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82B1 -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82B1
KR102112582B1 KR1020190084552A KR20190084552A KR102112582B1 KR 102112582 B1 KR102112582 B1 KR 102112582B1 KR 1020190084552 A KR1020190084552 A KR 1020190084552A KR 20190084552 A KR20190084552 A KR 20190084552A KR 102112582 B1 KR102112582 B1 KR 10211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cooking vessel
container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424A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9008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5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의 가열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는,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덮개(13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110)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이 착탈방식으로 설치되는 삽입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모듈은 마이크로 스위치(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을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야채주스나 해독주스와 같은 건강을 위한 음식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조리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믹서기와 같이 조리재료를 단순히 분쇄하여 각종 즙이나 주스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조리재료를 분쇄, 혼합, 가열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두유, 두부, 수프 또는 주스와 같은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838호 (2005.06.08)에는 분쇄 및 가열 기능을 갖추어 두부, 두유, 스프, 죽 또는 식품가공에 유용한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식재료를 분쇄하는 칼날이 저면에 장착된 분쇄실을 가지는 용기부, 용기부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형성된 가열부, 칼날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분쇄 및 가열기능을 갖는 식품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에는 측면에 스크린이 형성된 분리 통, 결합 접점을 가진 손잡이, 감지 센서, 발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판형상의 히터, 모터와 제어 장치가 내장된 베이스 및 안전장치로 이루어진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과 동일 출원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942호에는 자동 조리기의 상부 하우징(용기부)과 하부 하우징(본체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용기부가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이며, 용기부의 밑면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가열을 필요로 하는 조리시 용기부를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 내용물이 넘쳐나는 것을 감지하거나 조리 내용물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용기부와 본체부가 상하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적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용기부에 설치된 센서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부와 손잡이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해야하기 때문에 가능한 사출물이 충만하게 형성되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전체 제품의 무게를 줄이는데 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손잡이의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조리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노화 및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838호 (2005.06.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942호 (2012.12.22)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의 가열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형성되면서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의 외벽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는,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덮개(13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110)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이 착탈방식으로 설치되는 삽입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모듈은 마이크로 스위치(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조는 상기 상부 공간부(322)에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에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의 설치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제1 삽입공(316)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4 및 제5 볼팅홀(317a,317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는,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2 절곡단(333)이 단차(334)를 갖으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단(333)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이 일정 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3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3 절곡단(343)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절곡단(343)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끼움홈(335)과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34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주면에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결합되면, 상기 상기 손잡이판(3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상부 공간부(322)와, 하측방향으로 하부 공간부(332)를 통하여 상기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열분산공간부(336)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110)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고온이 상기 제1 열분산공간부(336), 상기 상부 공간부(322), 상기 하부 공간부(332), 상기 제2 열분산공간부(338)으로 분산되면서 서서히 식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는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일체형으로 각각의 강화 리브(337)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강화 리브(337)의 외측면에는, 거품 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전선(353)이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주면에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결합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를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전선 끼움홈(33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는,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의 가열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에도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능한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형성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체 제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편안하게 조리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의 외벽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고열로 인한 전선의 노화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2종류의 센서가 설치된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용기부의 밑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덮개부가 조리용기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용기부가 본체부에 1차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용기부와 본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및 2차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전원 연결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전원 연결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이중구조의 조리용기를 보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2종류의 센서가 설치된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용기부의 밑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는, 크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재료가 투입되어 미리 설정된 조리방식으로 조리되는 용기부(100)와, 사용자에 의해 용기부(10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용기부(100)로 제공하거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전압을 용기부(100)로 공급하는 본체부(200), 그리고 용기부(110)의 임의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300)와, 용기부(100)의 조리용기(110)의 제1 및 제2 관통공(118)에 관통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상부 공간부(322)와 마주하는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의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P1)에서 거품의 발생을 감지하는 한 쌍의 거품감지센서(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용기부(100)는, 조리재료를 혼합 또는 파쇄하는 칼날(160)이 내부에 장착되며, 밑면에 가열용 히터(170)가 설치된 소정 형상의 조리용기(110)와, 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결합되며, 내부에 밀폐된 하부 공간부(121)를 형성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각각 형성되는 용기 베이스(bowl base)(120)와,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130)와, 용기 베이스(120)의 하부공간부(121)의 상면과 용기 베이스(12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와, 용기 베이스(1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칼날(16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부 커플링(190)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조리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형의 유리 또는 철제 조리용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표면에는 조리재료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재료가 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분쇄될 때 분쇄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수직주름(11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 베이스(bowl base)(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하단 외주면에 내부에 밀폐된 하부 공간부(121)를 형성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심부에 상부 커플링(190)이 관통 설치되도록 원형의 결합홀(127)이 형성된 환형의 결합돌기(129)가 하부 공간부(121)의 내부에 용기 베이스(120)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 베이스(120)의 내측면과 환형의 결합돌기(129)의 외표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용기 베이스(120)의 하단 내주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체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부(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 위한 소정 형상의 관통홀(340)을 형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 및 연장 형성된 후,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며, 내측면은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체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공간부(322)에 상응하는 베이스판(310)의 상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제1 고정용 브라켓(115)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볼팅홀(315a,315b)이 각각 형성되고, 베이스판(310)의 하부면에는 조리용기(110)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제2 고정용 브라켓(116)에 고정하기 위한 제3 볼팅홀(315c)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베이스판(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및 제2 볼팅홀(315a,315b)이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절곡단(314a,314b)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때,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과 베이스판(310)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이 형성되어, 조리용기(110)의 가열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일차적으로 차단한다.
이를 위해 조리용기(110)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고온이 제1 열분산공간부(336)으로 전달될 때,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분산공간부(336)에 발생된 고온을 자연스럽게 식혀주기 위해, 조리용기(1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310)의 절곡단(314a,314b)의 형상을, 원형 형상의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도록 외측 끝단면에서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R)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는 도 5c에 도시돤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2 절곡단(333)이 단차(334)를 갖으면서 연장형성되며, 단차(334)를 갖고 연장 형성된 절곡단(333)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이 일정 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며, 손잡이 커버(3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3 절곡단(343)이 형성되며, 제3 절곡단(343)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과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34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판(320)의 외주면에 손잡이 커버(330)가 결합되면,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열분산공간부(338)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상부 공간부(322)와, 하측방향으로 하부 공간부(332)를 통하여 제1 열분산공간부(336)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어, 조리용기(110)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고온이 제1 열분산공간부(336), 상부 공간부(322), 하부 공간부(332), 제2 열분산공간부(338)으로 분산되면서 서서히 식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는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다수의 강화 리브(337)는 손잡이판(320)의 제2 열분산공간부(336)을 형성하기 위해 손잡이판(3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사출형성되면서도 손잡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부 공간부(322)에 삽입 설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전선(353)이 제2 열분산공간부(336)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어, 두 센서(410,420)에 연결된 전선(353)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강화 리브(337)의 외측면에 형성된 전선 끼움홈(339)을 이용하여 제2 열분산공간부(338)을 따라서 조리용기(1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35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110)의 외벽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 전선(353)이 조리용기(110)의 외면에 붙지 않아서 조리용기(110)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한 열화 및 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된 칼날(160)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두 센서(410,420)와 전기적 연결된 전선(353)의 납땜부위의 유동 및 이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판(320)의 밑면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볼록하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판(320)의 내측 밑면에는 일자형상의 다수의 제1 보강리브(337)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손잡이판(320)의 밑면에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에 연결된 거품감지센서(410)가 손잡이부(300)의 상부에서 조리용기(110)의 미리 설정된 상측 내부로 일정 길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에서 발생되는 거품의 높이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조리용기(110)의 내부로 관통되지 않고 조리용기(110)에서 발생되는 거품의 높이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반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에 연결된 온도감지센서(420)가 손잡이부(300)의 하부에서 조리용기(110)의 하측 내부 또는 밑면에 일정 길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의 내부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조리용기(110)의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조리용기(110)의 내부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덮개(13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조리용기(110)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이 착탈방식으로 설치되는 삽입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스위치 모듈은 마이크로 스위치(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삽입구조는 상부 공간부(322)에 마주하는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의 설치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제1 삽입공(316)과,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4 및 제5 볼팅홀(317a,317b)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끼움돌기(352)를 제1 삽입공(31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하여 제4 및 제5 볼팅홀(317a,317b)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을 상부 공간부(3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공간부(322)가 형성된 손잡이판(320)의 상부에는 삽입 고정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에 접속되는 스위치 레버(135)가 삽입 접속되기 위한 제1 접속공(321)과, 스위치 레버(135)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스위치(351)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기 위한 제1 설치공(323)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부(130)를 조리용기(1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핸들(136)을 손잡이부(300)의 상부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6)의 일측면에 형성된 스위치 레버(135)가 손잡이부(300)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된 스위치 홈(321)에 삽입되며, 이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35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접속감지바(351)가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칭 접점이 이루어져, 결국 제어회로(270)는 덮개부(130)가 조리용기(110)에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체결된 상태로 인식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핸들(136)이 형성된 덮개(131)의 반대측 외주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ㄷ자, >자 형상의 걸림홈(133a)이 형성된 체결홈(133)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덮개부(130)에 형성된 가위벌림 형상의 홈에 체결돌기(111)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덮개부(130)를 조리용기(110)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덮개부(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132)의 내측면에는 일정 폭을 갖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홈(13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캡(140)을 결합할 때 캡(140)의 하단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44)를 한 쌍의 수직 결합홈(134)에 수직방향으로 끼운 후 임의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리시 캡(140)이 수직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암수체결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 또는 제2 접속 및 체결부(250)는 용기부(100)의 하부 내측면 또는 본체부(200)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둘 중의 하나가 접속 플러그이면, 나머지 다른 하나는 플러그 소켓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를 접속 플러그로 구현하였으며, 이와 같은 접속 플러그는, 플러그 소켓(250)과 접속하기 위해 마주하는 제1 접속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소켓 체결홈의 단면에서 제2 접속면까지 다수개의 접속핀(151)이 각각 연장형성되며, 소켓 체결홈의 상단면 및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접속핀의 길이까지 소켓체결 커버(153)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부(200)는, 조리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형상의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상단부에 일정 깊이로 상단부가 개방된 상부공간부(221)가 형성되며, 결합 베이스(22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삽입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가 형성되며, 상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및 일정 두께로 연장 형성된 환형의 결합 베이스(upper base)(220)와, 하우징(210)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리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패널(230)과, 하우징(210)의 상부공간부(211)의 밑면과 결합 베이스(22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접속 및 체결부(250)와, 전선코드(28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장소자에 맞도록 전압 레벨을 조정한 교류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270)와, 결합 베이스(2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 커플링(190)에 체결되어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부 커플링(29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어회로(270)에서 제공되는 교류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기(260)가 설치되며, 동력발생기(26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축(미도시)의 끝단부에는 하부 커플링(290)이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본체부(200)의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26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본체부(200)에 체결하기 위하여 용기부(10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체결방향은, 동력발생기(260)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여 동력발생기(260)의 회전시 용기부(100)와 본체부(200)의 체결을 더욱 강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형의 결합 베이스(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상단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의 단턱(213)이 형성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일정 두께 및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용기부(100)의 용기 베이스(120)의 내경은 결합 베이스(22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부(100)의 하단부를 본체부(2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0)의 결합 베이스(220)의 상단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결합 베이스(220)의 상단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제3 및 제4 체결용 돌기(225,226)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지 제2 체결용 홈(223,22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일정 깊이까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거리까지 일측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ㄴ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이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에 일정 깊이로 끼워진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250)의 이격거리는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는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암수체결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 또는 제2 접속 및 체결부(250)는 용기부(100)의 하부 내측면 또는 본체부(200)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둘 중의 하나가 접속 플러그이면, 나머지 다른 하나는 플러그 소켓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 및 체결부(250)는 플러그 소켓으로 구현하였으며, 이와 같은 플러그 소켓은, 접속 플러그(150)과 마주하는 제2 접속면으로부터 다수개의 접속핀(1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개의 접속홈(25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플러그(150)과 플러그 소켓(25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플러그 소켓(250)은 접속 플러그의 소켓체결 커버(153)와 소켓 체결홈(251)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2차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에 마주하는 위치에 용기부(100)의 하단부와 본체부(200)의 상단부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체결방식의 한 쌍의 제3 및 제4 접속 및 체결부(150a,250a)가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에 교류와 직류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배치하지만, 소비자들이 가능한 강력한 회전력을 갖는 동력발생기(260)를 요구하는 경우, 교류과 직류의 주파수 간섭이나 이로인한 제어패널(230)의 오동작을 줄이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은 용기부(100)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부(130)에 근접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로 제공되고, 교류전원은 손잡이부(130)에서 멀어지도록 설치된 제3 및 제4 접속 및 체결부(150a,250a)로 공급되도록 교류와 직류를 분리하여 제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이중구조의 조리용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내부가 비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조리용기(110)와, 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결합되며, 내부에 밀폐된 하부 공간부(121)를 형성하는 용기 베이스(bowl base)(120)와, 조리용기(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접속 및 결합부(150a,150b)는 조리용기(110)를 중심으로 용기 베이스(120)의 하측 외주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제1 및 제2 접속 및 결합부(150a,150b)는, 용기 베이스(120)의 하측 외주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용기 베이스(120)의 외주면의 임의의 위치(P1,P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상을 갖는 일정 높이의 제1 및 제2 수직 결합홈(153,154)이 각각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151,152)과, 플러그 하우징(151,152)의 수직 결합홈(153,154)에 수직방향으로 제1 및 제2 접속핀(157,158)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접속 플러그(155,15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제1 접속 및 체결부(150a)가 용기 베이스(120)의 하측 외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접속 및 체결부(250a)가 하우징(210)의 상단면을 수직방향으로 초과하지 않으면서 수평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하우징(210)의 외측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소정 형상의 제1 및 제2 지지돌기부(240a,240b)의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조리용기(110)이 외부 조리용기(110a) 및 외부 조리용기(110a)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조리용기(110b)로 이루어지며, 내부 조리용기(110b)의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후 다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억지끼움홈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단(1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외부 조리용기(110b)를 내부 조리용기(110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리용기(110b)의 밑면에 충격을 주면 외부 조리용기(110a) 가 내부 조리용기(110b)의 억지끼움홈에 강제적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서로 조립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감지센서(410)를 조리용기(110)의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P1)라면 손잡이부(300)를 포함한 어떤 위치에 설치하든 무관할 뿐만 아니라 온도감지센서(420) 또한 조리용기(110)의 미리 설정된 하부 임계위치(P2)라면 손잡이부(300)를 포함한 어떤 위치에 설치하든 무관하며, 각각의 센서(410, 420)를 연결하는 전선은 외부 조리용기(110a)와 내부 조리용기(110b)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통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따르면, 용기부(100)의 손잡이부(300)를 들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위치에 놓이도록 본체부(200)의 용기 베이스(220)의 상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동력발생기(26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수평 회전시키면,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ㄴ자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에 일정 길이로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국,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체결될 수 있는 동시에 용기부(100)의 접속 플러그(150)와 본체부(200)의 플러그 소켓(250)이 암수체결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플러그 소켓(250)이 접속 플러그의 소켓체결 커버(153)와 소켓 체결홈(251)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국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상하 구조를 이루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패널(230)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리를 수행하는 경우, 본체부(200)에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손잡이판(320)와 손잡이 커버(330)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판(32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을 따라 배치된 전선(353)을 따라 거품감지센서(410) 및 온도감지센서(42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용기부 110 : 조리용기
111 : 체결돌기 113 : 수직주름
115 : 제1 고정용 브라켓 116 : 제2 고정용 브라켓
118 : 관통공 120 : 용기 베이스
121 : 하부 공간부 123~126 : 체결용 돌기
127 : 결합홈 129 : 결합돌기
130 : 덮개부 132 : 관통구
134 : 수직 결합홈 135 : 마이크로 스위치
140 : 캡 144 : 결합돌기
150 : 접속 플러그 151 : 접속핀
160 : 칼날 170 : 히터
182 : 거품감지센서 184 : 온도감지센서
190 : 상부 커플링 200 : 본체부
210 : 하우징 211 : 상부 공간부
213 : 단턱 220 : 결합 베이스
223~226 : 체결용 홈 230 : 제어패널
280 : 전선코드 250 : 플러그 소켓
251 : 소켓홈 260 : 동력발생장치
270 : 제어회로부 290 : 하부 커플링
310 : 베이스판 310a : 상부면
310b : 하부면 311,312, 313,340 : 관통공
314a,314b : 절곡단 315a,315b,315c,317a,317b : 볼팅홀
316 : 삽입공 320 : 손잡이판
320a : 내측면 320b : 외측면
321 : 접속공 322 : 상부 공간부
324 : 설치공 330 : 손잡이 커버
331 : 외측면 332 : 하부 공간부
333,343 : 절곡단 334 : 단차
335 : 끼움홈 336,338 : 제1 및 제2 열분산공간부
337 : 보강리브 339 : 끼움홈
345 : 끼움돌기 350 :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
351 : 접속 감지바 352 : 끼움돌기
353 : 전선 410 : 거품감지용 센서 420 : 온도감지센서

Claims (5)

  1.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내측면과 조리용기(110)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가 형성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 상기 제1 열분산공간부(336)에 관통 형성되는 상부 공간부(32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상기 제1 열분산공간부(336)와 관통 형성되는 하부 공간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공간부(322)와 상기 하부 공간부(332) 사이의 내부에는 제2 열분산공간부(338)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와;
    상기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 착탈방식으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110)에 결합되는 용기덮개(130)의 결합상태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110)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리용기(110)를 가열할 때 발생되는 고온은 상기 제1 열분산공간부(336), 상기 상부 공간부(322), 상기 하부 공간부(332), 상기 제2 열분산공간부(338)으로 분산되면서 서서히 식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2 절곡단(333)이 단차(334)를 갖으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단(333)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이 일정 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3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3 절곡단(343)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절곡단(343)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끼움홈(335)과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34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는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일체형으로 각각의 강화 리브(337)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강화 리브(337)의 외측면에는, 거품 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전선(353)이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주면에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결합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를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전선 끼움홈(33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
KR1020190084552A 2019-07-12 2019-07-12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211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52A KR102112582B1 (ko) 2019-07-12 2019-07-12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52A KR102112582B1 (ko) 2019-07-12 2019-07-12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69A Division KR20170134244A (ko) 2016-05-27 2017-05-25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24A KR20190086424A (ko) 2019-07-22
KR102112582B1 true KR102112582B1 (ko) 2020-05-19

Family

ID=6746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552A KR102112582B1 (ko) 2019-07-12 2019-07-12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993B1 (ko) 2021-11-16 2022-11-17 주식회사 로닉 유리조리용기용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9327B2 (en) * 2019-07-26 2023-12-12 Sunbeam Products, Inc. Lid for cooking appliance
KR20210037271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및 블렌더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47B1 (ko) * 2006-09-16 2008-03-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WO2013098000A1 (en) * 2011-12-26 2013-07-04 Arcelik Anonim Sirketi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5831D0 (en) * 1996-03-20 1996-05-22 Philips Electronics Nv Water heating vessel
KR100495838B1 (ko) 2004-12-29 2005-06-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및 가열기능을 갖는 식품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방법
KR100770641B1 (ko) 2006-05-26 2007-10-30 김홍배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
KR101183239B1 (ko) * 2010-12-30 2012-09-14 김홍배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216942B1 (ko) 2011-07-18 2012-12-28 김홍배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47B1 (ko) * 2006-09-16 2008-03-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WO2013098000A1 (en) * 2011-12-26 2013-07-04 Arcelik Anonim Sirketi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993B1 (ko) 2021-11-16 2022-11-17 주식회사 로닉 유리조리용기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24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13B1 (ko)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KR102112582B1 (ko)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1826760B1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손잡이 구조
WO2021043312A1 (en) Blender apparatus with safety interlock system
US20180140138A1 (en) Agitation mill typ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KR100770641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
KR20160065075A (ko) 식품 가공 장치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KR100813647B1 (ko)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KR101216942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20190001513U (ko) 발열기능을 갖는 배달용 가방
KR100768472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복합 조리 장치
JP6765091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101833279B1 (ko) 내부 체결 및 접속식 조리기기
CN109152500B (zh) 具有玻璃烹饪碗的烹饪装置和其手柄结构
KR102020609B1 (ko)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KR101974836B1 (ko) 조리기기
CN118542571A (zh) 具有单个盖的能够进行压力烹饪和空气煎炸的设备
KR20170134244A (ko)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20200008518A (ko) 전기 로스터
WO2017204608A1 (ko)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20070062738A (ko) 분리형 그물덮개를 가진 식품 조리장치
KR101157337B1 (ko)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