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96Y1 - 방우형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우형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96Y1
KR200483196Y1 KR2020150007908U KR20150007908U KR200483196Y1 KR 200483196 Y1 KR200483196 Y1 KR 200483196Y1 KR 2020150007908 U KR2020150007908 U KR 2020150007908U KR 20150007908 U KR20150007908 U KR 20150007908U KR 200483196 Y1 KR200483196 Y1 KR 200483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fixing
clip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판수
Original Assignee
곽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판수 filed Critical 곽판수
Priority to KR2020150007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된 멀티 탭 또는 전기적으로 결속된 전선이 밀폐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빗물과 같은 물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감전과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와 전기 장치 및 시설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케이스는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보호대상물이 수용되는 폐쇄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며 벽면 측에 밀착 거치 가능하도록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보호대상물로부터 연장된 전선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전선들이 상기 관통구 내로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일방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우형 케이스{Rainproof type case}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된 멀티 탭 또는 전기적으로 결속된 전선이 밀폐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빗물과 같은 물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감전과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와 전기 장치 및 시설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기계 및 장비 조립 제조 현장 그리고 각종의 산업 현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원거리에 위치한 전원을 커넥터를 통해 작업 장소까지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빗물 등과 같은 물기에 그 연결부위가 노출됨으로써 감전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 되거나 각종 전기 시설물 및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물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우형 커넥터는 플러그를 직접 꽂아서 사용하거나, 특정 목적을 위해 전선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방우형 커넥터가 설치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사용상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우형 커넥터가 구비되지 않은 곳에서는 페트병 등을 이용해 물기의 유입이 차단되게 조치하고 있으나 방우형 커넥터와 같은 방지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감전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또한 고가의 전기 시설물 및 장치가 파손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05281호(2005.12.29)
2.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94108호(2005.08.22)
3.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42844호(2008.12.08)
따라서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된 멀티 탭 또는 전기적으로 결속된 전선이 밀폐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빗물과 같은 물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감전과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와 전기 장치 및 시설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방우형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보호대상물이 수용되는 폐쇄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며 벽면 측에 밀착 거치 가능하도록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보호대상물로부터 연장된 전선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전선들이 상기 관통구 내로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일방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체결볼트에 의해 벽면에 거치 될 수 있도록 거치공이 형성된 다수의 플랩부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은 물기가 고여있지 않고 자중에 의해 즉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전선들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 가장자리에는 고정단턱이 상향 돌출 형성되고 하부방향 가장자리 1/2에는 고정클립이 하향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클립에는 상기 전선들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클립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클립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체결되되, 이를 위해 상기 고정클립의 양측과 상기 마감클립의 양측에는 일체로 마감볼트의 관통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선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의 내측 전방에는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본체에 결합 될 시에 상기 고정돌기가 위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본체 측으로 회동 된 후 상기 결합공 및 볼트체결공에 일체로 체결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 측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우형 케이스는 플러그가 삽입된 멀티 탭 또는 전기적으로 결속된 전선이 밀폐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빗물과 같은 물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감전과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와 전기 장치 및 시설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케이스는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보호대상물이 수용되는 폐쇄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며 벽면 측에 밀착 거치 가능하도록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보호대상물로부터 연장된 전선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전선들이 상기 관통구 내로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일방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케이스(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본체(100)는 그 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보호대상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내부에는 폐쇄된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되 그 하부면은 개방되며 벽면 측에 밀착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그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체결볼트(140)에 의해 벽면에 거치 될 수 있도록 거치공(130)이 형성된 다수의 플랩부재(120)가 구비되며, 상부면은 물기가 고여있지 않고 자중에 의해 즉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전기적으로 도통 되지않고, 동시에 방수효과를 갖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본체(100)는 사용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는 덮개부재(2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전술한 덮개부재(200)는 그 회동 여부에 따라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기 보호대상물로부터 연장된 전선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10)과 통하는 관통구(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덮개부재(200)는 힌지와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관통구(210)의 일방에는 전선들이 관통구(210) 내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대상물은 덮개부재(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10) 내부로 수용되고 전선들은 절개부(280)를 통해 관통구(210) 내로 진입되어 위치되며 그 후에 덮개부재(200)가 본체(100) 측으로 회동되어 결합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앗지만 덮개부재(200)의 가장자리와 본체(10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물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무패킹이 덧대어져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관통구(210)는 전선들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 가장자리에는 고정단턱(220)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상향 돌출 형성되고, 하부방향 가장자리 1/2에는 고정클립(230)이 하향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고정클립(230)에는 전선들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230)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클립(240)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체결되되, 이를 위해 고정클립(230)의 양측과 마감클립(240)의 양측에는 일체로 마감볼트(252)의 관통 체결이 가능하도록 거치공(130)이 형성된 체결돌기(250)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부재(200)가 본체(100)와 결합 된 후 고정클립(230)과 마감클립(240) 내부에 전선이 위치될 수 있게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조립한 다음, 양측 체결돌기(250)의 거치공(130) 내에 마감볼트(252)를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클립(230)과 마감클립(240)이 견고하게 상호 고정되게 한다.
이때 고정클립(230)과 마감클립(240)은 마감볼트(252)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고정클립(230)과 마감클립(240)에 각각 결합 가능한 홈과 돌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볼트 없이 자체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덮개부재(200)의 선단에는 결합공(261)이 형성된 고정돌기(260)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전술한 본체(100)의 하부의 내측 전방에는 덮개부재(200)가 본체(100)에 결합 될 시에 고정돌기(260)가 위치되는 결합홈(160)이 형성되되 결합홈(160)에는 볼트체결공(161)이 형성되어 덮개부재(200)가 본체(100) 측으로 회동 된 후 결합공(261) 및 볼트체결공(161)에 일체로 체결 결합되는 고정볼트(270)에 의해 덮개가 본체(100) 측에 위치 고정된다.
즉, 덮개부재(200)를 본체(100) 측으로 결합시키면 덮개부재(200)의 고정돌기(260)가 결합홈(160) 내에 위치되고 이때 결합공(261)과 볼트체결공(161)이 연통된다. 연통 된 결합공(261) 및 볼트체결공(161) 내에 고정볼트(270)를 일체로 체결해 줌으로써 덮개부재(200)가 본체(100)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케이스(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우형 케이스(1)가 위치될 벽면을 결정한 다음 플랩부재(120)의 거치공(130) 내에 체결볼트(140)를 위치시킨 상태로 체결볼트(140)가 벽면 내에 삽입되도록 체결해준다.
그런 다음 덮개부재(200)가 본체(100)로부터 개방되게 한 다음 수용공간(110) 내에 플러그가 삽입된 멀티탭을 위치시키고 전선들은 절개부(280)를 통해 관통구(210) 내에 위치시킨다. 이때 수용공간(110) 내의 전선들은 고정단턱(220)에 의해서 압입 고정된다.
그런 다음 덮개부재(200)를 본체(100) 측으로 결합시켜 덮개부재(200)의 고정돌기(260)가 결합홈(160) 내에 위치되게 해 결합공(261)과 볼트체결공(161)이 연통되게 한 뒤, 연통 된 결합공(261) 및 볼트체결공(161) 내에 고정볼트(270)를 일체로 체결해 줌으로써 덮개부재(200)가 본체(100)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게 한다.
그런 다음 고정클립(230)과 마감클립(240) 내부에 전선이 위치될 수 있게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조립한 다음, 양측 체결돌기(250)의 체결공(251) 내에 마감볼트(252)를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클립(230)과 마감클립(240)이 견고하게 상호 고정되게 함으로써 전선이 그 내부에서 압입 고정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우형 케이스(1)는 플러그가 삽입된 멀티 탭 또는 전기적으로 결속된 전선이 밀폐된 수용공간(110)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빗물과 같은 물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감전과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와 전기 장치 및 시설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방우형 케이스
100 :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플랩부재
130 : 거치공
140 : 체결볼트
150 : 경사면
160 : 결합홈
161 : 볼트체결공
200 : 덮개부재
210 : 관통구
220 : 고정단턱
230 : 고정클립
240 : 마감클립
250 : 체결돌기
251 : 체결공
252 : 마감볼트
260 : 고정돌기
261 : 결합공
270 : 고정볼트
280 : 절개부

Claims (6)

  1.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보호대상물이 수용되는 폐쇄된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되며 벽면 측에 밀착 거치 가능하도록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보호대상물로부터 연장된 전선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10)과 통하는 관통구(210)가 형성되되 상기 전선들이 상기 관통구(210) 내로 진입될 수 있도록 그 일방에 절개부(280)가 형성되는 덮개부재(200)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은 물기가 고여있지 않고 자중에 의해 즉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15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210)는 상기 전선들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 가장자리에는 고정단턱(220)이 상향 돌출 형성되고 하부방향 가장자리 1/2에는 고정클립(230)이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230)에는 상기 전선들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클립(230)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클립(240)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체결되되, 이를 위해 상기 고정클립(230)의 양측과 상기 마감클립(240)의 양측에는 일체로 마감볼트(252)의 관통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공(251)이 형성된 체결돌기(25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재(200)의 선단에는 결합공(261)이 형성된 고정돌기(260)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의 내측 전방에는 상기 덮개부재(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 될 시에 상기 고정돌기(260)가 위치되는 결합홈(16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160)에는 볼트체결공(161)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200)가 상기 본체(100) 측으로 회동 된 후 상기 결합공(261) 및 볼트체결공(161)에 일체로 체결 결합되는 고정볼트(270)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100) 측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체결볼트(140)에 의해 벽면에 거치 될 수 있도록 거치공이 형성된 다수의 플랩부재(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50007908U 2015-12-03 2015-12-03 방우형 케이스 KR200483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08U KR200483196Y1 (ko) 2015-12-03 2015-12-03 방우형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08U KR200483196Y1 (ko) 2015-12-03 2015-12-03 방우형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96Y1 true KR200483196Y1 (ko) 2017-04-13

Family

ID=586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08U KR200483196Y1 (ko) 2015-12-03 2015-12-03 방우형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2400A (zh) * 2018-06-23 2018-09-07 利亚德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防雨型无风扇开关电源
KR101946490B1 (ko) * 2017-05-31 2019-02-11 삼영이엔씨 (주) 결로 방지부가 구비된 선박위치발신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86Y1 (ko) * 2003-12-03 2004-03-06 손병태 콘센트 커버장치
KR200394108Y1 (ko) 2005-06-03 2005-08-30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형 멀티 아웃렛
KR200405281Y1 (ko)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형 전선 연결용 분기 커넥터
JP2007103258A (ja) *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コンセント
KR100825671B1 (ko) * 2008-01-25 2008-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200442844Y1 (ko) 2007-01-04 2008-12-15 (주)메가이엔지 방우형 콘센트
KR200451239Y1 (ko) * 2008-12-20 2010-12-03 곽판수 다공 콘센트 보호 커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986Y1 (ko) * 2003-12-03 2004-03-06 손병태 콘센트 커버장치
KR200394108Y1 (ko) 2005-06-03 2005-08-30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형 멀티 아웃렛
JP2007103258A (ja) *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コンセント
KR200405281Y1 (ko)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이엠테크 방우형 전선 연결용 분기 커넥터
KR200442844Y1 (ko) 2007-01-04 2008-12-15 (주)메가이엔지 방우형 콘센트
KR100825671B1 (ko) * 2008-01-25 2008-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200451239Y1 (ko) * 2008-12-20 2010-12-03 곽판수 다공 콘센트 보호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490B1 (ko) * 2017-05-31 2019-02-11 삼영이엔씨 (주) 결로 방지부가 구비된 선박위치발신장치
CN108512400A (zh) * 2018-06-23 2018-09-07 利亚德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防雨型无风扇开关电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532B1 (ko) 방수콘센트
ES2360359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un módulo de corriente solar.
KR200483196Y1 (ko) 방우형 케이스
CA3032134A1 (en) Outdoor weather resistant outlet cover
US10923851B2 (en) Outdoor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ver
KR200468003Y1 (ko) 일괄체결형 터미널단자
KR200442844Y1 (ko) 방우형 콘센트
KR200461300Y1 (ko) 접지형 매입콘센트
KR101017955B1 (ko) 콘센트 커버
ES2587130T3 (es) Aparellaje eléctrico extendido
JP6262019B2 (ja) 充電器
CN208665469U (zh) 一种电动自行车的电池安装结构
KR102072141B1 (ko) 차량용 파워 아울렛
CN203607787U (zh) 接线盒
KR200394108Y1 (ko) 방우형 멀티 아웃렛
TW201306409A (zh) 防水電氣箱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480375Y1 (ko) 접이식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0593613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구조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KR20150020921A (ko) 흡착 테두리판을 가지는 벨로우즈 고무 커버 일체형 방수 플러그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101352742B1 (ko) 이중 밀폐형 배선연결장치
KR101952781B1 (ko) 자성체가 구비된 멀티탭 접지단자
KR200482855Y1 (ko) 방우형 케이싱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