009-02-05 2009-07-03 (주) 진흥이엔지 가공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1241104B1 (ko) * 2012-09-20 2013-03-11 김준홍 통신 케이블용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2U (ja) * 1991-02-25 1993-01-14 マサル工業株式会社 電線保護カバー
JP2004159452A (ja) * 2002-11-07 2004-06-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保護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445173Y1 (ko) 2009-02-05 2009-07-03 (주) 진흥이엔지 가공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1241104B1 (ko) * 2012-09-20 2013-03-11 김준홍 통신 케이블용 행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93B1 (ko) 2019-01-09 2019-07-04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2092052B1 (ko) 2019-01-09 2020-03-23 주식회사 우성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2076797B1 (ko) 2019-08-27 2020-02-12 (주)웅진엔지니어링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20210132449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전력공사 연장형 전선 방호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699B1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5416A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US10777948B2 (en) Modular extendable outlet assembly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N204760896U (zh) 遮蔽空中带电线路的绝缘罩
US9620885B2 (en) Insulated test clip cover assembly
US20150000972A1 (en) Modular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of use
JP6638059B2 (ja) 延長コード、ソケットおよびソケットのカバー
JP5955897B2 (ja)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CA2919284A1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8889993B1 (en) Spool insulator system
KR20140001815U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공칼
US20230014694A1 (en) Battery assembly and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JP5677487B2 (ja) 引留クランプカバー
JP5833074B2 (ja) 高圧端子カバー
JP2016208613A (ja) 架空電線に装着する鳥害防止具
KR101742456B1 (ko) 고전압 케이블 접속구조
ITMI20110996A1 (it) Dispositivo elettrico per il collegamento multiplo di conduttori discontinui
JP2016103930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5960205B2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EP4002607A1 (en) A cord cover
JP6385737B2 (ja) 変圧器の絶縁測定用工具
DE202017107592U1 (de) Ladestation für Taschenlampen
JP2018018676A (ja) 電気プラグ用の保護装置
JP6488779B2 (ja) 引下線用端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