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503U - 방우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방우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503U
KR20080002503U KR2020070000140U KR20070000140U KR20080002503U KR 20080002503 U KR20080002503 U KR 20080002503U KR 2020070000140 U KR2020070000140 U KR 2020070000140U KR 20070000140 U KR20070000140 U KR 20070000140U KR 20080002503 U KR20080002503 U KR 200800025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outlet
cover plat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2844Y1 (ko
Inventor
김기호
정진균
Original Assignee
(주)메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가이엔지 filed Critical (주)메가이엔지
Priority to KR20070000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4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우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공 내로 물기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누전사고 및 감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기(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옥내,외에 매설된 전기배선이 연결결합됨으로 플러그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콘센트본체가 후방에 결합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일면을 차단하여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유닛과;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 및 차단유닛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방우, 방수, 콘센트, 플러그, 케이스, 차단유닛, 차단판, 슬라이딩편

Description

방우형 콘센트{RAINPROOF TYPE AN SOCKET}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방수 콘센트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방수 콘센트의 덮개판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차단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차단판이 덮개판에 끼움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방우형 콘센트, P : 플러그
S : 콘센트본체, S-1 : 단자대
S-1a : 단자공, M : 멀티탭
100 : 덮개판, 100a : 유닛수용함
110 : 플러그삽입공, 120 : 차단판끼움부
120a : 연장편끼움부, 121 : 분리안내호
130 : 유닛입상홀, 131 : 입상안내호,
200 : 차단유닛, 201 : 연장편
201a : 제2가이드돌기, 201a-1 : 스프링결합봉
210 : 차단판, 211 : 인출단턱
212 : 걸림단턱, 213 : 분리단턱
220 : 슬라이딩편, 221 : 제1가이드돌기
222 : 연장편수용홀, 230 : 제1탄성스프링
240 : 제2탄성스프링, 300 : 케이스
301 : 격벽, 310 : 본체수용부
320 : 유닛수용부, 321 : 가이드홀
본 고안은 방우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공 내로 물기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누전사고 및 감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SOCKET/RECEPTACLE/OUTLET : Concentic plug)라 함은, 옥내외 전기배 선과 코드(플러그/Plug)의 접속에 쓰이는 전기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정격전압은 100V/220V이고 정격전류는 10~50A이며, 주로 벽면에 내설하는 매입형과 바닥에 설치하는 노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인 콘센트본체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단자를 끼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자공은 항상 외부로 개구된 구조로 물기(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투 우려가 있어, 우천에 영향을 받는 옥외 또는 물의 사용이 빈번한 실내의 욕실에 설치된 경우에는 누전사고 및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물의 사용이 빈번한 욕실(또는 샤워실)이나 주방 등과 같은 실내의 벽면에 매설된 상기 매입형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에 플러그 접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실내 바닥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멀티탭(Multi-tap) 등은, 목욕에 사용된 물방울이 튀거나 국, 찌개 등의 음식물 찌꺼기가 떨어져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방수(방우)수단이 더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건축현장에서는 각종 전동공구나 기계장치들을 사용하여야 하는 특성상 콘센트박스를 옥외 바닥에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빗물이나 작업용수와 같은 물기 또는 못이나 철가루와 같은 도전성 이물질이 내부로 쉽게 침투되어 누전 및 감전에 따른 인명사고가 끊임없이 초래되어 왔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85343호에서는,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덮도록 덮개판을 결착시켜 콘센트몸체 내로 물이 침투함을 차단토록 방수특성을 갖도록 한 방수 콘센트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방수 콘센트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방수 콘센트의 덮개판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용 콘센트는, 콘센트몸체와 벽면에 고정되는 금속 브라켓 사이에 고무판으로 실링하고 덮개판을 가지는 방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몸체(5) 및 고무판(4)을 통체로 감싸도록 결합되고, 플러그삽입구멍(11)이 있는 덮개판(10)과; 상기 플러그삽입구멍(11) 내로 끼움고정되는 플러그(7)를 상기 덮개판(10) 위에서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후크(21)로 덮개판(10)과 개폐되는 누수차단캡(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덮개판(10)의 프러그삽입구멍(11) 주변으로 상기 누수차단캡(20)에 대응하는 일정높이의 돌출댐(12)을 형성하고, 상기 누수차단캡(20)과 덮개판(10)은 힌지봉(22)으로 유착되고, 상기 덮개판(10)에는 누수방지캡(20)의 후크(21)를 고정가능케 하는 한쌍의 후크결합공(14)이 더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10)에 결합된 누수차단캡(20)을 연 다음, 플러그(7)을 덮개판(10) 및 콘센트몸체(5)에 끼움고정시키고 플러그(7)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플러그(7)가 "ㄱ "자 형태가 아닌 일자형 일 때에는 상기 누수차단캡(20)을 강제로 눌러 코드를 절곡시킨 후, 후크(21)를 후크결합공(14)에 끼움시켜 누수차단캡(20)의 벌어짐을 예방함으로 물의 튀김이 플러그(7)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10)과 누수차단캡(20)의 힌지부위를 통해 물기가 스며들 경우라도, 돌출댐(12)에 의해 덮개판(10) 표면으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누전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수 콘센트를 통하여 물기나 이물질이 단자공 내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어 감전/누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는 있으나, 상기 누수차단캡(20)이 콘센트몸체(5)의 전방으로 과다하게 돌출됨에 따라, 콘센트의 그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어 비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자 활동을 제한하게 되고,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자의 잦은 이동으로 누수차단캡(20)이 분리됨과 같은 제품파손의 야기로 인해 방수(방우)기능을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히, 전기접속을 위한 플러그를 삽입하여 접속을 이루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콘센트몸체(5) 전면에 누수차단캡(20)의 결합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불필요한 공간의 차지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성 및 그에 따른 활용도가 극히 저하될 수밖에 없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콘센트본체의 단자대를 덮어 차단할 수 있는 반면, 플러그의 끼움 접속시에는 상기 콘센트본체의 일측 내부로 슬라이딩 매입되는 차단판을 구비하여, 방수(방우)의 효과와 더불어 불필요한 공간의 차지 및 구성부재 파손의 우려를 말끔히 해소함에 따른 제품활용성의 극대한 방우형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방우형 콘센트는, 물기(수 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옥내,외에 매설된 전기배선이 연결결합됨으로 플러그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콘센트본체가 후방에 결합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일면을 차단하여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유닛과;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 및 차단유닛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차단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차단판이 덮개판에 끼움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A)는, 물기(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옥내외에 매설된 전기배선이 연결결합됨으로 플러그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콘센트본체(S)가 후방에 결합된 덮개판(100)과; 상기 덮개판(100)의 일면을 차단하여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유닛(200)과; 상기 콘센트본체(S) 및 차단유 닛(2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센트본체(S)는, 별도의 금속 브라켓을 통하여 옥내외 벽면이나 바닥면에 매설된 전기배선과 연결됨으로 전기제품에 외부전원의 공급을 가능케 하는 통상의 전원공급수단으로, 상기 전기제품의 플러그(P)를 끼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공(S-1a)이 단부면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자대(S-1)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판(100)은, 전기배선의 외부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본체(S)의 전면부 전체를 감싸 결합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판체형이고, 상기 콘센트본체(S)의 단자대(S-1)만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한 플러그삽입공(110)과, 상기 플러그삽입공(110)을 밀폐시키기 위한 상기 차단유닛(200)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끼움부(120)와, 상기 차단유닛(200)이 케이스(300)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거나 외부노출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유닛입상홀(130)이 금형공정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끼움부(120)와 유닛입상홀(130) 사이에는 이후 후술될 차단유닛(200)의 연장편을 수용하기 위한 연장편끼움부(120a)가 내향절곡되게 더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차단유닛(200)의 외부입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안내호(131)가 상기 유닛입상홀(130)의 일단부면에 내향된 반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100)의 차단판끼움부(120)에 끼움고정되어지는 상기 차단유닛(200)의 고정해제를 위한 분리안내호(121)가 상기한 입상안내호(131)와 동일 형태로 일측에 형성된다.
차단유닛(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100)의 차단판끼움부(120)를 밀폐시켜 상기 콘센트본체(S)의 단자대(S-1)에 형성된 단자공(S-1a) 내로 물기 및 이물질이 투입될 수 있음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 일측으로 수용되거나 상기 덮개판(100)의 외부 일측으로 입상된 후 차단판끼움부(120)를 완전히 밀폐시킴과 같이 끼움고정되는 차단판(210)과, 상기 차단판(210)의 일측에 결합된 채 상기 케이스(300)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편(220)과, 케이스(300)의 내벽면 및 슬라이딩편(220)의 후방 단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210)이 자동적인 복원을 가능케 하는 제1탄성스프링(230)이 하나 이상으로 더 결합 구비된다.
상기 차단판(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대(S-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판(100)의 차단판끼움부(120) 외형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판체로, 상기 케이스(300)의 유닛수용부(320) 및 덮개판(100)의 유닛입상홀(130)로부터 용이하게 외부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출단턱(211)이 일면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대향 타단면 중앙에는 상기 플러그삽입공(110)의 내경면에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의 걸림단턱(212)이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양단면 사이의 절곡된 테두리 단부에는 상기 차단판끼움부(120) 내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단턱(2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단턱(212)과 분리단턱(213)을 각각 손가락으로 걸어 들어올림으로 상기 차단판(210)의 외부인출 및 고정해제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며, 상기 덮개판(100)에 각각 형성된 입상안내호(131) 및 분리안내호(121)에 의해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함이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편(220)은,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채 상기 차단판(210)의 내부수용 및 외부인출 또는 그의 절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막대편으로써, 전후 이동안내를 위한 복수의 제1가이드돌기(221)가 상,하단에 각각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차단판(210)의 일단에는 상하 양단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가이드돌기(201a)가 형성된 연장편(201)이 일체로 더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딩편(220)의 중앙에는 상기 연장편(201)의 전후 이동을 위한 연장편수용홀(222)이 통공되게 형성됨에 따라, 차단판(210)과 슬라이딩편(220)의 조립결합 및 차단판(210)이 슬라이딩편(220)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돌기(201a)에 의해 소정의 이격간격을 형성하여 연장될 수 있으면서도 절첩 가능케 되어 상기 덮개판(100)의 차단판끼움부(120)에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연장편(201)의 제2가이드돌기(201a)가 형성된 끝단의 중앙부에 스프링결합봉(201a-1)이 일체로 더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편(220)의 후방단에 걸림되는 제2탄성스프링(240)이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차단판(210)이 슬라이딩편(220)의 일면에 밀착됨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3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본체(S)와 차단유닛(200)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덮개판(100)과 일체로 결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콘센트본체(S)의 보호 및 전기배선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 기 콘센트본체(S)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수용부(310)와, 상기 차단유닛(200)을 수용할 수 있는 유닛수용부(320)가 형성되며, 이는 격벽(301)에 의해 구분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닛수용부(320)는, 콘센트본체(S)에 형성된 단자대(S-1)의 갯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의 상,하단면 각각에는 상기 차단유닛(200)의 슬라이딩편(220)이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321) 내부로 슬라이딩편(220)의 제1가이드돌기(221)가 삽입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덮개판(100)의 후방 일측단에 상기 차단유닛(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닛수용함(100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케이스(300)의 구성을 생략하고 실내 내벽면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플러그를 꼽을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멀티탭(M)에 적용할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202)는 상기 연장편(201)이 형성된 덮개판(100)의 그 대향 둘레면 상,하 끝단에 각각 결합됨과 아울러 외측방으로 활개 이동이 가능케 구비되어, 상기 유닛입상홀(130)에 수용된 차단판(210)의 잠김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로킹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편(220)의 연장편수용홀(222) 내부로 차단판(210)의 연장편(201)을 끼워 결합한 다음, 상기 연장편(201)의 일단에 형성된 스프링결합공(201a-1)과 슬라이딩편(220)의 후방단에 걸림되는 제2탄성스프링(240)을 체결하여 상기 차단판(210)이 슬라이딩편(220)에 밀착될 수 있는 자동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편(220)의 후방 측단부 및 상기 케이스(300)의 내벽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탄성스프링(230)을 함께 체결시켜줌으로 상기 슬라이딩편(220)이 케이스(300)의 후방측으로 복원력을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같이, 상기 유닛수용부(320) 내에 차단유닛(200)을 수용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딩편(220)의 제1가이드돌기(221)를 가이드홀(321)에 끼움시켜 용이한 전후 이동성을 갖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본체수용부(310) 내에 콘센트본체(S)를 수용함과 동시에 덮개판(100)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콘센트본체(S)의 보호 및 전기배선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감전사고의 예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과정을 거쳐, 본 고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A)의 구성이 완료되는 것이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유닛(200)이 케이스(300)의 유닛수용부(32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기제품의 플러그(P)를 콘센트본체(S)의 단자대(S-1)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단자공(S-1a) 내로 플러그(P)의 단자가 접속되어 외부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P)를 뽑아 상기 콘센트본 체(S)의 단자대(S-1)에서 분리시킴으로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자대(S-1)의 단자공(S-1a)으로 물기(수분) 또는 이물질이 투입(유입)되는 것을 방지를 위한 차단유닛(200)을 상기 케이스(300) 내부로부터 덮개판(100)의 전면으로 입상시킴과 동시에 그의 외부 일면에 형성된 차단판끼움부(120)를 밀폐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100)의 유닛입상홀(130)에 의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차단판(210)을 덮개판(100) 전면으로 노출시키되, 상기 차단판(210)의 일면에 형성된 인출단턱(211)을 걸어 들어올려줌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입상안내호(131)에 의해 그와 같은 작업을 간단히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차단판(210)의 외부 인출과정은, 그의 후방측에 결합된 슬라이딩편(220)이 상기 유닛수용부(320)의 가이드홀(321)에 안내되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딩편(220)이 유닛입상홀(130)에 까지 미치게 되면 상기 제1가이드돌기(221)가 덮개판(100)의 후면에 걸려 정지됨으로 더 이상의 진출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차단판(210)을 계속해서 더 잡아당기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일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편(201)이 상기 슬라이딩편(220)의 연장편수용홀(222)에 안내되어 외부로 이격 연장됨과 함께 상기 연장편(201)의 상,하 양단에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201a)에 의해 상기 차단판(210)이 슬라이딩편(220)과 직교형태로 절첩을 이루어 상기 덮개판(100)의 차단판끼움부(120)에 끼움고정됨으로 인해 단자대(S-1)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210)의 일단면에 링형으로 소정크기 돌출된 걸림단턱(212)이 상기 플러그삽입공(110)의 내경면에 억지끼움됨으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와 같이 덮개판(100)의 차단판끼움부(120)에 끼움고정된 상기 차단판(2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케이스(300) 내부로 차단유닛(200)의 수용을 이루기 위하여는, 상기 차단판(210)의 일 둘레면에 형성된 분리단턱(213)을 들어올림으로써 차단판끼움부(120)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분리단턱(213)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음을 상기 분리안내호(121)를 통해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상태가 해제된 차단판(210)을 상기 슬라이딩편(220)과 일치되게 펼쳐줌에 따라, 연장편(201)이 상기 연장편수용홀(222) 내로 제2탄성스프링(201a-1)에 의해 자동으로 복원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판(210)이 슬라이딩편(220)과 밀착되는 것이며, 그 후 상기 슬라이딩편(220) 역시 상기 제1탄성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유닛입상홀(130)을 거쳐 케이스(300)의 유닛수용부(320) 내로 자동적 수용을 이룸에 따라, 상기 덮개판(10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 내부로 차단판(210)이 완전한 수용을 이루게 되면, 그의 일 둘레면 상,하단 각각에 결합된 복수의 로킹편(202)을 외측방으로 활개시켜 상기 유닛입상홀(130)의 상,하단 일면에 끼움되게 함으로써, 상기 차단판(210)이 잠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방우형 콘센트는, 불필요하게 외부로 방수수단이 노출된 종래의 콘센트와 달리,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단자대에 꽂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경우, 차단유닛이 케이스의 유닛수용부 내로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여 설치공간 및 작업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제품의 파손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를 분리함과 같이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덮개판의 차단판끼움부를 상기 차단유닛의 차단판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단자대 내로 침투되는 물기(수분)의 차단효과와 함께 아이들이 젓가락 등을 단자공에 집어넣음에 의한 누전사고 또는 감전사고와 같은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물기(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옥내,외에 매설된 전기배선이 연결결합됨으로 플러그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콘센트본체가 후방에 결합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일면을 차단하여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유닛과;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 및 차단유닛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합성수지재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판체형이고, 상기 콘센트본체의 단자대만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한 플러그삽입공과, 상기 플러그삽입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상기 차단유닛이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판끼움부와, 상기 차단유닛이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거나 외부노출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유닛입상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으로 수용되거나 상기 덮개판의 외부 일측으로 입상된 후 차단판끼움부를 완전히 밀폐시킴과 같이 끼움고정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일측에 결합된 채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편과, 케이스의 내벽면과 슬라이딩편의 후방단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의 자동복원을 가능케 하는 제1탄성스프링,이 결합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4.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후방 일측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구성을 생략하고 실내 내벽면에 적접 설치가 가능토록 상기 차단유닛을 함께 수용하기 위한 유닛수용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차단판끼움부 외형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판체로, 상기 케이스의 유닛수용부 및 덮개판의 유닛입상홀로부터 용이하게 외부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출단턱이 일면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대향 타단면 중앙에는 상기 플러그삽입공의 내경면에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의 걸림단턱이 소정크기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들 양단면 사이의 절곡된 테두리 단부에는 상기 차단판끼움부 내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6.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일 둘레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편으로부터 이격된 연장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편,이 일체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KR20070000140U 2007-01-04 2007-01-04 방우형 콘센트 KR200442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0140U KR200442844Y1 (ko) 2007-01-04 2007-01-04 방우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0140U KR200442844Y1 (ko) 2007-01-04 2007-01-04 방우형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03U true KR20080002503U (ko) 2008-07-09
KR200442844Y1 KR200442844Y1 (ko) 2008-12-15

Family

ID=4132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0140U KR200442844Y1 (ko) 2007-01-04 2007-01-04 방우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4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2400A (zh) * 2018-06-23 2018-09-07 利亚德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防雨型无风扇开关电源
KR200490758Y1 (ko) 2019-06-10 2019-12-30 곽판수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7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55Y1 (ko) 2015-10-29 2017-03-09 곽판수 방우형 케이싱 유닛
KR200483196Y1 (ko) 2015-12-03 2017-04-13 곽판수 방우형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2400A (zh) * 2018-06-23 2018-09-07 利亚德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防雨型无风扇开关电源
KR200490758Y1 (ko) 2019-06-10 2019-12-30 곽판수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6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KR20230000117U (ko) 2021-07-06 2023-01-13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844Y1 (ko) 200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844Y1 (ko) 방우형 콘센트
KR101407532B1 (ko) 방수콘센트
CN105594071B (zh) 用于电适配器的闭合密封件
CN104064916A (zh) 一种安全插座
GB2435554A (en) Watertight electric socket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CN201332190Y (zh) 过载自动断电安全插头
KR101573487B1 (ko)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KR101360778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AU2010100095A4 (en) Outdoor electrical adaptor
KR20150136906A (ko) 콘센트 안전장치
CN101441001B (zh) 电热水器防触电保护箱
KR200479997Y1 (ko)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CN208142394U (zh) 三极通断漏电保护插头
JP3117134U (ja) 延長コード
KR20180043562A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100814734B1 (ko) 콘센트보호 커버
KR101573492B1 (ko) 콘센트의 이물질 유입 및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CN205159684U (zh) 一种具有漏电保护器的墙插及排插
KR10096789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0657042B1 (ko)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101360779B1 (ko) 플러그와 안정하게 결속되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1501990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