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591B1 -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591B1
KR101835591B1 KR1020170089681A KR20170089681A KR101835591B1 KR 101835591 B1 KR101835591 B1 KR 101835591B1 KR 1020170089681 A KR1020170089681 A KR 1020170089681A KR 20170089681 A KR20170089681 A KR 20170089681A KR 101835591 B1 KR101835591 B1 KR 10183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nderground
fixing
underground wir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전력
Priority to KR102017008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매설되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를 구성하는 전선 관통공에 각각 장착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용된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방수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전선 관통공에 끼움 장착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관통공 고정부재,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의 가이드 홈을 따라 결합되고 내면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전선 고정실링,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기 전선 관통공의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외부 중앙에는 내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고정구 장착홈에 삽입되고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완충부재, 상기 고정구의 고정구 장착홈에 나선 결합되면서 완충부재를 가압 및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터, 상기 히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격자형상의 바닥판, 상기 송풍기와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건조부를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에 장착되는 방수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습기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Waterproof structure of underground wiring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supply}
본 발명은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은 자체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한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 화력, 또는 원자력 발전소 등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은 가정, 사무실, 공장 등의 최종 수용가 측으로 송전하는데 있어 중간 단계로 변전소와 변압기를 거쳐서 최종 수용가 측에 이르고 있다.
상기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통상적으로 154 KV 혹은 345 KV의 고압으로 변전소에 공급되고, 변전소에서는 다시 이 고압을 통상적으로 22.9 KV의 고압으로 다운시켜 최종 수용가 측에 이르는 바로 전단계인 변압기에 공급하고, 이 변압기에서는 최종 수용가 측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압인 110 V 또는 220 V의 전압으로 변환시켜 최종 수용가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압기로는 전주에 설치된 주상용 변압기와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된 지중배전 선로용 변압기가 있다.
이 중에서 주상용 변압기는 비교적 용량이 작고, 따라서 비교적 소형 경량으로서, 통상적으로 전주 등에 설치되어 변전소로부터의 고압을 저압으로 다운시켜 최종 수용가 측으로 공급하고 있다.
한편, 상기 지중배전 선로용 변압기와 주변 구성들은 설치 및 유지보수를 이하여 지중배전설비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중배전설비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각종 부속품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중배전설비는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 안내공과 각종 부속품의 결합되는 연결부분으로 물의 유입되어 내부 부품들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중 배전설비는 내부로 물의 유입시 자체적으로 이를 건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71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77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에 장착되는 방수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의 하부에 장착되는 건조부와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부를 통해 내부에 물과 습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차에 의한 수증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는 지면에 매설되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를 구성하는 전선 관통공에 각각 장착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용된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방수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전선 관통공에 끼움 장착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관통공 고정부재,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의 가이드 홈을 따라 결합되고 내면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전선 고정실링,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기 전선 관통공의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며, 외부 중앙에는 내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고정구 장착홈에 삽입되고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완충부재, 상기 고정구의 고정구 장착홈에 나선 결합되면서 완충부재를 가압 및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터, 상기 히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격자형상의 바닥판, 상기 송풍기와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건조부를 제어하는 건조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를 구성하는 가압부재의 외부에 위치한 고정구 장착홈에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내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가이드 홈에는 내면에 간격을 두고 쐐기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의 상부에는 온도차에 따른 수증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송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부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분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를 구성하는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 장착공에는 유입 차단부가 장착되되, 상기 유입 차단부는 부품 장착공에 끼움 결합되고 외측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내부 실링, 상기 내부 실링의 단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유입방지돌기가 형성되는 외부 실링, 상기 내부 실링과 외부 실링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에 장착되는 방수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습기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의 하부에 장착되는 건조부와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부를 통해 내부에 물과 습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차에 의한 수증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차단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차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건조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송풍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유입 차단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차단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차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건조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송풍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유입 차단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는 지면에 매설되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100)에 방수수단(200)을 장착하여, 상기 소방용 지중배전설비(10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이나 습기는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방용 지중배전설비(10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소방용 지중배전설비(100)에는 전선 관통공(110)과 부품 장착공(120)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도어(130)가 장착되는 예를 든다.
또한, 상기 방수수단(200)은 차단부(300), 건조부(400), 송풍부(500), 유입차단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300)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전선 관통공(110)에 각각 장착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300)는 상기 전선 관통공(110)에 끼움 장착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31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관통공 고정부재(310),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의 가이드 홈(312)을 따라 결합되고 내면(322)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전선 고정실링(320),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가 장착된 상기 전선 관통공(110)의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부재 삽입홈(332)이 형성되며, 외부 중앙에는 내면(336)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334)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330), 상기 고정구(330)의 고정구 장착홈(334)에 삽입되고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완충부재(340), 상기 고정구(330)의 고정구 장착홈(334)에 나선 결합되면서 완충부재(340)를 가압 및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가압부재(3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차단부(300)는 전선 관통공(110)에 관통공 고정부재(310)를 끼움 결합한 후,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의 내면으로 전선 고정실링(320)을 장착하고,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의 외측에는 체결구를 통해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에 고정되는 고정구(330)를 장착한 후, 상기 고정구(330)의 내면으로 완충부재(340)와 가압부재(350)를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고정실링(320)의 내면(322)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하면서도 외력에 의하여 전선이 외부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50)는 고정구(330)와 나선 결합을 통해 상기 완충부재(34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완충부재(340)이 내면에 전선의 외면과 밀착되어, 상기 전선을 따라 물이 이동시 이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50)의 외면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다각형 형상의 홈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300)를 구성하는 가압부재(350)의 외부에 위치한 고정구 장착홈(334)에 외면(362)에 나선이 형성되고 내부에 가이드 홈(364)이 형성된 결합부재(360)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360)의 가이드 홈(364)에는 내면에 간격을 두고 쐐기 형상의 돌기(372)가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재(3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370)는 내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쐐기 형상의 돌기(372)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60)와 이물질 제거부재(370)를 분리구성한 것은 전선의 마찰을 통한 손상이 심한 이물질 제거부재(370)만을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부(400)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용된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부(400)에는 공지된 온도센서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40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송풍기(410), 상기 송풍기(4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터(420), 상기 히터(4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판(430), 상기 지지판(43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격자형상의 바닥판(440), 상기 송풍기(410)와 히터(4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50), 상기 건조부(400)를 제어하는 건조제어부(4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건조부(400)는 건조제어부(460)의 신호에 따라 송풍기(410)와 히터(420)가 작동하여, 상기 지지판(430)과 바닥판(440)에 위치한 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건조부(400)는 송풍부(500)의 감지센서(51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송풍기(410)와 히터(420)를 작동시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500)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상부에는 온도차에 따른 수증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500)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0),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송풍기(520), 상기 송풍기(520)의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관(530), 상기 메인관(530)의 끝단에 결합되는 분기관(5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송풍부(500)는 감지센서(510)를 통해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내부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송풍기(520)는 작동하여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공기는 메인관(530)을 거쳐 분기관(540)을 통해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부(500)는 단독 또는 건조부(400)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유입 차단부(600)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 장착공(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 차단부(600)는 부품 장착공(120)에 끼움 결합되고 외측에는 단차부(622)가 형성되는 내부 실링(620), 상기 내부 실링(620)의 단차부(622)와 결합되는 결합부(642)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면(644)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유입방지돌기(646)가 형성되는 외부 실링(640), 상기 내부 실링(620)과 외부 실링(640)의 연결부분(622, 642)을 고정하는 체결구(6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입 차단부(600)는 부품 장착공(120)에 단차부(622)가 형성된 내부 실링(620)을 장착한 후, 상기 내부 실링(620)에 외부 실링(640)를 결합한 다음, 체결구(660)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 차단부(600)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100)의 벽면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경사진 외면(644)과 유입방지돌기(646)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전선 관통공(110)에 상기 전선 관통공(110)에 끼움 장착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31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관통공 고정부재(310),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의 가이드 홈(312)을 따라 결합되고 내면(322)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전선 고정실링(320),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가 장착된 상기 전선 관통공(110)의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부재 삽입홈(332)이 형성되며, 외부 중앙에는 내면(336)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334)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330), 상기 고정구(330)의 고정구 장착홈(334)에 삽입되고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완충부재(340), 상기 고정구(330)의 고정구 장착홈(334)에 나선 결합되면서 완충부재(340)를 가압 및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가압부재(350)로 구성되는 차단부(3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부품 장착공(120)으로 상기 부품 장착공(120)에 끼움 결합되고 외측에는 단차부(622)가 형성되는 내부 실링(620), 상기 내부 실링(620)의 단차부(622)와 결합되는 결합부(642)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면(644)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유입방지돌기(646)가 형성되는 외부 실링(640), 상기 내부 실링(620)과 외부 실링(640)의 연결부분(622, 642)을 고정하는 체결구(660)로 구성되는 유입 차단부(6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내부 하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송풍기(410), 상기 송풍기(4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터(420), 상기 히터(4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판(430), 상기 지지판(43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격자형상의 바닥판(440), 상기 송풍기(410)와 히터(4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50), 상기 건조부(400)를 제어하는 건조제어부(460)로 구성되는 건조부(400)를 장착하면,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전선 관통공(110)에 장착되는 차단부(300)에 전선을 인입하면 된다.
이후,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상태에 따라 건조부(400)를 이용하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면서 물과 수증기가 형성되는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소방용 지중배전설비 110 : 전선 관통공
120 : 부품 장착공 130 : 도어
200 : 방수수단 300 : 차단부
310 : 관통공 고정부재 320 : 전선 고정실링
330 : 고정구 340 : 완충부재
350 : 가압부재 360 : 결합부재
400 : 건조부 410 : 송풍기
420 : 히터 430 : 지지판
440 : 바닥판 450 : 전원부
460 : 건조제어부 500 : 송풍부
510 : 감지센서 520 : 송풍기
530 : 메인관 540 : 분기관
600 : 유입 차단부 620 : 내부 실링
640 : 외부 실링 660 : 체결구

Claims (4)

  1. 지면에 매설되는 소방용 지중배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전선 관통공(110)에 각각 장착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300)와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용된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부(400)를 포함하는 방수수단(200)이 장착되되,
    상기 차단부(300)는 상기 전선 관통공(110)에 끼움 장착되고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312)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관통공 고정부재(310),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의 가이드 홈(312)을 따라 결합되고 내면(322)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전선 고정실링(320), 상기 관통공 고정부재(310)가 장착된 상기 전선 관통공(110)의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부재 삽입홈(332)이 형성되며, 외부 중앙에는 내면(336)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구 장착홈(334)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330), 상기 고정구(330)의 고정구 장착홈(334)에 삽입되고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완충부재(340), 상기 고정구(330)의 고정구 장착홈(334)에 나선 결합되면서 완충부재(340)를 가압 및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가압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부(40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송풍기(410), 상기 송풍기(4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터(420), 상기 히터(4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지판(430), 상기 지지판(43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격자형상의 바닥판(440), 상기 송풍기(410)와 히터(4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50), 상기 건조부(400)를 제어하는 건조제어부(46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300)를 구성하는 가압부재(350)의 외부에 위치한 고정구 장착홈(334)에 외면(362)에 나선이 형성되고 내부에 가이드 홈(364)이 형성된 결합부재(360)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360)의 가이드 홈(364)에는 내면에 간격을 두고 쐐기 형상의 돌기(372)가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재(3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를 구성하는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 장착공(120)에는 유입 차단부(600)가 장착되되, 상기 유입 차단부(600)는 부품 장착공(120)에 끼움 결합되고 외측에는 단차부(622)가 형성되는 내부 실링(620), 상기 내부 실링(620)의 단차부(622)와 결합되는 결합부(642)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면(644)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유입방지돌기(646)가 형성되는 외부 실링(640), 상기 내부 실링(620)과 외부 실링(640)의 연결부분(622, 642)을 고정하는 체결구(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상부에는 온도차에 따른 수증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송풍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부(500)는 소방용 지중배선설비(100)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0),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송풍기(520), 상기 송풍기(520)의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관(530), 상기 메인관(530)의 끝단에 결합되는 분기관(5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4. 삭제
KR1020170089681A 2017-07-14 2017-07-14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KR10183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81A KR101835591B1 (ko) 2017-07-14 2017-07-14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81A KR101835591B1 (ko) 2017-07-14 2017-07-14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591B1 true KR101835591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681A KR101835591B1 (ko) 2017-07-14 2017-07-14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0396A (zh) * 2020-10-15 2021-01-29 广州腾涟晟建材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高效散热型配电柜
CN112398039A (zh) * 2020-10-21 2021-02-2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视化户外环网柜加热除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7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317904B1 (ko) * 2013-08-14 2013-10-16 주식회사 한국안전기술단 지중배전선로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1716089B1 (ko) * 2016-05-23 2017-03-14 김상조 습기 및 결로 방지가 가능한 배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7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317904B1 (ko) * 2013-08-14 2013-10-16 주식회사 한국안전기술단 지중배전선로 연결용 배전커넥터
KR101716089B1 (ko) * 2016-05-23 2017-03-14 김상조 습기 및 결로 방지가 가능한 배전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0396A (zh) * 2020-10-15 2021-01-29 广州腾涟晟建材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高效散热型配电柜
CN112398039A (zh) * 2020-10-21 2021-02-2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视化户外环网柜加热除湿装置
CN112398039B (zh) * 2020-10-21 2022-09-2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视化户外环网柜加热除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835591B1 (ko)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262797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231161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KR101329799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835595B1 (ko) 송배전용 지중 인입케이블 입상관 보호구조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2308260B1 (ko)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KR20120041838A (ko) 소방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85753A (ko)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KR101709324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US2234640A (en) Service fitting
KR101716612B1 (ko) 전기기구용 방수캡
KR101380413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0920147B1 (ko) 배전용 배관파이프 지지구조
US5505027A (en) Service conduit drain
KR102091183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누수방지 커넥터
KR101151291B1 (ko)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US20130000073A1 (en) Pipe sleeve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CN105870848A (zh) 防止电缆开裂的电缆夹具
KR20190140198A (ko) 수직배관 내부의 동파방지용 열선 지지장치
KR101854903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