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271A -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 Google Patents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271A
KR20210037271A KR1020190119696A KR20190119696A KR20210037271A KR 20210037271 A KR20210037271 A KR 20210037271A KR 1020190119696 A KR1020190119696 A KR 1020190119696A KR 20190119696 A KR20190119696 A KR 20190119696A KR 20210037271 A KR20210037271 A KR 20210037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ip
blender
handle
dec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예진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271A/ko
Priority to PCT/KR2020/010894 priority patent/WO2021060706A1/ko
Priority to CN202080067705.9A priority patent/CN114466610B/zh
Priority to US17/018,977 priority patent/US20210093125A1/en
Priority to EP20198468.9A priority patent/EP37976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3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너 컨테이너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연결되고 하단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 A blender and container thereof }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을 넣은 후 상기 본체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의 블렌더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는 다양한 식품의 분쇄 작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조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국제공개특허 WO2014/071994 에는 용기의 바닥에 함몰된 연결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상면에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결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가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용기의 외측면에는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용기를 본체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블렌더에서는 손잡이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용기에 연결되어 사용시 무거운 용기를 안정적으로 들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손잡이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손잡이의 사이 공간으로 손을 측방에서 끼워 넣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8529120 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블렌더 용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단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용이하게 쥐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손잡이가 한쪽에서만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손잡이가 구조적으로 파손이 되기 쉬운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손잡이를 쥐고 용기를 이동할 때에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중 벽 구조를 가지는 용기에 안정적인 손잡이 결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관이 개선된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손잡이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파손이 방지되는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체와의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는, 상면이 개구된 이너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 또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 상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는, 상면이 개구된 이너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 또는 아우터 컨테이너 상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격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바디와; 상기 손잡이 바디에 장착되는 그립부재와; 상기 손잡이 바디 및 그립부재를 차폐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는, 상면이 개구된 이너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단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또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바디와; 상기 손잡이 바디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그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금속 소재의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면에서 돌출되는 용기 안착부와; 상기 용기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동일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너 컨테이너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연결되고 하단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와 함께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손잡이 바디 및 데코부재와 이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쥐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내부에 연장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 바디와; 상기 연장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연장부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바디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에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바디에는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재가 장착되는 그립부재 장착부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가 장착되는 데코부재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양측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와 데코부재 장착부로 나누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그립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단차부는 상기 그립부의 양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와 상기 데코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와 데코부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립부재의 단부와 데코부재의 단부는 서로 동일 평면에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내부에 그립부 공간이 형성되는 데코부재 장착부와; 상기 그립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그립부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보강 리브는, 상기 그립부 공간 중앙을 따라 상하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센터 리브와; 상기 센터 리브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센터 리브 좌우 양측의 상기 그립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의 사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리브와 사이드 리브의 단부는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하면을 차폐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그립부의 일측면을 차폐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에는 상기 연장부 바디 하면에 개구된 바디 결합부에 결합되는 어퍼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파트에는 상기 그립부 바디의 내측면에 개구된 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의 내측면에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그립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 및 로어 파트는 각각 상기 데코부재의 단부와 서로 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하면이 개구된 연장부 데코와; 상기 연장부 데코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재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그립부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는 그립부 데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와 상기 그립부 데코는 서로 분리되어 성형되며, 상기 연장부와 그립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의 하단에는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 데코의 하단에는 상기 단차부가 삽입되어 상기 데코부재를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의 하면에는 그립부의 하단 및 데코부재의 하단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는 데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그립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면을 형성하는 손잡이 캡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캡은 상기 데코부재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너 컨테이너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이너 컨테이너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컨테이너의 상단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단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감싸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손잡이 바디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 쥘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바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 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스크류가 체결되는 그립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 둘레에는 후크 형상의 체결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의 내측면 하단에는 상기 체결 후크와 걸림 구속되는 후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의 상단에는 상기 블렌더 용기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데코부재와 동일 질감을 가지는 어퍼 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에서 상기 어퍼링을 향하여 돌출되는 바디 고정 돌기; 상기 어퍼 링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며, 상기 바디 고정 돌기를 수용하는 바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고정 홈과 마주보는 상기 어퍼 링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둥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의 돌출된 일면은 상기 어퍼 링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의 전단은 상기 어퍼 링의 외측면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부재는, 상기 어퍼 링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 보스가 수용되는 연장부 데코와; 상기 연장부 데코의 하단과 접하며, 상기 그립부재가 수용되는 그립부 데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는 금속 소재의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어퍼 링에 접합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상단 및 상기 어퍼 링에 접합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의 상면과 접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바라보는 면 일부가 절개되며, 상기 그립부재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에서 돌출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 보다 더 마찰력이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는,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용기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및 상기 용기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용기와 연결되고 하단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상단에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쥐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그립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그립부재를 제외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연장부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는, 하면이 개구되며,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연장부 데코와; 상기 연장부 데코의 하방에서 상기 그립부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그립부 데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하면을 차폐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그립부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의 둘레는 상기 데코부재의 개구된 하단과 접하여 상기 손잡이 바디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용기 외측면보다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와 데코부재는 이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는 사익 본체 외측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구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데코부재는 동일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의 측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블렌더 용기에는 상단이 용기에 고정되고, 하단이 이격되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 바디는 용기를 구성하는 이너 컨테이너 또는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를 잡고 들어올릴때 용기가 무거워 지게 되더라도 손잡이와 용기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지 않게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및 용기와 일체 성형되는 손잡이 바디는 트라이탄과 같이 투명하고 표면이 매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 바디 자체는 표면이 매끈하여 사용자가 직접 쥘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상기 손잡이 바디에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그립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쥘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손잡이 바디는 연장부 보강 리브와 연장부 그루브 구조에 의해 사출시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외부의 하중과 충격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외측을 감싸는 데코부재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데코부재의 전단은 용기의 외측면과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 소재의 데코부재에 의해 손잡이의 추가적인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에도 손잡이가 변형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가 장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손잡이 부분에 데코부재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더욱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코부재는 본체의 아우터 케이스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렌더 용기 및 블렌더의 외관이 보다 고급스럽고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데코부재는 손잡이의 연장부를 수용하여 차폐하는 연장부 데코와, 그립부의 외측면을 수용하는 그립부 데코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손잡이의 대부분이 데코부재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 고급스럽고 견고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안착부와 용기는 상기 본체의 중심에서 다소 편심된 위치에 위치하지만, 상기 손잡이의 외측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균형감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와 동일한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데코부재가 손잡이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기와 본체의 조화가 가능하게 되어 보다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용기와 동일 소재로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강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그립부재를 통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은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그립부재와 데코부재에 의해 외관이 가려지게 되며, 따라서 용기와 동일 소재로 형성된 손잡이 바디를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손잡이가 보다 견고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고 외관 또한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코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보이는 손잡이의 대부분이 데코부재로 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견고한 이미지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상단에 금속 소재의 어퍼 링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데코부재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어퍼 링과 일체로 되어 연장되는 것과 같이 보일 수 있어 보다 견고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용기의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상기 손잡이의 일 구성인 그립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본체와 용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용기의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용기의 어퍼링과 연장부 데코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용기의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손잡이의 일 구성인 손잡이 바지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방향을 정의한다.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리어 플레이트(도 3에서 34)가 배치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이라 하고, 용기(container, 10)의 상단의 위치를 상면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용기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외관은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상기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는 상기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7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조작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0,310b)는 상기 노브(40)와 터치 모듈(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311)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상기 용기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기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일부가 상기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상기 용기(10)가 안착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기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상기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상기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상기 용기(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4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 및 용기(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70)의 측단은 상기 본체(30)의 일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라서 전방에서 볼 때 보다 안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으며, 균형잡힌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는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 1 안착부(324)와 상기 제 2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325)는 상기 제 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결합 지지부(325b) 및 용기 결합 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내측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장착시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결합 지지부(325b)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가이드 결합홈(325c)에 의해 정렬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지지부(325b)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장착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안착부(301) 하방의 상기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상기 노브(4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상기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상기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상기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용기(10)는 투명하면서도 충격에 강하고 흠집이 잘 나지 않는 트라이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상기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spout)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 및 상기 뚜겅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기(1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7-7'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용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면을 형성하는 뚜껑 상부(22)와, 상기 뚜껑 상부(22)와 결합되며 상기 뚜껑(20)의 하면을 형성하는 뚜껑 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13)는 상기 뚜껑 상부(22)와 뚜껑 하부(23)의 개구된 중앙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13)를 분리한 상태에서 식품의 추가 또는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으로의 접근이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둘레에는 상기 용기(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10) 내부를 기밀시키는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의 경사면(122)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뚜껑(22)의 외측 단부에는 손잡이부(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뚜껑(22)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뚜껑(23)과 이격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1)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10)는 상기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격되어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너 컨테이너(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하부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상기 블레이드 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상기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점진적으로 보다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2) 상단의 경사면은 상기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121)는 상기 경사면(122)에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경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30)와 상기 용기(1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와 상기 제 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면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장착되는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 수용부(10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10)의 중앙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안착부(301) 내측과 서로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하면 둘레에는 하단 지지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둘레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와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사이에 상기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수용부(102)는 내측에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하단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가 절곡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하단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진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104)의 외측면은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와 상기 본체(30)는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단 지지부(104)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완전히 장착되기 전에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닥에 놓여지게 될 때 상기 용기 결합부(103)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04)가 바닥에 접하여 상기 용기(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 지지부(104)에는 에어 벤트(10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4a)는 상기 용기(10)와 안착부(301)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때 상기 용기(10)의 하면과 상기 용기 안착부(301)의 상면 사이의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10)가 용이하게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하면에는 중앙에는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모듈(14)은 상기 용기(10) 내부 공간(101)에 수용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와, 블레이드 샤프트(142),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4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축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1)는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141)의 연장 방향과 절곡 각도 및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식품의 분쇄, 절단 및 식품을 가루로 만들거나 액체와 같이 상태로 만드는데 모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141)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는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을 구성하는 베어링(14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3a)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41)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41)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속부재(142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에 모터측 연결부(54)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3)의 내측에는 마운팅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15)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5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은 상기 샤프트 마운팅 부재(143)가 관통되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하면 중앙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측 연결부(144)의 둘레와 대응되는 상기 마운팅 커버(15)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모터측 연결부(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가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연결부(54)와 블레이드측 연결부(144)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10)를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탈착하거나 상기 용기(10)의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가 쥘 수 있는 손잡이(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용기(10)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0)는 하단만이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손으로 쥐게 되는 부분은 상기 용기(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손잡이(70)를 용이하게 쥘 수 있다.
상기 손잡이(70)의 돌출 위치는 상기 주둥이(11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를 기울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손잡이(70)를 쥔채로 상기 용기(10)를 기울이게 된다.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쥘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70)는 그립부재(75)와 데코부재(77)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손잡이(7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용기의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상기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상기 손잡이의 일 구성인 그립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 바디(71)와, 상기 손잡이 바디(71)의 일부를 차폐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쥘 때 잡게 되는 그립부재(75)와, 상기 손잡이 바디(71)의 일부를 차폐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동일 소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성형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일체 성형 됨으로써 상기 손잡이(70)에 집중되는 하중이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로 일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70)가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2)와 상기 연장부(7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그립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측면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72)는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72)의 연장된 단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72)는 상면이 개구된 연장부 바디(721)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 바디(721)의 내부에 연장부 공간(7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공간(723)은 상기 연장부 바디(721)의 내부에 구비된 연장부 보강 리브(724)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보강 리브(724)는 상기 연장부(72)의 바닥에서 상기 연장부(72)의 개구된 상면까지 연장되며, 격자형상으로 다수개가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연장부 데코(74)의 장착시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상면부(74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2)에 형성되는 연장부 공간(723) 및 상기 연장부 보강 리브(724)에 의해 상기 연장부(7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함께 사출되는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 보강 리브(724)에 의해 상기 연장부(72)의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72)의 외측면 즉, 상기 연장부 바디(721)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연장부 그루브(7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그루브(72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접하는 상기 연장부(7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 바디(721)의 둘레를 따라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그루브(722)는 다수개가 상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그루브(722)는 상기 연장부(72)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그루브(722)는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내측으로 상기 연장부(72)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 그루브(722)에는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장착시 접착제가 수용되어 상기 연장부 데코(74)와 상기 연장부 바디(721)의 외측면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72)의 하면에는 바디 결합부(725)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725)는 아래에서 설명할 어퍼 결합 돌기(75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어퍼 결합 돌기(755)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퍼 결합 돌기(755)는 상기 바디 결합부(72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결합 돌기(755)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어 더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립부(73)는 상기 연장부 바디(721)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73)의 외측면 중 전면(도 9에서 우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73)의 연장된 단부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73) 또한 상기 손잡이(70)의 일구성으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성형시 함께 사출되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73)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쥘 수 있도록 둘레면이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그립부(73)의 좌우 양측면에는 그립 단차부(7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단차부(733)는 상기 그립부(73)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그립 단차부(733)는 상기 그립부(73)의 양측면 중앙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그립부재(75)와 데코부재(77)의 장착 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그립부(73)는 상기 그립 단차부(733)를 기준으로 상기 그립부재(75)가 장착되는 그립부재 장착부(732)와 상기 데코부재(77)가 장착되는 데코부재 장착부(731)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하며, 상기 그립부재(75)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에는 그립 결합부(7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결합부(732a)에는 상기 그립부재(75)의 로어 결합 돌기(75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결합 돌기(756)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 결합부(732a)에 압입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립부재(75)의 두께는 상기 그립부 데코(76)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70)의 외관이 단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는 상대적으로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보다 더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 단차부(733)를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먼 위치 즉,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에는 상기 그립부 데코(7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는 외측으로 개구되며, 내부에 그립부 공간(7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 공간(736)을 센터 리브(734)와 사이드 리브(735)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리브(734)와 상기 사이드 리브(735)는 모두 상기 그립부(73)의 외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73)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터 리브(734)와 사이드 리브(735)를 포함한 데코부재 장착부(731)에는 상기 그립부 데코(76)가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 데코(76)가 상기 그립부(73)에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리브(734)는 상기 그립부 공간(736) 중앙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터 리브(734)는 상기 그립부 공간(736)을 좌우 양측으로 나누게 된다. 그리고, 구획된 상기 그립부 공간(736)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각각 사이드 리브(7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사이드 리브(735)는 상기 센터 리브(734)와 상기 그립부(73)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그립부 공간(736)을 상하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리브(735)는 다수개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그립부 공간(736)의 내부가 트러스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립부(73)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사출 형성될 때 상기 그립부 공간(736)에 의해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 리브(734)와 사이드 리브(735)에 의해 상기 그립부(73)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변형 및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립부(73)의 하면(736)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 하단의 제 1 하단부(736a)와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 하단의 제 2 하단부(7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73)의 하면(736)은 그립부 데코(76)의 데코 홀(763)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립부재(75)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에 장착될 때 상기 그립부재(75) 하단의 그립부재 단차부(753)와 상기 제 2 하단부(736b)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재(75)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에 장착된 상태에서 함께 상기 데코 홀(76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75)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게 되는 위치 즉,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마주보는 내측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바디(71) 및 데코부재(77)와 다른 이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71)와 데코부재(77)는 표면이 매끈하여 미끄러운 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표면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그립부재(75)는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그립부재(75)는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코팅처리 되거나 필름이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재(75)의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75)는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에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70)의 외측면 중 상기 데코부재(77)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립부재(75)는 상기 손잡이(70)의 외측 전체면 중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를 바라보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재(75)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쥐게 되었을 때 손가락이 위치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75)는 상기 연장부(72)에 결합되는 어퍼 파트(751)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와 결합되는 로어 파트(7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751)와 상기 로어 파트(7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751)는 상기 연장부(72)의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72)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장부(72)의 하면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751)의 상면에는 어퍼 결합 돌기(755)가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어퍼 결합 돌기(755)는 상기 연장부(72) 하면의 바디 결합부(725)에 결합되어 상기 그립부재(75)의 상부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751)의 전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파트(751)의 전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재(75)가 상기 손잡이 바디(7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파트(751)의 전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752)는 상기 어퍼 파트(751)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752)의 내측면은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로어 파트(75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함몰된 공간(753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공간(753a)의 내측에는 로어 결합 돌기(7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결합 돌기(756)는 상기 그립 결합부(732a)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결합 돌기(756)는 한쌍이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립 결합부(732a)에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몰된 공간(753a)의 내측에는 지지돌기(7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757)는 상기 로어 파트(752)의 내측을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돌기(757)는 상기 어퍼 파트(751)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75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757)는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재(75)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73)를 감싸 쥐게 되더라도 탈락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75)의 하단에는 단차부(7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753)는 상기 그립부(73)의 하단과 함께 상기 데코 부재(76)에 형성된 데코 홀(763)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부재(75)가 한층 더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752)의 양측단에는 로어 파트 테두리(7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 테두리(754)는 상기 데코부재(77)의 양측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파트 테두리(754)는 상기 그립 단차부(7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 테두리(754)는 상기 데코 부재(76)의 단부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77)와 상기 그립부재(75)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데코부재(77)와 그립부재(75)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7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77)는 상기 그립부재(75)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7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여 상기 손잡이(7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77)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데코부재(77)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금속 플레이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77)는 상기 연장부(72)를 차폐하는 연장부 데코(74)와 상기 그립부(73)를 차폐하는 그립부 데코(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74)와 그립부 데코(76)는 서로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70)의 바깥쪽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 데코(74)는 상기 연장부(72)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상면부(741)와, 상기 연장부(72)의 둘레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둘레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741)의 둘레에 상기 둘레부(742)의 상단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 데코(74)는 하면과 전면이 개구된 수용 공간(743)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용 공간(743)의 내측에 상기 연장부(7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부(741)는 상기 연장부(72)의 상면과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둘레부(742)는 상기 연장부(72)의 둘레면과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전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측면 곡률과 대응하도록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장착시 상기 상면부(741)의 전단 그리고, 상기 둘레부(742)의 전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70)를 들어올리게 될 때 상기 손잡이(70)로부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로 가해지는 하중이 금속 소재의 상기 연장부 데코(74) 전단에 의해서 지지되어 보다 견고한 손잡이(70)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둘레부(742)의 하단은 상기 연장부(72)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73)의 장착시 상기 어퍼 파트(751)가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개구된 하면의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72)는 상기 연장부 데코(74)와 상기 어퍼 파트(751)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립부 데코(76)는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76)는 상기 연장부 데코(74)의 하단과 접하게 되며, 상기 연장부 데코(74)와 그립부 데코(76)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립부 데코(76)와 연장부 데코(74)가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립부 데코(76)는 상기 연장부 데코(74)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76)는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76)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73) 중 상기 그립부재(75)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가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립부 데코(76)의 하단에는 구속부(7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762)는 상기 그립부 데코(76)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73)의 하단 및 상기 데코부재(77)의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762)는 연장된 단부가 서로 접하여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데코 홀(7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73)에 상기 그립부재(7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73)의 하단(736)과 상기 단차부(753)가 상기 데코 홀(76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73) 상에 상기 그립부재(75)와 데코부재(77)가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의 하단(736)은 상기 데코부재(77)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 1 하단부(736a)와, 상기 그립부재(75)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2 하단부(73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77)의 장착시 상기 제 1 하단부(736a)와 상기 단차부(753)의 둘레가 상기 데코 홀(76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77)는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에 밀착되며,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에 의해 상기 데코부재(77)상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블렌더(1)의 상기 용기(10) 탈착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본체와 용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렌더(1)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용기(10)를 상기 본체(30)에 탈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용기(10)의 탈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70)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거나,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시키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10)가 상기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안착부(301)와 용기(10)는 상기 본체(30)의 중심에서 다소 편심된 위치에 위치하지만, 상기 손잡이(70)의 외측단이 상기 본체(30)의 일측면과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균형감있는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데코부재(77)가 손잡이(70)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기(10)와 본체(30)가 조화를 이루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따르거나 용기(10)의 세척 등을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용기(10)를 상기 용기 안착부(3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70)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7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쥐는 부분에 그립부재(75)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상기 용기(10)가 무거워 지더라도 미끄럼 없이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70)를 들어올리는 과정 중에 상기 손잡이(70)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 사이의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71)의 보강구조와 금속 소재의 데코부재(77) 및 그립부재(75)의 지지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하중이 집중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손잡이(70)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작업 완료 후, 상기 손잡이(70)를 쥐고 상기 용기(10)를 상기 용기 안착부(301)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블렌더(1)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 용기(10)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손잡이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모두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용기의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1)의 용기(10)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12)와 아우터 컨테이너(1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80)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 바디(71)와 상기 손잡이 바디(71)에 결합되는 그립부재(85) 및 데코부재(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전술한 실시 예의 손잡이 바디(71)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성형시 함께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연장부(72)와 그립부(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2)는 아우터 컨테이너(11)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바디(7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 바디(721)에는 상면이 개구되는 연장부 공간(7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공간(723)의 내측에는 다수의 연장부 보강 리브(7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72)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연장부 그루브(7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73)는 상기 연장부(72)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84)가 장착되는 데코부재 장착부(731)와, 상기 그립부재(85)가 장착되는 그립부재 장착부(7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73)의 양측에는 그립 단차부(733)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 단차부(733)를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에 가까운 측에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로부터 먼 쪽에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에는 외측으로 개구된 그립부 공간(736)이 형성될 수 있다.그리고, 상기 그립부 공간(736)의 중앙에는 상기 그립부 공간(736)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센터 리브(73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리브(734)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공간에는 다수의 사이드 리브(735)가 상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85)는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85)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게 되었을 때 마찰력이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그립부재(85)는 합성 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85)는 상기 연장부(72)의 하면 그리고 그립부재 장착부(732)에 각각 밀착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85)에는 접착재 또는 접착시트가 제공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71)에 견고하고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85)는 어퍼 파트(851)와 로어 파트(8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851)는 상기 연장부(72)의 하면에 밀착되며, 상기 어퍼 파트(851)의 전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1)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852)는 상기 어퍼 파트(851)의 단부에서 상기 그립부(73)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852)는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85)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732)의 곡면을 감싸면서 상기 손잡이(8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84)는 상기 그립부재(85)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손잡이 바디(71)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84)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금속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84)는 판상의 금속 소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841)와 상기 상면부(84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841)는 상기 연장부(72)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842)는 상기 상면부(84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841)와 둘레부(842)에 의해 상기 데코부재(84)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 바디(71)가 수용되는 공간(8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부(842)는 상기 연장부(72)의 둘레면을 차폐하는 어퍼 데코부(843)와 상기 어퍼 데코부(84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데코부(8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부(844)는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 장착부(7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84)의 장착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 바디(71)는 상기 데코부재(8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 바디(71)의 상면과 그립부(73) 일부가 한꺼번에 차폐되어 상기 손잡이(8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84)는 상기 손잡이 바디(71)에 접착제 또는 접착시트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85)와 데코부재(8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데코부재(84)의 둘레부(842)의 하단은 상기 그립부재(85)의 외측단과 접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71)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립부(73)의 하면에는 손잡이 캡(8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캡(87)은 상기 데코부재(84)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캡(87)은 상기 그립부(73)와 손잡이 바디(71) 및 데코부재(84)의 하단을 모두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는 어퍼 링의 구조 및 손잡이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모두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용기의 어퍼링과 연장부 데코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용기의 손잡이의 결합 구조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손잡이의 일 구성인 손잡이 바지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블렌더 용기(160)는, 이너 컨테이너(162)와 아우터 컨테이너(161) 그리고, 어퍼 링(170)과 손잡이(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는 상기 용기(16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상면을 통해서 이너 컨테이너(162)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160)는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단열 성능을 가지는 한편,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용기(160)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와 이너 컨테이너(162)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와 이너 컨테이너(162)는 트라이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62)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의 상단 및 하단과 접하여 이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컨테이너(162)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90)를 구성하는 손잡이 바디(9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91)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16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동시에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돌출 높이는 상기 어퍼 링(170)의 높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바디(91)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너 컨테이너(162)와 아우터 컨테이너(161)의 상단에는 어퍼 링(17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170)은 상기 용기(160)의 상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170)의 일측단에는 주둥이(17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분쇄된 식품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둥이(171)와 마주보는 상기 어퍼 링(170)의 다른 일측에는 연장부 데코(9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94)는 상기 데코부재(97)의 일부로 상기 손잡이 바디(9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 데코(94)는 상기 어퍼 링(170)과 대응하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바디(91)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94)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941)와 상기 상면부(9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둘레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941)와 둘레부(942)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부(941)와 둘레부(94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장부 데코(94)는 하면과 전면이 개구된 수용 공간(94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943)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 바디(9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전단은 상기 어퍼 링(170)의 외측 둘레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어퍼 링(170)의 외측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높이는 상기 어퍼 링(17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 바디(9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90)가 상기 어퍼 링(170)으로부터 연장되는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링(170)의 외측면 중 상기 연장부 데코(9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바디 고정 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고정 홈(172)은 상기 손잡이 바디(91)에서 돌출되는 바디 고정 돌기(916)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어퍼 링(170)의 하단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고정 홈(172)과 상기 바디 고정 돌기(916)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바디(91)가 상기 연장부 데코(94)에 삽입될 때 상기 바디 고정 돌기(916)는 상기 바디 고정 홈(172)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손잡이 바디(91)는 상기 어퍼 링(170)과의 구속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손잡이(90)에서 발생되는 하중의 일부가 상기 어퍼 링(170)으로도 분산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의 상기 손잡이(9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바디(91)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162)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91)는 상기 연장부 데코(9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과 둘레면이 상기 연장부 데코(94)에 의해 지지되고, 전면은 상기 어퍼 링(170)의 외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91)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바디 공간(9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개구된 하면은 상기 그립부재(9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 공간(911)의 내부에는 상기 그립부재(92)의 고정 장착을 위한 바디 삽입부(914)와, 후크 홈(9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삽입부(914)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와 가까운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그립 보스(9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삽입부(914)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내측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내측 둘레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견고한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 보스(924)는 양측의 바디 삽입부(914)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부재(92)가 상기 손잡이 바디(9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 홈(915)은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내측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홈(915)은 상기 바디 공간(911)의 개구된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그립부재(92)가 상기 손잡이 바디(91)에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92)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어퍼 파트(921)와, 상기 어퍼 파트(92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쥐는 로어 파트(9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921)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개구된 하면의 둘레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립부재(92)가 상기 손잡이 바디(91)에 장착되면, 상기 어퍼 파트(921)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개구된 하면과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개구된 하면을 모두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921) 둘레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파트 리브(923)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 리브(923)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921)의 양측에는 한쌍의 상기 그립 보스(9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보스(924)는 상기 바디 삽입부(914)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921)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 보스(924)는 상기 어퍼 파트의 하면으로 개구될 수도 있으며, 상기 그립부재(92)를 상기 손잡이 바디(9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파트(921)의 양측에는 체결 후크(9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후크(925)는 상기 어퍼 파트(92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 홈(915)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그립부재(92)의 가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922)는 상기 어퍼 파트(921)의 연장된 단부 즉,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922)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 파트(922)의 단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파트(922)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쥐고 조작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로어 파트(92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 표면처리나 코팅, 필름 부착, 패턴 형성에 의해 구조적으로 마찰을 증대 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데코부재(97)는 상기 손잡이(9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97)는 상기 손잡이 바디(91) 및 상기 그립부재(92)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를 바라보는 상기 그립부재(92)의 일부면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90)의 나머지 부분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데코부재(97)는 상기 연장부 데코(94)와 그립부 데코(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데코(94)는 상기 어퍼 링(170)에 장착되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데코(94)는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상면과 접하는 상면부(941)와 상기 손잡이 바디(91)의 둘레면과 접하는 둘레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96)는 상기 연장부 데코(94)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파트(92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96)의 상단은 상기 연장부 데코(94)의 하단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그립부 데코(96)와 연장부 데코(94)는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 데코(96)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161)를 향하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96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 데코(96)가 상기 로어 파트(922)에 장착되면, 상기 절개부(961)를 통해 상기 로어 파트(922)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90)를 쥐게 될 때 노출된 상기 로어 파트(922)를 쥘 수 있게 된다.

Claims (54)

  1.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너 컨테이너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연결되고 하단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와 함께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손잡이 바디 및 데코부재와 이종의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쥐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내부에 연장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 바디와;
    상기 연장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연장부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바디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에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바디에는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 그루브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재가 장착되는 그립부재 장착부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가 장착되는 데코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 양측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와 데코부재 장착부로 나누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그립 단차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단차부는 상기 그립부의 양측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와 상기 데코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장착부와 데코부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립부재의 단부와 데코부재의 단부는 서로 동일 평면에서 맞닿도록 배치되는 블렌더 용기.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내부에 그립부 공간이 형성되는 데코부재 장착부와;
    상기 그립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그립부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 보강 리브는,
    상기 그립부 공간 중앙을 따라 상하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센터 리브와;
    상기 센터 리브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센터 리브 좌우 양측의 상기 그립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의 사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리브와 사이드 리브의 단부는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하면을 차폐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그립부의 일측면을 차폐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에는 상기 연장부 바디 하면에 개구된 바디 결합부에 결합되는 어퍼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파트에는 상기 그립부 바디의 내측면에 개구된 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파트의 내측면에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상기 그립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 및 로어 파트는 각각 상기 데코부재의 단부와 서로 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를 차폐하는 블렌더 용기.
  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하면이 개구된 연장부 데코와;
    상기 연장부 데코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립부재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그립부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는 그립부 데코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데코와 상기 그립부 데코는 서로 분리되어 성형되며,
    상기 연장부와 그립부에 각각 장착되는 블렌더 용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의 하단에는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 데코의 하단에는 상기 단차부가 삽입되어 상기 데코부재를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의 하면에는 그립부의 하단 및 데코부재의 하단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는 데코 홀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그립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면을 형성하는 손잡이 캡이 장착되는 블렌더 용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캡은 상기 데코부재와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28.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너 컨테이너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이너 컨테이너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컨테이너의 상단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단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감싸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손잡이 바디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 쥘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하는 블렌서 용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바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 삽입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스크류가 체결되는 그립 보스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 둘레에는 후크 형상의 체결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의 내측면 하단에는 상기 체결 후크와 걸림 구속되는 후크 홈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컨테이너의 상단에는 상기 블렌더 용기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데코부재와 동일 질감을 가지는 어퍼 링이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에서 상기 어퍼링을 향하여 돌출되는 바디 고정 돌기;
    상기 어퍼 링의 외측면에서 함몰되며, 상기 바디 고정 돌기를 수용하는 바디 고정 홈을 포함하는 블렌더.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고정 홈과 마주보는 상기 어퍼 링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둥이가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의 돌출된 일면은 상기 어퍼 링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블렌더.
  36.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의 전단은 상기 어퍼 링의 외측면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부재는,
    상기 어퍼 링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 보스가 수용되는 연장부 데코와;
    상기 연장부 데코의 하단과 접하며, 상기 그립부재가 수용되는 그립부 데코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데코는 금속 소재의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어퍼 링에 접합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상단 및 상기 어퍼 링에 접합되며, 상기 손잡이 바디의 상면과 접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용기.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 데코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바라보는 면 일부가 절개되며, 상기 그립부재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블렌더 용기.
  4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에서 돌출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4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이너 컨테이너 보다 더 마찰력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용기.
  42.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용기 장착시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 모듈;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및
    상기 용기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용기와 연결되고 하단은 이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상단에서 돌출되는 손잡이 바디;
    상기 손잡이 바디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쥐는 그립부재;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블렌더.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블렌더.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쥐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아우터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그립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그립부재를 제외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연장부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는 블렌더.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하면이 개구되며,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연장부 데코와;
    상기 연장부 데코의 하방에서 상기 그립부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그립부 데코를 포함하는 블렌더.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하면을 차폐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그립부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하는 블렌더.
  48.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의 둘레는 상기 데코부재의 개구된 하단과 접하여 상기 손잡이 바디를 수용하는 블렌더.
  49.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용기 외측면보다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50.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와 데코부재는 이종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사익 본체 외측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52.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구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데코부재는 동일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블렌더.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 상면을 관통하는 상기 용기 안착부를 형성하는 블렌더.
  5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의 측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블렌더.
KR1020190119696A 2019-09-27 2019-09-27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KR20210037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96A KR20210037271A (ko) 2019-09-27 2019-09-27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PCT/KR2020/010894 WO2021060706A1 (ko) 2019-09-27 2020-08-14 블렌더
CN202080067705.9A CN114466610B (zh) 2019-09-27 2020-08-14 料理机
US17/018,977 US20210093125A1 (en) 2019-09-27 2020-09-11 Blender and blender container
EP20198468.9A EP3797657B1 (en) 2019-09-27 2020-09-25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96A KR20210037271A (ko) 2019-09-27 2019-09-27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71A true KR20210037271A (ko) 2021-04-06

Family

ID=7265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96A KR20210037271A (ko) 2019-09-27 2019-09-27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93125A1 (ko)
EP (1) EP3797657B1 (ko)
KR (1) KR20210037271A (ko)
CN (1) CN114466610B (ko)
WO (1) WO20210607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2676A (zh) * 2022-06-29 2022-08-02 浙江汉信科技有限公司 具有容器定位结构的搅拌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593A (en) * 1989-12-28 1991-10-01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comestibles having a reversible piston rod assembly
KR200284257Y1 (ko) * 2002-04-19 2002-08-13 이성호 오존 살균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정미기
US7422361B2 (en) * 2005-02-04 2008-09-09 Hamilton Beach Brands, Inc. Dispensing blender
KR100738349B1 (ko) * 2006-06-22 2007-07-12 주식회사 세신산업 조리용기 손잡이
US8066426B2 (en) * 2007-03-09 2011-11-29 Hamilton Beach Brands, Inc. Mixing device configured to blend food
CN101502395A (zh) * 2007-06-01 2009-08-12 康奈尔公司 具有替换刀片机构的搅拌机装置
US8529120B2 (en) * 2008-03-18 2013-09-10 Vita-Mix Corporation Blender container and cover
FR2945432B1 (fr) * 2009-05-12 2011-07-01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 recipient de travail en contact thermique avec un element chauffant
FR2951626B1 (fr) * 2009-10-27 2012-11-16 Seb Sa Poignee d'article culinaire avec coussin deformable
FR2986956B1 (fr) * 2012-02-21 2014-03-28 Santos Bol de traitement d'aliments pour un melangeur
US9877612B2 (en) 2012-11-09 2018-01-30 Aktiebolaget Electrolux Blender jar, blender base unit and blender
US20150258512A1 (en) * 2014-03-14 2015-09-17 Whirlpool Corporation Blender jar scraping utensil
CN106457176B (zh) * 2014-03-14 2019-12-13 维他拌管理有限公司 搅拌容器
CN106793893B (zh) * 2014-08-15 2021-01-12 维他拌管理有限公司 搅拌体积减小装置
CN105496190B (zh) * 2014-10-16 2017-11-1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水壶
US10085599B2 (en) * 2014-12-19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ok and food processing prep product
US20160256003A1 (en) * 2015-03-04 2016-09-08 Whirlpool Corporation High speed blender/smoothie machine
CN104957983B (zh) * 2015-07-20 2017-08-08 周林斌 加热防爆的玻璃水壶
CN106308305A (zh) * 2016-10-11 2017-01-11 罗福仲 一种便于携带茶叶的茶壶
CN207152502U (zh) * 2017-03-03 2018-03-30 东莞市善为智能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搅拌功能电器的杯体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CN208388443U (zh) * 2017-11-17 2019-01-1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搅奶器
CN208910318U (zh) * 2018-05-16 2019-05-31 郑秋芝 一种新型体液收集装置
KR102112582B1 (ko) * 2019-07-12 2020-05-19 김홍배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2676A (zh) * 2022-06-29 2022-08-02 浙江汉信科技有限公司 具有容器定位结构的搅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3125A1 (en) 2021-04-01
CN114466610A (zh) 2022-05-10
EP3797657A1 (en) 2021-03-31
WO2021060706A1 (ko) 2021-04-01
EP3797657B1 (en) 2023-01-18
CN114466610B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3080B1 (en) Food processing machine
US11633060B2 (en) Pressure cooking appliance with lid
US11529012B2 (en) Electric pressure cooker
EP3815590B1 (en) Blender
KR20210037271A (ko)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US6761326B2 (en) Base for storing an electrical food processor accessories
US11779161B2 (en)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CN107969899B (zh) 具有排出导管的加热的烹饪制备家电设备
US20220361716A1 (en) Blender
US20200363069A1 (en) Control Panel and Electric Cooking Appliance
CN209789648U (zh) 包括环形垫圈的加热的烹饪制备家电设备
CN21291275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TWI842846B (zh) 電動調理器的收容容器
CN214048570U (zh) 烹饪器具
CN217039856U (zh) 料理杯及料理机
JP4512567B2 (ja) 電気貯湯容器
CN211432289U (zh) 烹饪器具
CN212755390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09883789U (zh) 一种烹饪器具
CN211632933U (zh) 一种料理机及杯盖组件
JPH0923985A (ja) 電動調理器
KR101965661B1 (ko) 비노출형 전기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