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459A - 회전식 멀티탭 - Google Patents

회전식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459A
KR20150084459A KR1020140004498A KR20140004498A KR20150084459A KR 20150084459 A KR20150084459 A KR 20150084459A KR 1020140004498 A KR1020140004498 A KR 1020140004498A KR 20140004498 A KR20140004498 A KR 20140004498A KR 20150084459 A KR20150084459 A KR 2015008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insertion hole
t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466B1 (ko
Inventor
김선무
김진영
박성실
Original Assignee
김선무
박성실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무, 박성실,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선무
Priority to KR102014000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에 플러그를 꽂을 때, 플러그가 회전하도록 하여 인접 플러그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멀티탭의 모든 소켓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탭에 있어서,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는 플러그접속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삽입구에 결합되고 플러그 끼움공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체와, 및 상기 복수의 회전체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이다.

Description

회전식 멀티탭{Rotational Multi-outlet}
본 발명은 회전식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탭에 꽂힌 플러그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멀티탭의 모든 소켓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소켓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써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탭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0198515호(2000.10.02) 회전형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형상의 플러그를 동시에 여러개 꽂더라도 인접된 플러그에 간섭받지 않는 회전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탭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다보면 인접 플러그에 간섭을 받아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멀티탭의 각 콘센트를 독립된 몸체에 구성하고 이들을 회전축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하고, 각 몸체가 밀착되는 접면부에는 각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한 쌍의 원호형 접점판을 설치하고 이와 대향된 면에는 접점편에 밀착 탄지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탄성접점을 구성하여 릴레이식으로 각 몸체로 통전시키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플러그가 인접플러그에 간섭받아 콘센트에 꽂을 수 없을 때에는 해당되는 몸체를 회전시켜 꽂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형태의 플러그를 동시에 여러개 꽂더라도 인접된 플러그에 간섭받지 않고 꽂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몸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탭에 플러그를 꽂을 때, 플러그가 회전하도록 하여 인접 플러그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멀티탭의 모든 소켓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탭에 있어서,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는 플러그접속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삽입구에 결합되고 플러그 끼움공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체와, 및 상기 복수의 회전체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접속부는 플러그핀이 끼워지도록 제1단자와 제2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는 도전판이 호형으로 가공되어 플러그핀이 이동되도록 회전구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삽입구의 내벽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톱니에 치차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는 보조삽입공이 형성된 보호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은 회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대기전력을 표시하는 표시창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접속부가 호형으로 형성되어 플러그가 멀티탭에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수단이 형성되어 회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어 플러그가 인접 플러그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멀티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판이 설치되어 사용자는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꽂힌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작동도와 각도조절수단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단면도와 각도조절수단의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멀티탭은 다수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탭에 있어서, 복수의 삽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20)에는 플러그접속부(13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삽입구(120)에 결합되고, 플러그 끼움공(220)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체(200); 및 상기 복수의 회전체(200)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300)을 포함한다.
본체는, 후술될 회전체(20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20)의 상단면에는 플러그핀(12)이 접지되는 플러그접속부(140)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100)는 기성 멀티탭과 유사한 형태로 긴 육면체 형상의 함체에 원통형상으로 함몰된 삽입구(120)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전원선이 연결되고, 전원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제작을 용이하기 위하여 상판(102)과 하판(104)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체의 삽입구(120)에 삽입되는 회전체(200)는, 플러그(10)가 꽂히는 부분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플러그핀이 꽂히는 플러그 끼움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20) 내부에서 회전 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삽입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게 된다.
회전체(200)는 각도조절수단(300)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거나 고정된다.
본체에 설치되는 플러그접속부(140)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접속부(140)는 플러그핀(12)이 접지되는 곳으로 도전판으로 가공된 제1단자(142)와 제2단자(144)로 구성되고, 플러그핀(12)이 접속된 상태에서 플러그(1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접속부(140)의 반경이 플러그핀(12)의 회전반경과 일치해야 한다. 그래서 제1단자(142)와 제2단자(144)는 각각 플러그핀(12)의 회전각과 같은 사이각을 가진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어 설치된다. 플러그(10)는 인접 플러그의 간섭을 받지 않은 만큼의 각도로 회전가능하면 되므로 제1단자(142)와 제2단자(144)의 사잇각은 약 90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단자(142)는 인접한 제1단자(142)와 접지연결부재(146)로 연결되며, 제2단자(144)역시 인접한 제2단자(144)와 접지연결부재로 연결된다.
각도조절수단(400)은 본체의 삽입구 내벽에 형성된 톱니부(320)와, 회전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40)는 상기 회전체(200)의 외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체(200)의 외면에는 상기 돌기(340)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결합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342)는 상기 돌기(340)가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고 형성된다.
돌기결합부(342)에는 상기 돌기(340)를 회전체(200) 방향으로 탄성편향 시키는 돌기탄성체(344)가 설치되어 상기 돌기(340)가 삽입구(120) 내부에서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340)는 톱니부(32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체(200)는 플러그(10)가 꽂혀 있을시 플러그(10)를 손으로 잡고 회전체(200)를 강제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플러그(10)를 잡고 강제돌림 하여 원하는 각으로 위치시켰을 경우 상기 톱니부(320)와 돌기(340)에 의하여 플러그(10)의 위치각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톱니부(320)는 상기 삽입구(120) 내벽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돌기(340)의 크기에 따라 톱니부(320)의 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데, 돌기(340)가 5mm의 높이를 가진다면, 상기 톱니부(320)는 5mm의 높이를 갖고 상기 삽입구(120)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340)의 회전각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톱니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아는 인지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끼움공(220)에 젓가락과 같은 쇠붙이를 넣어 감전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술된 회전체(200)에는 보호판(24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보호판(240)은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끼움공(220)은 막고, 사용되는 플러그끼움공(220)은 개방시키게 된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보호판(240)에는 플러그끼움공(220)과 같은 위치와 크기의 보조삽입공(24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00)의 지지판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200)에는 상기 보호판(240)이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상기 보호판(240)이 안착되어 상기 보호판(24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플러그끼움공(220)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보조삽입공(242)을 상기 플러그끼움공(220)과 어긋나게 회전시키고, 플러그끼움공(220)의 사용시에는 상기 보조삽입공(242)을 상기 플러그끼움공(220)과 일치되도록 회전시킨다.
보호판(240)의 회전 상태를 편리하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판(240)의 하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을 연결하는 탄성체(244)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보조삽입공(242)이 상기 플러그끼움공(220)과 어긋나도록 상기 보호판(240)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삽입공(242)에 플러그핀(12)을 삽입한 후 상기 보호판(240)을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끼움공(220)에 플러그핀(12)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플러그핀(12)을 상기 플러그끼움공(220)으로부터 뽑게되면 상기 보호판(240)은 상기 탄성체(244)의 탄성에 의해 보조삽입공(242)이 플러그끼움공(220)과 어긋나도록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대기전력을 표시하는 표시창(40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창(400)에 표시된 대기전력을 확인함으로써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식 멀티탭은 인접 플러그(10)의 영향을 받지 않고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하여 멀티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 사용법을 설명하자면, 사용자는 보호판(240)에 형성된 보조삽입공(242)으로 플러그핀(12)을 꽂은 상태로 상기 보호판(240)을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핀(12)이 회전체에 형성된 플러그끼움공(220)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때 삽입구(120)에 장치된 호형의 플러그접속부(140)에 의해 상기 플러그핀(12)은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120) 내벽에 형성된 톱니부(320)와 상기 회전체(200)에 형성된 돌기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플러그(10)를 고정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10)를 뽑게되면 상기 보호판(240)은 탄성체(244)에 의하여 다시 회전복원되므로 보조삽입공(242)과 플러그끼움공(220)이 어긋난 상태가 되어 상기 플러그끼움공(2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10 : 플러그 12 : 플러그핀
100 : 본체 102 : 상판
104 : 하판 120 : 삽입구
140 : 플러그접속부 142 : 제1단자
144 : 제2단자 146 : 접지연결부재
200 : 회전체 220 : 플러그끼움공
240 : 보호판 242 : 보조삽입공
244 : 탄성체 300 : 각도조절수단
320 : 톱니부 340 : 돌기
342 : 돌기결합부 344 : 돌기탄성체
400 : 표시창

Claims (5)

  1. 다수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탭에 있어서,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는 플러그접속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구에 결합되고, 플러그 끼움공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체; 및
    상기 복수의 회전체가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속부는 플러그핀이 끼워지도록 제1단자와 제2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는 도전판이 호형으로 가공되어 플러그핀이 이동되도록 회전구간이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삽입구의 내벽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톱니부에 치차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보조삽입공이 형성된 보호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대기전력을 표시하는 표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멀티탭.
KR1020140004498A 2014-01-14 2014-01-14 회전식 멀티탭 KR10164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98A KR101645466B1 (ko) 2014-01-14 2014-01-14 회전식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98A KR101645466B1 (ko) 2014-01-14 2014-01-14 회전식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59A true KR20150084459A (ko) 2015-07-22
KR101645466B1 KR101645466B1 (ko) 2016-08-05

Family

ID=5387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98A KR101645466B1 (ko) 2014-01-14 2014-01-14 회전식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4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23B1 (ko) * 2018-12-27 2020-02-10 박동수 콘센트 단자의 플러그 삽입부에 회전 날개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KR20200079447A (ko) 2020-06-15 2020-07-03 박한설 다각도 멀티탭
KR20210064776A (ko) 2019-11-26 2021-06-03 이동현 회전이 가능하고 꺾이며, 전력까지 차단할 수 있는 멀티탭
KR102282929B1 (ko) * 2020-09-09 2021-07-27 최정호 회전형 소켓
KR102293721B1 (ko) * 2020-10-29 2021-08-24 최정호 전극 마운트 구조를 가진 회전형 소켓
KR102325934B1 (ko) 2020-12-11 2021-11-12 김명석 플러그 위치 상하 확장 멀티탭
KR20220057747A (ko) * 2020-10-30 2022-05-09 이지환 사용성이 향상된 멀티 플러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17B1 (ko) *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200464669Y1 (ko) * 2011-12-23 2013-01-14 김현욱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282944B1 (ko) * 2012-02-01 2013-07-05 이영훈 로터리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69Y1 (ko) * 2011-12-23 2013-01-14 김현욱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282944B1 (ko) * 2012-02-01 2013-07-05 이영훈 로터리 콘센트
KR101183617B1 (ko) *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23B1 (ko) * 2018-12-27 2020-02-10 박동수 콘센트 단자의 플러그 삽입부에 회전 날개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KR20210064776A (ko) 2019-11-26 2021-06-03 이동현 회전이 가능하고 꺾이며, 전력까지 차단할 수 있는 멀티탭
KR20200079447A (ko) 2020-06-15 2020-07-03 박한설 다각도 멀티탭
KR102282929B1 (ko) * 2020-09-09 2021-07-27 최정호 회전형 소켓
WO2022055048A1 (ko) * 2020-09-09 2022-03-17 최정호 회전형 소켓
EP4207512A4 (en) * 2020-09-09 2024-02-14 Jung Ho Choe ROTARY SOCKET
KR102293721B1 (ko) * 2020-10-29 2021-08-24 최정호 전극 마운트 구조를 가진 회전형 소켓
KR20220057747A (ko) * 2020-10-30 2022-05-09 이지환 사용성이 향상된 멀티 플러그 장치
KR102325934B1 (ko) 2020-12-11 2021-11-12 김명석 플러그 위치 상하 확장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466B1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66B1 (ko) 회전식 멀티탭
KR20160142239A (ko) 소켓 아울렛
KR101733995B1 (ko)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JP6786351B2 (ja) 回動機構及びその回動機構を備えるアダプタ
GB2442426A (en) A universal power socket
KR20120008772A (ko) 회전식 멀티탭
KR20160046422A (ko) 대기전력 차단용 방사형 멀티콘센트
JP3180768U (ja) 多機能自在コンセント
KR101249792B1 (ko) 대기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KR19980065331U (ko) 멀티 콘센트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JP3218716U (ja) 個別に回転可能な電源コネクタ
KR101282944B1 (ko) 로터리 콘센트
KR20160150192A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101288472B1 (ko) 멀티탭
KR20120002276U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200271212Y1 (ko) 전원 차단이 가능한 플러그
KR200458169Y1 (ko)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KR20180080038A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20170054655A (ko) 트위스트 멀티탭
KR200350017Y1 (ko) 로터리 타이머가 부착된 콘센트
CN202917788U (zh) 一种可旋转电源插座
KR101772892B1 (ko)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