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184B1 - 음식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184B1
KR101492184B1 KR20140098481A KR20140098481A KR101492184B1 KR 101492184 B1 KR101492184 B1 KR 101492184B1 KR 20140098481 A KR20140098481 A KR 20140098481A KR 20140098481 A KR20140098481 A KR 20140098481A KR 101492184 B1 KR101492184 B1 KR 10149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enclosure
housing
upper housing
electron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2014009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착탈 가능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시 필요한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부 및 상기 상부하우징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영역과 구획된 상부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구획된 하부영역을 거쳐 상기 전자부가 배치된 상기 상부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앤크로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내부에 전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앤크로저를 설치하여 증기의 유입 또는 결로현상으로부터 전자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가공기{food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증기가 전자 장치에 미치는 피해를 방지하는 앤크로저를 갖춘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에 좋을 뿐만 아니라 두부에 함유된 레시틴 성분의 경우 위벽을 보호하여 위를 편안하게 해주며, 장을 편하고 하고 식이섬유 성분과 함께 올리고당 성분이 장운동 촉진 효능으로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에 재래식으로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가 행해짐에 따라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요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내부 전자장치를 손상시키는 현상이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조리기의 경우에도 내부의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구동부 내부 회로에 유입되어 회로를 손상하고, 전자 장치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장시간 사용시 습기에 의해 제품에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전기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4904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복사열 및 음식물을 끓이기 위해 작동된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가 기기 내부 전자 장치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착탈 가능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시 구동되는 전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부;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영역 및 상기 전자부가 배치되는 상부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구획된 하부영역을 거쳐 상기 전자부가 배치된 상기 상부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앤크로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앤크로저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영역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앤크로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부영역으로 유출될 수 있는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부는 상기 앤크로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구는 상기 앤크로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통풍구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앤크로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앤크로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격자를 형성하고, 상기 앤크로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덕트부는 상기 격자 및 상기 통공이 적어도 이중으로 엇갈려서 형성되고, 상기 격자 또는 상기 통공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앤크로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앤크로저는 상기 앤크로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앤크로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증기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덮개부의 내부과 상기 덮개부 외부와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히터 또는 모터를 구비하는 전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착탈 가능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와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내부에 전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앤크로저를 설치하여 증기에 의한 결로현상으로부터 전자부의 회로기판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개방부를 포함한 앤크로저를 설치하여 앤크로저 내부에 증기가 갇히지 않고 순환하여 음식물 가공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상부하우징의 덮개의 외측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외 내부 온도 차이에 의한 상부하우징 내부에 생기는 결로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상부하우징 내부 앤크로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상부하우징의 내부 앤크로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앤크로저 덕트부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10) 하부하우징(100), 상부하우징(200), 전자부(300), 앤크로저(40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음식물이 담기며, 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05)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105)가 하부하우징(100) 하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 외 상부하우징(200)과 연결되어 음식물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막대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1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부하우징(100) 하부에 구성된 히터(105)는 물 및 조리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부하우징(100) 내부 바닥면에 코팅 처리되어 배치하거나 하부하우징(100)의 외부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측면에 구성된 히터(105)는 상기처럼 물 및 조리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부하우징(100) 내부 측면에 코팅 처리되어 배치하거나 하부하우징(100) 외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상부하우징(200)과 대응되며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조리시 열기에 의해 데워진 음식물이 위생상 안전성을 가지고 다양한 모양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하우징(100)은 스테인레스 등의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은 가공기에서 음식물을 조리시에 내부의 열이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2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내측 하부에는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가 구비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열에 따라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00) 내측 상부에는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 감지부를 구비하여 거품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리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 및 거품 감지부의 경우 상부하우징(200)의 전장부(500) 및 전자부(400)에 연결되어 센싱할 수도 있다.
하부하우징(100) 내부 안쪽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03)를 구성하여 조리시 회전날(530)에 따른 음식물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쇄돌기(103)는 음식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식물과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여 칼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하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03)는 하부하우징(100) 내부 안쪽 벽면에 형성되어, 음식물과 칼날 사이의 거리를 좁혀 음식물과 칼날의 접촉 가능성을 높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03)는 음식물을 칼날 쪽으로 유도하여, 칼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돌기는 외주면에 분쇄날을 구비하여, 돌기에 의하여 직접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분쇄돌기(103)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며, 분쇄력이 상승하여 기존의 조리기의 경우보다 빠른 음식물의 완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내부 안쪽 벽면의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03)는 다른 요리를 하기 위한 기구 설치시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 내에는 거름망(107)이 삽입되어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름망(107)은 지지대와 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망의 경우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도록 직조한 철망 혹은 직조한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에는 하부하우징(100)에 담긴 음식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손잡이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시되어있지 않지만,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하부하우징(100)의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상부 손잡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은 덮개부(210)를 포함하며, 내부에 전자부(300) 및 전장부(400)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210)는 버튼, 상부 손잡이부(211) 등이 구성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하부하우징(100)의 상부를 완전히 밀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버튼을 통하여 조리의 온/오프 및 세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의 전자부(300)는 상부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시 필요한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주로 전자부(300)는 전장부(500)에 있는 모터 또는 히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하며, 다른 전자부품에 비하여 고장의 우려가 높아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10)에 있는 버튼 등의 조절장치와 전장부(500)를 연결하여 전체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부하우징(200)의 전장부(500)는 상부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히터, 모터 또는 구동축(5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510)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530)에 의해 걸음망(107)의 안에 있는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이 회전날(530)의 회전운동에 의하면 몸통 내부의 물이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걸음망(107)의 내부에 있는 분쇄된 음식물이 걸음망(107) 외부로 나오게 되면서, 회전날(5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걸음망(107) 외부 내부에 각기 다른 형태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콩을 본 발명의 조리기에 넣고 회전날(530)에 의해 분쇄하게 되면, 걸음망(107) 내부에는 비지가 걸음망(107) 외부에는 단백질 즙으로 분리 형성된다.
이하, 상부하우징(200)에 배치된 전자부(300)를 보호하기 위한 앤크로저(400) 및 격벽(2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상부하우징 내부 앤크로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을 참조하면, 앤크로저(400)는 상부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며, 앤크로저(400)에 의해 상부하우징(200)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앤크로저(400)는 상부영역에 해당하는 별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측에 설치되며, 앤크로저(400) 내부에는 전자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전자부(300)는 열기나 수분에 의하여 비교적 쉽게 손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앤크로저(400) 내부에 전자부(300)를 배치하고 앤크로저(400) 외부와 차단함에 따라, 하부하우징(100)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구획된 하부영역을 거쳐 전자부(300)가 배치된 상부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앤크로저(400)의 별도 공간은 외부(상부하우징의 하부영역)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여, 전자부(300)를 외부의 증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300)와 전장부(500)를 연결하는 전선(301) 등만 앤크로저(400) 외부로 빠져나오게 하며 전선(301) 등의 주위는 고무로 패킹하여 앤크로저(400)의 별도 공간은 밀폐를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앤크로저(400) 내부에 전자부(300)를 위치하고 밀폐공간을 유지함으로써, 하부하우징(100)으로부터 생성된 증기로부터 전자부(300)를 보호하고 결로 현상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제시된 것처럼, 앤크로저(400) 형상은 덮개부(210)를 기준으로 일정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전자부(300)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부(300)를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상부하우징(200)의 하부영역의 공간을 넓힘으로써 전장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상부하우징의 내부 앤크로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앤크로저(400)는 상부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며, 앤크로저(400)에 의해 상부하우징(200)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앤크로저(400)는 상부영역의 별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앤크로저(400) 내부에는 전자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앤크로저(400) 일측에는 상기 상부영역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통풍구(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부(300)는 앤크로저(400) 일측에 배치되고, 통풍구(410)는 앤크로저(400)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자부(300)는 앤크로저(400) 하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전자부(300)가 배치되지 않은 앤크로저(400) 하부에 상부하우징(200)의 하부영역과 연결되도록 통풍구(410)가 배치될 수 있다.
앤크로저(400)는 하부하우징(100)에서 발생한 증기가 앤크로저(400) 내부로 들어오는 통로를 일정부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앤크로저(400) 일측에 설치된 통풍구(410)는 앤크로저(400) 내부의 공기가 상부하우징(200)의 하부구역과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다. 다만, 통풍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전자부에 맞닿지 않도록 상기처럼 통풍구(410)의 설치위치와 전자부(300)의 설치위치는 다른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결국, 전자부(300)에 증기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부(300) 주위에 격벽을 설치한 앤크로저(400)를 통해 보호하고, 앤크로저(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통풍구(410)를 설치하여 전자부(300)에 생기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풍구(410)로 인하여, 내부 공기가 외부로 순환이 가능하여 음식물 조리기(10)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제품 표시판부 및 버튼부 등에 증기가 서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앤크로저 덕트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200)의 앤크로저(400) 통풍구(410) 상에 덕트부(420)를 설치할 수 있다. 덕트부(420)는 하부하우징(100)으로부터 통풍구(4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앤크로저(400) 내부로 들어오는 증기 및 이물질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외부 공기는 쉽게 앤크로저(400)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며, 앤크로저(400) 내부 공기는 덕트부(420)를 통해 나갈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단면도에서, 전자부(300)는 앤크로저(400) 일측에 배치되고, 덕트부(420)는 앤크로저(400) 타측에 배치되며, 덕트부(420)는 개방된 통풍구(410)의 열린 공간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6(a)는 덕트부(420)의 일실시예로, 통풍구(410)의 개방된 공간에 기울어진 칸막이 형태의 플레이트(421)를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된 통풍구(410) 하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0도~90도)로 기울어진 플레이트(421)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플레이트(421)는 일정한 간격으로 통풍구(410) 전면에 설치되며, 앤크로저(400) 외부에서 앤크로저(400) 내부로 유입하는 증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하우징(100)에서 발생한 증기가 상승하여 앤크로저(400)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플레이트(421)의 일정 부분에 부딪히게 되어 원만한 증기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증기는 손쉽게 앤크로저(400)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 또한, 증기의 흐름이 플레이트(421) 면에 부딪히게 되어 증기로 인한 결로 현상이 앤크로저(400) 내부가 아닌 플레이트(421) 상(앤크로저의 외부방향)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앤크로저(400) 내부에 배치된 전자부(300) 상에 직접적으로 증기가 맞닿거나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기존에 발생하던 전자부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고 기기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덕트부(420)의 구조는 도 6(a)에 제시된 플레이트(4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부분적으로 통풍구(410)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b)는 덕트부(420)의 다른 실시예로, 덕트부(420)는 통풍구(410) 상에 배치되며 통풍구(410) 내부에 격자(423) 및 통공(425)을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0)는 통공(425)이 설치되어 앤크로저(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통공(425)과 교대로 격자(423)가 설치되어 하부하우징(100)에서 상부하우징(200)으로 유입된 증기가 앤크로저(400) 내부로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격자(423)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425)과 엇갈리거나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부(420)는 격자(423) 및 통공(425)이 설치된 면이 상, 하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로 형성될 경우 덕트부(420)의 상, 하 면은 서로 통공(425)과 격자(423)가 엇갈려 배치되도록 한다.
즉, 덕트부(420)의 상부면의 통공(425)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면에는 격자(423)가 배치되며, 덕트부(420)의 상부면의 격자(423)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면에는 통공(425)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하우징(100)에서 발생한 증기가 앤크로저(4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거나 우회하도록 하여 전자부(300)에 직접적으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부(300) 상의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내부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덕트부(420)의 격자(423) 및 통공(425)의 배치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부(300)를 증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도 6(a)의 기울어진 플레이트(421)와 도 6(b)의 통공(425) 및 격자(423)와는 별도로, 앤크로저(400) 내측 하단에 필터(427)가 설치되어 앤크로저(40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은 걸러지고 증기가 직접적으로 앤크로저(400) 내부로 들어와 결로현상이 생기는 현상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200)은 덮개부(210) 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격벽(220)이 형성되어 덮개부(210) 외측을 이중의 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220)은 덮개부(210) 측면과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덮개부(210)의 내부와 덮개부(210)의 외부와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부하우징(200) 내부에 앤크로저(400)를 설치하여 전자부(300)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부하우징(200) 외측에 설치된 격벽(220)을 통해 외부 공기와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외, 내부 기온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을 추가적으로 억제하고 전자부(300)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격벽의 간격 및 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전자부(300)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수 및 여러 간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음식물 조리기 : 10
하부하우징 : 100
상부하우징 : 200
덮개부 : 210
전장부 : 500
전자부 : 300
앤크로저 : 400
통풍구 : 410
덕트부 : 420
플레이트 : 421
격자 : 423
통공 : 425
격벽 : 220
필터 : 427

Claims (12)

  1.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시 구동되는 전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부;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영역과 구획된 상부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구획된 하부영역을 거쳐 상기 전자부가 배치된 상기 상부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앤크로저; 를 포함하며,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앤크로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영역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앤크로저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부영역으로 유출될 수 있는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는 상기 앤크로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구는 상기 전자부가 배치되지 않은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통풍구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앤크로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앤크로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격자를 형성하고, 상기 앤크로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격자 또는 상기 통공이 적어도 이중으로 엇갈려서 형성되고, 상기 격자 또는 상기 통공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앤크로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앤크로저는
    상기 덕트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앤크로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증기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덮개부의 내부과 상기 덮개부 외부와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상부하우징의 상기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히터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와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KR20140098481A 2014-07-31 2014-07-31 음식물 가공기 KR10149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481A KR101492184B1 (ko) 2014-07-31 2014-07-31 음식물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481A KR101492184B1 (ko) 2014-07-31 2014-07-31 음식물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184B1 true KR101492184B1 (ko) 2015-02-10

Family

ID=5259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8481A KR101492184B1 (ko) 2014-07-31 2014-07-31 음식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1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851A (ko) * 2010-12-30 2011-02-18 김홍배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216942B1 (ko) 2011-07-18 2012-12-28 김홍배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401507B1 (ko) 2013-10-28 2014-06-03 김홍배 다기능 가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851A (ko) * 2010-12-30 2011-02-18 김홍배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216942B1 (ko) 2011-07-18 2012-12-28 김홍배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KR101401507B1 (ko) 2013-10-28 2014-06-03 김홍배 다기능 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5273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CN109414137B (zh) 空气炸锅
CN107510379B (zh) 空气炸锅
EP2988637B1 (en) Cooking machine
KR101965663B1 (ko) 전기 압력 밥솥용 증기 배출부 조립체
CN108778074B (zh) 空气炸锅及空气炸锅的清洁方法
KR101934903B1 (ko) 식품 조리 장치
US8944043B2 (en) Heating cooker operable to deodorize/desmoke
EP2777450B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steam cooking and food processing
EP2755532B1 (en) Food heating apparatus
JP2014044032A (ja) 無煙グリル
CN211212750U (zh) 一种多功能烤具
KR20140082331A (ko)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101492184B1 (ko) 음식물 가공기
US20230160580A1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KR101691979B1 (ko) 고기 구이장치
JP5683654B2 (ja) 加熱調理器
JP5405191B2 (ja) 加熱調理器
CN208319072U (zh) 用于料理机的隔音罩以及料理机
KR102358889B1 (ko) 전기압력밥솥
KR101453838B1 (ko)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JP4110104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14869130A (zh) 烹饪器具
KR101216140B1 (ko) 전기 압력 밥솥용 낙수 방지 장치
KR101093530B1 (ko) 음식물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