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69Y1 -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69Y1
KR200464669Y1 KR2020110011469U KR20110011469U KR200464669Y1 KR 200464669 Y1 KR200464669 Y1 KR 200464669Y1 KR 2020110011469 U KR2020110011469 U KR 2020110011469U KR 20110011469 U KR20110011469 U KR 20110011469U KR 200464669 Y1 KR200464669 Y1 KR 200464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ase
center
safety co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김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욱 filed Critical 김현욱
Priority to KR2020110011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각각의 소켓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각각 설치한 제2케이스와; 일단부는 접속단자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플러그를 형성한 전원케이블과; 제1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멀티탭 콘센트에 있어서,
제1케이스의 소켓부 입구 둘레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 일측에는 작동안내홈을 형성하며, 소켓부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2개소의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소켓부 바닥의 중심부에는 중심공을 형성하며; 제2케이스에서 각각의 소켓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중심부에는 탄성을 가진 결합탄편을 돌출 형성하여 제1케이스의 소켓부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을 관통케 하며; 상단부에는 소켓부의 걸림홈에 거치되는 환상의 걸림단턱을 형성하고, 걸림단턱의 일측에는 제1케이스의 작동안내홈 내부에서 작동하는 작동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내부에는 소켓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일치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소켓부의 고정홈부에 끼워지는 고정돌부를 형성하며, 중심부에는 제2케이스의 결합탄편이 끼워져 결합되는 설치공을 형성하고, 측면 주벽에는 접지단자가 노출되는 단자노출부를 형성한 원통형의 안전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에 따른 각종 감전사고나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유입에 따른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Outlet power strip equipped with a safety cover}
본 고안은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종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코드를 꽂아서 사용하는 멀티탭 콘센트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영·유아들의 호기심이나 장난에 의한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한 감전 사고나 누전에 의한 전기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나 TV, 오디오, 냉난방기 등 각종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전자제품의 전원코드를 꽂아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전자제품의 수에 비해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의 수 가 부족하거나,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전자제품과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는 다수의 콘센트를 형성하고, 일정한 길이의 코드선을 형성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필요한 위치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멀티탭 콘센트는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각각의 소켓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각각 설치한 제2케이스와; 일단부는 접속단자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플러그를 형성한 전원케이블과; 제1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멀티탭 콘센트의 전원케이블의 플러그를 건물의 벽면 등에 형성된 콘센트에 끼운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요구되는 전자제품의 전원코드의 플러그를 멀티탭 콘센트의 소켓부에 꽂으면, 플러그에서 돌출 형성된 단자봉이 소켓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투입되어 제2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접속단자와 접속함으로써 전자제품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탭 콘센트는 전자제품의 전원코드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부에 형성된 삽입공이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먼지 등 각종 이물질 등이 쉽게 유입되어 오염되거나, 그로 인해 접속불량이나 화재 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 등이 함유된 이물질이 삽입공을 통해 접속단자까지 직접 유입되는 경우에는 단전이나 전기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유아가 있는 가정 등에서는 아이들의 호기심이나 장난에 의해 젓가락과 같은 금속체 이물질을 소켓부의 삽입공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접속단자가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거나, 금속체의 통전에 의한 감전 사고나 스파크 발생 등에 의한 화재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멀티탭 콘센트의 소켓부 내부에 회전식 안전커버를 설치함으로써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소켓부의 삽입공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영·유아들에 의한 이물질 삽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나 화재 등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길이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부(101)가 형성된 제1케이스(1)와; 각각의 소켓부(101)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속단자(201)와 접지단자(202)를 각각 설치한 제2케이스(2)와; 일단부는 접속단자(201)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플러그를 형성한 전원케이블(3)과; 제1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3)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4)로 구성되는 멀티탭 콘센트에 있어서,
제1케이스(1)의 소켓부(101) 입구 둘레에는 걸림홈(103)을 형성하고, 걸림홈(103) 일측에는 작동안내홈(104)을 형성하며, 소켓부(101)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2개소의 고정홈부(106a, 106b)를 형성하고, 소켓부(101) 바닥의 중심부에는 중심공(105)을 형성하며,
제2케이스(2)에서 각각의 소켓부(101)에 해당하는 위치의 중심부에는 탄성을 가진 결합탄편(203)을 돌출 형성하여 제1케이스(1)의 소켓부(101)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105)을 관통케 하며,
상단부에는 소켓부(101)의 걸림홈(103)에 거치되는 환상의 걸림단턱(501)을 형성하고, 걸림단턱(501)의 일측에는 제1케이스(1)의 작동안내홈(104) 내부에서 작동하는 작동돌부(502)를 돌출 형성하며, 내부에는 소켓부(101)에 형성된 삽입공(102)과 일치하는 통공(503)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소켓부(101)의 고정홈부(106a, 106b)에 끼워지는 고정돌부(504)를 형성하며, 중심부에는 제2케이스(2)의 결합탄편(203)이 끼워져 결합되는 설치공(505)을 형성하고, 측면 주벽에는 접지단자(202)가 노출되는 단자노출부(506)를 형성한 원통형의 안전커버(5)를 포함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멀티탭 콘센트의 각 소켓부에 회전식 안전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소켓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커버를 이용해 소켓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외부 노출을 간편하게 차단하여 삽입공 내부로 먼지나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유아들의 호기심이나 장난에 의한 삽입공 내부로의 이물질 투입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나 누전 등으로 인한 각종 전기 안전사고와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유입에 따른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 정면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 횡단면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부(101)가 형성된 제1케이스(1)와, 각각의 소켓부(101)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속단자(201)와 접지단자(202)를 각각 설치한 제2케이스(2)와, 일단부는 접속단자(201)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플러그를 형성한 전원케이블(3)과, 제1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3)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4)와, 제1케이스(1)의 소켓부(101) 내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원통형의 안전커버(5)로 구성되는데 주요 구성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케이스(1)에는 같은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켓부(10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각 소켓부(101)의 입구 둘레에는 환상의 걸림홈(103)을 형성하되, 걸림홈(103)의 일측에는 걸림홈(103)보다 큰 직경의 작동안내홈(104)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소켓부(101)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2개소의 고정홈부(106a, 106b)를 형성하고, 소켓부(101) 바닥의 중심부에는 중심공(105)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1케이스(1)의 하부에서 억지 끼움이나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케이스(2)에서 제1케이스(1)에 형성된 각각의 소켓부(101)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각각 접속단자(201)와 접지단자(202)를 각각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소켓부(101)에 해당하는 위치의 중심부에는 탄성을 가진 결합탄편(203)을 돌출 형성하여 이 결합탄편(203)을 이용해 제1케이스(1)의 소켓부(101) 내부에 회동 가능케 안전커버(5)를 설치하게 된다.
즉, 제2케이스(2)의 결합탄편(203)은 탄력을 가지면서 외경의 축소가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외향으로 걸림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제1케이스(1)와 제2케이스(2)를 결합하면 제2케이스(2)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탄편(203)이 제1케이스(1)의 소켓부(101)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105)을 관통하여 소켓부(101) 내부에 끼워진 안전커버(5)의 설치공(505)에 끼워짐으로써 안전커버(5)가 소켓부(101) 내부에서 결합탄편(203)에 결합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소켓부(101) 내부에서의 회동이 가능케 된다.
이때, 설치공(505)은 결합탄편(203)의 외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안전커버(5)의 바닥면 위로 돌출되지 않고 매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505) 입구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설치되는 안전커버(5)의 상단부에는 소켓부(101)의 걸림홈(103)에 거치되는 환상의 걸림단턱(501)을 형성하고, 걸림단턱(501)의 일측에는 제1케이스(1)의 작동안내홈(104) 내부에서 작동하는 작동돌부(50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소켓부(101) 내부에서 결합탄편(203)에 의해 설치된 안전커버(5)의 작동돌부(502)를 손가락을 이용해 회동시킴으로써 안전커버(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안전커버(5)의 내부에는 소켓부(101)에 형성된 삽입공(102)과 일치하는 통공(503)을 형성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커버(5)가 회전하여 통공(503)이 소켓부(101)의 삽입공(102)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안전커버(5) 내부로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투입하여 전원 플러그(A)의 단자봉(A1)을 안전커버(5)의 통공(503)을 통해 소켓부(101)의 삽입공(102)으로 투입하여 제2케이스(2) 내부에 설치된 접속단자(201)에 접속하여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안전커버(5)가 회전하여 안전커버(5)의 통공(503)이 소켓부(101)의 삽입공(102)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커버(5)의 바닥판에 의해 소켓부(101)의 삽입공(102)이 은폐되기 때문에 삽입공(10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삽입공(102)으로의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커버(5)의 저면에는 고정돌부(504)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이 고정돌부(504)가 소켓부(101)의 바닥면 동심원 상에 형성된 2개의 고정홈부(106a, 106b) 중 하나의 고정홈부(106a, 106b)에 항상 끼워짐으로써 안전커버(5)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돌부(502)를 이용해 안전커버(5)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돌부(504)가 고정홈부(106a, 106b)에서 빠져 나올 정도의 힘이 필요한 데 이러한 힘은 힘의 크기가 방향성은 어린 영·유아들이 쉽게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안전커버(5)의 위치를 영·유아들이 쉽게 변경할 수 없으므로 영·유아들의 호기심이나 장난에 의한 전기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안전커버(5)의 측면 주벽에는 단자노출부(506)를 형성함으로써 제2케이스(2)에서 각각의 소켓부(101)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소켓부(101)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지단자(202)가 단자노출부(506)를 통해 노출되게 함으로써 접지단자(202)의 노출에도 안전커버(5)의 회전이 가능케 된다.
또한, 안전커버(5)의 주벽 내주면에는 슬롯트(507)를 형성함으로써 안전커버(5) 내부로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를 끼워 넣을 때 전원플러그의 단자봉이 소켓부(101)의 삽입공(102)에 쉽게 끼워지도록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제1케이스 101: 소켓부
102: 삽입공 103: 걸림홈
104: 작동안내홈 105: 중심공
106a, 106b: 고정홈부 2: 제2케이스
201: 접속단자 202: 접지단자
203: 결합탄편 3: 전원케이블
4: 스위치 5: 안전커버
501: 걸림단턱 502: 작동돌부
503: 통공 504: 고정돌부
505: 설치공 506: 단자노출부

Claims (1)

  1. 길이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각각의 소켓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각각 설치한 제2케이스와; 일단부는 접속단자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플러그를 형성한 전원케이블과; 제1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멀티탭 콘센트에 있어서,
    제1케이스의 소켓부 입구 둘레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 일측에는 작동안내홈을 형성하며, 소켓부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2개소의 고정홈부를 형성하고, 소켓부 바닥의 중심부에는 중심공을 형성하며,
    제2케이스에서 각각의 소켓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중심부에는 탄성을 가진 결합탄편을 돌출 형성하여 제1케이스의 소켓부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공을 관통케 하며,
    상단부에는 소켓부의 걸림홈에 거치되는 환상의 걸림단턱을 형성하고, 걸림단턱의 일측에는 제1케이스의 작동안내홈 내부에서 작동하는 작동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내부에는 소켓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일치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소켓부의 고정홈부에 끼워지는 고정돌부를 형성하며, 중심부에는 제2케이스의 결합탄편이 끼워져 결합되는 설치공을 형성하고, 측면 주벽에는 접지단자가 노출되는 단자노출부를 형성한 원통형의 안전커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2020110011469U 2011-12-23 2011-12-23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200464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69U KR200464669Y1 (ko) 2011-12-23 2011-12-23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69U KR200464669Y1 (ko) 2011-12-23 2011-12-23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69Y1 true KR200464669Y1 (ko) 2013-01-14

Family

ID=5135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69U KR200464669Y1 (ko) 2011-12-23 2011-12-23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459A (ko) * 2014-01-14 2015-07-22 김선무 회전식 멀티탭
KR20160003295U (ko) * 2015-03-17 2016-09-27 기현주 콘센트 안전커버
KR102079322B1 (ko) * 2019-12-03 2020-02-19 손진욱 감전방지 멀티탭
CN111048937A (zh) * 2019-12-31 2020-04-21 苏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多种计算机网络通信技术的融合网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764U (ko) * 1999-04-08 1999-09-06 이시명 보호구가장착된콘센트
KR200230921Y1 (ko) 2001-02-08 2001-07-19 김원철 콘센트 안전장치
KR20040090059A (ko) * 2003-04-16 2004-10-22 고인석 안전 콘센트
KR101046173B1 (ko) 2009-09-11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764U (ko) * 1999-04-08 1999-09-06 이시명 보호구가장착된콘센트
KR200230921Y1 (ko) 2001-02-08 2001-07-19 김원철 콘센트 안전장치
KR20040090059A (ko) * 2003-04-16 2004-10-22 고인석 안전 콘센트
KR101046173B1 (ko) 2009-09-11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459A (ko) * 2014-01-14 2015-07-22 김선무 회전식 멀티탭
KR101645466B1 (ko) 2014-01-14 2016-08-05 김선무 회전식 멀티탭
KR20160003295U (ko) * 2015-03-17 2016-09-27 기현주 콘센트 안전커버
KR200485219Y1 (ko) * 2015-03-17 2017-12-08 기현주 콘센트 안전커버
KR102079322B1 (ko) * 2019-12-03 2020-02-19 손진욱 감전방지 멀티탭
CN111048937A (zh) * 2019-12-31 2020-04-21 苏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多种计算机网络通信技术的融合网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469B1 (ko) 소켓 아울렛
KR200464669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US20090023304A1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EP2780994B1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US20060068608A1 (en) Rotatable outlet adaptor
KR101464120B1 (ko) 조립식 멀티탭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445273B1 (ko) 원터치형 콘센트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KR20190059351A (ko) 슬라이딩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KR20210028527A (ko) 안전 콘센트
KR200477258Y1 (ko) 멀티탭
KR101968227B1 (ko) 통신기능을 갖는 플러그
KR102079322B1 (ko) 감전방지 멀티탭
CN104103936B (zh) 一种安全插座
KR20130045053A (ko) 안전 콘센트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US9379474B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device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KR101505645B1 (ko) 절전형 안전 콘센트
EP3017513B1 (en) A double wall socket
KR200353857Y1 (ko) 멀티탭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1564843B1 (ko) 콘센트
CN103904465A (zh) 一种安全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