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39B1 -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39B1
KR101638939B1 KR1020160027748A KR20160027748A KR101638939B1 KR 101638939 B1 KR101638939 B1 KR 101638939B1 KR 1020160027748 A KR1020160027748 A KR 1020160027748A KR 20160027748 A KR20160027748 A KR 20160027748A KR 101638939 B1 KR101638939 B1 KR 10163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elastic pieces
fixing part
downwar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160027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배전선 보호관을 이루는 관체와 관체커버의 결합이 밀폐성 패킹 구조로 형성되고, 배전선 보호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재를 구비하여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Tube for Protecting Power Supply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공급되는 전기기술 분야 기술 중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 보호관을 이루는 관체와 관체커버의 결합이 밀폐성 패킹 구조로 형성되고, 배전선 보호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재를 구비하여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기 누전과 합선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인 아파트는 현대 사회에서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여러 엘이디 기구를 포함한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배전선만 배선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전선은 벽체에 설치되는 보호관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해결한 종래기술의 일 실시 에에 의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19624호(2012.02.16.)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이 잘 알려져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특허 제10-1119624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보호관과 전선지지판, 금속판, 커버, 고정클립, 누전감지기 및 경보장치로 구성되어 내설된 전선 간의 간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 보호관은 고정클립만 해제하면 쉽게 보호관과 커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관리자 이외에 제3자(예컨대, 어린아이)의 접근이 쉬워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호관의 경우 측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습한 지역 예컨대, 지하실과 같은 곳에 설치할 경우 침투수의 유입이 용이하여 전기합선으로 인한 단전 또는 화재가 종종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19624호(등록일: 2012년 02월 16일), 발명의 명칭: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 보호관을 이루는 관체와 관체커버의 결합이 밀폐성 패킹 구조로 형성되고, 배전선 보호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재를 구비하여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양단에 전선(10)이 내부로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1)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전선(10)을 지지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내측면의 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선지지부(10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관체(100); 및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관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고, 내측면의 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선고정부(20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고정부(201)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가압부재(20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전선고정부(201)의 양측 테두리의 하면이 상기 전선지지부(102)의 양측 테두리의 상면과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202)가 상기 전선지지부(102)의 중심부를 따라 서로 맞대어지면서 가압하여 고정되는 관체커버(2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고정부(201)는 상기 가압부재(202)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 스프링지지대(300)와 제2 스프링지지대(400)가 전선고정부(201)의 하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300)와 제2 스프링지지대(400)의 하부 끝단에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의 하부 끝단에 일정 크기의 제1 브래킷(320)과 제2 브래킷(420)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브래킷(3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선지지부(102)에 매립되고 'C'자 형태로 되어 있는 반원 형태가 서로 대칭되도록 제1 탄성편(330, 332)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편(330, 332)의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브래킷(331, 3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래킷(4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선지지부(102)에 매립되고 'C'자 형태로 되어 있는 반원 형태가 서로 대칭되도록 제2 탄성편(430, 432)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의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브래킷(431, 4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편(330, 332)과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전선(10)이 안쪽으로 각각 삽입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전선(10)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게 되고, 상기 관체(100)는 개구된 상부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100)의 상면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단차진 걸림턱(103a)이 형성된 걸림돌기(103)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103)는 걸림턱(103a)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제1 측면(104)과, 상기 제1 측면(104)과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방 연장된 제2 측면(106)으로 이루어진 홈에 실링부재(120)가 위치하고, 상기 관체커버(200)는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0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03)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하향돌기(205)가 형성되고, 결합돌기(203)는 하향돌기(205)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저면(206)과, 상기 저면(206)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되어 상기 관체(100)의 받침턱(107)의 상면에 탑재되는 하향걸림부(207)과, 상기 하향걸림부(207)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파여진 걸림홈(208)에 상기 관체(100)의 걸림턱(103a)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력이 축전지에 충전되어 배전자동화설비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제공됨에 따라 노이즈와 서지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독립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의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트래킹하도록 하여 태양광 집광 효율을 극대화하여 배전자동화설비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관체와 관체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관체와 관체커버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지하실이나 욕실과 같은 습한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 침투수의 유입이 용이하여 전기합선으로 인한 단전 또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배전선 보호관을 이루는 관체와 관체커버의 결합이 밀폐성 패킹 구조로 형성되고, 배전선 보호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재를 구비하여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관체와 관체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관체와 관체커버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관체(100) 및 관체커버(200)를 포함하며,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매우 습한 지역인 지하실에 설치되어 내설된 전선(1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전선(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관체(1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을 이루어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관으로서, 양단에 전선(10)이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타단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1)이 형성된다.
관체(100)는 개구된 상부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100)의 상면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단차진 걸림턱(103a)이 형성된 걸림돌기(103)가 돌출된다.
걸림돌기(103)는 걸림턱(103a)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제1 측면(104)과, 상기 제1 측면(104)과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방 연장된 제2 측면(106)으로 이루어진 홈에 실링부재(120)가 위치한다. 상기 제2 측면(106)은 제1 측면(104)보다 길이가 짧게 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 측면(106)은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턱(107)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107)의 일단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방 연장된 걸림편(108)을 형성한다.
바닥면(105), 받침턱(107) 및 걸림편(108)은 계단식으로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관체커버(200)는 관체(100)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 및 침투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관체커버(20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03)가 형성되고, 결합돌기(203)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하향돌기(205)가 형성된다.
결합돌기(203)의 끝단 테두리에는 상기 관체(100)의 걸림턱(103a)의 상면에 올려지는 돌출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203)는 하향돌기(205)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저면(206)과, 상기 저면(206)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되어 상기 관체(100)의 받침턱(107)의 상면에 탑재되는 하향걸림부(207)과, 상기 하향걸림부(207)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파여진 걸림홈(208)에 상기 관체(100)의 걸림턱(103a)이 끼워져 결합된다.
돌출부(204), 저면(206) 및 하향걸림부(207)는 계단식으로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실링부재(12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서 제1 측면(104), 바닥면(105), 제2 측면(106), 저면(206)으로 이루어진 홈에 밀착되어 압축되며, 결합돌기(203)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걸림돌기(103)와 결합돌기(203)의 결합은 관체(100)와 관체커버(200)의 밀폐성을 강화하게 된다.
관체(100)는 내부공간부(101)의 내측면에 전선(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내측면의 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선지지부(10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선지지부(102)는 관체(100)의 전선삽입공(11)으로 통해 삽입된 전선(1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관체(10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관체커버(200)는 내측면의 호 형상을 따라 전선고정부(20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선고정부(201)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가압부재(20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상기 가압부재(202)는 전선지지부(102)의 중심부를 따라 서로 맞대어지면서 가압하여 고정된다.
관체커버(200)는 상기 전선고정부(201)의 양측 테두리의 하면이 상기 전선지지부(102)의 양측 테두리의 상면과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전선고정부(201)는 길이 방향의 가압부재(202)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 스프링지지대(300)와 제2 스프링지지대(400)가 전선고정부(201)의 하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스프링지지대(300)와 제2 스프링지지대(400)는 하부 끝단에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는 하부 끝단에 일정 크기의 제1 브래킷(320)과 제2 브래킷(420)이 결합된다.
상기 제1 브래킷(3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선지지부(102)에 매립되고 'C'자 형태로 되어 있는 반원 형태가 서로 대칭되도록 제1 탄성편(330, 332)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편(330, 332)의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브래킷(331, 3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편(330, 332)은 전선(10)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게 된다.
경질 형태의 제1 고정단(340)은 제1 후크브래킷(331, 333)과 제1 탄성편(330, 332)의 하부 일부가 매립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제2 브래킷(4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선지지부(102)에 매립되고 'C'자 형태로 되어 있는 반원 형태가 서로 대칭되도록 제2 탄성편(430, 432)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의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브래킷(431, 4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은 전선(10)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게 된다.
경질 형태의 제2 고정단(440)은 제2 브래킷(431, 433)과 제2 탄성편(430, 432)의 하부 일부가 매립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제1 탄성편(330, 332)과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전선(10)이 안쪽으로 각각 삽입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전선(10)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게 된다.
상기 제1 후크브래킷(331, 333)과 상기 제2 후크브래킷(431, 433)은 제1 고정단(340)과 제2 고정단(440)에 걸림부재로 걸려 단단히 고정된다.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이 제1 브래킷(320)과 제2 브래킷(420)을 압박하면서 상기 제1 탄성편(330, 332)과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을 전선(10)에 더욱 밀착시키며, 상기 제1 탄성편(330, 332)과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이 제1 고정단(340)과 제2 고정단(440)에 파묻혀 고정되어 침투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관체 101: 내부공간부
102: 전선지지부 103: 걸림돌기
103a; 걸림턱 104: 제1 측면
105: 바닥면 106: 제2 측면
107: 받침턱 108: 걸림편
120: 실링부재 200: 관체커버
201: 전선고정부 202: 가압부재
203: 결합돌기 204: 돌출부
205: 하향돌기 206: 저면
207: 하향걸림부 300: 제1 스프링지지대
310: 제1 스프링부재 320: 제1 브래킷
330, 332: 제1 탄성? 331, 333: 제1 후크브래킷
340: 제1 고정단 400: 제2 스프링지지대
410: 제2 스프링부재 420: 제2 브래킷
430, 432: 제2 탄성? 431, 433: 제2 후크브래킷
440: 제2 고정단

Claims (1)

  1.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양단에 전선(10)이 내부로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1)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전선(10)을 지지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내측면의 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선지지부(10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관체(100); 및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관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고, 내측면의 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선고정부(20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고정부(201)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가압부재(20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전선고정부(201)의 양측 테두리의 하면이 상기 전선지지부(102)의 양측 테두리의 상면과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202)가 상기 전선지지부(102)의 중심부를 따라 서로 맞대어지면서 가압하여 고정되는 관체커버(2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고정부(201)는 상기 가압부재(202)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1 스프링지지대(300)와 제2 스프링지지대(400)가 전선고정부(201)의 하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300)와 제2 스프링지지대(400)의 하부 끝단에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310)와 제2 스프링부재(410)의 하부 끝단에 일정 크기의 제1 브래킷(320)과 제2 브래킷(420)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브래킷(320)의 하부면은 상기 전선지지부(102)에 매립되고 'C'자 형태로 되어 있는 반원 형태가 서로 대칭되는 제1 탄성편(330, 332)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편(330, 332)의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브래킷(331, 3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래킷(420)의 하부면은 상기 전선지지부(102)에 매립되고 'C'자 형태로 되어 있는 반원 형태가 서로 대칭되는 제2 탄성편(430, 432)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의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브래킷(431, 4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편(330, 332)과 상기 제2 탄성편(430, 432)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전선(10)이 안쪽으로 각각 삽입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전선(10)의 둘레를 밀착하여 감싸게 되고,
    상기 관체(100)는 개구된 상부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체(100)의 상면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단차진 걸림턱(103a)이 형성된 걸림돌기(103)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103)는 걸림턱(103a)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제1 측면(104)과, 상기 제1 측면(104)과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105)과, 상기 바닥면(105)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방 연장된 제2 측면(106)으로 이루어진 홈에 실링부재(120)가 위치하고,
    상기 관체커버(200)는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0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03)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하향돌기(205)가 형성되고, 결합돌기(203)는 하향돌기(205)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저면(206)과, 상기 저면(206)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방 연장되어 상기 관체(100)의 받침턱(107)의 상면에 탑재되는 하향걸림부(207)와, 상기 하향걸림부(207)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파여진 걸림홈(208)에 상기 관체(100)의 걸림턱(103a)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160027748A 2016-03-08 2016-03-08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48A KR101638939B1 (ko) 2016-03-08 2016-03-08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48A KR101638939B1 (ko) 2016-03-08 2016-03-08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939B1 true KR101638939B1 (ko) 2016-07-12

Family

ID=5650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748A KR101638939B1 (ko) 2016-03-08 2016-03-08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9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36B1 (ko) * 2018-02-05 2018-08-06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2064350B1 (ko) 2019-07-29 2020-01-10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080159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KR20210121867A (ko) * 2020-03-31 2021-10-08 (주)다우티이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전선 보호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24B1 (ko)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499023B1 (ko) * 2015-02-03 2015-03-05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화재확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24B1 (ko)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499023B1 (ko) * 2015-02-03 2015-03-05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화재확산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36B1 (ko) * 2018-02-05 2018-08-06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2064350B1 (ko) 2019-07-29 2020-01-10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080159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KR20210121867A (ko) * 2020-03-31 2021-10-08 (주)다우티이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전선 보호커버
KR102361873B1 (ko) 2020-03-31 2022-02-14 (주)다우티이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전선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939B1 (ko)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JP6300944B2 (ja) スマートハウスの電源接続システム
KR101180921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25916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20180122167A (ko) 방수 콘센트
KR20080002503U (ko) 방우형 콘센트
JP5950770B2 (ja) 防水形電子基板ボックス
KR101664210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641667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KR101259168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CN214254876U (zh) 一种防水后接式漏电保护插头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20180043562A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CN209607118U (zh) 一种智能家居用监测装置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101140175B1 (ko) 전력함
KR200343986Y1 (ko) 콘센트 커버장치
KR101725977B1 (ko)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CN217935061U (zh) 一种建筑电气智能化漏电保护装置
KR101501990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0974354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