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331A -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331A
KR20140082331A KR1020120152167A KR20120152167A KR20140082331A KR 20140082331 A KR20140082331 A KR 20140082331A KR 1020120152167 A KR1020120152167 A KR 1020120152167A KR 20120152167 A KR20120152167 A KR 20120152167A KR 20140082331 A KR20140082331 A KR 20140082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base
lid
rice cook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길
박현중
정준호
임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쿠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to KR102012015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331A/ko
Publication of KR2014008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뚜껑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뚜껑에 형성된 증기 연통부; 상기 증기 연통부에 안착되고, 상기 증기 연통부와 연통된 증기 유입구 및 상기 증기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유출구를 구비한 증기 베이스; 및 상기 증기 베이스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증기 베이스로 유입된 증기가 뚜껑 외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증기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취사 중에 배출되는 증기가 일정시간 체류되도록 하여 외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생성된 결로가 밥솥으로 재유입되도록 하여 밥솥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team of 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 중에 배출되는 증기가 일정시간 체류되도록 하여 외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생성된 결로가 밥솥으로 재유입되도록 하여 밥솥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 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고,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전기 밥솥은 취사 중에 증기 배출공을 통해 증기가 배출되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어 밥솥 또는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기 밥솥은 장기 보온시 수분 부족으로 인해 전기밥솥 내부의 밥 마름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취사 중에 배출되는 증기의 유로를 차단하여 증기가 외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 및 보온시 증기의 결로를 밥솥 내부로 유입시켜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밥이 마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내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뚜껑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뚜껑에 형성된 증기 연통부; 상기 증기 연통부에 안착되고, 상기 증기 연통부와 연통된 증기 유입구 및 상기 증기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유출구를 구비한 증기 베이스; 및 상기 증기 베이스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증기 베이스로 유입된 증기가 뚜껑 외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 베이스는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증기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 가이드는 저면에 상기 증기 유입구를 구비하고 측면에 상기 증기 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 베이스는 상기 증기 가이드와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원형의 상향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향 측벽과 상기 증기 커버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 커버는 상기 상향 측벽과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원형의 하향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향 측벽과 상기 증기 베이스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 베이스는 상기 증기 가이드의 외측에 상기 증기 연통부와 연통된 결로 낙하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증기 가이드의 증기 유출구는 상기 증기 베이스의 상기 결로 낙하공보다 상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 연통부는 상기 증기 유입구의 유로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벽의 모서리 일부에 관통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사 중에 배출되는 증기의 유로를 차단하여 증기가 외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 및 보온시 증기의 결로를 밥솥 내부로 유입시켜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밥이 마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증기 베이스와 증기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증기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증기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 베이스와 증기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증기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증기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는 뚜껑(10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증기 연통부(110), 증기 연통부(110)에 안착되는 증기 베이스(200) 및 증기 베이스(200)의 상부에 체결되는 증기 커버(300)를 포함한다.
증기 연통부(110)는 뚜껑(10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상부 연통부(111), 하방으로 개방된 하부 연통부(112) 및 상부 연통부(111)와 하부 연통부(112) 사이에 형성된 연통홀(113)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연통부(111)와 하부 연통부(112)는 연통홀(113)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연통부(111)는 하부 연통부(112)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뚜껑(100)의 하부에는 클린 커버라 불리는 내솥 커버(120)가 장착되고, 이 내솥 커버(120)에는 복수의 통공들이 구비된다. 여기서, 밥솥의 작동시에 내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는 내솥 커버(120)의 통공들을 거쳐 하부 연통부(112)로 유입되고, 연통홀(113)을 지나 상부 연통부(111)로 유입된다.
증기 베이스(200)는 상부 연통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연통부(111)에 안착된다. 또한, 증기 베이스(200)는 상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되고, 하부에는 연통홀(113)과 연통되어 증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증기 유입구(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증기 베이스(200)의 내부에는 증기 유입구(210)로 유입된 증기가 증기 베이스(200)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측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증기 유출구(220)를 구비한다.
증기 커버(300)는 증기 베이스(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증기 베이스(200)의 상부에 체결되고, 증기 베이스(200)로 유입된 증기가 증기 커버(300)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증기 커버(300)는 상면 일부에 원형 슬릿(미도시)을 구비하여, 증기 베이스(200)로 유입된 증기가 증기 커버(300) 외부로 튀지 않고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뚜껑(100)의 하부 연통부(112)를 거쳐 연통홀(113)을 통해 증기 베이스(200) 내부로 유입될 때, 상방으로 배출되는 증기가 후술되는 증기 가이드(230)의 상면에 막혀 상방으로 직접 배출되지 못하고 증기 유출구(220)를 통해 측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 증기는 상방으로의 흐름이 완화되고, 증기 커버(300)의 원형 슬릿을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증기 베이스(200)와 증기 커버(300) 사이의 공간에서 체류 시간이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증기 베이스(200)는 중앙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증기 가이드(230)를 구비한다. 이 증기 가이드(230)는 저면에 상술한 증기 유입구(210)를 구비하고, 측면에 상술한 증기 유출구(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증기 유출구(220)는 증기 가이드(230)의 측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배출되는 증기가 급격하게 증기 베이스(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증기 베이스(200)는 내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원형의 상향 측벽(240)을 구비한다. 상향 측벽(240)은 증기 가이드(230)와 동심을 갖도록 배열되고, 증기 가이드(230)와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향 측벽(240)은 증기 커버(300)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만 상방으로 연장된다. 즉, 상향 측벽(240)과 증기 커버(300) 사이에는 증기가 유동될 수 있는 틈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햐ㄱ 측벽(240)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증기 베이스(200)의 상향 측벽(240)은 증기 가이드(230)의 증기 유출구(220)를 통해 증기 베이스(200) 내부로 유입된 증기와 접촉되어 증기의 흐름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증기 커버(300) 역시 증기 베이스(200)의 상향 측벽(240)과 대응되는 원형의 하향 측벽(310)을 구비한다. 증기 커버(300)의 하향 측벽(310)은 상향 측벽(240)과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다. 그리고, 하향 측벽(310)은 증기 베이스(200)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만 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하향 측벽(310)과 증기 베이스(200) 사이에는 증기가 유동될 수 있는 틈이 존재한다.
이러한 증기 베이스(200)의 상향 측벽(240)과 증기 커버(300)의 하향 측벽(310)은 증기 베이스(200)와 증기 커버(300) 사이의 공간에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의 증기 유로는 증기 베이스(200)와 증기 커버(300) 사이의 공간에서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증기가 뚜껑(100) 외부로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증기 베이스(200)는 증기 가이드(230)의 외측 저면에 연통홀(113)과 연통된 결로 낙하공(250)을 구비한다. 결로 낙하공(250)은 증기 가이드(230)의 증기 유출구(220)의 뒷편에 위치한다. 그리고, 결로 낙하공(250)은 증기 베이스(200) 및 증기 커버(300) 내부로 유입된 증기의 결로가 다시 연통홀(113)을 통해 하부 연통부(112)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렇게 낙하된 결로는 내솥 커버(120)의 통공들을 하부로 낙하되어 내솥 안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내솥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결로 낙하공(25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전체 크기가 증기 유출구(22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증기 베이스(200)와 증기 커버(300)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생성된 증기의 결로가 조금씩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조리물에 과도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증기 가이드(230)의 증기 유출구(220)는 증기 베이스(200)의 저면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즉, 증기 유출구(220)는 결로 낙하공(250)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증기 유출구(220) 및 결로 낙하공(250)의 배열은 증기 베이스(200)와 증기 커버(300) 사이에서 응축된 결로가 증기 유출구(220)를 통해 낙하하지 않고 결로 낙하공(250)을 통해서만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증기 연통부(110)의 연통홀(113) 내부에는 연통홀(113)의 유로를 일부 차단하는 차단벽(115)이 구비된다. 이 차단벽(115)은 연통홀(113)의 내주연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차단벽(115)의 모서리 일부에는 관통 슬릿(116)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벽(115)은 측면에서 볼 때, 일측에서 타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차단벽(115)의 기울어진 부분에 상술한 관통 슬릿(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벽(115)에 의해, 상부에서 생성된 증기 결로가 결로 낙하공(250)을 통해 하부로 낙하될 때 일단 차단벽(115)에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로가 분산되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서 생성된 증기는 관통 슬릿(116)을 통해서만 상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급격한 증기 배출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는 취사 중에 배출되는 증기가 급격하게 상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증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여 배출 증기가 뚜껑 외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취사 및 보온시 증기의 결로를 밥솥 내부로 재유입시켜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밥이 마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뚜껑 110: 증기 연통부
111: 상부 연통부 112: 하부 연통부
113: 연통홀 115: 차단벽
116: 관통 슬릿 120: 내솥 커버
200: 증기 베이스 210: 증기 유입구
220: 증기 유출구 230: 증기 가이드
240: 상향 측벽 250: 결로 낙하공
300: 증기 커버 310: 하향 측벽

Claims (7)

  1. 내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뚜껑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뚜껑에 형성된 증기 연통부;
    상기 증기 연통부에 안착되고, 상기 증기 연통부와 연통된 증기 유입구 및 상기 증기 유입구로 유입된 증기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 유출구를 구비한 증기 베이스; 및
    상기 증기 베이스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증기 베이스로 유입된 증기가 뚜껑 외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증기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베이스는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 증기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 가이드는 저면에 상기 증기 유입구를 구비하고 측면에 상기 증기 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베이스는 상기 증기 가이드와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원형의 상향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향 측벽과 상기 증기 커버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커버는 상기 상향 측벽과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원형의 하향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하향 측벽과 상기 증기 베이스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베이스는 상기 증기 가이드의 외측에 상기 증기 연통부와 연통된 결로 낙하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가이드의 증기 유출구는 상기 증기 베이스의 상기 결로 낙하공보다 상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연통부는 상기 증기 유입구의 유로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벽의 모서리 일부에 관통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1020120152167A 2012-12-24 2012-12-24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20140082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67A KR20140082331A (ko) 2012-12-24 2012-12-24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67A KR20140082331A (ko) 2012-12-24 2012-12-24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31A true KR20140082331A (ko) 2014-07-02

Family

ID=5173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167A KR20140082331A (ko) 2012-12-24 2012-12-24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33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12A (ko) * 2016-03-31 2017-10-1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01796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CN108626466A (zh) * 2017-03-20 2018-10-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驱动电路、电磁排气阀、排气方法和烹饪器具
KR102120178B1 (ko) 2019-01-04 2020-06-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121054B1 (ko) 2019-01-04 2020-06-10 (주)쿠첸 조리 장치
CN111297183A (zh) * 2020-03-03 2020-06-19 张俊旗 一种家用智能高压锅
CN111557588A (zh) * 2020-04-28 2020-08-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蒸制烹饪设备的内胆结构及蒸制烹饪设备
KR20200109137A (ko) 2019-03-12 2020-09-22 (주)쿠첸 증기 포집 장치
KR102347826B1 (ko) * 2020-09-29 2022-0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응축수 배출 방지구조를 갖는 취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402U (ko) * 1994-02-24 1995-09-13 전자유도 가열 밥솥용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 조절장치
KR100221649B1 (ko) * 1997-02-19 1999-10-01 정담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KR200406382Y1 (ko) * 2005-10-24 2006-01-23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100902358B1 (ko) * 2007-08-20 2009-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402U (ko) * 1994-02-24 1995-09-13 전자유도 가열 밥솥용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 조절장치
KR100221649B1 (ko) * 1997-02-19 1999-10-01 정담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KR200406382Y1 (ko) * 2005-10-24 2006-01-23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100902358B1 (ko) * 2007-08-20 2009-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12A (ko) * 2016-03-31 2017-10-1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180001796A (ko) *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CN108626466A (zh) * 2017-03-20 2018-10-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驱动电路、电磁排气阀、排气方法和烹饪器具
KR102120178B1 (ko) 2019-01-04 2020-06-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121054B1 (ko) 2019-01-04 2020-06-10 (주)쿠첸 조리 장치
KR20200109137A (ko) 2019-03-12 2020-09-22 (주)쿠첸 증기 포집 장치
CN111297183A (zh) * 2020-03-03 2020-06-19 张俊旗 一种家用智能高压锅
CN111297183B (zh) * 2020-03-03 2021-08-27 佛山市安乐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高压锅
CN111557588A (zh) * 2020-04-28 2020-08-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蒸制烹饪设备的内胆结构及蒸制烹饪设备
KR102347826B1 (ko) * 2020-09-29 2022-0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응축수 배출 방지구조를 갖는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2331A (ko)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EP2988637B1 (en) Cooking machine
CN109414137B (zh) 空气炸锅
EP3038504B1 (en) Cooking machine
RU2678373C1 (ru) Воздухонаправляющий компонент в аэрогриле
RU2754410C2 (ru) Улучшенная паровароч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для нагрева и/или варки на пару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емкости
CN117481528A (zh) 用在空气炸锅中的食物支承件以及空气炸锅
KR20090023673A (ko) 음식 조리 장치 및 음식 조리 장치를 위한 에어 가이드 부재
US20060112949A1 (en) Burner shield
KR101563550B1 (ko) 고기구이용 불판
JP2012516706A (ja) 食物調理用容器のための、改良された穿孔された蓋
JP6109633B2 (ja) 調理器
CN205849256U (zh) 压力烹饪器具
KR101236868B1 (ko) 휴대용 숯불 구이 장치
JP2013240504A (ja) 電気炊飯器
JP5663966B2 (ja) 電気加熱調理器
JP5946098B2 (ja) 穴あきカバーを有するフライヤ
RU184673U1 (ru) Электросушилка бытовая
US365915A (en) Culinary apparatus
KR20180124245A (ko) 전기레인지
KR101453838B1 (ko)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101216140B1 (ko) 전기 압력 밥솥용 낙수 방지 장치
RU2782778C2 (ru) Держатель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аэрофритюрницы и аэрофритюрница, снабженная таким держателем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CN210697292U (zh) 壳体组件及空气炸锅
KR102392404B1 (ko) 전기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