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337B1 -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 Google Patents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337B1
KR101157337B1 KR1020100025137A KR20100025137A KR101157337B1 KR 101157337 B1 KR101157337 B1 KR 101157337B1 KR 1020100025137 A KR1020100025137 A KR 1020100025137A KR 20100025137 A KR20100025137 A KR 20100025137A KR 101157337 B1 KR101157337 B1 KR 10115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automatic cooker
cap
strain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976A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0002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3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자동 조리기의 상부에 형성된 장치 수용 부분을 하부의 조리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생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조리기는 모터 (M) 및 전자기판(P)을 수용하는 상부 몸체(11); 상부 몸체(11)와 결합하는 하부 몸체(12); 모터(M)에 연결되어 상부 몸체(11)로부터 하부 몸체(12)로 연장된 회전축(13); 회전축(13)의 끝 부분에 고정된 분쇄 날(14); 상단이 상부 몸체(11)에 고정되고 하부 몸체(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걸름망(15); 가열을 위한 히터(H); 및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되는 바디캡(16)을 포함하고 그리고 바디캡(16)은 상부 몸체의 아래쪽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Automatic Cooker Having Improved Sanitation Property}
본 발명은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자동 조리기의 상부에 형성된 장치 수용 부분을 하부의 조리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생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대두를 분쇄 및 가열하여 자동으로 두유 또는 두부를 제조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가 공지되어 있다. 자동조리기에서 대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불림 공정, 분쇄와 여과 공정 및 끓임 공정을 통하여 비지와 두유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비지로부터 분리된 두유는 간수를 이용하여 두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두유 또는 두부의 제조 과정에서 분쇄와 끓임 공정은 두유 또는 두부의 맛을 결정하는 단계로 다양한 형태의 제어가 요구된다. 아울러 두유 또는 두부의 제조는 제조 공정에서 열처리가 수반되므로 용기로부터 환경 호르몬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단을 통하여 위생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방지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두부 또는 두유의 자동 조리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1997-0064426호 “가정용 두부 제조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거품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끓임 공정을 제어하는 두부 또는 두유 제조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두부 또는 두유의 자동 조리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32271호 “가정용 두유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분쇄 날에 의하여 대두 또는 땅콩이 분쇄되고 그리고 분쇄된 성분이 걸름망에 의하여 여과되어 두유가 제조되는 자동조리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두부 또는 두유는 높은 온도에서 제조된다. 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두부 또는 두유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수분 형태로 덮개에 침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조리기에 오작동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조리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른 문제로 조리기의 내부와 접하는 덮개의 하부에 조리 내용물이 묻을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로 덮개의 아래쪽 부분이 일정 온도에서 유해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 조리 내용물에 유해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은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공지 또는 선행기술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물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상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동 조리기는 모터 및 전자 기판을 수용하는 상부 몸체; 상부 몸체와 결합하는 하부 몸체; 모터에 연결되어 상부 몸체로부터 하부 몸체로 연장된 회전축; 회전축의 끝 부분에 고정된 분쇄 날; 상단이 상부 몸체에 고정되고 하부 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걸름망; 가열을 위한 히터; 및 상부 몸체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되는 바디캡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캡은 상부 몸체의 아래쪽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바디캡의 바닥면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부분은 밀봉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바디캡은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 기판은 밀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바디캡은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 홀 및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부 몸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전기 장치가 수용된 덮개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유해 물질의 발생을 차단하는 한편 덮개의 아래쪽 면에 조리물의 일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 조리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실시 예 및 상부 몸체의 밀봉과 관련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c 내지 도 1f는 상부 몸체(11)와 캡(16)의 결합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름망(15)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분쇄 날(14)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실시 예 및 상부 몸체(11)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모터(M) 및 전자기판(P)을 수용하는 상부 몸체(11); 상부 몸체(11)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12); 모터(M)에 연결되어 상부 몸체(11)로부터 하부 몸체(12)로 연장된 회전축(13); 회전축의 끝 부분에 고정된 분쇄 날(14); 상단이 상부 몸체(11)에 고정되고 하부 몸체(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걸름망(15); 가열을 위한 히터(H); 및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되는 바디캡(16)을 포함한다.
자동 조리기(10)는 두부, 두유 또는 죽과 같이 분쇄와 가열이 요구되는 임의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몸체(11)는 모터(M)와 전자기판(P)을 수용하는 하는 한편 자동 조리기(10)의 하부 몸체(12)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모터(M)는 상부 몸체(11)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모터 하우징(111)에 수용될 수 있고 전자기판(P)은 상부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 박스(112)에 수용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11)과 기판 하우징(112)은 필요에 따라 밀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하우징(111) 및 기판 박스는 밀봉이 된 형태가 되고 배선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은 실리콘 패킹이 될 수 있다.
하부 몸체(12)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조리 과정에서 상부 몸체(11)로부터 연장된 회전축(13), 회전축의 끝 부분에 고정된 분쇄 날(14) 및 걸름망(15)을 수용하고 그리고 상부 몸체(11)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하부 몸체(12)는 이중 구조로 되거나 또는 단일 구조로 될 수 있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무독성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하부 몸체(12)는 열에 강한 강화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회전축(13)은 모터(M)의 축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끝 부분에 분쇄 날(14)이 고정된다. 걸름망(15)은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아래쪽에 유동 조절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조리 내용물은 가열이 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두부 또는 두유의 제조를 위하여 콩이 분쇄되어 살균을 위하여 가열되어야 한다. 히터(H)는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니크롬과 같은 저항 발열체가 내부에 배선된 길이 연장 히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H)는 하부 몸체(12)의 아래쪽 또는 바닥면에 내장되거나 둘레 면을 따라 설치된 판형이 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은 바디캡(16)에 의하여 하부 몸체(12)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아래쪽 부분은 예를 들어 조리과정에서 하부 몸체(12)에 수용된 조리 내용물에 노출되는 부분을 말한다. 바디캡(16)은 스테인리스 또는 무독성 합성수지에 해당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캡(16)은 상부 몸체(11)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 소재 또는 무독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은 위생과 관리 면에서 유리하다. 스테인리스 또는 무독성 합성수지 소재는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과 같은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아 위생적이라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 세척에 편리하여 유지 관리 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바디캡(16)에 부착 수단(165)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 수단이 상부 몸체(1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부착 수단(165)은 바디캡(16)의 위쪽 부분에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걸이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착 수단(165)에 의하여 바디캡(16)은 상부 몸체(11)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자동 조리기(10)의 사용 과정에서 세척이 필요하다면 바디캡(16)은 상부 몸체(11)로부터 분리되어 세척될 수 있다.
회전축(13)의 끝 부분에 분쇄 날(14)이 부착된 상태에서 바디캡(16)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 1b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캡(16)의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바디캡(16)의 아래쪽으로 회전축(13)이 연장되어야 하므로 바디캡(16)의 아래쪽 부분에 축 관통 홀(162)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필요에 따라 2개의 부분이 서로 접하는 부분 및 축 관통 홀(162)의 주위에 실링 수단(S1, S2)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실링 수단(S1, S2)은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만약 바디캡(16)이 상부 몸체(11)에 고정된 형태가 된다면 2개의 부분이 서로 접하는 부분이 생기지 않으므로 축 관통 홀(162)의 주위에 실링 수단(S2)만 요구된다.
상부 몸체(11)와 바디캡(16)은 다양한 형태로 결합이 될 수 있다. 아래에서 바디캡(16)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c 내지 도 1f는 바디캡(16)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바디캡(16)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디캡(16)은 한쪽 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측면(163)과 바닥 면(16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163)은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바닥 면(164)에 모터(M)의 회전축(13)을 외부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 홀(162)과 바디캡(16)을 상부 몸체(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d는 바디캡(16)이 상부 몸체(11)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디캡(16)은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은 완전히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바디캡(16)은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161a)을 이용하여 상부 몸체(11)에 형성된 고정 홀(161b)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축(13)은 축 관통 홀(162)을 통하여 바디캡(16)의 외부로 연장되고 축 관통 홀(162)의 주위로 실리콘과 소재로 만들어진 같은 밀봉 수단(131)이 설치될 수 있다. 밀봉 수단(131)은 조리 과정에서 습기가 상부 몸체(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e는 바디캡(16)의 다양한 형상 및 그에 따른 상부 몸체(11)에 대한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 몸체(11)는 전자기판(P)과 같은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부품 수용 부분(11a), 모터(M)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 부분(11b) 및 바닥 부분(11c)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1e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캡(16)은 상부 몸체(11)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되거나 도 1e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의 모터 수용 부분(11b) 및 바닥 부분(11c)을 감싸는 형태가 되거나 또는 도 1e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몸체의 바닥 부분(11c)을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캡(16)은 다양한 형태로 상부 몸체(11)를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바디캡(16)이 상부 몸체(11)를 감싸는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걸름망(15)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름망(15)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걸름망(15)은 아래쪽 부분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유동 조절 홀(151) 및 위쪽 부분에 형성된 고정 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조절 홀(151)은 분쇄 과정에서 걸름망(15)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조리 내용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고정 홈(152)은 걸름망(15)을 바디캡(16)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디캡(16)의 표면에 고정 홈(152)과 대응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캡(16)을 상부 몸체(11)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걸름망(15)을 바디캡(16)에 고정시키는 것은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의 내부가 가열되면 열이 상부 몸체(11)에 전달되어 걸름망(15)의 체결 부분이 손상되거나 또는 전자기판(P)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의 손상은 바디캡(16)을 설치하여 열을 분산시키는 것에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 개의 유동 조절 홀(151)은 걸름망(15)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걸름망(15)의 아래쪽 부분에 일정한 길이(L)로 연장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장된 형태는 유동 제어 관(21)이 걸름망(15)에 결합되는 경우 흐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유동 제어 관(21)은 걸름망(15)의 아래쪽에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유도 제어 관(21)의 아래쪽에 유동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제어 관(21)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걸름망(15)에 끼워질 수 있고 유동 제어 관(21)이 걸름망(15)에 끼워지는 정도에 따라 유동 조절 홀(151)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는 분쇄 과정에서 조리 내용물에 따라 흐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은 흐름의 조절은 내용물의 조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2)로 이루어지고, 상부 몸체(11)는 내부에 수용되어 분쇄 날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마이크로프로세스와 같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판, 전자 기판과 연결되어 조리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작동 과정을 입력시키기 위한 제어 패널(311), 손잡이(312), 바디캡(16) 및 제어 센서(17a, 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11)는 하부 몸체(12)의 뚜껑으로 기능을 하는 동시에 각종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하부 몸체(12)는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조리 내용물과 접촉하는 내부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 몸체(11)의 아래쪽은 바디캡(16)에 의하여 밀봉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조리 과정에서 밀봉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부 몸체(11)는 하부 몸체(12)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형태로 하부 몸체(12)에 결합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이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무독성 소재로 만들어진 바디캡(16)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하부 몸체(12)의 내부가 이와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조리 과정에서 환경 호르몬과 같은 유해 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동 조리기(10)의 전복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2)는 잠금 돌기(32) 및 잠금 홈(32a)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밀봉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33) 및 잠금 상태의 확인을 위한 안전 록 장치(34a, 34b)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돌기(32)는 하부 몸체(12)의 상부 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잠금 홈(32a)은 상부 몸체(11)의 하부 면 둘레를 따라 잠금 돌기(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33)는 하부 몸체(12)에 부착된 안전 손잡이(35)의 상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33)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부 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모터, 히터(H) 또는 제어 장치에 전달되는 전력의 개폐를 위한 것이다. 안전 스위치(33)는 상부 몸체(11)가 하부 몸체(12)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정해진 위치에 있는 경우 상부로 전력을 공급하지만 만약 상부 몸체(11)가 하부 몸체(12)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안전 록 장치(34a, 34b)는 안전 손잡이(35)의 상부 면에 형성된 결합 록 장치(34a)와 결합 록 장치(34a)를 고정시키는 고정 록 장치(34b)를 포함한다. 고정 록 장치(34b)는 위쪽으로 돌출된 결합 록 장치(34a)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쪽 부분이 개방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센서(17)는 가열 과정에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과도한 거품의 발생 여부를 탐지한다. 추가로 제어 센서(17)는 자동 조리기(10) 내부에 조리를 위하여 필요한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제어 센서(17)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물의 수용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제1 센서(17a) 및 과도한 거품의 발생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제2 센서(17b)를 포함한다. 제1 센서(17a)는 적어도 제2 센서(17b)보다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면서 걸름망(15)의 아래쪽 부분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17a)의 내부에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전달된 온도에 따라 히터(H)의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의 유무 및 거품 감지를 위하여 제1 센서(17a) 및 제2 센서(17b)는 도전성 소재로 만들어져 전극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17a) 및 제2 센서(17b)는 조리기 내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온도와 거품을 감지하게 된다. 걸름망(15) 또는 히터(H)가 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져 전극 기능을 가지고 어느 하나가 공통 전극이 될 수 있다면, 제1 센서(17a) 또는 제2 센서(17b)와 걸름망(15) 또는 히터(H) 사이에 전압 감지에 의하여 조리기 내부의 수위 또는 거품의 감지가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센서(17a)를 아래쪽으로 충분히 연장하는 것에 의하여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 내부에 물의 거의 없게 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보기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H)와 제1 센서(17a) 사이에 전압이 감지되면 조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그리고 히터(H)와 제2 센서(17a) 사이에 전압이 감지되면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히터(H)와 제1 센서(17a) 사이에 개방 전압이 감지되면 조리를 위하여 필요한 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자기판(P)과 연결되는 제어 부분은 각각의 상태에 따라 히터(H)에 공급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또는 물이 없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필요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서 위에서 이미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312)는 위쪽으로 올리거나 또는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는 형태로 상부 몸체(11)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부 몸체(11)는 걸고리 형태의 걸고리 잠금장치(41a, 41b)에 의하여 하부 몸체(1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걸름망(15)은 상부 몸체(11)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걸름망(15)의 상부 둘레 면을 따라 유도관 잠금 홈(42a)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부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 몸체(313)의 둘레 면을 따라 유도관 결합 돌기(42b)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몸체(313)의 내부에 예를 들어 모터가 수용될 수 있다. 걸름망(15)을 상부 몸체(1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유도관 잠금 홈(42a)과 유도관 결합 돌기(42b)의 시작 부분을 일치시키고 그리고 걸름망(15)을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리고 분리를 위하여 걸름망(1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름망(15)의 분리는 예를 들어 살균 또는 청소를 위하여 필요하다. 바디캡(16)이 설치되는 경우 유도관 결합 돌기(42b)는 바디캡(16)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분쇄 날(14)은 수용 몸체(313)에 수용된 모터로부터 하부 몸체(12)의 바닥면으로 연장된 회전축(13)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배출구(51a) 및 배출 마개(5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51a)는 하부 몸체(12)의 꼭대기에 꼭지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배출 마개(51b)는 상부 몸체(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2)가 밀봉된 형태로 결합이 되는 경우 배출 마개(51b)는 배출구(51a)를 폐쇄시킨다. 대안으로 배출 마개(51b)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배출구(51a)가 폐쇄된 상태에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분산된 형태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51a)와 배출 마개(51b)의 형태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뜨거운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자동 조리기(10)는 안전 받침대(52) 및 이동 손잡이(5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받침대(52)는 걸름망(15)이 조리 과정에서 상부 몸체(11)로부터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걸름망(15)을 정해진 높이로 하부 몸체(1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장치에 해당한다. 안전 받침대(52)는 걸름망(15)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하부 몸체(12)의 바닥면에 인접하는 한쌍의 지지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 손잡이(53)는 하부 몸체(12)에 부착되어 조리 또는 보관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312)는 사각 기둥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면서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P)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몸체(11)는 스위치 잠금장치(62a, 62b)에 의하여 하부 몸체(12)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를 하부 몸체(12)에 안정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안전 손잡이(312)에 잠금 스위치(62a) 및 잠금 돌기(62b)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 돌기(62b)는 잠금 스위치(62a)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부 몸체(11)에 설치된 잠금 돌기(62b)에 대응되는 잠금 홈(도시되지 않음)에 잠금 돌기(62b)가 결합 및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상부 몸체(11)는 안전 손잡이(312)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외부 배출을 위하여 상부 몸체(11)에 수증기 배출구(61)가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조리 과정의 제어를 위한 제어 패널(311)이 상부 몸체(1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예를 들어 죽 또는 수프와 같이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걸름망이 없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걸름망은 상부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걸름망이 없는 상태에 사용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다른 구성요소는 유사하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걸름망이 상부 몸체(11)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2)는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잠금 돌기(32) 및 잠금 홈(32a)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고 안전 손잡이(35)에 결합 록 장치(34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스위치(33)가 안전 손잡이(35)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모터의 제어 및 제어 장치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위한 방출구(71)가 상부 몸체(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의 이동을 위한 이동 손잡이(53)가 상부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쇄 날(14)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조리 과정에서 물 또는 재료의 이동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재료의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분쇄 날의 형상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날(14)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분쇄 날(14)은 다수 개의 절단 날(141)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3)을 통하여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절단 날(141)은 2개 내지 4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절단 날(141a, 141b)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회전축(13)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절단 날(141a, 141b)이 2개가 되는 경우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그리고 3개가 되는 경우 각각 120도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절단 날(141a, 141b)은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절단 날(141a, 141b)의 끝 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모두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a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절단 날(142a, 142b, 142c, 142d)로 분쇄 날(14)이 구성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절단 날(142a)은 다른 절단 날(142b, 142c, 142d)에 비하여 길이가 길거나 또는 짧을 수 있다. 또한 2개의 절단 날(142a, 142c)의 끝 부분은 아래쪽으로 향하고 그리고 나머지 2개의 절단 날(142b, 142d)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절단 날(142a, 142b, 142c, 142d)의 끝 부분이 위쪽으로 향할 수 있지만 분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대안으로 절단 날(142a, 142b, 142c, 142d)은 호형이 될 수 있다.
도 8b는 분쇄 날(14)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분쇄 날(14)은 2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4개의 절단 날(14a, 14b, 14c, 14d)을 가진다. 2개의 쌍 중 하나의 쌍(14a, 14b)은 평면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쌍(14c, 14d)은 일정 길이로 평면을 따라 연장된 후 다시 위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고 그리고 끝 부분에서 따라 평면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쌍(14a, 14b)은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쌍(14c,14d)은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평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만드는 것은 분쇄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쌍(14a,14b)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회전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쌍(14c,14d)은 분쇄되지 않은 재료가 위쪽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쇄 날(14)은 재료의 분쇄 효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의 종류에 따라 투입되어야 할 재료의 양 및 물의 양을 고려하여 걸름망(15)에 결합되는 유동 제어 관(21)의 높이를 결정한다. 조리의 종류에 따른 유동 제어 관(21)의 높이 결정은 예를 들어 배포되는 사용설명서와 같은 책자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유동 제어 관(21)이 결합되면 대두와 같은 조리 재료가 물과 함께 하부 몸체(12)에 투입될 수 있고 그리고 상부 몸체(11)는 하부 몸체(12)에 밀봉된 형태로 결합된다. 이후 전자기판(P)과 연결된 제어 패널(311)을 조작하여 조리를 하게 된다. 만약 조리 과정에서 과도한 거품이 발생하거나 너무 작은 양의 물만 남게 되면 제어 센서(17)에 의하여 탐지되어 히터(H)에 대한 열 공급이 중단되거나 또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 패널(311)에서 완료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조리완료 알람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조리 과정에서 내부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이 직접적으로 상부 몸체(11)로 전달되는 것이 바디캡(16)에 의하여 차단된다. 아울러 바디캡(16)은 조리 과정에서 열로 인하여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어 조리 내용물이 혼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 내용물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조리되는 재료의 종류 또는 투입되는 재료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유동 제어 관(2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균일한 분쇄가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상부 몸체 12: 하부 몸체 13: 회전축 14: 분쇄 날
15: 걸름망 16: 바디캡 17: 제어센서
M: 모터 P: 전자기판 H: 히터 151: 유동 조절 홀
21: 유동 제어 관 211: 유동 홀 32: 잠금 돌기 311: 제어 패널
32a: 잠금 홈 33: 안전 스위치 35: 안전 손잡이
41a, 41b: 잠금장치 42a: 유도관 잠금 홈 42b: 유도관 결합 돌기
51a: 배출구 51b: 배출 마개 52: 안전 받침대
62a: 잠금 스위치 62b: 잠금 돌기
165:부착 수단

Claims (5)

  1. 모터 및 전자 기판을 수용하는 상부 몸체;
    상부 몸체와 결합하는 하부 몸체;
    모터에 연결되어 상부 몸체로부터 하부 몸체로 연장된 회전축;
    회전축의 끝 부분에 고정된 분쇄 날;
    상단이 상부 몸체에 고정되고 하부 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걸름망;
    가열을 위한 히터; 및
    상부 몸체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되는 바디캡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캡은 상
    부 몸체의 아래쪽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고 그리고 바디 캡은 바디 캡의 바닥 면에 형성된 고정 홀에 결합되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부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캡의 바닥면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부분은 밀봉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캡은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 기판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기.
  5. 삭제
KR1020100025137A 2010-03-22 2010-03-22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157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37A KR101157337B1 (ko) 2010-03-22 2010-03-22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37A KR101157337B1 (ko) 2010-03-22 2010-03-22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976A KR20110105976A (ko) 2011-09-28
KR101157337B1 true KR101157337B1 (ko) 2012-06-15

Family

ID=449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137A KR101157337B1 (ko) 2010-03-22 2010-03-22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51B1 (ko) * 2013-07-01 2014-09-01 주식회사 로닉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20150003666A (ko) * 2014-06-10 2015-01-09 주식회사 로닉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6635B (zh) * 2014-06-21 2018-10-1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品料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80Y1 (ko) * 2003-10-20 2004-01-16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KR20040079276A (ko) * 2003-03-07 2004-09-14 신동환 두부 제조기
KR20050032273A (ko) * 2003-10-01 2005-04-07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비지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비지 제조방법
KR20060112108A (ko) * 2005-04-26 2006-10-31 김홍배 제어 센서를 구비한 두부 또는 두유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276A (ko) * 2003-03-07 2004-09-14 신동환 두부 제조기
KR20050032273A (ko) * 2003-10-01 2005-04-07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비지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비지 제조방법
KR200338580Y1 (ko) * 2003-10-20 2004-01-16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KR20060112108A (ko) * 2005-04-26 2006-10-31 김홍배 제어 센서를 구비한 두부 또는 두유 제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51B1 (ko) * 2013-07-01 2014-09-01 주식회사 로닉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WO2015002416A1 (ko) * 2013-07-01 2015-01-08 주식회사 로닉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20150003666A (ko) * 2014-06-10 2015-01-09 주식회사 로닉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101722706B1 (ko) 2014-06-10 2017-04-03 주식회사 로닉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976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971B1 (en) Stand mixer and heating means combination apparatus
KR101829813B1 (ko)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CN101077270B (zh) 间接加热式烹调装置
US10413109B2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steam cooking and food processing
KR101609390B1 (ko) 조리기기
CN112806840A (zh) 烹饪系统
KR101183239B1 (ko)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WO2006017967A1 (fr) Appareil entièrement automatique et multifonction de transformation alimentaire
KR101216942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JP2017119070A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101157337B1 (ko)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0768472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복합 조리 장치
KR101247216B1 (ko) 두유 제조방법
US20200397185A1 (en) Baby food maker
KR100742609B1 (ko) 분리형 그물덮개를 가진 식품 조리장치
KR100970014B1 (ko)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KR200431125Y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
WO2013160777A1 (en) Method for determination cooking conditions and system for determination cooking conditions
KR101546007B1 (ko)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833279B1 (ko) 내부 체결 및 접속식 조리기기
KR100516835B1 (ko) 가정용 두유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제조방법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KR20170140047A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0867713B1 (ko) 눌어붙음 방지 기능을 가진 식품 가공기
KR101401507B1 (ko) 다기능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