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239B1 -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239B1
KR101183239B1 KR1020100139609A KR20100139609A KR101183239B1 KR 101183239 B1 KR101183239 B1 KR 101183239B1 KR 1020100139609 A KR1020100139609 A KR 1020100139609A KR 20100139609 A KR20100139609 A KR 20100139609A KR 101183239 B1 KR101183239 B1 KR 10118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tainer
container
head body
mo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851A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7751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32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0013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2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히터가 직접적으로 바닥면을 가열하면서 가열 정도가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자회로기판이 밀폐된 박스 내에 수용되면서 용기 내에 수용되는 헤드 본체의 아래쪽 부분이 캡에 의하여 보호되어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조리기는 모터 하우징에 수용된 모터, 각종 장치에 전력의 공급을 위한 안전 콘센트 및 제어 장치가 설치되는 헤드 본체; 헤드 본체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의 단일 구조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 층으로 덮인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용기; 하부 용기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체; 하부 용기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면서 케이블 홈이 형성된 손잡이;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하부 용기로 연장된 감지 센서; 모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단일 구조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 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로 덮인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바디 캡; 하부 용기로 연장된 모터 축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분쇄 날; 하부 용기의 내부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분쇄 돌기; 및 하부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부 용기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헤드 본체에 형성된 엔클로져 내에 고정되어 외부의 습기 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Automatic Cooker Having Improved Heating and Sealing}
본 발명은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히터가 직접적으로 바닥면을 가열하면서 가열 정도가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자회로기판이 밀폐된 박스 내에 수용되면서 용기 내에 수용되는 헤드 본체의 아래쪽 부분이 캡에 의하여 보호되어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대두를 분쇄 및 가열하여 자동으로 두유 또는 두부를 제조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가 공지되어 있다. 자동조리기에서 대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불림 공정, 분쇄 공정 및 가열 공정을 통하여 두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두유의 제조 과정에서 가열 구조 또는 밀폐 구조는 자동조리기의 내구성과 위생성에 여러 가지 형태로 영양을 미치게 된다. 두유의 자동 조리를 위한 자동조리기는 전력의 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쇄 효율 및 가열 효율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두부의 제조 공정은 두유의 제조 공정과 유사하며 두유를 위한 자동조리기에 몇가지 장치를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두부의 제조가 가능하다.
두유 또는 두부의 자동 조리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1997-0064426호 “가정용 두부 제조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거품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끓임 공정을 제어하는 두부 또는 두유 제조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두부 또는 두유의 자동 조리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32271호 “가정용 두유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분쇄 날에 의하여 대두 또는 땅콩이 분쇄되고 그리고 분쇄된 성분이 걸름망에 의하여 여과되어 두유가 제조되는 자동조리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제시된 선행기술은 모두 두유 또는 두부의 제조 공정에서 두부 또는 두유가 자동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분쇄 효율 또는 가열의 효율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 아니하다. 두유 또는 두부 제조기는 조리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면서 안전성을 갖추고 이와 동시에 빠른 조리 및 전력 소비량의 절감을 위하여 높은 가열 효율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조리물의 대상에 따라 또는 맛을 느끼는 차이에 따라 가열 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자동조리기는 조리 과정에서 물이 사용되므로 습기 또는 오염물이 조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기판에 침투되어 오작동을 발생시키면서 내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기판을 포함하는 제어장치에 대한 밀폐 수단이 요구된다. 추가로 조리 과정에서 그러나 선행 기술은 위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공지 또는 선행기술에서 제시되지 않는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면서 가열 효율이 향상되고 제어 장치의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의 단위체로 이루어진 가열체가 용기의 바닥면에 내장되어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 과정에서 용기 내부로 수용되는 부분이 밀폐되는 한편 위생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재로부터 차단되어 밀폐성과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동조리기는 모터 하우징에 수용된 모터, 각종 장치에 전력의 공급을 위한 안전 콘센트 및 제어 장치가 설치되는 헤드 본체; 헤드 본체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단일 구조로 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 층으로 덮인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용기; 하부 용기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체; 하부 용기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면서 케이블 홈이 형성된 손잡이;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하부 용기로 연장된 감지 센서; 모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단일 구조로 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 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로 덮인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바디 캡; 하부 용기로 연장된 모터 축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분쇄 날; 하부 용기의 내부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분쇄 돌기; 및 하부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부 용기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헤드 본체에 형성된 엔클로져 내에 고정되어 외부의 습기 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름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지 센서는 온도와 거품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와 거품 감지 센서로 이루어져 거품 감지 센서는 온도 감지 센서에 비하여 아래쪽으로 짧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지 센서, 모터의 회전축 또는 분쇄 날은 물 없음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 전극의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히터 조립체는 외부 바닥면에 다수 개가 설치되고 다수 개의 각각의 가열 여부가 제어될 수 있어 작동되는 히터 조립체의 수에 따라 내부 용기의 가열 온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는 용기의 바닥면에 하나의 단위체로 이루어진 히터에 의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자동조리기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도록 하고 조리되는 두유의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는 전자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가 밀폐된 박스 내에 수용되어 오작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제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는 용기 내부로 수용되는 부분이 캡에 의하여 조리 내용물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의 분해 결합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서 밀폐된 제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서 헤드 본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바디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캡의 다양한 실시 예와 그에 따른 결합 방식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 적용될 수 있는 걸름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 적용될 수 있는 가열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 적용될 수 있는 가열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 적용될 수 있는 손잡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의 분해 결합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서 밀폐된 제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에서 헤드 본체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바디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자동조리기는 모터 하우징에 수용된 모터, 각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가 설치되는 헤드 본체(12); 헤드 본체(12)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의 단일 구조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 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 층으로 덮인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용기(11); 하부 용기(11)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체(14); 하부 용기(11)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면서 케이블 홈(31)이 형성된 손잡이(15);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하부 용기(11)로 연장된 감지 센서; 모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 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로 덮인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바디 캡; 하부 용기(11)로 연장된 모터 축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분쇄 날(133); 하부 용기(11)의 내부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분쇄 돌기(112); 헤드 본체(12) 또는 손잡이(15)에 설치되는 콘센트(32) 및 하부 용기(11)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부 용기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2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헤드 본체(12)에 형성된 엔클로져 내에 고정되어 외부의 습기 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하부 용기(11)는 플라스틱 소재, 금속 또는 합금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단일 층 구조를 가지거나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중층 구조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층으로 덮인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몸체(111)에 다수 개의 분쇄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분쇄 돌기(112)는 하부 용기(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몸체(111)의 표면에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각각의 분쇄 돌기(112)의 형태는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정육면체, 정사면체 또는 각뿔 형상이 될 수 있다. 분쇄 돌기(112)는 몸체(111)의 높이 방향의 따라 막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분쇄 돌기(112)는 하부 용기(11)의 내부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이 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분쇄 돌기(112)의 수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도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동조리기에서 대두는 주로 분쇄 날(133)에 의하여 분쇄가 될 수 있다. 분쇄 날(133)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쇄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두는 무게로 인하여 하부 용기(11)의 내부 바깥쪽에서 둘레 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대두의 균일한 분쇄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분쇄 돌기(112)는 하부 용기(11)의 표면에 형성되어 분쇄되지 않고 회전되는 대두가 분쇄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분쇄 돌기(112)는 내용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 부위를 형성하여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분쇄 돌기(112)는 회전 방향에 마주보는 면을 향하여 분쇄 가능한 날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분쇄 돌기(112)로 인하여 분쇄 날(133)의 회전에 요구되는 동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분쇄 돌기(112)와 분쇄 돌기(112) 사이에 일정 크기의 간격 또는 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용기(11) 위쪽에 헤드 본체(12)가 결합되고 아래쪽에 하부 지지체(14)가 부착되며 측면에 손잡이(15)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본체(12)는 수용 하우징(121)과 상부 손잡이(1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용 하우징(121)에 제어 어셈블리(13)가 설치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21)의 아래쪽 부분은 하부 용기(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자동조리기에서 헤드 본체(12)는 조리 과정에서 하부 용기(11)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헤드 본체(12)와 하부 용기(11)의 밀폐 구조 또는 결합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어셈블리(13)는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131), 제어판(131)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 회전 축(132), 회전 축(132)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분쇄시키는 분쇄 날(133)을 포함한다. 제어판(131)은 예를 들어 전자 회로 기판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조리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은 모터의 수용을 위한 것으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에 수용된 모터는 분쇄 날(133)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와 분쇄 날(133)은 회전 축(13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판(131), 모터, 회전 축(132) 및 분쇄 날(133)의 구조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어셈블리(13)의 아래쪽 부분에 온도 감지 센서(134)와 넘침 방지 센서(135)가 부착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134)는 조리 과정에서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넘침 방지 센서(135)는 조리 과정에서 내용물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온도 감지 센서(134)는 적어도 하부 용기(11)의 중간 부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이에 비하여 넘침 방지 센서(135)는 조리 과정에서 거품 또는 내용물의 끓음으로 인한 수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어 어셈블리(13)로부터 일정 길이만큼만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넘침 방지 센서(135)의 연장 길이는 온도 감지 센서(134)의 연장 길이에 비하여 짧고 하부 용기(11)에서 내용물이 채워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연장 길이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온도 감시 센서(134)는 내부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서미스터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넘침 방지 센서(135)는 도체가 될 수 있다. 도체로 이루어진 넘침 방지 센서(135)는 접지 전극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하부 용기(11) 내부의 수위가 넘침 방지 센서(135)에 도달하면 넘침 방지 센서(135)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히터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 전극의 기능을 가지는 넘침 방지 센서(135)와 관련된 기능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72969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발명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온도 감지 센서(134)와 넘침 방지 센서(135)가 별도로 형성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온도 감지 센서(134)와 넘침 방지 센서(135)가 하나의 센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감지 센서(134)와 동일한 감지 센서를 설치하면서 아래쪽 부분은 부도체로 형성하는 한편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고 넘침 방지 센서(134)가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은 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감지 센서는 하나의 센서로 하부 용기(11) 내부의 온도와 거품이 모두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온도 또는 거품을 감지하는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용기(11)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고정 장치(114)에 손잡이(15)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장치(114)는 예를 들어 너트 구조가 될 수 있고 손잡이(15)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하여 하부 용기(11)에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15)는 하부 용기(11)에 결합되면서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151)과 고정 부분(151)을 밀폐시키는 덮개 부분(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덮개 부분(152)은 하부 판(33)과 상부 판(3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분(151)에 형성된 홈에 전선이 삽입되어 덮개 부분(152)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손잡이(15)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손잡이(15)의 안전 콘센트(113)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콘센트(113)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하부 지지체(14)는 하부 용기(1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히터 부분을 밀폐시킨다. 하부 지지체(14)의 고정 방법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히터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엔클로져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습기 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제어판(131)이 되거나 또는 제어판(131)에 포함된 예를 들어 전자회로기판(PCB)이 수 있다. 아래에서 전자회로기판(PCB)이 밀폐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제어판(131) 그 자체 또는 다른 전자 부품이 밀폐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 본체(12)에 전원 연결 콘센트(S)가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전원 연결 콘센트(S)는 손잡이(15)에도 설치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헤드 본체(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조리 과정에서 하부 용기(11)와 결합된 헤드 본체(12)가 넘어지는 경우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안전 체결 장치(18a, 18b)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체결 장치(18a, 18b)는 예를 들어 하부 용기(11)의 외부 둘레 면에 고정 장치(18b)가 설치되고 헤드 본체(12)의 둘레 면에 걸이 장치(18a)가 설치되어 걸고리(181)로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 체결 장치(18a, 18b)는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를 참조하면, 헤드 본체(12)의 내부에 장착 하우징(12a)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 하우징(12a)의 설치 면(121a)에 엔클로져(enclosure)가 형성될 수 있다. 엔클로져는 벽면으로 둘러싸인 고정 공간(123), 외부로 연결되는 연결 부분(123a) 및 고정 공간(123)을 밀폐시키는 덮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회로기판(PCB)은 연결 부분(123a)을 통하여 장착 하우징(12a)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어 패널(CON)과 결합될 수 있다. 전자회로기판(PCB)은 고정 공간(123)에 고정될 수 있고 덮개(125)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덮개(125)는 유연성을 가진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고정 공간(123)의 벽면에 탄성으로 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회로기판(PCB)은 고정 공간(123) 내에 밀폐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습기 또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의 전자회로기판(PCB)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자회로기판(PCB)의 연결 케이블(W1)은 덮개(125)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장착 하우징(12a)에 외부 기기로 연결되는 전선(CC)의 관통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된 전자회로기판(PCB)이 고정된 장착하우징은 헤드 본체(12)의 상부를 형성하게 되고 아래쪽 부분에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13)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c는 조리 과정에서 하부 용기(11)에 수용되는 헤드 본체(12) 부분에 바디 캡(16)으로 밀폐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바디캡(16a, 16b, 16c)은 결합 부분(16a)과 커버 부분(16b)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결합 부분(16a), 커버 부분(16b) 및 고정 부분(16c)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바디 캡(16a, 16b, 16c)는 스테인리스 또는 무독성 합성수지에 해당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헤드 본체(12)의 아래쪽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캡(16a, 16b, 16c)은 헤드 본체(11)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 소재 또는 무독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은 위생과 관리 면에서 유리하다. 스테인리스 또는 무독성 합성수지 소재는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과 같은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아 위생적이라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 세척에 편리하여 유지 관리 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결합 부분(16a)은 헤드 본체의 하부 하우징(12b)에 결합되고 커버 부분(16b)은 모터 하우징을 감싸고 그리고 고정 부분(16c)은 모터하우징의 아래쪽 부분을 밀봉시키게 된다. 고정 부분(16c)에 모터(M)로부터 연장되는 모터축(132)의 관통을 위한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부분(16a)의 적절한 위치에 온도감지센서(134) 또는 넘침방지센서(13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분(16c)에 걸름망(17)의 결합 홈(171)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16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d는 바디캡(16)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디캡(16)은 한쪽 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측면(163)과 바닥 면(16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163)은 상부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바닥 면(164)에 모터의 회전축을 외부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 홀(H)과 바디캡(16)을 상부 몸체(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e는 바디 캡(16)의 다양한 형상 및 그에 따른 헤드 본체(12)에 대한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헤드 본체의 하부 하우징은 전자기판과 같은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부품 수용 부분(U), 모터가 수용되는 중간 부분(M) 및 바닥 부분(L)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1d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캡(16)은 수용 하우징(12b)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되거나 도 1d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 하우징(12b)이 중간 부분(M) 및 바닥 부분(L)을 감싸는 형태가 되거나 또는 도 1d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 부분(L)을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캡(16)은 다양한 형태로 수용 하우징(12b) 또는 헤드 본체의 아래쪽 부분을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바디캡(16)이 수용 하우징(12b)을 감싸는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되는 대상에 따라 걸름망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에 설치될 수 있는 걸름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f를 참조하면, 걸름망(17)은 모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거름망(17)의 위쪽 부분에 결합 홈(171)이 형성되는 모터 하우징의 외부 둘레면에 결합 홈(171)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165)가 형성되어 결합 홈(171)과 결합 돌기(165)의 결합에 의하여 걸름망(17)은 분리 가능하도록 모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름망(17)의 아래쪽 분에 다수 개의 통과 홀(172)이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부 용기(11)의 바닥면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173)가 거름망(17)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f에 도시된 것처럼, 거름망(17)은 미세 홀(172)이 형성된 망 형상의 원통 형상이 되거나(왼쪽 도면) 또는 일정 직경의 통과 홀(172)이 둘레 면을 따라 분포된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오른쪽 도면) 따라 형성된 통과 홀(172)의 크기는 대두 또는 콩의 직경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관통 홀(172)을 대신하여 거름망(17) 전체에 걸쳐 미세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름망(17)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하부 용기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하부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열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의 (가)를 참조하면, 하부 용기(11)의 바닥면 외부에 바닥면을 따라 가열체가 설치될 수 있고 가열체는 위에서 설명한 헤드 본체(11) 또는 외부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전기 케이블(24)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하부 지지체(14)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고정 장치(25)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체는 바닥면을 따라 원형으로 설치되는 히터 조립체(21)가 될 수 있고 히터 조립체(21)는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21)의 외부 면은 열 전도성이 낮은 절연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 조립체(21)의 안쪽에 단열 소재의 단열층(221)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층(221)은 예를 들어 스티로폼과 같은 열 전도성이 낮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히터(22)의 외부 표면에 피복 또는 코팅이 되어 히터(22)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히터(22)는 하부 용기(11)의 바닥면(B)에 접하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히터가 될 수 있다. 히터(22)는 바닥면의 안쪽에 히터(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바닥면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확산층(27)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층(27)은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히터(22)를 중심으로 바닥면에 넓게 분포될 수 있다. 확산층(27)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열전도성 세라믹 소재 또는 금속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박막 또는 필름 형태로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a의 실시 예에서 바닥면(B)의 내부에 형성된 확산층(27)이 도시되어 있지만 확산층(27)은 바닥면(B)의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확산층(27)이 바닥면(B)에 접하는 면적은 커질수록 유리하다. 그러므로 확산층(27)의 두께 또는 바닥면(B)과 접하는 면적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22)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자(23)가 바닥면(B)에 설치될 수 있고 고정 단자(23)는 연결 케이블(C1, C2)에 의하여 전기 케이블(24)에 연결될 수 있고 전기 케이블(24)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손잡이(15)를 경유하여 제어 장치 또는 외부 전력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히터(22)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들은 하부 고정 장치(25)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부 지지체(14)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도 2a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히터 수용 튜브(21)는 원형의 띠 형상은 이루면서 바닥면(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히터 수용 튜브(21)의 내부면은 도 2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용기의 내부에서 히터 경계선(271)을 경계로 하여 위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용기(11)의 바닥 안쪽 면이 위쪽으로 돌출되면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의 (가) 또는 (나)에 도시된 도면부호에서 도 1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히터(2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헤드 본체(12)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 및 모터의 전력 공급선과 연계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도 2b에 히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바닥면(B)에 다수 개의 히터 조립체(21a, 21b, 21c)가 설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히터 조립체(21a, 21b, 21c)의 각각에 히터(22a, 22b, 22c)가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히터 조립체(21a, 21b, 21c)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히터(22a, 22b, 22c)는 가열 제어기(RC)에 연결될 수 있다. 다수 개의 히터 조립체(21a, 21b, 21c)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히터(22a, 22b, 22c)의 작동 여부가 가열 제어기(RC)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내부에서 낮은 온도가 탐지되면 가열 제어기(RC)는 히터(22a, 22b, 22c) 전체를 작동시킬 수 있고 온도가 충분히 높다면 어느 하나의 히터(22a, 22b, 22c)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히터 조립체(21a, 21b, 21c)가 설치되어 용기의 가열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 정도의 제어는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동조리기가 과열되거나 조리물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해진 온도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는 물 없음 감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 없음 감지 기능은 신호 전극과 접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센서(134), 모터의 회전 축(132) 또는 분쇄 날(133)이 신호 전극이 되고 그리고 히터 수용 튜브(21)가 접지 전극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 날(133)이 신호 전극이 되는 경우 하부 용기(11)의 내부에 수위가 분쇄 날(133)의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물 없음이 감지되어 경보 신호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신호 전극과 접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손잡이(15)는 하부 용기(11)에 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고정 부분(151)과 덮개 부분(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부분(151)이 하부 용기(11)에 밀착되는 부분은 하부 용기(11)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 둘레 부분을 따라 케이블 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홈(31)은 2개의 벽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 홈(31)에 전력 케이블(C3)이 수용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C3)이 수용된 케이블 홈(31)은 덮개 부분(152)의 아래쪽 및 위쪽에 각각 형성된 하부 판(33)과 상부 판(34)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상부 판(34)에 안전 콘센트(113)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콘센트(113)는 헤드 본체(12)에 설치된 전자회로기판과 같은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이와 동시에 헤드 본체(12)와 하부 용기(11)가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헤드 본체(12)에 수용된 전기 기기가 하부 용기(11)에 결합된 경우에만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헤드 본체(12)에 설치된 플러그(도시되지 않음)가 상부 판(34)에 설치된 안전 콘센트(113)의 연결 홀(113a)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헤드 본체(12)의 전자기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전력 케이블(C3)은 위쪽으로 모터 및 제어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아래쪽 부분으로 전기 케이블(24)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전력 케이블(C3)은 전기 케이블(24)의 일부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손잡이(15)의 적절한 위치에 외부 전력의 공급을 위한 콘센트(32)가 설치될 수 있다. 콘센트(32)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콘센트(32)는 헤드 본체(12)에 설치되고 안전 콘센트(113)에 의하여 헤드 본체(12)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C3)의 형성, 2개의 벽면에 의한 케이블 홈(31)의 형성 또는 콘센트(32)의 설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리기는 용기의 내부면에 일련의 분쇄 돌기가 형성되어 분쇄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하나의 단위체로 이루어진 히터가 바닥면에 부착되어 용기 내부에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자동조리기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도록 하고 조리되는 두유의 맛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하부 용기 12: 헤드 본체 13: 제어 어셈블리
14: 하부 지지체 15: 손잡이 16: 바디 캡
17:: 걸름망
12b: 하부 하우징 12a: 장착 하우징
16a: 결합 부분 16b: 커버 부분 16c: 고정 부분
113a: 연결 홀 121a: 설치면 123: 고정 공간
123a: 연결 부분 125: 덮개
163: 측면 164: 바닥면 165: 결합 돌기
171: 결합 홈 172: 통과 홀 173: 지지대
21: 히터 수용 튜브 22: 히터 23: 고정 단자
24: 전기 케이블 25: 하부 고정 장치 27: 확산층
21a, 21b, 21c: 히터 조립체 22a, 22b, 22c: 히터
31: 케이블 홈 32: 스위치 33: 하부 판
34: 상부 판
111: 몸체 133: 분쇄 날 112: 분쇄 돌기
113: 안전콘센트 121: 수용 하우징
122: 상부 손잡이 131: 제어판 132: 회전 축
134: 온도 감지 센서 135: 넘침방지센서 114: 고정 장치
151: 고정 부분 152: 덮개 부분 221: 단열층
B: 바닥면 C1, C2: 연결 케이블 C3: 전력 케이블
CON: 제어 패널 w1: 연결 케이블 CC: 전선
M: 모터 H: 관통 홀
U: 수용 부분 M: 중간 부분 L:바닥 부분
RC: 가열 제어기

Claims (5)

  1. 모터 하우징에 수용된 모터, 각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가 설치되는 헤드 본체(12);
    헤드 본체(12)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단일 구조로 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 층으로 덮인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용기(11);
    하부 용기(11)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체(14);
    하부 용기(11)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면서 케이블 홈(31)이 형성된 손잡이(15);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하부 용기(11)로 연장된 감지 센서;
    모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단일 구조로 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외부층이 스테인리스 소재의 커버로 덮인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바디 캡;
    하부 용기(11)로 연장된 모터 축의 끝 부분에 형성된 분쇄 날(133);
    하부 용기(11)의 내부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분쇄 돌기(112);
    헤드 본체(12) 또는 손잡이(15)에 형성된 콘센트(32): 및
    하부 용기(11)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부 용기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헤드 본체(12)에 형성된 엔클로져 내에 고정되어 외부의 습기 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름망을 더 포함하는 자동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지 센서는 온도 감지와 거품 감지가 모두 가능한 단일 구조로 되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와 거품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고 거품 감지 센서는 온도 감지 센서에 비하여 아래쪽으로 짧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지 센서, 모터의 회전축 또는 분쇄 날은 물 없음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 전극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히터 조립체는 외부 바닥면에 다수 개가 설치되고 다수 개의 각각의 가열 여부가 제어될 수 있어 작동되는 히터 조립체의 수에 따라 내부 용기의 가열 온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리기.
KR1020100139609A 2010-12-30 2010-12-30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18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09A KR101183239B1 (ko) 2010-12-30 2010-12-30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09A KR101183239B1 (ko) 2010-12-30 2010-12-30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851A KR20110016851A (ko) 2011-02-18
KR101183239B1 true KR101183239B1 (ko) 2012-09-14

Family

ID=4377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609A KR101183239B1 (ko) 2010-12-30 2010-12-30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09Y1 (ko) 2012-12-14 2013-02-22 김승철 두부 제조기
KR101461546B1 (ko) 2013-12-19 2014-11-13 최은성 식품 조리기
WO2015012547A1 (ko) * 2013-07-23 2015-01-29 Kim Hong-Bae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02427U (zh) * 2013-12-12 2015-06-11 Joyoung Co Ltd 一種豆漿機
KR101492184B1 (ko) * 2014-07-31 2015-02-10 김홍배 음식물 가공기
MY190903A (en) * 2016-05-27 2022-05-18 Hong Bae Kim Cooking instrument having glass cooking bowl and grip structure of the same
KR20170140047A (ko) * 2016-06-10 2017-12-20 김홍배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JP6735920B2 (ja) 2016-07-19 2020-08-05 ホン・ベ・キム ガラス製調理容器を備えた調理機器およびその取っ手の構造
KR101978656B1 (ko) * 2017-07-07 2019-05-15 정성환 동부콩 및 동부콩 부산물을 이용한 두부 제조장치
KR102071235B1 (ko) * 2019-03-07 2020-01-30 김홍배 음식물 가공조리기기의 다기능 감지장치
KR102112582B1 (ko) * 2019-07-12 2020-05-19 김홍배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26Y1 (ko) 2004-03-16 2004-06-04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자동 두유제조장치
KR200431125Y1 (ko) 2006-07-06 2006-11-23 김홍배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26Y1 (ko) 2004-03-16 2004-06-04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자동 두유제조장치
KR200431125Y1 (ko) 2006-07-06 2006-11-23 김홍배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09Y1 (ko) 2012-12-14 2013-02-22 김승철 두부 제조기
WO2015012547A1 (ko) * 2013-07-23 2015-01-29 Kim Hong-Bae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546007B1 (ko) 2013-07-23 2015-08-20 주식회사 로닉 탐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1461546B1 (ko) 2013-12-19 2014-11-13 최은성 식품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851A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239B1 (ko)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EP1859717B1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EP3327368B1 (en) Cordless liquid heating apparatus
JP5376535B2 (ja) スープ類の誘導加熱装置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101157337B1 (ko)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KR100742609B1 (ko) 분리형 그물덮개를 가진 식품 조리장치
CN210611938U (zh) 转轴组件及食物料理机
JP2004509682A (ja) 液体加熱装置及び液体加熱装置を有する揚げ物調理用容器
CN110248578B (zh) 小型家用电器
CN204410544U (zh) 一种煮食器
JPH09283267A (ja) 鑑賞用水槽の水中ヒーター
KR101722706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CN204698349U (zh) 上盖组件和烹饪器具
CN211432333U (zh) 烹饪锅具以及烹调器
CN213962959U (zh) 一种新型蒸汽能锅
CN111743398B (zh) 液体加热容器
CN220675786U (zh) 一种电炖盅
CN220546168U (zh) 烹饪器具
CN211533983U (zh) 防溢结构、盖体组件和烹饪器具
CN102657476A (zh) 一种电水壶
CN209846903U (zh) 液体加热容器
CN209153169U (zh) 一种具有可移动内杯的电热壶
CN209808054U (zh) 蒸汽发生器及蒸汽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411

Effective date: 201308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404

Effective date: 201308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503

Effective date: 201310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429

Effective date: 201310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111

Effective date: 201408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918

Effective date: 201412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14

Effective date: 201603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