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614A - 다기능 가공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614A
KR20150048614A KR1020140041209A KR20140041209A KR20150048614A KR 20150048614 A KR20150048614 A KR 20150048614A KR 1020140041209 A KR1020140041209 A KR 1020140041209A KR 20140041209 A KR20140041209 A KR 20140041209A KR 20150048614 A KR20150048614 A KR 20150048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housing
hole
upper hous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4004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8614A/ko
Priority to PCT/KR2014/009738 priority patent/WO2015064934A1/ko
Publication of KR2015004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어 착탈이 가능한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호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에 돌기와 홀을 구비하여 용기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 소음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가공기{Multi-functional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다기능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다기능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와 같은 기기들은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를 하던 것을 가정에서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 중 몸통과 몸체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면서 소음이 증가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 진동에 의해 제품이 넘어지거나 용기 안의 액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실용신공보(등록번호 : 20-0338580호)
이러한 사고를 해결하고자 자중결합을 따로 포함하는 조리기를 사용할 경우 기기 외측에 따로 자중결합부분을 만들어 고정시켜야 하고 결합과 해제가 다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기능 가공기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홀을 구비하여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홀에 전극 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면서 전선을 내부로 구성하여 기기의 심플함을 나타내고 누전의 위험을 막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홀의 외부를 절연물질로 둘러쌓아 외부금속이나 이물질이 쉽게 들어갈 수 없게 하고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어 착탈이 가능한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접점이 형성되어 접합시 통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및 상기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금속 또는 이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물질로 둘러싸인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분리에 의해 상, 하부로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의 상호 결합이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및 상기 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상기 절연부는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둘레 상부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 둘레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걸고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고리부 내외는 절연물질로 둘러싸여 전기 또는 열을 통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또한, 상기 걸고리 내 외부는 절연물질로 둘러싸여 전기 또는 열을 통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 구동 또는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며,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필터가 있는 에어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는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에 돌기와 홀을 구비하면서 용기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진동, 소음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돌기와 홀에 전극 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여 기기의 단순함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 또는 홀 주변에 절연물질로 둘러싸여 외부금속이나 이물질이 쉽게 들어갈 수 없게 하고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가적인 걸고리를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에 설치하여 기기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의 결합부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의 결합부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의 결합부의 결합과정을 제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의 결합부 및 걸고리부에 관한 확대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및 창이 구비된 다기능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하우징 내면의 분쇄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10)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하부하우징(100), 하부하우징(1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며, 개폐가 가능한 상부하우징(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음식물이 담기며, 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05)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105)가 하부하우징(100) 내 하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 외 음식물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막대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1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부하우징(100) 하부에 구성된 히터(105)는 물 및 조리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부하우징(100) 내부 바닥면에 코팅 처리되어 배치하거나 하부하우징(100)의 외부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측면에 구성된 히터(105)는 상기처럼 물 및 조리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부하우징(100) 내부 측면에 코팅 처리되어 배치하거나 하부하우징(100) 외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상부하우징(200)과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조리시 열기에 의해 데워진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고 위생상의 안전을 갖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등의 부식내구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하우징(100)은 가공기에서 음식물을 조리시에 내부의 열이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2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내측 하부에는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가 구비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열에 따라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100) 내측 상부에는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 감지부를 구비하여 거품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리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 및 거품 감지부의 경우 상부하우징(200)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센싱할 수도 있다.
하부하우징(100) 내부 안쪽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05)를 구성하여 조리시 회전날에 따른 음식물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분쇄돌기(105)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며, 분쇄력이 상승하여 기존의 조리기의 경우보다 빠른 음식물의 완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쇄돌기(105)는 음식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식물과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여 칼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하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05)는 하부하우징(100) 내부 안쪽 벽면에 형성되어, 음식물과 칼날 사이의 거리를 좁혀 음식물과 칼날의 접촉 가능성을 높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05)는 음식물을 칼날 쪽으로 유도하여, 칼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돌기는 외주면에 분쇄날을 구비하여, 돌기에 의하여 직접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내부 안쪽 벽면의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05)는 다른 요리를 하기 위한 기구 설치시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 내에는 거름망이 삽입되어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름망은 지지대와 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망의 경우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도록 직조한 철망 혹은 직조한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하부하우징에는 하부하우징(100)에 담긴 음식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손잡이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시되어있지 않지만,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하부하우징(100)의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상부 손잡이부(201)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은 전장부와 구동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장부는 버튼, 상부 손잡이부(201) 등이 구성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하부하우징(100)의 상부를 완전히 밀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버튼을 통하여 조리의 온/오프 및 세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의 구동부는 각 구동장치 및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등이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00)에 담긴 음식물이 알맞게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동축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에 의해 걸음망의 안에 있는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이 회전날의 회전운동에 의하면 몸통 내부의 물이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걸음망의 내부에 있는 분쇄된 음식물이 걸음망 외부로 나오게 되면서, 회전날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걸음망 외부 내부에 각기 다른 형태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콩을 본 발명의 조리기에 넣고 회전날에 의해 분쇄하게 되면, 걸음망 내부에는 비지가 걸음망 외부에는 단백질 즙으로 분리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00) 및 상부하우징(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각 상, 하부 하우징(100, 200)의 상호결합을 유도하는 결합부(3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에 배치된 결합부(300) 내의 돌기(302)와 홀(301) 및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의 결합을 도와주는 걸고리부(305)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결합부(3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 및 홀(301)의 구성을 보여준다.
하부하우징(100) 및 상부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300)는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의 분리에 의하여 상, 하부로 분리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와 홀(301)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301)은 하부하우징(1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는 상부하우징(200)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홀(301)은 하부하우징(100)이 아닌 상부하우징(200)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는 상부하우징(200)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 및 도 6에서 하부하우징(100)의 적어도 하나의 홀(301)은 상기 결합부(3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부하우징(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는 상기 결합부(300)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301)은 하부하우징(100)의 손잡이 부(101) 상면에 형성되어 음식을 조리하는 용기와 상대적으로 거리를 두어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홀(301)에 접점이 형성될 경우 전기가 통하는 위치를 음식물이 조리되는 용기에서 멀어지게 하여 감전 사고율을 낮출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는 상부하우징(200)의 외면에 일측 단턱이 형성된 내부 및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결합이 부드럽게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 하부하우징(100) 외측 및 상부하우징(200)과 결합부근에 일정한 단턱을 설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홀(301)이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는 상부하우징(200) 외측 하부쪽으로 구성된 단턱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은 돌리면서 결합이 강화되는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상호 결합을 유도하는 과정은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이 일정 간격 상대적으로 돌면서 결합이 강해지며, 최종적으로 각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돌기(302)가 자중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마무리된다. 이러한 2중 구조의 결합으로 결합부(300)의 결속력을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육안으로 바라보았을 경우에도 잠김/열림의 형태가 분명하여 조리시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결합의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조절을 통해 음식물이 조리되는 경우에는 잠금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가 조리가 마치는 경우에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301) 및 돌기(302)가 분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공기의 외면에 결합부(300)가 위치하여 육안으로 조리 중이거나 조리가 마쳤을 경우 결합부(300)의 벌어짐을 쉽게 확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결합부(300)의 외측 또는 주변부에 결합부(300)의 잠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온/오프 표시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육안으로 표시등을 확인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결합부(300)의 결합되는 위치는 하부하우징(100) 또는 상부하우징(200)의 외면 어느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홀(301) 및 돌기(302)의 위치서 서로 상호 교환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내지 도11에서 결합부(300)는 돌기(302)와 홀(301)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지만, 그 외에 이중결합이 가능하게 단턱(303)과 홈(304)의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는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 하부하우징(100) 외측의 결합부(300) 상면에는 단턱(303)을 설치하고 상부하우징(200) 외측의 손잡이부(101) 하면에는 단턱(303)에 대응되는 홈(304)를 설치하여 서로 암수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의 단턱(303)과 상부하우징(200)의 홈(304)의 구조가 사각의 형태로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다양한 형태의 구조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단턱(303)의 둘레는 라운딩 형태로 구성되어 모서리에 의한 인체의 손상을 억제하고 결합이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부(300)의 구성은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된 손잡이부(101) 상면에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 손잡이부(101) 상면에 단턱(303)을 설치하고 그 단턱(303)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301)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는 홈(304)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는 하부하우징(100)의 외측 손잡이부(101) 상면과 대응되게 상부하우징(2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와 적어도 하나의 홀(301)의 상호결합 외에도 각각 돌기(302)와 홀(301)을 지지하고 있는 단턱(303)과 홈(304)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의 결합이 이중으로 되어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에 구성된 단턱(303) 또는 홈(304)은 상호 위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하우징(100)의 하면에 배치된 단턱(303)에 대응되게 하부하우징(100) 결합부(300)의 상면에 홈(304)이 설치되고 홈(304)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홈(304)은 단턱(303)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홈(304)의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와 단턱(303)의 적어도 하나의 홀(301)이 결합되어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의 결속을 이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하부하우징(100)의 상면에 단턱(303)을 형성하고 단턱(303)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를 형성하여 상부하우징(200) 결합부(300)의 하면 홈(304) 내의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200) 하면에 단턱(303)을 형성하고 단턱(303)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를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00) 결합부(300)의 상면 홈(304) 내의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에서 본 각 결합부(300)는 상기 상, 하부 하우징(100, 200)의 각 돌기(302)와 홀(301)에 의해 상호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다기능 음식물 조리기(10)에 의해 음실물이 조리되는 동안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누출없이 안전하게 완성된 음식물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하부하우징(100)의 홀(301)의 경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한 깊이를 두어 형성될 수 있으며 홀(301)의 수는 다양한 형상의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홀(301)의 수와 배치의 형상에 따라서 이에 상호 결합이 가능할 수 있게 상부하우징(200)의 돌기(302)도 형성될 수 있다.
돌기(302)와 홀(301)의 결합시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접합되는 면은 그루브한 형태 또는 일정간격으로 점점 좁아지는 홀(301)과 그에 대응되는 돌기(3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에서 제시된 홀(301) 및 돌기(302)의 수는 네 개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한한 것이며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돌기(302)는 결합이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결합단부가 완만한 라운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라운딩 형태의 구성으로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이 결합하는 경우에 인체가 긁히거나 훼손되는 손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른 홀(301)도 돌기(302)와 대응되게 결합단부가 완만한 라운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의 홀(301)과 상부하우징(200)의 돌기(302)에는 전기 접점이 형성되어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돌기(302)의 접합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전기 접점에 의하여 상부하우징(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다른 연결수단 없이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 내부에 전선을 설치하여 기기모양의 심플함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리시 전선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원의 공급장치는 하부하우징(100)의 손잡이부(101)의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301)과 돌기(302)는 절연물질로 둘러싸여 외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부(3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301) 및 돌기(302)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접점이 구성되는 경우 돌기(302) 및 홀(301)에 외부 금속물질이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감전의 위험이 생기거나 각각 돌기(302)와 홀(301)의 결합시 접촉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주방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절연부(306)을 구성함으로써 주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음식물과 같은 액체와 금속물질로부터 제한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절연부(306)은 하부하우징(100)의 적어도 하나의 홀(301)의 주변부를 얇게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연부(306)까지 포함하여 홀(301)의 크기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부(306)은 전기를 통하지 않으면서 내열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도록 하며 예를 들면, 합성 고무, 플라스틱, 유리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하부하우징(100)의 단턱(303)과 상부하우징(200)의 홈(304)의 주위에도 절연부(306)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유입을 방지하고 감전의 위험을 감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306)는 적어도 하나의 홀(30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02)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절연부(306) 사이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찌꺼기, 습기 및 열로 인한 증기가 누적되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절연부(306)를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조리 전 또는 조리 후에 음식물 가공기를 세척할 때 절연부(306)를 분리하여 절연부(306) 및 적어도 하나의 홀(301) 및 돌기(302)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기기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의 둘레의 상부 또는 상부하우징(200)의 둘레 하부에 각각의 결합을 보조하는 걸고리부(305)를 구비할 수 있다.
걸고리부(305)는 음식물이 조리단계에서 상기에 제시된 결합부(300)이외에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가 다 완성된 단계에서 내부에 음식물이 있는 상태에서 조리 기기가 넘어지거나 떨어졌을 경우 내부 음식물이 완전히 쏟아지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걸고리부(305)는 실시예에 제시된 것처럼 상, 하부 하우징(100, 200)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각 둘레의 부분만으로 고정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고리부(305)는 상부하우징(200)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100) 상부 외측면에 일정한 단차 및 결합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는 반원형 상의 단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각 상부하우징(200)의 끝단의 단부가 하부 하우징(100)의 끝단의 돌출된 부분에 걸고리 형식으로 체결되면서 결합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다.
걸고리부(305)는 주변에 절연부(306)을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구성될 수 있다.
걸고리부(305) 구성의 경우에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하부하우징(100) 내부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전류가 통하게 되고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음식물의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남은 전류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고 이곳에 물과 같은 액체가 흐르는 경우 인체의 감전 위험과 같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걸고리부(305) 주위에 통전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절연부(306)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 인하여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도록 하였다.
걸고리부(305)는 하부하우징(100)의 둘레 또는 상부하우징(200)의 둘레 중 어느 쪽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절연부(306)도 상기 걸고리부(305)의 구성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상에 맞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고리부(305) 주위인 상, 하부하우징(100, 20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실리콘링을 체결하여 각 상, 하부하우징(100, 200)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 상면 또는 하부하우징(100)의 옆면에 창(103)을 설치하여 내부 요리 상태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200) 상면에 에어벤트(203)를 설치할 수 있다. 에어벤트(203)는 상부하우징(200)의 상부 일측에 단차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가 부착될 수 있다.
음식물 가공기의 경우,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히터에 의한 열과 내부 압력이 급속히 상승하게 되어 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구조가 따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증기가 적절히 외부로 방열되기 위한 에어벤트(203)가 설치될 필요가 있으며, 단차 및 격자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용기 내의 조리된 음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기능 가공기 100: 하부하우징
200: 상부하우징 300: 결합부
101: 손잡이부 201: 상부 손잡이부
203: 에어벤트 301: 홀
302: 돌기 303: 단턱
304: 홈 305: 걸고리부
306: 절연부 103: 창
105: 분쇄돌기

Claims (13)

  1.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어 착탈이 가능한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호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접점이 형성되어 접합시 통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 및 상기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금속 또는 이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물질로 둘러싸인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분리에 의해 상, 하부로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하나의 홀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 및 상기 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상기 절연부는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둘레 상부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 둘레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걸고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부 내외는 절연물질로 둘러싸여 전기 또는 열을 통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 구동 또는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며,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필터가 있는 에어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 안쪽 벽면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공기.
KR1020140041209A 2013-10-28 2014-04-07 다기능 가공기 KR20150048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209A KR20150048614A (ko) 2014-04-07 2014-04-07 다기능 가공기
PCT/KR2014/009738 WO2015064934A1 (ko) 2013-10-28 2014-10-16 다기능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209A KR20150048614A (ko) 2014-04-07 2014-04-07 다기능 가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388A Division KR101401507B1 (ko) 2013-10-28 2013-10-28 다기능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614A true KR20150048614A (ko) 2015-05-07

Family

ID=5338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209A KR20150048614A (ko) 2013-10-28 2014-04-07 다기능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8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4647A (zh) * 2017-01-13 2018-07-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8888131A (zh) * 2018-07-30 2018-11-27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豆浆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4647A (zh) * 2017-01-13 2018-07-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8294647B (zh) * 2017-01-13 2021-08-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8888131A (zh) * 2018-07-30 2018-11-27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豆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760B1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손잡이 구조
EP2777450B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steam cooking and food processing
KR101829813B1 (ko)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CN112806840A (zh) 烹饪系统
KR101216942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US20090000494A1 (en) Household soybean milk and tofu maker
JP2017119070A (ja) フードプロセッサ
WO2006017967A1 (fr) Appareil entièrement automatique et multifonction de transformation alimentaire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JP6765091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KR101401507B1 (ko) 다기능 가공기
KR101157337B1 (ko)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833279B1 (ko) 내부 체결 및 접속식 조리기기
US20210120997A1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100742606B1 (ko) 분리형 거름망을 가진 복합 조리 장치
KR101874157B1 (ko) 음식물 가공기
KR20170140047A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CN209090843U (zh) 烹饪器具
KR200487909Y1 (ko) 전기렌지 전용 조리 판
CN105744865A (zh) 感应炊具
CN110973981A (zh) 烹饪器具
KR102276757B1 (ko) 음식물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