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946B1 - 출입형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출입형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946B1
KR101743946B1 KR1020150157711A KR20150157711A KR101743946B1 KR 101743946 B1 KR101743946 B1 KR 101743946B1 KR 1020150157711 A KR1020150157711 A KR 1020150157711A KR 20150157711 A KR20150157711 A KR 20150157711A KR 101743946 B1 KR101743946 B1 KR 10174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eptacle
socket
spac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934A (ko
Inventor
정진규
이진화
김성만
유명한
최명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출입형 멀티 콘센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벽체에 지지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과, 공간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와, 벽체에 설치된 코드 릴에서 전선을 가이드하여 하우징에서 콘센트 본체의 출입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형 멀티 콘센트{IN-OUT TYPE MULTI CONCENT}
본 발명은 출입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용도 맞게 출입 가능한 출입형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에는소켓이 다수개 형성되어 동시에 접속되는 멀티 콘센트와 전선이 매립되어 당겨지는 매립형 콘센트 등이 있다. 멀티 콘센트는 여러 개의 전기 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켓이 다수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멀티탭 콘센트는 대부분 전원코드를 통해 유입된 상용 교류전류를 다수의 전기 기구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꽂아지는 소켓이 일렬 또는 라운드 배치되고, 일측에는 주 전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를 구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전체 소켓 또는 개별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기존의 콘센트는 대부분 소켓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먼지 등이 유입되어 누전에 의한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외부로 노출된 소켓에 어린이가 젓가락 등의 금속물질을 삽입하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멀티 콘센트의 경우 길게 형성되어 사용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6182호(발명의 명칭: 멀티 콘센트, 2005.03.15: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벽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반 사용 및 연장 사용 등의 사용용도 맞게 다양한 길이로 출입 가능한 출입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 본체가 벽체에 수용된 경우, 소켓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화재 및 어린이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 릴에 연결된 전선을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작동부를 이용하여 벽체 수용된 콘센트 본체를 간편하게 인출하거나 수용시킬 수 있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벽체에 지지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 및 상기 벽체에 설치된 코드 릴에서 전선을 가이드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출입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코드릴이 내장되어 벽체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전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 및 상기 코드 릴에서 전선을 가이드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출입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공간부에서 돌출시에만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상기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은 구리재질의 도전판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도전판이 나사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소켓에 대응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연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한 쌍 형성되고, 전선이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로 진입되는 가이드부재; 및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된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전선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출입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출입되고,
상기 출입작동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를 상기 공간부에 수용하거나 일반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구속해제시 상기 콘센트 본체를 이동시키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양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 상기 콘센트 본체의 이동 위치에 맞춰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 라이드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부재에 상하 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드공;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슬라이드공으로 돌출된 돌기부의 상하이동을 통해 상기 관통공을 거쳐 상기 구속홈부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구속돌부를 갖는 걸림부재; 상기 돌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승강 이동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에 일단이 걸림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움돌부에 타단이 걸림 장착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측 테두리에서 상기 공간부로 돌출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를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트릴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을 감아주는 감이부재; 상기 감이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태엽부재; 및 상기 태엽부재를 작동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크드릴에 전기를 공급하는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는 유에스비를 꽂을 수 있는 유에스비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어린이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벽체의 설치공간에 전후면이 뒤집어져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벽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반 사용 및 연장 사용 등의 사용용도 맞게 다양한 길이로 출입 가능한 출입형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 본체가 벽체에 수용된 경우, 소켓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화재 및 어린이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 릴에 연결된 전선을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작동부를 이용하여 벽체 수용된 콘센트 본체를 간편하게 인출하거나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벽체에서 뒤집어사 설치하므로 어린이 감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유에스비포트를 하우징 전측에 구비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작동부에서 커버의 배면에 전선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본체에 대한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작동부에서 구속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출입작동부가 분리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작동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수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연장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설치 상태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작동부에서 커버의 배면에 전선이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본체에 대한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작동부에서 구속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출입작동부가 분리된 배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작동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수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연장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하우징(100), 콘센트 본체(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건물 등의 벽체(2)에 수용되거나, 일반 사용 또는 연장 사용 등이 가능하도록 전선(4)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어린이의 감전사고를 예방하고, 플러그(6)의 길이가 짧을 때 전선(6)을 인출하여 연장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벽체(2)에 지지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부(110)를 갖는다. 즉, 하우징(100)은 일부가 벽체(2) 내에 삽입 설치되고, 다른 일부가 벽체(20) 전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벽체(20)에 설치된다. 하우징(100)은 나사결합으로 벽체(2)에 고정될 수 있디.
하우징(100)은 전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벽체(2)에 지지되는 플랜지부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전후로 관통된 공간부(110)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재(130)는 하우징(100)의 전측 테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더 많이 돌출되면서 벽체(2)의 전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콘센트 본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10)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켓(210)이 구비된다. 콘센트 본체(200)는 직육면체 형태의 시각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콘센트 본체(200)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의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콘센트 본체(200)는 공간부(110)에서 돌출시에만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소켓(210)이 형성된다. 즉, 콘센트 본체(200)는 벽체(20)에서 전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소켓(210)을 형성하지 않고, 양 측면 부위에만 소켓(210)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200)가 하우징(100)에 수용될 경우, 소켓(2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어린이들이 젓가락같이 길이가 긴 금속 물질을 가지고 놀다가 소켓(210)에 삽입하면서 발생되는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소켓(210)은 구리재질의 도전판(220)에 형성될 수 있다. 콘센트 본체(200)의 둘레면에는 도전판(220)이 나사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부(23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콘센트 본체(200)는 소켓(210)에 대응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연통구멍(240)을 갖는다. 물론, 연통구멍(240)은 플러그(6)가 삽입되는 깊이 정도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부(300)는 벽체(20)에 구비된 코드 릴(8)에서 전선(4)을 가이드하여 하우징(100)에서 콘센트 본체(200)의 출입을 도와주는 구성이다. 가이드부(300)는 하우징(100)에서 콘센트 본체(200)를 당길 때, 벽체(2) 내의 공간에 설치된 코드 릴(8)에서 전선(4)이 풀릴 때, 전선(4)이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해준다. 코드 릴(8)은 전선을 탄성력으로 감아주거나 풀여주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제품을 적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한 쌍 형성되고, 전선(4)이 삽입되어 공간부(110)로 진입되는 가이드부재(310)와, 각각의 가이드부재(310)에 연결된 회전축(330)에 지지되어 전선(4)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부재(32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0)는 하우징(100) 보다 더 길게 후방으로 돌출된다. 가이드부재(310)는 단부 상측 모서리부위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롤러부재(320)는 전선(4)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전산(4)은 상측에 배치된 코드 릴(8)에서 하측으로 연결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재(310)의 단부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롤러부재(320)에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100)의 공간부(110)로 이동한다.
콘센트 본체(200)는 출입작동부(400)에 의해 하우징(100)에서 출입될 수 있다.
출입작동부(400)는 콘센트 본체(200)를 하우징(100)의 공간부(110)에서 탄성 작용 및 걸림작동에 의해 설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출입작동부(400)는 콘센트 본체(200)를 공간부(110)에 수용하거나 일반 사용을 위해 하우징(100)에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410)와, 구속부(410)에 의해 하우징(100)에서 콘센트 본체(200)의 구속해제시 콘센트 본체(200)를 이동시키는 탄성제공부(460)를 포함한다. 구속부(410)는 콘센트 본체(200)가 탄성제공부(460)에 의해 공간부(110)에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으로부터 콘센트 본체(20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구속부(410)는 콘센트 본체(200)의 위치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하우징(100)에서 콘센트 본체(200)를 구속하여 탄성제공부(460)에 의한 탄성 이동을 제한시킬 수도 있다.
구속부(410)는 콘센트 본체(200)의 양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420)와, 콘센트 본체(200)의 이동 위치에 맞춰 커버(420)에 형성되는 구속홈부(430)와, 구속홈부(430)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하우징(10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걸림부(440)를 포함한다.
커버(420)에는 소켓(210)에 대응하는 소켓구멍이 2개 형성되고, 나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구멍이 2개 형성된다. 2개의 소켓구멍과 2개의 나사구멍은 90도 간격을 가지면서 원형으로 형성된다. 커버(420)에는 전선(4)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부(422)가 형성된다. 인출홈부(422)는 한 쌍의 커버(420)를 콘센트 본체(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전선(40)을 인출하도록 중심부위에 형성된다. 인출홈부(422)는 1개의 커버(420)를 기준으로는 후방 테두리에 형성된다.
도 5를 첨조하면, 커버(420) 중 어느 하나에는 전선(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32)가 나사 결합된다. 고정부재(432)는 전선(4)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가압부위와, 양측으로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위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전선(4)은 고정부재(432)를 통해 커버(420)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도전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위가 전선(4)의 당김 작용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홈부(430)는 콘센트 본체(200)가 공간부(110)에서 수용되는 위치와 일반사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420)에 형성된다. 즉, 구속홈부(430)는 콘센트 본체(200)의 하우징(100)에서의 수용 위치와 일반 사용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함몰되거나 관통되도록 상,하측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형성되는 구속홈부(430)는 좌측 커버(420)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구속홈부(430)는 우측 커버(4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구속홈부(430)의 형성위치와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슬라이드걸림부(440)는 구속홈부(430)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상하 측으로 직진 이동한다.
슬라이드걸림부(440)는 하우징(100)의 플랜지부재(130)에 상하 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드공(442)와, 하우징(100)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443)과, 슬라이드공(442)으로 돌출된 돌기부(445)의 상하이동을 통해 관통공(443)을 거쳐 구속홈부(430)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구속돌부(446)를 갖는 걸림부재(444)와, 돌기부(445)에 삽입 설치되어 걸림부재(444)를 승강 이동하는 손잡이부재(447)를 포함한다.
슬라이드공(442)은 직사각형으로 플랜지부재(130)의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돤다. 관통공(443)은 사각형 단면으로서 하우징(100)의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공(443)은 사각형 단면으로 도시하지만,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손잡이부재(447)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사각블록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걸림부재(444)는 걸림부재(444)에 일단이 걸림 장착되고, 하우징(100)에 형성된 끼움돌부(452)에 타단이 걸림 장착되는 스프링부재(450)에 의해 탄성 작동된다. 스프링부재(450)는 플랜지부재(130)에서 걸림부재(444) 양측에 구비된 장착돌부(454)에 덮이는 덮개(448) 내에 수용된다. 스프링부재(450)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444)는 상측에 1개 하측에 1개 모두 2개 구비되되, 상호 대각선방향으로 배치된다. 걸림부재(444)는 다양한 형상 및 개수로 변경 가능하다.
걸림부재(444)는 스프링부재(450)의 탄성력을 받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걸림부재(444)의 구속돌부(446)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의 관통공(443)을 통해 커버(420)의 구속홈부(430)에 걸어줌으로써, 콘센트 본체(200)를 하우징(100)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구속돌부(446)의 전면에는 경사면부(446a)가 형성되어 콘센트 본체(200)를 하우징(100)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420)의 배면이 경사면부(446a)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걸림부재(444)가 직교방향으로 눌려져 스프링부재(450)를 탄성 압축하면서 수직이동하고, 콘센트 본체(200)가 원하는 수용 위치 또는 일반 사용 위치에 이르는 순간 커버(420)의 구속홈부(430)에 스프링부재(450)의 탄성력을 받는 구속돌부(446)가 삽입 구속되면서 콘센트 본체(200)가 하우징(100)에 걸림 고정된다.
탄성제공부(460)는 하우징(100)의 후측 테두리에서 공간부(110)로 돌출되는 차단부재(462)와, 차단부재(462)에 결합되고, 콘센트 본체(200)를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464)를 포함한다.
차단부재(462)는 하우징(100)의 모시리부위에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차단부재(462)는 탄성부재(464)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탄성부재(464)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재(462)에는 탄성부재(464)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콘센트 본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10) 내에 수용(수납)될 때. 탄성부재(464)를 압축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구속부(410)의 손잡이부재(447)을 수직이동하여 구속돌부(446)를 구속홈부(430)에서 구속 해제하는 순간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일반 사용상태에서의 다른 구속홈부(430)에 구속돌부(446)가 걸림으로써, 자동적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설치 상태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코드릴(80), 하우징(100), 콘센트 본체(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다. 양 발명 간에 차이점이 있다면 하우징(100) 내에 코드릴(80)이 내장된 점과, 하우징(100)을 벽체의 설치공간에서 뒤집어지면서 삽입하거나 분리되는 점과, 하우징(100)의 전측에 유에스비포트(70)가 구비되는 점 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에서, 콘센트 본체(200) 및 가이드부(300), 출입작동부(400), 슬라이드걸림부(44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의 구성과 번호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으로 하겠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00)은 코드릴(80)이 내장되어 벽체(2)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전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10)를 갖는다, 공간부(110)는 하우징(100)의 하부 전면에 사각형으로 개방 형성되어 콘센트 본체(200)가 인출되거나 수납된다.
하우징(100)은 직사각형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벽체(2)의 설치공간에서 인출하여 여행지 등으로 갈 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어린이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벽체(2)의 설치공간에 전후면이 뒤집어 지면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을 벽체(2)의 설치공간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콘센트 본체(200)의 인출 자체를 원천 봉쇄하므로 어린이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코드릴(80)은 하우징(100)의 상측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수 미터에 이루는 전선이 권취되어 있다.
코드릴(80)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을 감아주는 감이부재(82)와, 감이부재(8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태엽부재(84)와, 전선을 감아주기 위해 태엽부재(84)를 작동하는 버튼부재(86)를 포함한다.
감이부재(82)는 회전축의 양단부위에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부재(83)가 한 쌍 구비된다. 이때, 전면부위의 테두리부재(83)는 배면부위의 테두리부재(83)에 비해 더 작은 반경을 갖는다. 테두리부재(83)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태엽부재(84)는 감이부재(82)의 회전축 전측 부위에 형성된다. 태엽부재(84)의 내부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버튼부재(86)는 감이부재(82)의 회전축 전면부위에 태엽부재(84)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0)에는 코드릴(8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60)가 구비된다. 플러그(60)는 코드릴(8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플러그(60)는 벽체(2) 설치공간의 상부 저면부위에 형성된 소켓에 삽입되면서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형 멀티 콘센트는 하우징(100)을 벽체(32)의 설치공간에서 분리하여 플러그(60)를 소켓에서 이탈시킨 후 여행지 등에 휴대하였다가 다른 건물의 벽체 외부에 구비된 소켓에 꽂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휴대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러그(60)와 소켓은 결합이 용이하도록 도면과 다르게 다양한 다른 형태의 설치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측에는 유에스비(USB)를 꽂을 수 있는 유에스비포트(70, USB Poort)가 구비된다. 유에스비포트(70)는 하우징(100)의 우측 공간이 남는 것을 활용하기 위해 구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삭제 가능하다.
하우징(100)에는 코드릴(80) 설치부위와 콘센트 본체(200) 설치부위 간에 격벽(54)이 구비된다. 격벽(54)에는 가이드부재(310)와 롤러부재(320)를 포함하는 가이드부(300)가 설치된다. 격벽(54)에는 가이드부(300)의 후방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코드릴(80)의 감이부재(82)에 감긴 전선이 이동할 수 있는 안내공(56)이 구비된다. 안내공(56)은 롤러부재(3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감이부재(82)에 감진 전선의 최대 권취부위까지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걸림부(440)는 하우징(100)에서 콘센트 본체(200)의 중심부위 양측으로 걸림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손잡이부재(447)는 하우징(100)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구비된다.
벽체(2)에는 하우징(100)의 수납시 벽체(2)와 하우징(100)을 분리시키는 분리벽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리벽부재(30)는 벽체(2)의 콘크리트 설치공간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우징(100)은 고정부(90)에 의해 분리벽부재(30)에서 고정되거나 이탈된다.
고정부(90)는 하우징(100)의 전면부 또는 배면부에 함몰 형성된 암고정부재(92)와, 암고정부재(92)에 대응하여 고정되거나 이탈되도록 분리벽부재(30)에 돌출 형성되는 숫고정부재(94)를 포함한다.
암고정부재(92)와 숫고정부재(94)는 하우징(100)과 분리벽부재(30)의 모서리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결합에 유리하다. 암고정부재(92)와 숫고정부재(94)의형성되개수는 증감 가능하다.
숫고정부재(94)는 단부에 원형 볼 형태로 이루어지고, 암고정부재(92)는 우원형 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벌려지는 원형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암고정부재(92)는 2개 이상의 졀개부위를 가지므로 숫고정부재(94) 삽입시 외측으로 별려 졌다가 삽입이 이루어진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짐으로써 결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벽체 30 : 분리벽부재
54 : 격벽 56 : 안내공
60 : 플러그 70 : 유에스비포트
8, 80 : 코드릴 82 : 감이부재
84 : 태엽부재 86 : 버튼부재
90 : 고정부 92 : 암고정부재
94 : 숫고정부재 100 : 하우징
110 : 공간부 200 : 콘센트 본체
210 : 소켓 220 : 도전판
230 : 안착홈부 300 : 가이드부
310 : 가이드부재 320 : 롤러부재
330 : 회전축 400 : 출입작동부
410 : 구속부 420 : 커버
422 : 인출홈부 430 : 구속홈부
432 : 고정부재 440 : 슬라이드걸림부
442 : 슬라이드공 443 : 관통공
444 : 걸림부재 445 : 돌기부
446 : 구속돌부 447 : 손잡이부재
448 : 덮개 450 : 스프링부재
452 : 끼움돌부 454 : 장착돌부
460 : 탄성제공부 462 :차단부재
464 : 탄성부재

Claims (10)

  1. 벽체에 지지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 및
    상기 벽체에 설치된 코드 릴에서 전선을 가이드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출입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한 쌍 형성되고, 전선이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로 진입되는 가이드부재; 및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된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전선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 보다 더 길게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부 상측 모서리부위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2. 코드릴이 내장되어 벽체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전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켓이 구비되는 콘센트 본체; 및
    상기 코드 릴에서 전선을 가이드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출입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한 쌍 형성되고, 전선이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로 진입되는 가이드부재; 및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된 회전축에 지지되어 상기 전선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 보다 더 길게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부 상측 모서리부위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공간부에서 돌출시에만 노출되도록 양 측면에 상기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은 구리재질의 도전판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도전판이 나사 결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소켓에 대응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연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출입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출입되고,
    상기 출입작동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를 상기 공간부에 수용하거나 일반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구속해제시 상기 콘센트 본체를 이동시키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의 양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
    상기 콘센트 본체의 이동 위치에 맞춰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부재에 상하 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드공;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슬라이드공으로 돌출된 돌기부의 상하이동을 통해 상기 관통공을 거쳐 상기 구속홈부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구속돌부를 갖는 걸림부재;
    상기 돌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승강 이동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에 일단이 걸림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움돌부에 타단이 걸림 장착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측 테두리에서 상기 공간부로 돌출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를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릴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을 감아주는 감이부재;
    상기 감이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태엽부재;
    상기 태엽부재를 작동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코드릴에 전기를 공급하는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는 유에스비를 꽂을 수 있는 유에스비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어린이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벽체의 설치공간에 전후면이 뒤집어져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형 멀티 콘센트.
KR1020150157711A 2015-11-10 2015-11-10 출입형 멀티 콘센트 KR10174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711A KR101743946B1 (ko) 2015-11-10 2015-11-10 출입형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711A KR101743946B1 (ko) 2015-11-10 2015-11-10 출입형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34A KR20170054934A (ko) 2017-05-18
KR101743946B1 true KR101743946B1 (ko) 2017-06-20

Family

ID=5904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711A KR101743946B1 (ko) 2015-11-10 2015-11-10 출입형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520B1 (ko) * 2018-10-30 2020-02-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가변 콘센트 조립체
KR102547867B1 (ko) * 2021-09-02 2023-06-26 진흥전기 주식회사 테이블 매립형 콘센트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260A (ja) * 1998-11-18 2000-06-06 Kouki Tanaka 建築物埋込型コンセント
KR200349928Y1 (ko) * 2004-02-03 2004-05-12 정완영 유에스비 전원 장치와 출력 플러그
KR100876279B1 (ko) * 2008-08-14 2008-12-26 김월심 케이블 인출입 타입의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260A (ja) * 1998-11-18 2000-06-06 Kouki Tanaka 建築物埋込型コンセント
KR200349928Y1 (ko) * 2004-02-03 2004-05-12 정완영 유에스비 전원 장치와 출력 플러그
KR100876279B1 (ko) * 2008-08-14 2008-12-26 김월심 케이블 인출입 타입의 콘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34A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7089B1 (en) Gated electrical safety outlet
EP0733336A2 (en) Handle and wand system for vacuum cleaner
EP2797174A1 (en) Safe electrical outlet
KR101743946B1 (ko) 출입형 멀티 콘센트
KR101710004B1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US5316493A (en) Electric cord plug fastener and method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US20140057477A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751505B1 (ko) 콘세트용 안전 커버
KR100846134B1 (ko) 공동주택용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KR100675467B1 (ko) 분리형 전기 콘센트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EP2357708A1 (fr) Systéme de connexion électrique comprenant une prise murale et une prise mobile destinée à être reliée à un électrique et prévue pour coopérer avec ladite prise murale
KR101626608B1 (ko)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박스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JP2011146328A (ja) 配電装置
KR200416360Y1 (ko) 인입출이 가능한 건축용 콘센트
US6220885B1 (en) Safety locking system for electrical plugs
WO2017093711A1 (en) An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100916421B1 (ko) 터미널 커넥터
KR200469556Y1 (ko) 개선된 커넥터 소켓 잠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