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257Y1 -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 Google Patents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57Y1
KR200284257Y1 KR2020020011994U KR20020011994U KR200284257Y1 KR 200284257 Y1 KR200284257 Y1 KR 200284257Y1 KR 2020020011994 U KR2020020011994 U KR 2020020011994U KR 20020011994 U KR20020011994 U KR 20020011994U KR 200284257 Y1 KR200284257 Y1 KR 200284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lid
terminal
ozo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2020020011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57Y1/ko
Priority to PCT/KR2003/000807 priority patent/WO2003089142A1/en
Priority to AU2003222485A priority patent/AU200322248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벼의 겨를 벗겨내어 현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오존을 방사하여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가정용 정미기 구동모터를 내장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4)이 마련된 안착부(12)를 구비하고 구동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0)가 설치된 본체(10), 본체(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고 하부 중심에 통공(36)이 형성된 원통형 정미용기(30), 원통형 정미용기(30) 내에 수용되고 하부 중심에 회전축(14)과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부(48)가 설치된 통 형상의 탈피망(40), 탈피망(40)의 회전력 전달부(48)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어 구동모터를 구동할 때 회전하면서 벼로부터 쌀겨를 벗겨내는 회전날개(50), 및 탈피망(40) 및 회전날개(50)를 수용한 상태에서 정미용기(30)를 덮기 위한 뚜껑(60)을 포함하고, 뚜껑(60)에는 정미과정중에 오존을 방사하여 현미를 살균하기 위한 오존 램프(7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HOUSEHOLD RICE POLISHING MACHINE WITH OZONE STERILIZING FUNCTION}
본 고안은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 램프를 설치하여 벼의 겨를 벗겨내어 현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가정용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미기란 벼에 붙어있는 겨층을 벗겨내는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정미기는 종래에는 대형설비에만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가정용으로소 소형화된 제품이 많이 등장하였다.
가정용 정미기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35479호에는 모터로 회전날개를 돌려 현미로부터 쌀겨를 벗겨내거나 음색 재료를 분쇄시키는 "가정용 정미 겸용 커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제시된 가정용 정미 겸용 커터기는 본체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두고, 이 회전축에 정미용 회전날개와 음식분쇄용 평판형 커팅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57817호의 "가정용 정미기"가 있다. 이 가정용 정미기는 앞선 예의 정미 겸용 커터기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및 원리로 이루어져 있으나, 회전날개의 상단에 축지홈을 형성하고 뚜껑의 하단에는 축지핀을 형성하여 축지핀을 축지홈에 삽입함으로서 회전날개를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각 예의 정미기는 단순히 쌀겨를 현미로부터 분리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현미를 살균하는 기능은 전혀 가지지를 못한다. 일반적으로, 벼에는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유포자성 유산균(Bacillus coagulans), 스테아로써모필러스 간상균(Bacillus stearothermophilus), 섭틸리스 간상균(Bacillus subtilis),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등과 같은 세균이 존재할 수 있는데, 기존의 대형 정미설비에서는 이러한 미생물 제거를 위해 별도의 살균공정을 추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가정용 정미기는 이러한 살균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므로, 제조된 현미를 먹는 사용자에게 각종 세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오존 램프를 설치하여 쌀겨를 벗겨내는 과정에서 현미에게 직접적으로 오존을 방사하여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정용 정미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에서 회전날개 대신 장착될 수 있는 커터날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서 뚜껑에 오존 램프가 설치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안착부 14..회전축
15..제2단자 17..제4단자 20..조작부
30..정미용기 36..통공 37..제2단자
39..제3단자 40..탈피망 48..회전력 전달부
50..회전날개 53..축지홈 60..뚜껑
63..축지핀 65,67..제1단자 70..오존 램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는 구동모터를 내장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 정미용기; 상기 원통형 정미용기 내에 수용되고 하부 중심에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부가 설치된 통 형상의 탈피망; 상기 탈피망의 회전력 전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할 때 회전하면서 벼로부터 쌀겨를 벗겨내는 회전날개; 및 상기 탈피망 및 회전날개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정미용기를 덮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는 정미과정에 있는 현미를 살균하기 위한 오존 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 램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구조의 한 예로서, 상기 뚜껑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존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정미용기에 정상적으로 닫혔을 때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오존 램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구조의 다른 예로는, 상기 뚜껑에는 상기 오존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정미용기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정미용기에 정상적으로 닫혔을 때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는 상기 정미용기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3 단자와 접촉하는 제4 단자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조작부에는 상기 오존 램프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조작키가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존 램프는 상기 뚜껑의 하부 중심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회전날개의 상단에는 축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하부 중심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정미용기에 결합될 때 상기 축지홈에 삽입되는 축지핀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오존 램프를 상기 뚜껑의 하면에서 상기 축지핀 주위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가정용 정미기는 대략적으로 본체(10), 정미용기(30), 탈피망(40), 회전날개(50) 및 뚜껑(60)을 구비하며, 이들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대략 타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부로 향할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본체(10)는 일측에 정미용기(30)를 두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대략 원통형으로 큰 홈이 형성되며, 이 홈의 하단에는 정미용기(30)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12)가 제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 내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은 벨트 등을 통해서 안착부(14)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회전축(14)으로 연결된다.
본체(10)에는 또한 플러그가 연결된 전원공급선이 설치되는데, 이 플러그와 전원공급선은 개폐 도어(18) 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단에는 조작부(20)가 도시되어 있는데, 조작부(20)에는 다수의 조작키(22)가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온/오프 제어, 회전축의 회전속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의 안착부(1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미용기(30)가 안착된다. 정미용기(30)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위한 손잡이(34)가 형성된다. 또한, 정미용기(30)의 바닥면에는 본체(10)의 회전축(14)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36)가 설치된다. 이 회전력 전달부(36)는 후술되는 원형날개(50)와도 결합되어, 회전축(14)의 회전력을 원형날개(5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정미용기(30)의 상부에는 단턱(22)이 형성되어 뚜껑(60)을 얹는데 사용된다.
탈피망(40)은 정미용기(30) 내에 수용되며, 정미용기(30)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 탈피망(40)은 정미하고자 하는 벼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탈피망(40)은 상단에 링 형상의 테두리(42)를 구비하며, 이테두리(42)의 하부로 망(44)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망(44)은 벼를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쌀겨를 외부로 배출하지만 현미는 배출하지 않을 정도로 조밀하게 이루어진다.
망(44)은 또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정미과정에서 생성되는 쌀겨는 망(44)을 통해 정미용기(30)의 바닥에 쌓이게 되는데, 하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망(44)의 구조로 인해 정미용기(30)의 바닥측에는 쌀겨가 쌓이기 위한 보다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42)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위한 손잡이(46)가 설치되며, 이 손잡이(46)는 양단부가 테두리(42)의 상단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두리(42)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에는 상부로 회동된 상태가 된다.
탈피망(40)의 바닥에는 정미용기(30)의 회전력 전달부(36)가 관통하기 위한수직관(48)이 설치된다. 이 수직관(48)은 정미용기(30)의 회전력 전달부(36)가 회전날개(50)와 결합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며, 또한 정미과정에서 생기는 쌀겨가 회전력 전달부(36)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도 수행한다.
회전날개(50)는 정미용기(30)의 회전력 전달부(36)와 결합되어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탈피망(40) 내에서 회전한다. 이 회전날개(50)는 대략적으로 하단이 양측으로 연장되고, 각 연장부의 끝단이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회전날개(50)는 회전에 의해 탈피망(40) 내에 있는 벼로부터 쌀겨를 벗겨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회전날개(50)는 회전력 전달부(36)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쉽게 교체가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회전날개(50)를 일반적인 커터날로 교체하기만 하면 본 고안의 정미기는 일반적인 가정용 커터기로서도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터날(80)을 정미용기(30)의 회전력 전달부(36)와 직접 연결하게 되면, 본 고안의 가정용 정미기는 가정용 커터기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용 가정용 정미기를 커터기로서 사용할 경우, 탈피망(40)은 사용되지 않는다.
뚜껑(60)은 정미용기(30)의 상단을 덮는 역할을 한다. 이때, 뚜껑(60)은 단턱(32)에 안착된 상태로 정미용기(3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정미용기(30)와 항상 일정한 위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뚜껑(60)과 정미용기(30)는 항상 같은 위치로 결합되고, 이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6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62)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뚜껑(60)의 하부에는 오존 램프(70)가 설치되는데, 이 오존 램프(70)가 설치된 상태는 도 3a 및 도 3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오존 램프(70)는 정미용기(30) 내에 오존을 방사하여 정미공정에 있는 현미를 살균하는 역할을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UV 오존램프가 이용된다. 오존은 일반적으로 자외선, X선, 음극선 등이 공기 속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데, 이중 특히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의 살균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벼에는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유포자성 유산균(Bacillus coagulans), 스테아로써모필러스 간상균(Bacillusstearothermophilus), 섭틸리스 간상균(Bacillus subtilis),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등과 같은 세균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오존 램프(70)에 의해 방사된 오존이 이러한 세균을 제거하게 되므로, 벼를 현미로 만드는 것과 동시에 살균된 청정한 현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뚜껑(60)의 외주면에는 오존 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65)가 설치되며, 또한 본체(10)의 외면에도 제1 단자(65)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제2 단자(15)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단자(65)의 설치위치는 정미용기(30)를 위한 큰 홈쪽에 위치하는 본체 외면(16)의 상부 소정 위치가 된다. 제1 단자(65)와 제2 단자(15)는 뚜껑(60)이 정미용기(30)에 정상적으로 닫혔을 때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정미용기(30)를 본체(10)의 안착부(1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뚜껑(60)을 정미용기(30)에 닫아 결합시키면, 제1 단자(65)와 제2 단자(15)의 접촉에 의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오존 램프(7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에 설치된 조작부(20)에는 상술한 오존 램프(7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조작키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조작키는 뚜껑(60)이 정상적으로 닫혀진 상태, 즉 제1 단자(65)와 제2 단자(15)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오존 램프(70)를 켜거나 끄는데 사용된다.
또한 각 단자(65, 15)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에는 각 단자(65, 15)의 전류를 차단, 연결하는 추가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60)의 일측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끼움편(61)을 형성하고, 본체(10)에는 이 끼움편(61)에 상응하는 위치에 삽입형 스위치(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편(61)과 삽입형 스위치(11)는 뚜껑(60)이 정상적으로 닫힌 상태에서, 즉 제1 단자(65)와 제2 단자(15)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될 때, 서로 결합된다. 삽입형 스위치(11)는 끼움편(61)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65, 15)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끼움편(61)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65, 15)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뚜껑(60)이 열려 있거나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65, 15)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단자(65, 15)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대략적으로 같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뚜껑(60)의 하부에는 정미용기(30) 내로 오존을 방사하기 위한 오존 램프(70)가 설치되는데, 다만 오존 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67)는 뚜껑(60)의 내면에 설치된다. 즉, 뚜껑(60)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상부면과 상부면의 외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는데, 제1 단자(67)는 이러한 하부 연장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정미용기(3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 단자(37)가 설치된다. 제2 단자(37)의 설치위치는 뚜껑(60)이 정미용기(30)에 정상적으로 닫혔을 때 제1 단자(67)가 설치된 뚜껑(60)의 내면과 접촉하는 곳이 된다. 즉, 뚜껑(60)을 정상적으로 정미용기(30)에 닫아 결합시키게 되면, 제1 단자(67)와 제2 단자(37)는 서로 접촉하여 통전되는 상태가 된다.
정미용기(30)의 하단 외주면에는 또한 제3 단자(39)가 설치된다. 제3 단자(39)는 제2 단자(37)와 전선 등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선은 정미용기(30) 내에 함몰 설치된다.
정미용기(30)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된 제 3단자(39)는 정미용기(30)를 본체(10)의 안착부(12)에 정상적으로 안착시켰을 때, 안착부(12) 주변에 설치된 제4 단자(17)와 서로 접촉한다. 즉, 제4 단자(17)는 안착부(12) 주변의 본체(10) 외면, 다시 말해서 정미용기(30)를 위해 형성된 본체(10)의 큰 홈에 위치하는 본체 외면(16)의 하부 소정 위치가 된다. 제4 단자(17)는 또한 전선 등에 의해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미용기(30)를 본체(10)에 정상적으로 안착시키고, 뚜껑(60)을 정미용기(30)에 정상적으로 덮어 결합시킬 때에만 외부 전원과 오존 램프(7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조작부(20)에는 상술한 오존 램프(70)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조작키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조작키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이 조작키는 정미용기(30)가 본체(10)에 정상적으로 안착되고 뚜껑(60)이 정상적으로 닫혀진 상태, 즉 제1 단자(67)와 제2 단자(37) 및 제3 단자(39)와 제4 단자(17)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오존 램프(70)를 켜거나 끄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본체(10)와 뚜껑(60)에 삽입형 스위치(11) 및끼움편(61)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삽입형 스위치(11)는 끼움편(61)이 끼워진 상태에서만 각 단자(67, 37, 39, 17)에 전원을 공급하며, 끼움편(61)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외부로 노출된 단자(67, 37, 39, 17)에 의해서 사용자가 감전될 위험이 전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회전날개(50)의 상단 중심에 축지홈(53)을 형성하고, 뚜껑(60)의 하부 중심에는 뚜껑(60)을 정미용기(30)에 닫았을 때 축지홈(53)에 삽입되는 축지핀(6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는 본 실시예만의 고유한 것은 아니며, 하나의 변형된 예로서 제1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축지홈(53)과 축지핀(63)은 회전날개(50)의 회전축을 상부에서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회전날개(50)가 회전하면서 흔들리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이 가정용 정미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대략적으로 같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는 앞선 실시예와 같은 단자접촉방식 대신 플러그와 콘센트를 이용한 끼움형태의 접촉방식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플러그(19)가 전선(19')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뚜껑(60)의 외주면에는 또한 상기 플러그(19)에 대응하는 콘센트(69)가 오존 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10)에서 플러그(19)에 연결되는 전선(19')은 본체(10)의 상단에서 뚜껑(60)과 인접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플러그(19)와 콘센트(69)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전선(19')은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전선(19')을 꼬인 형태로 제작하거나, 또는 전선(19') 자체가 본체(10) 내에 삽입되어 외부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뚜껑(60)에 형성된 콘센트(69)에는 별도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플러그(19)를 삽입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를 밀폐하는 형상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순히 본체(10)에 설치된 플러그(19)를 뚜껑(60)에 형성된 콘센트(69)에 삽입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 오존 램프(7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뚜껑(60)이 반드시 일정한 방향으로만 놓여질 필요는 없으며, 단지 콘센트(69)가 외부로 노출되어 플러그(19)에 연결될 수 있으면 되므로 뚜껑(6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치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미용기(30)와 안착부(12)의 설치방향도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에서 뚜껑(60)의 하부에 오존 램프(70)가 설치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서는 오존 램프(70)의 사용개수에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는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60)의 하부 중심에 하나의 오존 램프(7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한 변형예로서 도시된 바 있는 축지홈(53) 및 축지핀(63)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축지핀(63)이 이미 뚜껑(60)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축지핀(63) 주위에 다수의 오존 램프(70)를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한 예로서 두 개의 오존 램프(70)만을 설치하였으나, 그 이상의 개수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는 뚜껑의 하부에 설치된 오존 램프로부터 방사된 오존에 의해서 정미과정에 있는 쌀 및 현미를 살균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고품질의 현미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정미기는 뚜껑에 설치된 오존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단자 또는 플러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 뚜껑이 정상적으로 닫힌 상태에서만 전류가 통하도록 함으로써 감전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정용 정미기는 단순히 정미용 회전날개를 커터날로 교체함으로써 가정용 커터기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구비된 오존 램프의 기능만을 이용하여 칫솔, 식기 등을 살균하기 위한 가정용 살균기의 역할도수행할 수 있다.

Claims (8)

  1. 구동모터를 내장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4)이 마련된 안착부(1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0)가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고 하부 중심에 통공(36)이 형성된 원통형 정미용기(30);
    상기 원통형 정미용기(30) 내에 수용되고 하부 중심에 상기 회전축(14)과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부(48)가 설치된 통 형상의 탈피망(40);
    상기 탈피망(40)의 회전력 전달부(48)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할 때 회전하면서 벼로부터 쌀겨를 벗겨내는 회전날개(50); 및
    상기 탈피망(40) 및 회전날개(50)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정미용기(30)를 덮기 위한 뚜껑(6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에(60)는 정미과정에 있는 현미를 살균하기 위한 오존 램프(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60)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존 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6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뚜껑(60)이 상기 정미용기(30)에 정상적으로 닫혔을때 상기 제1 단자(65)와 접촉하는 제2 단자(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60)에는 상기 오존 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67)가 형성되고,
    상기 정미용기(30)에는 상기 뚜껑(60)이 상기 정미용기(30)에 정상적으로 닫혔을 때 상기 제1 단자(67)와 접촉하는 제2 단자(37) 및 상기 제2 단자(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39)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안착부(12)에는 상기 정미용기(30)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3 단자(39)와 접촉하는 제4 단자(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조작부(20)에는 상기 오존 램프(7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조작키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60)의 일측 외주면에는 끼움편(6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뚜껑(60)이 정상적으로 닫힐 때 상기 끼움편(61)이 삽입되는 삽입형 스위치(11)가 설치되어, 상기 끼움편(61)이 상기 삽입형 스위치(11)에 삽입된 상태에서만 각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60)에는 상기 오존 램프(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69)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19)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6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램프(70)는 상기 뚜껑(60)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50)의 상단에는 축지홈(53)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60)의 하부 중심에는 상기 뚜껑(60)이 상기 정미용기(30)에 결합될 때 상기 축지홈(53)에 삽입되는 축지핀(63)이 설치되며,
    상기 오존 램프(70)는 상기 뚜껑(60)의 하면에서 상기 축지핀(63) 주위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KR2020020011994U 2002-04-19 2002-04-19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KR200284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94U KR200284257Y1 (ko) 2002-04-19 2002-04-19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PCT/KR2003/000807 WO2003089142A1 (en) 2002-04-19 2003-04-19 Household rice polishing machine with ozone sterilizing function
AU2003222485A AU2003222485A1 (en) 2002-04-19 2003-04-19 Household rice polishing machine with ozone steriliz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94U KR200284257Y1 (ko) 2002-04-19 2002-04-19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257Y1 true KR200284257Y1 (ko) 2002-08-13

Family

ID=322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994U KR200284257Y1 (ko) 2002-04-19 2002-04-19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84257Y1 (ko)
AU (1) AU2003222485A1 (ko)
WO (1) WO20030891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619A (ko) * 2002-07-13 2004-01-24 (주) 두원테크 정미장치 및 정미방법
KR101108585B1 (ko) 2009-05-15 2012-01-31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가정용 도정기
KR102151760B1 (ko) * 2019-11-14 2020-09-03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3570B2 (ja) * 2011-05-31 2016-07-20 山本電気株式会社 精白度測定装置、精白度測定方法、精穀機、及び精穀方法
JP6142988B2 (ja) * 2013-03-21 2017-06-07 株式会社サタケ 家庭用精米機
JP6132809B2 (ja) * 2014-05-15 2017-05-24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精米器
GB2541746B (en) * 2015-08-28 2021-09-15 Kenwo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d mixers and processors
JP6821428B2 (ja) * 2016-12-28 2021-01-27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精米機
JP6840558B2 (ja) * 2017-02-09 2021-03-10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精米機
JP6783699B2 (ja) * 2017-05-15 2020-11-11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精米機
JP6961391B2 (ja) * 2017-05-23 2021-11-05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精米機
JP6893440B2 (ja) * 2017-05-23 2021-06-23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精米羽根および精米機
KR20210037271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322A (en) * 1990-05-01 1992-07-21 F.H. Maloney Company Roller assembly for grain shellers
JP2000126625A (ja) * 1998-10-26 2000-05-09 Mk Seiko Co Ltd 精米機
JP2000070733A (ja) * 1999-01-21 2000-03-07 Mk Seiko Co Ltd 精米装置
JP2000210578A (ja) * 1999-01-26 2000-08-02 Mk Seiko Co Ltd 精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619A (ko) * 2002-07-13 2004-01-24 (주) 두원테크 정미장치 및 정미방법
KR101108585B1 (ko) 2009-05-15 2012-01-31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가정용 도정기
KR102151760B1 (ko) * 2019-11-14 2020-09-03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9142A1 (en) 2003-10-30
AU2003222485A1 (en) 200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4257Y1 (ko)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KR102054265B1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US4806770A (en) Germicidal toothbrush holder
KR20150085838A (ko) 광 요법 스킨 장치
CN106388617B (zh) 锅盖、锅及锅内食物保鲜方法
KR100922253B1 (ko) 살균이 용이한 휴대용 칫솔
KR20170077974A (ko) 다기능 틀니 살균장치
KR200443213Y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믹서기
WO2005037331A1 (e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that have usb port
KR20090035091A (ko) 고 휘도 uv-led 램프와 은 나노 및 광 촉매를 활용한휴대용 복합 살균기
CN106345627B (zh) 花洒及具有该花洒的热水器
KR20170032011A (ko) 휴대폰용 살균장치
KR20180133960A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CN207666895U (zh) 杀菌灯装置及杀菌设备
CN106622706B (zh) 花洒及具有该花洒的热水器
KR100524125B1 (ko) 살균수단을 가지는 전동헤어커터기의 충전기
KR102360956B1 (ko) 미니 살균 건조기 및 이를 구비하는 믹서기
KR100697546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CN218305561U (zh) 一种果蔬刀具消毒器
CN211834829U (zh) 一种杀菌电动牙刷
CN215605250U (zh) 一种牙刷置物架
CN216416928U (zh) 一种可消毒杀菌的料理机
CN214016473U (zh) 牙刷
KR20150063329A (ko) 치약 인출기가 구비된 칫솔 살균장치
CN215606444U (zh) 口腔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