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014B1 -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 Google Patents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014B1
KR100970014B1 KR1020090095647A KR20090095647A KR100970014B1 KR 100970014 B1 KR100970014 B1 KR 100970014B1 KR 1020090095647 A KR1020090095647 A KR 1020090095647A KR 20090095647 A KR20090095647 A KR 20090095647A KR 100970014 B1 KR100970014 B1 KR 10097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head body
housing
coupl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09009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55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두유 또는 두부의 제조과정에서 재료의 순환을 제어하여 분쇄 수준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조리기는 모터를 수용하는 헤드 본체; 하우징; 헤드 본체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고 둘레 면에 다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된 순환 유도관; 순환 유도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 날; 순환 유도관에 결합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쇄 제어 관; 온도 또는 거품을 감지하는 제어 센서; 및 순환 유도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가열관을 포함한다.
조리기, 분쇄, 순환 유도관, 분쇄 날, 분쇄 제어관

Description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Automatic Cooker Capable of Regulating Grind Degree}
본 발명은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두유 또는 두부의 제조과정에서 재료의 순환을 제어하여 분쇄 수준을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대두를 분쇄 및 가열하여 자동으로 두유 또는 두부를 제조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가 공지되어 있다. 자동조리기에서 대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불림 공정, 분쇄와 여과 공정 및 끓임 공정을 통하여 비지와 두유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비지와 두부를 분리된 두유는 간수를 이용하여 두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두유 또는 두부의 제조 과정에서 분쇄와 끓임 공정은 두유 또는 두부의 맛을 결정하는 단계로 다양한 형태의 제어가 요구된다.
두부 또는 두유의 자동 조리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1997-0064426호 “가정용 두부 제조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거품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끓임 공정을 제어하는 두부 또는 두유 제조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두부 또는 두유의 자동 조리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 2005-32271호 “가정용 두유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분쇄 날에 의하여 대두 또는 땅콩이 분쇄되고 그리고 분쇄된 성분이 거름망에 의하여 여과되어 두유가 제조되는 자동조리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공지된 두부 또는 두유의 자동 조리기는 끓임 공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진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거품 감지 센서에 의하여 넘침을 자동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걸림 장치를 설치하여 밀봉 상태를 강화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분쇄 공정은 정해진 형태로만 진행되고 그리고 끓임 공정도 수위에 상관없이 넘침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만 이루어진다. 대두의 종류 또는 형상에 따라 분쇄 공정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필요가 있고 조리되는 재료의 양 또는 수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끓임 공정이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공지된 자동 조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 공정 또는 끓임 공정을 다양한 형태로 제어할 수 있는 두유 또는 두부의 자동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동 조리기는 모터를 수용하는 헤드 본체; 하우징; 헤드 본체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고 둘레 면에 다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된 순환 유도관; 순환 유도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 날; 순환 유도관에 결합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쇄 제어 관; 온도 또는 거품을 감지하는 제어 센서; 및 순환 유도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가열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센서는 온도 센서와 거품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쇄 제어 관은 순환 유도관에 테이프 결합, 나사 결함, 끼움 결합 또는 홈 결합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헤드 본체와 하우징은 잠금 홈과 잠금 돌기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동 조리기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순환 제어관은 헤드 본체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쇄 날은 서로 다른 길이가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절단 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분쇄 공정 또는 끓임 공정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두부 또는 두유의 조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덮개에 설치된 이중 안전장치로 인하여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헤드 본체(11); 하우징(12); 헤드 본체(11)로부터 하우징(12)의 내부로 연장되고 둘레 면에 다수 개의 관통 공(131)이 형성된 순환 유도관(13); 순환 유도관(13)의 내부에 위치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 날; 순환 유도관(13)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분쇄 제어 관(15); 순환 유도관(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가열관(16); 및 순환 유도관(13)의 외부에 설치되는 온도 또는 거품을 감지하는 제어 센서(17)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자동 조리기(10)의 외부 구조를 형성하면서 조리를 위한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원통 형상 또는 사각 기둥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2)은 경량의 임의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투명한 소재로 제조되어 두부 또는 두유의 조리 상태가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순환 유도관(13)은 조리 과정에서 물과 대두를 순환시키면서 대두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순환 유도관(13)의 위쪽 부분은 헤드 본체(11)에 고정되고 그리고 아래쪽 부분은 개방된 원통 형상이 되면서 하우징(12)의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여유 거리를 가지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순환 유도관(13)의 표면에 다수 개의 관통 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관통 공(131)은 순환 유도관(13)의 아래쪽 부분의 둘레 면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관통 공(131)의 직경은 적어도 대두의 직경과 동일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순환 유도관(13)의 아래쪽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순환 가이드(132)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순환 가이드(132)는 대두의 분쇄 과정에서 대두를 포함하는 물의 상승을 도울 수 있는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순환 가이드(132)의 길이는 순환 유도관(13) 전체 길이의 1/10 내지 1/3이 될 수 있다. 순환 가이드(132)의 아래쪽에 분쇄 제어 관(15)의 결합을 위한 결합 테두리(13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테두리(133)에 결합되는 분쇄 제어 관(15)은 위쪽 및 아래쪽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순환 유도관(13)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순환 가이드(132)와 유사하거나 또는 결합에 따른 차이로 인한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분쇄 제어 관(15)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 테두리(133)에 결합될 수 있다. 분쇄 제어 관(15)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결합 테두리(133)에 예를 들어 연속된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리고 분쇄 제어 관(15)에 연속된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 연속된 맞물림 골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결합 테두리(13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곡면 홈이 형성되고 그리고 분쇄 제어 관(15)에 곡면 홈에 대응되는 결합 언덕이 형성되어 결합 테두리(133)에 분쇄 제어 관(15)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을 위하여 곡면 홈에 결합 언덕이 삽입되고 그리고 정해진 길이만큼 결합 테두리(133)와 분쇄 제어 관(15)이 서로 맞물리면 분쇄 제어 관(15)을 약간 회전시켜 결합 테두리(133)에 분쇄 제어 관(15)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쇄 제어 관(15)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순환 가이드(132)에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결합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쇄 날은 조리 과정에서 대두를 분쇄하는 한편 물을 포함한 대두를 아래쪽에서 위로 끌어 올리는 기능을 가진다. 분쇄 날은 헤드 본체(11)에 설치된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순환 가이드(132)의 내부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순환 가이드(132)까지 연장된 회전축의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분쇄 날의 실시 예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대두와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관(16)은 순환 유도관(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조리 과정에서 아래쪽 부분이 수용된 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가열관(16)은 전력 공급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열발생 저항체가 내장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가열관(16)의 구조 또는 설치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시된 실시 예에서 가열관(16)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지만 대안으로 가열관(16)은 순환 유도관(13)의 아래쪽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가열관(16)은 조리기(1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센서(17)는 가열 과정에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과도한 거품의 발생 여부를 탐지한다. 추가로 제어 센서(17)는 자동 조리기(10) 내부에 조리에 필요한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제어 센서(17)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물의 수용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제1 센서(17a) 및 과도한 거품의 발생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제2 센서(17b)를 포함한다. 제1 센서(17a)는 적어도 제2 센서(17b)보다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면서 순환 유도관(13)의 아래쪽 부분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17a)의 내부에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전달된 온도에 따라 가열관(16)의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의 유무 및 거품 감지를 위하여 제1 센서(17a) 및 제2 센서(17b)는 도전성 소재로 만들어져 전극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17a) 및 제2 센서(17b)는 조리기 내부의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온도와 거품을 감지하게 된다. 만약 순환 유도관(13) 또는 가열관(16)이 전도성 소재로 만들어져 전극 기능을 가지고 어 느 하나가 공통 전극이 될 수 있다면, 제1 센서(17a) 또는 제2 센서(17b)와 순환 유도관(13) 또는 가열관(16) 사이에 전압 감지에 의하여 조리기 내부의 수위 또는 거품의 감지가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센서(17a)를 아래쪽으로 충분히 연장하는 것에 의하여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 내부에 물의 거의 없게 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보기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관(16)과 제1 센서(17a) 사이에 전압이 감지되면 조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그리고 가열관(16)과 제2 센서(17a) 사이에 전압이 감지되면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가열관(17)과 제1 센서(17a) 사이에 개방 전압이 감지되면 조리를 위하여 필요한 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각의 상태에 따라 가열관(16)에 공급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또는 물이 없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필요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순환 유도관(13)과 분쇄 제어관(15)의 결합 방식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순환 유도관(13)과 분쇄 제어관(15)의 결합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퍼 결합이 되거나,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 결합이 되거나,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 결합이 되거나 또는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홈 결합이 될 수 있다. 또는 도 2e에 도시된 것처럼, 순환 유도관(13)과 분쇄 제어 관(15)은 돌기 결합이 될 수 있다.
테이퍼 결합을 위하여 결합 테두리(133)는 위쪽 일정 부분이 테이퍼 진 형태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편 나머지 부분이 일정 직경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결합 테두리(133)에 결합되는 분쇄 제어관(15)은 조절 부위(15a)와 제어 부위(15b)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 갭(152)에 의하여 한쪽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분쇄 제어관(15)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되고 결합 갭(152)의 크기에 따라 직경이 변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원통 형상이 된다. 결합 갭(152)이 형성되는 경우 분쇄 제어관(15)을 순환 유도관(13)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 갭(152)의 간격을 줄여 분쇄 제어관(15)을 결합 테두리(133)의 일정 높이까지 끼운 후 다시 결합 갭(152)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결합 갭(152)의 간격 조정은 예를 들어 손으로 파지하거나 또는 손을 떼어 내는 것에 의하여 분쇄 제어관(15)의 탄성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다.
나사 결합은 이미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결합 테두리(133)에 나사-산(134)을 형성하고 그리고 조절 부위(15a)에 대응되는 나사-골(15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끼움 결합은 분쇄 제어관(15)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c에 A로 도시된 것처럼, 분쇄 제어관(15)의 한쪽 끝에 끼움 홈(153)이 형성되고 그리고 다른 쪽 끝은 끼움 홈(153)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쇄 제어관(15)은 다른 쪽 끝이 끼움 홈(153)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지름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순환 유도관(13)과 분쇄 제어관(15)의 홈 결합을 위하여 순환 유도관(13)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반원형의 곡면 홈(134a)이 형성되고 그리고 분쇄 제어관(15)에 곡면 홈(134a)에 대응되는 결합 언덕(151a)이 형성될 수 있다. 분쇄 제어관(15)을 순환 유도관(13)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 언덕(151a)을 곡면 홈(134a)에 끼워 원하는 높이만큼 분쇄 제어관(15)을 상승시키고 그리고 결합 언덕(151a)과 곡면 홈(134a)이 어긋나도록 분쇄 제어관(15)을 약간 회전시킨다.
분쇄 제어관(15)을 순환 유도관(13)에 결합시키는 또 다른 방식은 도 2e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테두리(133)에 물림 돌기(135a)를 형성하고 그리고 분쇄 제어관(15)에 회전 돌기(155a)를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결합을 위하여 분쇄 제어관(15)을 순환 유도관(13)의 내부로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물림 돌기(135a)의 사이에 회전 돌기(155a)가 끼워지게 된다. 회전 돌기(155a)는 분쇄 제어관(15)의 둘레 면을 따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면서 끝 부분에 돌출된 부분이 가지므로 물리 돌기(135a)들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된다. 회전 돌기(155a)가 물림 돌기(135a)에 고정되면 분쇄 제어관(15)이 순환 유도관(13)에 고정될 수 있다. 분쇄 제어관(15)을 순환 유도관(13)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결합을 위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쇄 제어관(1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순환 유도관(13)과 분쇄 제어관(15)의 결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의 결합이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특정한 결합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필요에 따라 도 2f에 도시된 것처럼, 분쇄 제어관(15)의 둘레 면을 따라 제어 공(156)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156)은 관통 공(13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어 공(156)은 상승하는 물의 일부를 외부를 방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순환 유도관(13)의 내부의 물의 순환이 향상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쇄 제어관(15)을 가진 자동 조리기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헤드 본체(11)와 하우징(12)으로 이루어지고, 헤드 본체(11)는 내부에 수용되어 분쇄 날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 마이크로프로세스와 같은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조리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작동 과정을 입력시키기 위한 제어 패널(311) 및 손잡이(31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본체(11)는 하우징(12)의 뚜껑으로 기능을 하는 동시에 각종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하우징(12)은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조리 과정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순환 유도관(13), 분쇄 날, 분쇄 제어관(15), 가열관(16) 및 제어센서(17)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설명의 간략을 위하여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조리 과정에서 밀봉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헤드 본체(11)는 하우징(12)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형태로 하우징(12)에 결합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 조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동 조리기(10)의 전복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본체(11)와 하우징(12)은 잠금 돌기(32) 및 잠금 홈(32a)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밀봉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안전 스위치(33) 및 잠금 상태의 확인을 위한 안전 록 장치(34a, 34b)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돌기(32)는 하우징(11)의 상부 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잠금 홈(32a)은 헤드 본체(31)의 하부 면 둘레를 따라 잠금 돌기(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33)는 하우징(11)에 부착된 안전 손잡이(35)의 상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33)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헤드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모터, 가열관(16) 또는 제어 장치에 전달되는 전력의 개폐를 위한 것이다. 안전 스위치(33)는 헤드 본체(31)가 하우징(11)을 완전히 밀봉시키는 정해진 위치에 있는 경우 상부로 전력을 공급하지만 만약 헤드 본체(11)가 하우징(12)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안전 록 장치(34a, 34b)는 안전 손잡이(35)의 상부 면에 형성된 결합 록 장치(34a)와 결합 록 장치(34a)를 고정시키는 고정 록 장치(34b)를 포함한다. 고정 록 장치(34b)는 위쪽으로 돌출된 결합 록 장치(34a)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쪽 부분이 개방된 원호 형 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서 도 1, 2 및 3에서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312)는 위쪽으로 올리거나 또는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는 형태로 헤드 본체(11)에 결합되고 그리고 헤드 본체(11)는 걸고리 형태의 걸고리 잠금장치(41a, 41b)에 의하여 하우징(1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순환 유도관(13)은 헤드 본체(11)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순환 유도관(13)의 상부 둘레 면을 따라 유도관 잠금 홈(42a)이 형성되고 그리고 헤드 본체(11)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 몸체(313)의 둘레 면을 따라 유도관 결합 돌기(42b)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몸체(313)의 내부에 예를 들어 모터가 수용될 수 있다. 순환 유도관(13)을 헤드 본체(1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유도관 잠금 홈(42a)과 유도관 결합 돌기(42b)의 시작 부분을 일치시키고 그리고 순환 유도관(13)을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리고 분리를 위하여 순환 유도관(1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순환 유도관(13)의 분리는 예를 들어 살균 또는 청소를 위하여 필요하다.
분쇄 날(14)은 수용 몸체(313)에 수용된 모터로부터 하우징(12)의 바닥면으로 연장된 회전축(S)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 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배출구(51a) 및 배출 마개(5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51a)는 하우징(11)의 꼭대기에 꼭지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배출 마개(51b)는 헤드 본체(11)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본체(11)와 하우징(12)이 밀봉된 형태로 결합이 되는 경우 배출 마개(51b)는 배출구(51a)를 폐쇄시키게 된다. 대안으로 배출 마개(51b)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배출구(51a)가 폐쇄된 상태에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분산된 형태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51a)와 배출 마개(51b)의 형태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뜨거운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자동 조리기(10)는 안전 받침대(52) 및 이동 손잡이(5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받침대(52)는 순환 유도관(13)이 조리 과정에서 헤드 본체(11)로부터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순환 유도관(13)을 정해진 높이로 하우징(1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장치에 해당한다. 안전 받침대(52)는 순환 유도관(1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의 바닥면에 인접하는 한쌍의 지지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 손잡이(53)는 하우징(12)의 몸체에 부착되어 조리 또는 보관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312)는 사각 기둥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면서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P)를 포함한다. 그리고 헤드 본체(11)는 스위치 잠금장치(62a, 62b)에 의하여 하우징(12)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헤드 본체(11)를 하우징(12)에 안정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안전 손잡이(312)에 잠금 스위치(62a) 및 잠금 돌기(62b)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 돌기(62b)는 잠금 스위치(62a)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헤드 본체(11)에 설치된 잠금 돌기(62b)에 대응되는 잠금 홈(도시되지 않음)에 잠금 돌기(62b)가 결합 및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헤드 본체(11)는 안전 손잡이(312)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외부 배출을 위하여 헤드 본체(31)에 수증기 배출구(61)가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조리 과정의 제어를 위한 제어 패널(311)이 헤드 본체(1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조리기(10)는 예를 들어 죽 또는 수프와 같이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순환 유도관이 없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순환 유도관은 헤드 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순환 유도관이 없는 상태에 사용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다른 구성요소는 유사하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순환 유도관이 헤드 본체(11)에 부착될 수 있다.
헤드 본체(11)와 하우징(11)은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잠금 돌기(32) 및 잠금 홈(32a)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고 안전 손잡이(35)에 결합 록 장치(34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스위치(33)가 안전 손잡이(35)에 설치될 수 있다.
헤드 본체(11)에서 조리 과정에서 모터의 제어 및 제어 장치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위한 방출구(71)가 헤드 본체(3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조리 과정에서 자동 조리기(10)의 이동을 위한 이동 손잡이(53)가 헤드 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쇄 날(14)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조리 과정에서 물 또는 재료의 이동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재료의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분쇄 날의 형상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날(13)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을 참조하면, 분쇄 날(14)은 다수 개의 절단 날(141)로 이루어지고 회전축(S)을 통하여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절단 날(141)은 2개 내지 4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절단 날(141a, 141b)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회전축(14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절단 날(141a, 141b)이 2개가 되는 경우 직선을 따라 배열되고 그리고 3개가 되는 경우 각각 120도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절단 날(141a, 141b)은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절단 날(141a, 141b)의 끝 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모두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a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절단 날(142a, 142b, 142c, 142d)로 분쇄 날(14)이 구성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절단 날(142a)은 다른 절단 날(142b, 142c, 142d)에 비하여 길이가 길거나 또는 짧을 수 있다. 또한 2개의 절단 날(142a, 142c)의 끝 부분은 아래쪽으로 향하고 그리고 나머지 2개의 절단 날(142b, 142d)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절단 날(142a, 142b, 142c, 142d)의 끝 부분이 위쪽으로 향할 수 있지만 분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대안으로 절단 날(142a, 142b, 142c, 142d)은 호형이 될 수 있다.
도 8b는 분쇄 날(14)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분쇄 날(14)은 2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4개의 절단 날(14a, 14b, 14c, 14d)을 가진다. 2개의 쌍 중 하나의 쌍(14a, 14b)은 평면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쌍(14c, 14d)은 일정 길이로 평면을 따라 연장된 후 다시 위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고 그리고 끝 부분에서 따라 평면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쌍(14a, 14b)은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쌍(14c,14d)은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평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만드는 것은 분쇄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쌍(14a,14b)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회전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쌍(14c,14d)은 분쇄되지 않은 재료가 위쪽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쇄 날(14)은 재료의 분쇄 효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의 종류에 따라 투입되어야 할 재료의 양 및 물의 양을 고려하여 순환 유도관(13)에 결합되는 분쇄 제어 관(15)의 높이를 결정한다. 조리의 종류에 따른 분쇄 제어 관(15)의 높이 결정은 예를 들어 배포되는 사용설명서와 같은 책자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분쇄 제어 관(15)이 결합되면 대두와 같은 조리 재료가 물과 함께 하우징(12)에 투입될 수 있고 그리고 헤드 본체(11)는 하우징(12)에 밀봉된 형태로 결합된다. 이후 제어 패널(311)을 조작하여 조리를 하게 된다. 만약 조리 과정에서 과도한 거품이 발생하거나 너무 작은 양의 물만 남게 되면 감지 센서(17)에 의하여 탐지되어 가열관(16)에 대한 열 공급이 중단되거나 또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 패널(311)에서 완료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조리완료 알람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조리되는 재료의 종류 또는 투입되는 재료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순환 유도관(13)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균일한 분쇄가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순환 유도관(13)과 분쇄 제어관(15)의 결합 방식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f는 분쇄 제어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분쇄 날(14)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7)

  1. 모터를 수용하는 헤드 본체;
    헤드 본체에 결합 가능한 하우징;
    헤드 본체의 아래쪽에 위쪽 부분이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면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 면에 다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되고 위쪽 부분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는 순환 가이드 및 순환 가이드의 아래쪽에 형성된 결합 테두리를 가진 순환 유도관;
    한쪽 끝이 헤드 본체에 고정되면서 순환 유도관의 내부로 연장되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 날;
    순환 유도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순환 유도관에 형성된 결합 테두리에 테이프 결합,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또는 홈 결합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쇄 제어 관;
    거품 감지 센서 및 거품 감지 센서에 비하여 아래쪽으로 더 연장된 온도 센서로 제어 센서; 및
    순환 유도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가열관을 포함하는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 본체와 하우징은 잠금 홈과 잠금 돌기에 의하여 결 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에 부착된 안전 손잡이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헤드 본체와 하우징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면 헤드 본체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 조리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쇄 날은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절단 날을 포함하는 자동 조리기.
KR1020090095647A 2009-10-08 2009-10-08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KR10097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47A KR100970014B1 (ko) 2009-10-08 2009-10-08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47A KR100970014B1 (ko) 2009-10-08 2009-10-08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014B1 true KR100970014B1 (ko) 2010-07-14

Family

ID=4264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47A KR100970014B1 (ko) 2009-10-08 2009-10-08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0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47A1 (ko) * 2013-07-23 2015-01-29 Kim Hong-Bae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CN106073534A (zh) * 2015-04-30 2016-11-09 Seb公司 烹饪制备家电设备
CN108309086A (zh) * 2017-01-16 2018-07-2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533A (ja) 1997-07-22 1999-04-06 Koubai Kin コンパクト型豆乳・豆腐製造機
KR20050035415A (ko) * 2003-10-13 2005-04-18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두부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제조방법
KR20060112108A (ko) * 2005-04-26 2006-10-31 김홍배 제어 센서를 구비한 두부 또는 두유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772B1 (ko) * 1997-01-31 1999-10-15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장치
JPH1189533A (ja) 1997-07-22 1999-04-06 Koubai Kin コンパクト型豆乳・豆腐製造機
KR20050035415A (ko) * 2003-10-13 2005-04-18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두부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제조방법
KR20060112108A (ko) * 2005-04-26 2006-10-31 김홍배 제어 센서를 구비한 두부 또는 두유 제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47A1 (ko) * 2013-07-23 2015-01-29 Kim Hong-Bae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546007B1 (ko) * 2013-07-23 2015-08-20 주식회사 로닉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CN106073534A (zh) * 2015-04-30 2016-11-09 Seb公司 烹饪制备家电设备
CN108309086A (zh) * 2017-01-16 2018-07-2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
CN108309086B (zh) * 2017-01-16 2021-10-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0367B2 (ja) エスプレッソミルク泡立て器
US8438971B1 (en) Stand mixer and heating means combination apparatus
KR101829813B1 (ko)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US8028617B2 (en) Easily-cleaning multifunctional soybean milk maker
KR101453120B1 (ko) 다기능 두유제조기
JP2018504940A (ja) 食品加工調理機器
CN102327062A (zh) 一种研磨豆浆机及其防堵转方法
KR100970014B1 (ko) 분쇄 제어 기능을 가진 자동 조리기
JP4263670B2 (ja) 家庭用豆乳・豆腐製造機の過熱防止装置
WO2018113418A1 (zh) 一种加热式料理机
KR101247216B1 (ko) 두유 제조방법
KR100768472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복합 조리 장치
KR101157337B1 (ko)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546007B1 (ko)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20060112108A (ko) 제어 센서를 구비한 두부 또는 두유 제조 장치
KR100742609B1 (ko) 분리형 그물덮개를 가진 식품 조리장치
WO2013160777A1 (en) Method for determination cooking conditions and system for determination cooking conditions
KR200431125Y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
KR100742606B1 (ko) 분리형 거름망을 가진 복합 조리 장치
KR200338469Y1 (ko) 자중결합 기능을 갖는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216941B1 (ko) 변형 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401507B1 (ko) 다기능 가공기
JP4382789B2 (ja) 間接加熱方式の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