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69Y1 -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 Google Patents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69Y1
KR200458169Y1 KR2020080011972U KR20080011972U KR200458169Y1 KR 200458169 Y1 KR200458169 Y1 KR 200458169Y1 KR 2020080011972 U KR2020080011972 U KR 2020080011972U KR 20080011972 U KR20080011972 U KR 20080011972U KR 200458169 Y1 KR200458169 Y1 KR 200458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terminal
connection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870U (ko
Inventor
금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to KR2020080011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6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전을 위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의 이탈 현상 및 접촉불량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제품의 동작 정지를 방지하게 되어 원활한 제품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플러그 단자의 끝 부분에 콘센트로부터 용이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와 플러그 단자의 사이에는 이상 전압 발생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여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접지기가 형성되는 플러그 및, 하우징에 형성되는 회전판과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부분으로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이탈방지결합부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갖는 원호 형의 장 홈이 상호 대향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장 홈의 양측 끝쪽 하부의 연결 연장선상의 축과 동일 축을 이루는 위치에 상기 플러그 단자와 견고한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접지기와 접속을 위한 접지기 접속구가 형성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이탈방지결합부는 내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L형 또는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T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기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러그, 콘센트, 이탈방지

Description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The plug and consent has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본 고안은 통전을 위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의 이탈 현상 및 접촉불량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제품의 동작 정지를 방지하게 되어 원활한 제품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모든 전기제품의 전원선 끝에는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플러그는 콘센트에 접속되어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와 플러그는 대부분이 단순하게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삽입 및 분리하는 체결방식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잦은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과 분리로 인해, 콘센트의 접속구멍에 위치하는 접속단자와 플러그 단자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외력이라도 가해질 경우에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어 전기제품의 작동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의 이탈 현상이나 접촉불량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전기적 접속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적인 전기제품의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적 접속을 위한 회전식 플러그 및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단자의 끝 부분에 용이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와 플러그 단자의 사이에는 이상 전압 발생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여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접지기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콘센트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회전판과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부분으로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이탈방지결합부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갖는 원호 형의 장 홈이 상호 대향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장 홈의 양측 끝쪽 하부의 연결 연장선상의 축과 동일 축을 이루는 위치에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접지기와 접속을 위한 접지기 접속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이탈방지결합부는 내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L형 또는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T형으로 형성되거나, 구형 및 반구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지기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플러그 단자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분리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시 견고하게 결속 상태를 이룰 수 있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의 이탈 현상이나 접촉불량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콘센트와 플러그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리방지 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를 결합한 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접속 초기 상태에서 플러그를 일 측으로 회전시켜 통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A-A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방지 기능을 갖는 플러그(100)와 콘센트(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100)는, 플러그 단자(110)의 끝 부분에 용이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결합부(111)는, 상기 콘센트(200)의 접속단자(240)와의 전기적 결속을 확실하고 견고하게 이룰 수 있도록 플러그 단자(110)의 상부지름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플러그 단자에 비해 결속력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결합부(111)는 그 형태를 콘센트(200)의 접속단자(240)에 용이하게 삽입가능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플러그(100)의 회전동작을 강제적으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L형과,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T형, 구형 및 반구형 등의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또, 상기 플러그 단자(110)와 플러그 단자(110)의 사이 중간 부분에는 전기회로와 땅의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이상 전압의 발생으로부터 기기를 보호 하여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돌기(141)를 갖는 접지기(140)를 수용할 수 있는 안내 홈(121)을 갖는 접지기 수용 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기(140)는 동(銅)과 같은 도체재료를 이용하여 상부 양쪽으로는 상기 안내 홈(1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시 흔들림이 없는 이동을 위한 안내 돌기(141)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접지기 수용 홈(120)에는 상기 접지기(140)와 함께 탄성체(130)가 삽입되어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해 접지기(140)가 상하 유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100)와 콘센트(200)의 결합시 상기 접지기(140)는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해 탄지(彈指) 되어 콘센트(200)의 접지기 접속구(233)에 좀 더 확실하게 접속하게 되어 이상 전압의 발생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여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200)는 플러그 삽입 홀(251)을 형성한 하우징(250)과, 상기 플러그 삽입 홀(251) 내에 형성되는 회전동작을 위한 회전판(210)과 상기 회전판(21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판(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210)은 가장자리부분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110)의 이탈방지결합부(111)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211a)을 갖는 원호 형의 장 홈(211)이 상호 대향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211a)은 장 홈(211)의 중간 부분에 상기 플러그 단자(110)의 이탈방지결합부(11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장 홈(211)은 상기 플러그 단자(110)를 수용하여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판(21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210)의 저면 중심부로는 회전 지지를 위한 돌기(21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212)에는 비틀림 탄성체(220)가 끼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틀림 탄성체(220)는 양쪽으로 상호 대향 하여 연장되는 고정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21)는 끝 부분이 90°로 꺾임 형성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구멍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210)은 상기 플러그(100)의 삽입 후 회전동작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고정판(230)은 상기 회전판(21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210)에 형성된 장 홈(211)의 양측 끝쪽 하부의 연결 연장선상의 축과 동일 축을 이루는 위치에는, 체결공(241)을 갖고 상기 플러그 단자(110)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240)가 스크류(S)에 의해 결합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판(230)의 중앙에는 접속구 수용 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 수용 홀(232)을 통해서는 상기 접지기(140)와 접속을 위한 접지기 접속구(233)가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판(230)에는 상기 비틀림 탄성체(220)의 고정부(221)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고정 홈(231)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240)는 상기 플러그 단자(110)가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가능 하도록 출입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211a)과, 접속단자(240)는 상기 플러그 단자(110)의 이탈방지결합부(111)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고 견고한 결속 및 분리상태를 이루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 연결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단자(110)의 이탈방지결합부(111)를 콘센트(200)의 회전판(210)에 형성된 장 홈(211)의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211a)에 삽입한다.
이어서, 플러그(100)를 장 홈(21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장 홈(211)의 양쪽 끝 아래 바닥에 형성된 접속단자(240)에 이탈방지결합부(211)가 삽입되어 견고한 결속 상태를 이루게 되어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콘센트(200)에 플러그(100)가 견고하게 결합 되어 콘센트(200)로부터 플러그(100)의 이탈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접촉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플러그(100)의 이탈방지결합부(211)를 자유롭게 회전시킨 후, 콘센트(200)의 접속단자(240)에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사용시 안전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러그(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기제품의 동작 정지를 방지하게 되어 원활한 제품사용을 이루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100) 및 콘센트(200)는 전원 차단을 위해서 플러그(100)를 콘센트(200)로부터 분리시키려할 경우에는 상기 체결과정과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한편, 도 7a, 7b, 7c, 7d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이탈방지결합부와 콘센트의 회전판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플러그(100)의 플러그 단자(110)에 형성된 이탈방지결합부(111)를 L형, T형, 구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200)의 회전판(210)에 형성된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211a)도 구형과, 내측으로 꺾여진 L형과 외측으로 꺾여진 L형 및 내측과 외측으로 꺾여진 T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좌우로 회전 동작한 후,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끼워져 결합 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속 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회전시키지않는 한, 사소한 접촉이나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에 걸려 당김 동작이 발생하는 상태에서도 콘센트로부터 플러그의 이탈현상이나 접촉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전원연결단자가 호기심이 많은 영아, 유아들이 호기심에 의해 콘센트에 금속을 삽입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를 결합한 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초기 상태에서 플러그를 일 측으로 회전시켜 통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요부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이탈방지결합부와 콘센트의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구형으로 나타낸 일 실시 예이다.
도 7b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이탈방지결합부와 콘센트의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T형으로 나타낸 일 실시 예이다.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이탈방지결합부와 콘센트의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내측으로 꺽여진 L형으로 나타낸 일 실시 예이다.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이탈방지결합부와 콘센트의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외측으로 꺽여진 L형으로 나타낸 일 실시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플러그 110 : 플러그 단자
111 : 이탈방지결합부 120 : 접지기 수용 홈
121 : 안내 홈 130 : 탄성체
140 : 접속단자 141 : 안내 돌기
200 : 콘센트 210 : 회전판
211 : 장 홈 211a :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
212 : 비틀림스프링 220 : 비틀림 탄성체
221 : 고정부 230 : 고정판
231 : 고정 홈 232 : 접속구 수용 홀
233 : 접지기 접속구 240 : 접속단자
241 : 체결공 250 : 하우징
251 : 플러그 삽입 홀 S : 스크류
240 : 접속단자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플러그 단자의 끝 부분에 콘센트로부터 용이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와 플러그 단자의 사이에는 이상 전압 발생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여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접지기가 형성되는 플러그 및, 하우징에 형성되는 회전판과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부분으로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이탈방지결합부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이탈방지결합부 삽입구멍을 갖는 원호 형의 장 홈이 상호 대향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장 홈의 양측 끝쪽 하부의 연결 연장선상의 축과 동일 축을 이루는 위치에 상기 플러그 단자와 견고한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접지기와 접속을 위한 접지기 접속구가 형성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이탈방지결합부는 내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L형 또는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T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기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플러그 및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플러그 단자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분리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플러그 및 콘센트.
KR2020080011972U 2008-09-03 2008-09-03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0458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72U KR200458169Y1 (ko) 2008-09-03 2008-09-03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72U KR200458169Y1 (ko) 2008-09-03 2008-09-03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70U KR20100002870U (ko) 2010-03-11
KR200458169Y1 true KR200458169Y1 (ko) 2012-01-25

Family

ID=4419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972U KR200458169Y1 (ko) 2008-09-03 2008-09-03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60B1 (ko) 2019-11-14 2020-09-03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111B1 (ko) * 1997-05-29 2000-02-01 김종희 전원코드 접속장치
KR100619885B1 (ko) * 2004-07-20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111B1 (ko) * 1997-05-29 2000-02-01 김종희 전원코드 접속장치
KR100619885B1 (ko) * 2004-07-20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60B1 (ko) 2019-11-14 2020-09-03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US11342700B2 (en) 2019-11-14 2022-05-24 Hoyoung Kim Plug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70U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4458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645466B1 (ko) 회전식 멀티탭
CN105356141A (zh) 一种电连接装置及其插头、插座、插线板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KR101123986B1 (ko) 회전식 멀티탭
KR20190127129A (ko)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200458169Y1 (ko)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KR200420055Y1 (ko) 회전식 안전콘센트.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101233437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KR20150089861A (ko) 멀티 탭 콘센트
KR20080072599A (ko) 콘센트 안전커버
US3210717A (en) Safety connector plug
KR19980065331U (ko) 멀티 콘센트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US20060157333A1 (en) Safety plug that is used to switch power in sequence easily and is composed of main body
KR101984876B1 (ko)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101210584B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CN220731938U (zh) 具有极性匹配确保结构的电源接头
KR101891695B1 (ko) 플러그 확장 모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