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760B1 - 플러그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760B1
KR102151760B1 KR1020190146140A KR20190146140A KR102151760B1 KR 102151760 B1 KR102151760 B1 KR 102151760B1 KR 1020190146140 A KR1020190146140 A KR 1020190146140A KR 20190146140 A KR20190146140 A KR 20190146140A KR 102151760 B1 KR102151760 B1 KR 10215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terminal
main body
insertion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영 filed Critical 김호영
Priority to KR102019014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760B1/ko
Priority to US17/028,969 priority patent/US11342700B2/en
Priority to PCT/KR2020/015614 priority patent/WO20210961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가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및 상기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삽입 장치{Plug Insertion Device}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강화된 플러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모든 전자제품의 전선 끝에는 플러그(plug)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는 콘센트(consent)에 접속되어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콘센트는 플러그와의 결합을 통해 각종 전자제품 등의 전자기구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벽면에 매립되거나 또는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멀티탭 형태로 사용된다.
한편 종래 제시된 벽면에 매립된 콘센트 또는 멀티탭 형태의 콘센트는 콘센트 홀에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구현되는데, 이러한 종래 플러그 삽입 방식은 플러그 삽입 및 분리시 과도한 힘을 가해야 하고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감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581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안전성을 강화하여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사회적 약자를 위한다는 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장치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가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및 상기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림부가 하방으로 이동시 노출되는 제 1 접속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제 2 접속단자가 타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접속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단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홈부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가림부 일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림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체 지지부와, 상기 승강체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체의 상하 이동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탄성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체는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홈부를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측면 및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 및 하면과 접촉될 때 상기 삽입부와 상기 플러그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제 1 자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자력부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 2 자력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가능한 삽입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콘센트 홀에 플러그를 직접 삽입하지 않고 삽입부를 상하 방향으로 플러그 삽입 장치 본체에 삽입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접속단자는 삽입부가 본체 내로 삽입될 때에만 노출되고,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치는 삽입부가 본체 내로 삽입될 때에만 작동되므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가림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가림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2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2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와 가림부(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와 가림부(20)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30)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장치(100)는, 콘센트(미도시)에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12)가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및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림부(20) 및 본체(1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가림부(20)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플러그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10)는 본체 하우징(11)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은 본체(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부(20)는 본체 하우징(11)의 내부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30)가 상기 본체(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11)에 의해 상기 삽입부(30)의 측면부 및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1)은 플러그 단자(12), 후술될 제 1 접속단자(13) 및 제 2 접속단자(33)와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비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체 하우징(11)은 합성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콘센트는 건물 등의 벽면에 매립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플러그 단자(12)가 상기 콘센트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삽입부(30)는 본체(1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부 하우징(31)은 삽입부(3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0)는 전자제품 등의 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32)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부(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다수의 전자제품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필요시 각각의 전자제품에 연결된 삽입부(30)를 교체하여 본체(10)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삽입구(32)는 삽입부 하우징(31)에 나사 결합 등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전자제품 등의 플러그는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에 삽입되기 전에 플러그 삽입구(32)에 삽입될 수도 있고,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 플러그 삽입구(3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술한 삽입부(30)는 본체(10)에 대해서 탈착가능하고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므로, 벽면 등에 매립된 콘센트 홀에 플러그를 직접 삽입하지 않고 삽입부(30)를 상하 방향으로 본체(10)에 삽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손쉽게 전자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는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3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고, 삽입부(30)가 개방된 본체(10)의 외부 타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0) 내부의 일측면에는 가림부(20)가 하방으로 이동시 노출되는 제 1 접속단자(1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속단자(13)와 플러그 단자(1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접속단자(13)와 플러그 단자(12)는 전선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0)는 제 1 접속단자(13)와 접촉되는 제 2 접속단자(33)가 타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접속단자(13)와 제 2 접속단자(33)는 삽입부(30)가 가림부(20) 일측을 누르면서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삽입부(30)는 본체(10) 내부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15)를 따라 본체 내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홈부(15)의 하부에는 제 1 접속단자(1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접속단자(33)는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때 홈부(15)를 따라 가이드되어 가림부(20) 일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가림부(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일측면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승강체(21)와, 승강체(21)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고, 본체(10)의 내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승강체(2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체 지지부(22)와, 승강체(21)의 하단에 배치되고, 승강체(21)의 상하 이동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23) 및 탄성체(23)의 하단을 지지하는 탄성체 지지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제 2 접속단자(33)는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때 홈부(15)를 따라 가이드되어 승강체(21)(가림부(20) 일측)를 누르면서 승강체(21)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접속단자(33)가 홈부(15)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삽입부(30)를 본체(10)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 2 접속단자(33)가 승강체(21)를 누르면, 승강체(21) 하단에 배치된 탄성체(23)가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탄성체(23)의 하단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탄성체 지지부(24)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접속단자(33)가 홈부(15)를 따라 가이드되어 승강체(21)를 눌러 승강체(2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승강체(21)에 의해 가려져있던 제 1 접속단자(13)가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접속단자(13)와 제 2 접속단자(33)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단자(12), 제 1 접속단자(13), 제 2 접속단자(33)를 거쳐 전자제품 등의 플러그를 통해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0)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 2 접속단자(33)가 삽입부(30)의 외부 타측면 중앙에 형성되므로 상부와 하부중 어느 부분을 먼저 삽입시켜도 제 1 접속단자(13)와 제 2 접속단자(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30)를 다시 본체(10)의 상부측으로 분리시킬 때에는, 제 2 접속단자(33)가 홈부(15)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게 되며 제 1 접속단자(13)와 제 2 접속단자(33)의 전기적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접속단자(33)의 하방 이동에 의해 압축되었던 탄성체(23)가 복원되면서 승강체(21)가 상승되게 되고 제 1 접속단자(13)는 승강체(21)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삽입부(30)의 본체(10) 내부로의 삽입시 삽입부(30)를 중력방향(상하방향)으로 삽입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림부(20)의 승강체(21)가 제 1 접속단자(13)를 가리고 있으므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 1 접속단자(13)에 먼지가 쌓여 정전기 등이 발생해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본체(10) 내측면 및 내측 하면에 형성되고,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삽입부(30)의 외측면 및 하면과 접촉될 때(삽입부(30)에 의해 눌려질 때) 삽입부(30)와 플러그 단자(1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속단자(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접속단자(13)가 배치되는 홈부(15)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16) 중 본체(10)의 내측 하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부는, 스위치부가 온(On)될 때 제 1 접속단자(13) 중에서 3개의 홈부(15) 중의 가운데에 위치된 홈부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와 플러그의 접지단자를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부(16) 중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2개의 스위치부는, 스위치부가 온(On)될 때 제 1 접속단자(13) 중에서 3개의 홈부(15) 중의 양측에 위치된 홈부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와 플러그 단자(12)를 전선(미도시)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16) 중 본체(10)의 내측 하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부와 본체(10)의 내측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부는, 두 스위치부들이 모두 온(On)될 때 제 1 접속단자(13) 중에서 3개의 홈부(15) 중의 일측 사이드에 위치된 홈부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와 플러그 단자(12)의 일측 단자를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부(16) 중 본체(10)의 내측 하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부와 본체(10)의 내측 타측면에 형성되는 스위치부는, 두 스위치부들이 모두 온(On)될 때 제 1 접속단자(13) 중에서 3개의 홈부(15) 중의 타측 사이드에 위치된 홈부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와 플러그 단자(12)의 타측 단자를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접속단자(13) 중에서 3개의 홈부(15) 중의 가운데에 위치된 홈부에 삽입되는 제 1 접속단자와 플러그의 접지단자는 별도로 스위치부와의 연결없이 직접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3개의 스위치부에 의한 전기적 연결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구성이 가능하며, 별도의 세세한 개시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그 범위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삽입부(30)가 본체(10) 내로 삽입되면, 3개의 스위치부(16)는 삽입부(30)의 외측면 및 하면과 접촉될 수 있고, 스위치부(16)가 온(On)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30)가 본체(10)내로 삽입되면 스위치부(16)가 온(On)됨과 동시에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가림부(20)가 하강되면서 제 1 접속단자(13)와 삽입부(30)의 제 2 접속단자(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삽입부(30)의 본체(10) 내로의 삽입에 의해 스위치부(16)가 온(On)됨에 따라 제 1 접속단자(13)와 플러그 단자(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결국 삽입부(30)의 제 2 접속단자(33), 본체(10)의 제 1 접속단자(13)와 플러그 단자(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6) 구성에 의해 삽입부(30)가 본체(10) 내로 삽입될 때만 온(On)되어 삽입부(30)의 제 2 접속단자(33), 본체(10)의 제 1 접속단자(13)와 플러그 단자(1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므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 내부의 승강체 지지부(22) 사이)에는 제 1 자력부(17)가 결합되고, 삽입부(30)의 내측면에는 제 1 자력부(17)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 2 자력부(34)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자력부(17) 및 제 2 자력부(34)는 네오디움 자석 등의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을 띨 수 있어 상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자력부(17) 및 제 2 자력부(34) 구성에 의해 삽입부(30)가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때 제 1 자력부(17)와 제 2 자력부(34) 간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삽입부(30)와 본체(10)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홈부(15)를 통해 가이드되어 삽입된 제 2 접속단자(33)가 제 1 접속단자(13)와 좀 더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가능한 삽입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콘센트 홀에 플러그를 직접 삽입하지 않고 삽입부를 상하 방향으로 플러그 삽입 장치 본체에 삽입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접속단자가 삽입부가 본체 내로 삽입될 때만 노출되고,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치가 삽입부가 본체 내로 삽입될 때만 작동되므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플러그 삽입 장치 10 : 본체
11 : 본체 하우징 12 : 플러그 단자
13 : 제 1 접속단자 14 : 돌출부
15 : 홈부 16 : 스위치부
17 : 제 1 자력부 20 : 가림부
21 : 승강체 22 : 승강체 지지부
23 : 탄성체 24 : 탄성체 지지부
30 : 삽입부 31 : 삽입부 하우징
32 : 플러그 삽입구 33 : 제 2 접속단자
34 : 제 2 자력부

Claims (9)

  1.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가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및 상기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제 1 접속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제 2 접속단자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단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가림부 일측을 누르면서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제 1 접속단자가 가림부의 하방 이동에 따라 노출되면서 상기 제 2 접속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플러그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접속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단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홈부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가림부 일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체 지지부와,
    상기 승강체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체의 상하 이동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하단을 지지하는 탄성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홈부를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면과 대향되는 외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측면 및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 및 하면과 접촉될 때 상기 삽입부와 상기 플러그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제 1 자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자력부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 2 자력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 장치.
KR1020190146140A 2019-11-14 2019-11-14 플러그 삽입 장치 KR10215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140A KR102151760B1 (ko) 2019-11-14 2019-11-14 플러그 삽입 장치
US17/028,969 US11342700B2 (en) 2019-11-14 2020-09-22 Plug receiving device
PCT/KR2020/015614 WO2021096179A1 (ko) 2019-11-14 2020-11-09 플러그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140A KR102151760B1 (ko) 2019-11-14 2019-11-14 플러그 삽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760B1 true KR102151760B1 (ko) 2020-09-03

Family

ID=7245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140A KR102151760B1 (ko) 2019-11-14 2019-11-14 플러그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2700B2 (ko)
KR (1) KR102151760B1 (ko)
WO (1) WO20210961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9A1 (ko) * 2019-11-14 2021-05-20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57Y1 (ko) * 2002-04-19 2002-08-13 이성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US20080214030A1 (en) * 2003-12-06 2008-09-04 Harout Ohanesian Electrical Power, Communication and Data Cable Management Systems
KR200458169Y1 (ko) 2008-09-03 2012-01-25 주식회사 주안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CN102957034A (zh) * 2011-08-29 2013-03-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插座组合
KR20160046421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시명 대기전력 차단용 슬라이드방식 선형 멀티콘센트
KR20190001487A (ko) * 2017-06-26 2019-01-04 티씨엘 테크놀리 일렉트로닉스 (후이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8505A (en) * 1975-03-03 1977-07-26 Motorola, Inc. Subminiature connector arrangement
US4070557A (en) * 1976-07-26 1978-01-24 Northern Telecom Limited Apparatus for providing closed loop conditions in vacant module positions
DE19542936C1 (de) 1995-11-17 1996-10-17 Braun Ag Zwischenstecker für aufladbare Elektrogeräte
KR100333842B1 (ko) 1997-02-05 2002-12-02 보드-테크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US6120320A (en) * 1998-07-31 2000-09-19 Veiga; William GFI adapter
US7052298B1 (en) * 2004-11-23 2006-05-30 Sheng-Hsiung Cheng Compact traveling-use power adapter structure
US7726973B1 (en) * 2008-02-19 2010-06-01 Jocelyn Perry Power cord quick disconnec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8197265B1 (en) * 2011-01-24 2012-06-12 Xyz Science Co., Ltd. Ground-integrated electrical adaptor
US9166351B1 (en) * 2014-05-30 2015-10-20 Tongt-Huei Wang Power adapting device
US10374353B2 (en) * 2015-04-29 2019-08-06 Michael Archuleta Magnetic coupling for bulbs and sockets
JP2018049723A (ja) * 2016-09-21 2018-03-29 富士電線工業株式会社 変換アダプター
US10298037B2 (en) * 2017-09-29 2019-05-21 Apple Inc. Smart charging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1224254B (zh) * 2018-11-27 2022-04-05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US10797425B1 (en) * 2019-10-09 2020-10-06 Paul Zeng Universal Supplies, LLC Compact travel adapter and extension cord
KR102151760B1 (ko) 2019-11-14 2020-09-03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57Y1 (ko) * 2002-04-19 2002-08-13 이성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US20080214030A1 (en) * 2003-12-06 2008-09-04 Harout Ohanesian Electrical Power, Communication and Data Cable Management Systems
KR200458169Y1 (ko) 2008-09-03 2012-01-25 주식회사 주안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CN102957034A (zh) * 2011-08-29 2013-03-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插座组合
KR20160046421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시명 대기전력 차단용 슬라이드방식 선형 멀티콘센트
KR20190001487A (ko) * 2017-06-26 2019-01-04 티씨엘 테크놀리 일렉트로닉스 (후이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9A1 (ko) * 2019-11-14 2021-05-20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US11342700B2 (en) 2019-11-14 2022-05-24 Hoyoung Kim Plug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179A1 (ko) 2021-05-20
US11342700B2 (en) 2022-05-24
US20210151921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4916A (zh) 一种安全插座
KR20120080924A (ko)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
US8834186B2 (en) Power socket and safety gate mechanism thereof
US20220255275A1 (en) Adapter
KR102151760B1 (ko) 플러그 삽입 장치
CN104993267A (zh) 一种伸缩插片式移动插座
CN206893867U (zh) 防单极插入的插座
KR100636410B1 (ko)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CN105226430A (zh) 防触电防水型取电装置和防触电防水的电连接方法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CN106549247B (zh) 插座
CN103762439A (zh) 一种多功能插座防触电安全保护门
CN210517252U (zh) 一种转换接头
CN103474815B (zh) 一种电源插座安全门结构
KR101980452B1 (ko) 안전 콘센트
KR101052607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CN210468209U (zh) 一种电源插座的保护装置
CN218866922U (zh) 防触电插座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CN217956206U (zh) 具有防尘门的插座
CN104518322A (zh) 插座
CN108511940B (zh) 连接器及采用该连接器的充电装置
CN204884977U (zh) 外壳
KR101355864B1 (ko) 콘센트
KR102228144B1 (ko)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