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906A - 콘센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906A
KR20150136906A KR1020140064614A KR20140064614A KR20150136906A KR 20150136906 A KR20150136906 A KR 20150136906A KR 1020140064614 A KR1020140064614 A KR 1020140064614A KR 20140064614 A KR20140064614 A KR 20140064614A KR 20150136906 A KR20150136906 A KR 2015013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ug
safety
plu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219B1 (ko
Inventor
배봉관
Original Assignee
배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봉관 filed Critical 배봉관
Priority to KR102014006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19B1/ko
Priority to PCT/KR2015/005306 priority patent/WO2015182988A1/ko
Publication of KR2015013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하는 안전덮개가 장착됨으로써 플러그 삽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이 향상된 콘센트 안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1)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11)가 일측에 적어도 하나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전원 플러그(1)의 통전바(2)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구비된 안전덮개(20)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둘레부 내측과 상기 안전덮개(20)의 둘레면 부근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덮개(20)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개구부 입구를 덮도록 상기 안전덮개(20)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80)으로 구성됨으로써, 플러그 삽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안전장치{SAFETY RECEPTACLE}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플러그를 꽂을 경우에만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가 개방되고, 또한 전원 플러그를 꽂을 경우에만 콘센트의 단자 삽입홈이 개방되는 콘센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이나 작업 현장 등에서 전원을 이용할 때는 벽면에 매입 설치되는 콘센트에 가전제품과 전선으로 연결된 플러그를 꽂거나, 그 콘센트에 연결된 멀티탭의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때 주택 내부 벽면에 매입 설치되는 콘센트는 통상적으로 바닥에서 약 50cm 정도의 위치에 설치하고, 멀티탭은 이러한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원하는 지역까지 연장하는데 사용된다.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의 높이는 전기의 위험성을 모르는 어린 아이들의 눈에 쉽게 띄게 되는 높이로서, 호기심 많은 어린 아이들이 젓가락이나 쇠막대기 등 통전이 가능한 도체를 콘센트에 꽂음으로써 감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또한 콘센트의 경우 콘센트의 단자 삽입홈이 개방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콘센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도 개방되어 있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구에 쌓이게 되고, 먼지 등이 쌓인 상태로 오래 있으면 화재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안전하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전문업체는 안전을 위해 콘센트를 벽면 등에서 분리하여 콘센트에 쌓여 있는 먼지를 제거하고 있다. 또한 바닥을 물청소하는 경우, 콘센트에 물발울이 튀어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물이 마를 때까지 청소를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감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감전사고나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 구조의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용 안전덮개가 개발된 바 있다. 콘센트용 안전덮개는 콘센트(1)의 플러그 삽입구(2) 외측에 고정핀(3)을 설치하고, 고정핀(3)에 안전덮개(4)를 핀결합하고, 고정핀(3)을 축으로 안전덮개(4)가 회동되어 플러그 삽입구(2)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콘센트용 안전덮개는 플러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 안전덮개를 돌려 플러그 삽입구(2)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플러그를 잡고 삽입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플러그를 뽑은 경우에는 안전덮개를 회동시켜 플러그 삽입구(2)를 닫아야 하고, 오랜 시간 사용하면 안전덮개가 플러그 삽입구(2)를 닫지 못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3050호(2002.10.09.)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삽입구와 단자삽입홈을 개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을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의 장착위치를 플러그 삽입구의 테두리부에 형성함으로써 장착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일측에 적어도 하나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플러그 삽입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전원 플러그의 통전바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구비된 안전덮개; 및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둘레부 내측과 상기 안전덮개의 둘레면 부근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덮개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개구부 입구를 덮도록 상기 안전덮개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덮개는 회전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안착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면이 상기 회전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부재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판;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 부재의 둘레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가이드홈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일측면이나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둘레부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장착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자석과 대향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금속부재 또는 제2자석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둘레부 내측에 장착되는 제2자석;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 내부에는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통전바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돌기가 돌출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재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원호를 따라 경사진 단면을 이루는 회전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돌기면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통전바 관통구를 닫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통전바가 삽입되는 관통구와,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는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플러그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전덮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하는 안전덮개를 상승시키는 상승부재의 장착위치를 플러그 삽입구 외부측에 장착함으로써, 장착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 시켜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구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안전덮개가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동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플러그 삽입구와 함께 단자삽입홈을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회전판을 회전시킬 경우 관통구와 단자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원천적으로 관통구를 통해 단자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회전판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개폐부재가 관통구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개폐부재가 관통구를 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플러그가 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회전판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회전판이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개폐부재가 관통구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개폐부재가 관통구를 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플러그가 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는 내부에 전원을 연결하는 케이블과 연결된 단자(13)가 구비되고 전원 플러그(1)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11)가 일측면에 형성된 본체(10)와, 플러그 삽입구(11)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삽입구 안전덮개(20)와, 안전덮개(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승강수단(2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11)가 형성된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벽체에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원선을 연장하는데 사용하는 멀티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내부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전원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인입된다. 인입된 케이블은 플러그 삽입구(1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단자(13)에 연결된다. 플러그 삽입구(11)는 전원 플러그(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원 플러드(1)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경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삽입구(11)의 양 측면에는 관통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12)이 구비된다. 본체(10)는 플러그 삽입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b)와 하우징(10b)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안전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10a)로 구성된다. 하우징(10b)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0c)가 구비되고, 커버(10a)에는 결합홈(10c)에 일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다. 결합돌기는 결합홈(10c)과 대응되는 위치에 짝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끝단이 결합홈(10c)에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 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는다.
안전덮개(20)는 회전공(31)이 관통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구(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승하강 부재(30)와, 승하강 부재(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면이 회전공(3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판(40)과, 회전판(40)에 결합되고 승하강 부재(30)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전홈(3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닥판(50)으로 구성된다.
승하강 부재(30)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 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승하강 부재(30)의 끝단면에는 회전공(31)이 관통된다. 승하강 부재(30)의 둘레면에는 가이드홈(12)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32)가 돌출된다. 가이드돌기(30)는 가이드레일(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수단(80)은 가이드돌기(32)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제1자석(81)과, 제1자석(81)과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플러그 삽입구(11)의 둘레부 내측에 장착되는 제2자석(82)으로 구성된다. 제1자석(81)과 제2자석(82)의 장착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제2자석(82)은 금속부재로 바뀌어도 무관하다. 즉, 승강수단(80)은 자력을 이용하여 안전덮개(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돌기(32)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제1자석(81)과 플러그 삽입구(11) 둘레부 내측에 장착되는 제2자석(82)의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가이드돌기(32)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제1자석(81)과 플러그 삽입구(11) 둘레부 내측에 장착되는 금속부재(82)의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가이드돌기(32)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금속부재(81)와 플러그 삽입구(11) 둘레부 내측에 장착되는 제2자석(8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하강수단(80)은 이러한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가이드돌기(32)에 자석이 장착되는 경우, 그외 금속재지로 이루어지는 주변 구조물에 자력이 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기(32)에 금속부재가 장착되고, 플러브 삽입구(11) 둘레부 인 커버(10a)에 자석이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회전판(40)은 승하강 부재(30) 내측에 삽입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판(40)의 일측면은 회전공(3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일측면에는 동전이나 1 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삽입홈(42)이 형성된다. 회전판(40)의 일측면에는 통전바(2)가 삽입되는 관통구(41)가 형성된다. 회전판(40)의 타측 끝단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43)가 돌출된다. 고정돌기(43)의 끝단부에는 걸림턱이 구비된다.
바닥판(50)은 회전공(3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 형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바닥판(50)은 승하강부재(30)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전홈(33)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바닥판(50)에는 고정돌기(43)가 일시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홈(53)이 형성된다.
바닥판(50)에는 관통구(41)와 동일한 수직 위치에 관통구(51)가 형성된다. 관통구(51)에는 통전바(2)가 삽입된다. 바닥판(50)에는 후술할 회전돌기(70)가 삽입되는 관통구(52)가 형성된다.
회전판(40)에 바닥판(50)이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 수용공간 내에는 개폐부재(6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개폐부재(60)의 중앙부에 회전공이 형성되고 회전공은 회전판(40)의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개폐부재(60)는 통전바 관통구(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폐부재(60)의 중심점에 형성된 회전공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회전경사면(61)이 형성된다. 회전경사면(61)은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회전공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할수록 그 깊이가 깊어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각각의 회전경사면(61)은 동일한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이룬다.
플러그 삽입구(11)의 바닥면에는 두 개의 회전돌기(70)가 짝을 이루어 돌출된다. 회전돌기(70)는 삽입구 안전덮개(20)가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회전경사면(61)에 접촉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회전돌기(70)의 끝단은 회전경사면(61)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돌기면(7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돌기(70)의 끝단은 상기 회전경사면(61)을 가압하여 개폐부재(6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경사돌기면(71) 형상 이외에도 라운드 형상이나 각형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60)는 탄성부재(61)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탄성부재(61)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60)는 관통구(41)를 닫는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원 플러그(1)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42)에 동전이나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판(40)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관통구(41, 51)이 단자(13)와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전판(40)을 회전시키면 관통구(41, 51)를 통과한 물체는 절대로 단자(13)에 접촉할 수 없다. 즉, 전기에 대해 인지가 되지 않는 영유아가 관통구(41, 51)에 젓가락 등을 삽입하더라도 단자(13)에는 접촉될 수 없으므로 감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원 플러그(1)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40)을 회전시켜 관통구(41, 51)가 단자(13)와 동일한 수직선상이 위치하도록 위치시킨다. 그 상태에서 전원 플러그(1)를 꼽으면, 통전바(2)는 단자(13)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유아의 손이 닿는 위치에 형성된 콘센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40)을 회전시켜 감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또는 영유아가 없는 가정집의 콘센트 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40)을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가령, 텔레비젼 뒤에 설치된 콘센트를 사용할 때마나 회전시켜서 플러그를 꽂는다면 많은 불편이 발생 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1)가 삽입되기 전에는 제1자석(1)과 제2자석(82) 간의 인력에 의해 삽입구 안전덮개(2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삽입구 안전덮개(2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삽입구(11)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구(11) 내부로 인입되지 못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41, 51)와 단자(13)가 일치된 상태에서 전원플러그(1)를 삽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60)는 관통구(41)를 막은 상태로 삽입구 안전덮개(20)가 하강된다. 이때 자석간에 작용되는 인력보다 전원 플러그(1)를 가압하는 힘이 커야 한다.
전원플러그(1)의 가압력에 의해 안전덮개(20)가 하강되면서 회전돌기(70)가 관통구(51)를 통과하여 개폐부재(60)의 회전경사면(61)에 닿게 된다. 회전돌기(70)는 회전경사면(61)을 가압하여 개폐부재(60)를 회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60)가 회동되면서 스프링(62)은 압축된다. 개폐부재(60)가 회동되면서 관통구(41)는 열린 상태가 된다. 회전돌기(70)가 개폐부재(60)에 가하는 힘이 해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60)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관통구(41)는 막힌 상태가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돌기(70)에 의해 개폐부재(60)가 회전되면서 관통구(41)가 열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1)의 통전바(1)가 관통구(41), 관통구(51)를 통과하여 단자(13)에 삽입된다. 이때 통전바(1)는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상시에는 자석간의 인력에 의해 삽입구 안전덮개(20)가 플러그 삽입구(11)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구(1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원 플러그(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 플러그(1)로 삽입구 안전덮개(20)를 가압하면 자동으로 관통구(41, 51)가 열리면서 통전바(2)를 단자(13)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안전성과 사용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 안전덮개(20)가 벽체에 장착되는 콘센트 뿐만 아니라, 전원선을 연장시키는 멀티탭을 이루는 본체(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판(40)과 바닥판(50)은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부재(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부에 개폐부재는 장착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삽입구(11)에 회전돌기(70)가 형성되지 않고, 바닥판(50)에도 관통구(52)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승하강수단(8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같이 자석(81, 82)로 구성되어도 무관하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는 안전덮개(20)가 플러그 삽입구(11) 개구부를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부재로서 스프링이나 고무 밴드 등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복귀력을 갖는 부품이라면 어느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벽체에 설치하는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구(11)의 바닥면에 볼트체결부가 있으므로 플러그 삽입구(11)가 구비된 하우징(10b)를 벽체에 설치한 후, 안전덮개(20)를 결합하고, 커버(10a)를 덮어 안전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과정을 거쳐 조립한다. 만약 이때 안전덮개(20)가 본체(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안전덮개(20)를 분리할 수 없게 되고 그러면 안전덮개(20)가 볼트체결부도 막는 작용을 하여 콘센트 설치를 방해하므로, 벽체에 설치하는 콘센트에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는 개폐부재(60)가 장착되지 않고, 회전돌기(70)가 설치되지 않고, 바닥판(50)에 관통구(52)가 형성되지 않는 것 이외의 구조 및 동작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콘센트 안전장치는 삽입구 안전덮개(20)가 플러그 삽입구(11)에 장착되어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구(1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삽입구 안전덮개(20)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11) 입구측에 위치가 유지된다. 자석의 자력은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품 수명이 증가되고, 본체(10) 내의 좁은 장착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회전판(40)을 회전시켜 관통구(41)가 단자(13)와 어긋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관통구(14)에 젓가락 등을 삽입하여도 그 젓가락 끝이 단자(13)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영유아의 감전사고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가 회전되면서 관통구(41)를 개폐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젓가락 등을 삽입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0)는 기존에 플러그의 통전바(2)가 접촉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경사면이 관통구(41)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방식과 달리, 삽입구 안전덮개(20)가 하강되면서 플러그 삽입구(11) 저면에 형성된 회전돌기(70)가 접촉되면서 개폐부재(60)가 회전되는 구조로 회전경사면이 관통구(41) 반대면에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개폐부재(60)와 관통구(41)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회전경사면이 관통구(41)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회전경사면이 형성된 곳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회전경사면(61)이 관통구(41)와 접촉되는 면을 반대쪽 면에 형성됨으로써, 개폐부재(60)와 관통구(41)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를 이루는 하우징(10b)에서 커버(10a)를 분리시키면 안전덮개(20)의 가이드돌기(32)를 가이드홈(12)에 삽입 및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하기고자하는 경우에는 플러그 삽입구(11)가 구비된 하우징(10b)을 벽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구(11) 바닥면에 형성된 볼트체결부에 볼트를 체결하여 하우징(10b)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안전덮개(20)를 플러그 삽입구(11)에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돌기(30)는 가이드 홈(12)을 따라 승하강 된다. 안전덮개(20)를 플러그 삽입구(11)에 승하강 가능하돌고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10a)를 덮어 안전덮개(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안전덮개(20)는 본체(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덮개(20)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안전덮개(20)가 볼트체결부를 막아 설치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덮게를 벽체에 설치하는 경우, 안전콘센트 본체(10)를 벽체에 고정하는 볼트가 플러그 삽입구(11)의 바닥면에 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볼트 체결부가 플러그 삽입구(1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우, 안전덮개(20)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면 본체(10)의 하우징(10b)을 벽체에 고정하는 볼트를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버(10a)가 구비되어 안전덮개(20)가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11)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안전덮개(20)를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11)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11) 바닥면에 볼트를 체결하여 벽체 등에 하우징(10b)을 고정시킨 이후에 안전덮개(20)를 플러그 삽입구(11)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커버(10a)를 덮어 안전덮개(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덮개(20)가 안전콘센트 본체(10)와 스프링 등과 같이 유형의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분리가 가능한 제1자석(81)과 제2자석(82) 또는 금속부재의 조합을 이용한다는 구조적인 특징과,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각각 별개로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안전덮개(20)를 플러그 삽입구(11)에 쉽게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특징과, 커버(10a)하우징(10b)에 조립하여 본체(10)를 형성하는 특징으로 인해 안전덮개(20)를 플러그 삽입구(11)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삽입구(11) 만을 덮는 안전덮개(20)가 결합되어 있는 콘센트를 개발하지 못한 난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콘센트 시장은 저원가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어려운 과제를 최소한의 제조원가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하는 경우에 매우 중요한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전원 플러그 2 : 통전바
10 : 본체 11 : 플러그 삽입구
12 : 가이드 홈 20 : 안전덮개
30 : 승하강 부재 31 : 회전공
32 : 가이드 돌기 33 : 회전홈
40 : 회전판 41 : 관통구
42 : 삽입구 43 : 고정돌기
50 : 바닥판 51, 52 : 관통구
53 : 고정홈 60 : 개폐부재
61 : 회전경사면 62 : 스프링
80 : 승강수단 81 : 제1자석
82 : 제2자석

Claims (10)

  1. 전원 플러그(1)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11)가 일측에 적어도 하나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플러그 삽입구(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전원 플러그(1)의 통전바(2)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구비된 안전덮개(20); 및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둘레부 내측과 상기 안전덮개(20)의 둘레면 부근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덮개(20)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개구부 입구를 덮도록 상기 안전덮개(20)를 상승시키는 승강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덮개(20)는
    회전공(3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에 안착되는 승하강 부재(30);
    상기 승하강 부재(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면이 상기 회전공(3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판(40);
    상기 회전판(40)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 부재(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부재(30)의 둘레면에는 가이드돌기(32)가 돌출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가이드홈(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80)은 상기 가이드돌기(32)의 일측면이나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둘레부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장착되는 제1자석(81)과, 상기 제1자석(81)과 대향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금속부재 또는 제2자석(82)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40) 내부에는
    상기 회전판(40)에 형성되는 통전바 관통구(4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11)의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부재(60)를 회전시키는 회전돌기(70)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원호를 따라 경사진 단면을 이루는 회전경사면(6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70)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경사면(61)에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돌기면(7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탄성부재(61)에 의해 상기 통전바 관통구(41)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0)에는 상기 통전바(2)가 삽입되는 관통구(51)와, 회전돌기(70)가 삽입되는 관통구(5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40)의 일측면에는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플러그 삽입구(11)가 형성된 하우징(10b); 및
    상기 하우징(10b)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전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KR1020140064614A 2014-05-28 2014-05-28 콘센트 안전장치 KR10169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614A KR101690219B1 (ko) 2014-05-28 2014-05-28 콘센트 안전장치
PCT/KR2015/005306 WO2015182988A1 (ko) 2014-05-28 2015-05-27 콘센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614A KR101690219B1 (ko) 2014-05-28 2014-05-28 콘센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06A true KR20150136906A (ko) 2015-12-08
KR101690219B1 KR101690219B1 (ko) 2016-12-27

Family

ID=5487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614A KR101690219B1 (ko) 2014-05-28 2014-05-28 콘센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861B1 (ko) * 2020-01-08 2021-04-27 (주)메티스 열화상카메라
KR102264523B1 (ko) * 2020-01-08 2021-06-14 (주)메티스 통합형 센서
WO2021230461A1 (ko) * 2020-05-11 2021-11-18 강재화 콘센트 안전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307A1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태주산업 안전 콘센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050Y1 (ko) 2002-08-05 2002-10-25 주식회사 두남 콘센트용 안전장치
KR20110028129A (ko)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KR20110011202U (ko) * 2010-05-27 2011-12-05 정완석 콤팩트한 안전콘센트용 모듈
KR20120121380A (ko) * 2012-10-05 2012-11-05 김종일 콘센트장치
KR20130111113A (ko) * 2012-03-31 2013-10-10 송승근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050Y1 (ko) 2002-08-05 2002-10-25 주식회사 두남 콘센트용 안전장치
KR20110028129A (ko)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KR20110011202U (ko) * 2010-05-27 2011-12-05 정완석 콤팩트한 안전콘센트용 모듈
KR20130111113A (ko) * 2012-03-31 2013-10-10 송승근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20120121380A (ko) * 2012-10-05 2012-11-05 김종일 콘센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861B1 (ko) * 2020-01-08 2021-04-27 (주)메티스 열화상카메라
KR102264523B1 (ko) * 2020-01-08 2021-06-14 (주)메티스 통합형 센서
WO2021230461A1 (ko) * 2020-05-11 2021-11-18 강재화 콘센트 안전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19B1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6996B2 (en) Safe outlet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WO2007003080A1 (fr) Prise interchangeable avec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un choc electrique
KR101241246B1 (ko) 안전 콘센트
KR101727115B1 (ko) 콘센트 안전장치
CN104064916A (zh) 一种安全插座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CN107196102B (zh) 一种安全插座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20170029216A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751505B1 (ko) 콘세트용 안전 커버
KR10140813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80002503U (ko) 방우형 콘센트
KR101606052B1 (ko) 공동주택용 감전 방지 콘센트
KR200464669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096378B1 (ko) 안전형 전기 콘센트
KR101392488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0946416B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0636410B1 (ko)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KR20110137226A (ko) 플러그 연결수단과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멀티탭
KR101743946B1 (ko) 출입형 멀티 콘센트
KR101573492B1 (ko) 콘센트의 이물질 유입 및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JP2008041462A (ja) 安全扉つきコンセント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