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245A - 전기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245A
KR20180124245A KR1020170058430A KR20170058430A KR20180124245A KR 20180124245 A KR20180124245 A KR 20180124245A KR 1020170058430 A KR1020170058430 A KR 1020170058430A KR 20170058430 A KR20170058430 A KR 20170058430A KR 20180124245 A KR20180124245 A KR 2018012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ter
cooling
sens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115B1 (ko
Inventor
최용호
손성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관리 편의성 및 위생성능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회로부가 설치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가열영역에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서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되, 상기 회로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 및 제어되는 열원부; 상기 열원부 및 상기 회로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풍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팬커버; 및 상기 센싱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센서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냉각풍이 경유되어 상기 집수된 물이 증발되도록 상기 팬커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Description

전기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편의성 및 위생성능이 개선되는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레인지는 인덕션 방식이나 열선 방식의 히터를 이용하여 불꽃을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사용의 안전성과 취급의 용이성 등으로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 전기레인지는 상면부에 조리용기 등의 피가열체가 안착되도록 내열소재로 형성된 탑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워킹코일 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에는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가열수단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는 온도측정의 정밀성을 위해 탑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피가열체에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되므로 조리시 국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온도센서 및 개구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조리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온도센서 및 개구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이 워킹코일 및 제어회로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온도센서의 하부에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수용기를 배치하거나 온도센서의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조리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수용기는 수용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주기적으로 조리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싱크대나 식탁 등에 일체형으로 매립되는 빌트인 방식에 적용하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 및 개구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조리기 외부로 유도 배출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조리기가 빌트인 방식으로 매립된 싱크대나 식탁 등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직접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조리기를 분리하여 내부공간을 청소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관리 미흡시 악취 등의 위생적인 문제나 싱크대/식탁의 변색 등을 유발하므로 제품의 만족도가 저하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157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 편의성 및 위생성능이 개선되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회로부가 설치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가열영역에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서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되, 상기 회로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 및 제어되는 열원부; 및 상기 열원부 및 상기 회로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각팬; 및 상기 센싱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센서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집수된 물이 증발되도록 상기 냉각풍이 경유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팬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풍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팬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집수부는 상기 팬커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팬커버에는 상기 열원부와 대향되는 상면부에 열원냉각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집수부와 대향되는 측면부에 경유배출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수부는 상기 센싱홀을 통해 유입된 물의 낙하영역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낙하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홈과, 상기 배수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저수홈의 함몰 깊이 미만으로 돌출 형성된 수위조절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유배출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열원부를 경유하여 가열된 냉각풍이 합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되 팽창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팬커버의 상면부로부터 하향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저수홈에 연결되는 바람가이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주기적으로 저수용기를 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종래와 달리, 내부로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가 팬커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집수된 물이 제품의 사용 중 냉각풍을 통해 자연스럽게 증발 건조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능이 개선되며 빌트인 방식에 적합한 집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팬커버 및 워킹코일베이스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유동되며 가열된 고압의 냉각풍이 상기 팬커버의 상면부로부터 하향 단차지게 연장된 바람가이드부의 넓은 팽창유입공간으로 합류되어 집수부로 유입되므로 집수부의 증발 및 건조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하부가이더가 수위조절관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에 위치되므로 냉각풍의 유동 고도를 저수홈 내 최대 수용 수면 이상으로 안내하여 저수된 물의 비산 또는 강제배출을 최소화하되, 상기 측부가이더가 토출된 냉각풍을 저수홈으로 정확하게 안내하므로 집수부의 건조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집수부의 하부측 배수안내부가 2차 저수공간을 제공하며 팬수용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므로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중의 저수공간을 통해 안정적인 집수가 가능하고 각 저수공간으로 냉각풍이 경유되며 집수된 물이 외부 배출 없이 최대한 증발 및 건조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냉각풍 유동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냉각풍 유동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레인지(100)는 탑플레이트(10), 센서부(20), 열원부(30), 냉각팬(40), 팬커버(50), 그리고 본체케이스(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6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장착공간에는 열원부(30), 냉각팬(40), 상기 열원부(30) 및 상기 냉각팬(40)의 전원 공급/제어를 위한 회로부(69)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10)는 냄비 등의 피가열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되되 가열된 피가열체의 온도로 인한 변형 및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세라믹이나 내열유리 등 고내열성 소재로 구비되고, 테두리가 보강프레임(13)에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케이스(60)의 상단 개구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10)에는 상기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가열영역(12)의 중앙부에 센싱홀(1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20)가 상기 센싱홀(11)을 관통하여 상기 피가열체에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부(50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50a)는 센서패킹(20c)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탑플레이트(10)의 상면부측 물이 센싱홀(11)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저수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회로부(69) 등에 대한 침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영역(12)의 하부에는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열원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열원부(30)의 하부에 상기 팬커버(50) 및 상기 냉각팬(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열영역(12)은 상기 탑플레이트(10) 및 상기 본체케이스(60)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20), 열원부(30), 냉각팬(40), 팬커버(50), 집수부(50a) 등은 각 가열영역(12)마다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원부(30)는 워킹코일베이스(30b) 및 워킹코일(30c)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는 상기 본체케이스(6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배치되어 냉각팬(40) 및 팬커버(50)의 설치공간이 확보되되,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6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설된 결합돌기(64)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의 중앙부에는 상기 센서부(20)가 체결되는 결합홀(31)이 형성되되, 상기 냉각팬(40)과 대향되는 중앙 외곽측 하면부에는 냉각풍이 유입되는 열유동홀(3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의 상면부에는 상기 결합홀(31)의 외곽을 따라 워킹코일(30c)이 권취되며, 상기 워킹코일(30c)은 상기 회로부(69)에 연결되어 피가열체의 유도 가열을 위한 와전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된 워킹코일(30c)의 상면부에는 피가열체의 가열시 탑플레이트(10)를 통해 워킹코일(30c)로 역전달되는 열의 차폐를 위해 마이카(mica) 등과 같은 내열소재의 워킹코일커버(30a)가 구비되며, 상기 워킹코일커버(30a)의 중앙부에는 센서부(20)의 관통 배치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20)는 센서몸체부(20a), 센서패킹(20c), 그리고 상기 센서몸체부(20a)가 결합되는 중공형 가이드부(21) 및 상기 센서패킹(20c)이 안착되는 지지날개부(22)로 구비된 센서베이스(20b)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의 하단부에는 단차지게 협관화되되 외주에 회전방지돌기(21d)가 돌설된 센서지지관부(21b)가 구비되되,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 및 상기 센서지지관부(21b) 사이의 단차면에는 후크체결공(21c)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몸체부(20a)의 케이싱(26)은 중앙측 외주에 후크날개부(26b)가 하향 연장되도록 돌설되고, 하부(26c) 외경이 센서지지관부(21b)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협관화된다. 이때, 상기 후크날개부(26b) 및 상기 케이싱(26)의 연결부분과 상기 센서지지관부(21b)의 상단측 단차면 사이에 탄성부재(29)가 개재되되 후크날개부(26b)의 하단부가 상기 후크체결공(21c)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26)의 하부(26c)측이 센서지지관부(21b)의 내주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몸체부(20a)가 상향 탄발 지지되어 피가열체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도성 금속재질의 센서홀더(24) 및 온도감지수단(25)를 통한 온도 측정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는 외주 일측에 돌설된 구속날개부(21a)가 결합홀(31) 내주에 돌설된 구속단턱부(31a)와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을 통과하여 결합홀(31)에 삽입되되, 구속날개부(21a)가 구속단턱부(31a)의 하단부에 걸림되도록 일방향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3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날개부(22)는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의 상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0) 및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 사이에 배치되되, 외주에 보조센서지지부(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패킹(20c)은 내측단이 상기 케이싱(26)의 패킹지지홈(26a)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외측단이 상기 센싱홀(11)의 테두리에 밀착되어 센서케이스(26) 및 상기 센싱홀(11) 사이를 밀폐하는 상부몸체부(27)와, 상기 상부몸체(27)의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절곡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지지날개부(22)의 상면부측 패킹수용홈(22a)에 안착되되 상기 탑플레이트(10) 및 상기 지지날개부(22) 사이를 밀폐하는 하부몸체(28)를 포함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케이스(60)의 하면부에는 상기 냉각팬(40)이 수용되는 격벽 형태의 팬수용부(6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커버(50)는 상기 냉각팬(40)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수용부(6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60)의 측면부 및 상기 팬수용부(61)의 하면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슬릿홀 형태로 공기유입구(67) 및 공기배출구(68)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팬(40)은 상기 팬커버(50) 및 상기 팬수용부(61)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공기유입구(67)측 외부공기를 흡입 및 상향 토출하여 상기 열원부(30) 및 상기 회로부(69)의 냉각을 위한 냉각풍을 공급한다.
상세히, 상기 팬커버(50)에는 상기 냉각풍의 송풍방향이 안내되도록 상기 열원부(30)와 대향되는 상면부에 열원냉각홀(5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회로부(69)와 대향되는 측면부에 회로냉각홀(53,54)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원부(30) 및 상기 회로부(69)의 발열량을 고려하여 열원냉각홀(51) 및 회로냉각홀(53,54)의 단면적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냉각팬(40)의 냉각풍은 상기 팬커버(50) 및 상기 팬수용부(61)의 내부공간에 1차 수용된 후, 상기 각 냉각홀(51,53,54)을 통해 토출되며 송풍량 및 송풍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풍이 상기 열원부(30) 및 상기 회로부(69) 등의 냉각대상부로 정확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발열량에 따라 분산되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케이스(60)에는 회로냉각홀(54) 및 상기 회로부(69) 사이에 대응되는 송풍경로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격벽(66)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로냉각홀(54)로부터 이격 배치된 회로부(69)까지도 냉각풍이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부(50a)는 상기 냉각풍이 경유되어 상기 집수된 물이 증발되도록 상기 팬커버(5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50a)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조립 및 생산 편의성을 위해 상기 팬커버(50)에 일체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집수부(50a)는 상기 팬커버(50)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센서부(20)의 하부에 대향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팬커버(50)의 측면부에는 상기 집수부(50a)와 대향되는 부분에 경유배출홀(5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풍은 상기 각 냉각홀(51,53,54)을 통해 냉각대상부로 송출됨과 동시에 상기 경유배출홀(52)을 통해 상기 집수부(50a)로 송출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대상부 및 상기 집수부(50a)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배출구(68)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50a)로 유입된 냉각풍은 집수된 물의 표면을 통과하여 공기배출구(68)측으로 배출되며, 집수된 물의 표면측 습도를 저감시키고, 수분의 증발속도 및 증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패킹(20c)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센싱홀(11)로 유입되어 집수부(50a)에 수용된 물이 신속하게 증발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저수용기를 분리하여 집수된 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이 요구되는 종래와 달리, 제품의 사용 중 집수부(50a)가 자연스럽게 건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집수부(50a)의 신속한 건조로 인해 미생물의 번식 및 그에 따른 악취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위생성능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싱크대나 식탁 등에 일체형으로 매립되는 빌트인 방식에 적합한 집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50a)에는 상기 센싱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의 낙하영역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저수홈(56)이 함몰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센싱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 및 상기 센서케이스(26) 사이 공간을 따라 하향 유동 및 낙하되며, 상기 낙하영역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의 내경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낙하된 물이 저수홈(56)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홈(56)에는 상기 낙하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일측에 배수홀(57)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57)의 테두리에는 상기 저수홈(56)의 함몰깊이 미만으로 수위조절관(57a)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로부터 낙하된 물이 배수홀(57)로 직접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낙하된 물이 상기 저수홈(56)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수위까지 집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홈(56)에는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21)의 하부 단차면을 지지하되, 상기 회전방지돌기(21d)의 타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56a)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상기 저수홈(56)으로 낙하되는 물이 튐이나 비산 없이 상기 구속돌기(56a)의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돌기(56a)에 의해 지지된 센서베이스(20b)가 상기 센싱홀(11)의 테두리측 하면부를 지지하므로 피가열체의 하중으로 인한 탑플레이트(10)의 처짐이 방지되고, 센서패킹(20c) 및 탑플레이트(10) 간의 밀착 상태가 밀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수용부(61)에는 상기 집수부(50a)의 하부에 대응되는 일측에 배수안내부(6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안내부(60a)에는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낙수영역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보조저수홈(62)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저수홈(56) 내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상단부를 초과하게 되면, 초과 유입된 물은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내부를 따라 배수홀(57)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낙수영역은 상기 저수홈(56)의 저수량을 초과한 물이 배출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내경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낙수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보조배수홀(6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홀(63)은 상기 본체케이스(6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저수홈(62)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보조배수홀(63)을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싱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저수홈(56)의 최대저수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회로부(69) 등의 침수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수홀(63)의 하부에는 낙수된 물을 전기레인지의 빌트인 위치를 고려한 배수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파이프부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저수홈(56) 및 상기 경유배출홀(52)은 바람가이드부(55)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팬커버(50)의 열원냉각홀(51)을 통해 상향 토출된 냉각풍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의 열유동홀(32)을 통해 상기 워킹코일(30c)로 유동되며, 상기 워킹코일(30c)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각풍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의 하면부와 상기 팬커버(50)의 상면부 사이의 좁은 공간을 따라 상기 공기배출구(68)을 향해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바람가이드부(55)는 상기 가열된 냉각풍이 합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되 팽창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팬커버(50)의 상면부로부터 하향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경유배출홀(52)의 테두리 및 상기 배수홈(56)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베이스(30b) 및 팬커버(50)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유동되며 압축된 고온의 냉각풍이, 경유배출홀(52)로 토출되어 바람가이드부(55)측 넓은 팽창유입공간에서 팽창 유동되는 냉각풍 흐름에 합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집수부(50a)로 유입되는 냉각풍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저수홈(56)에 집수된 물이 더욱 신속하게 증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람가이드부(55)는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상단부를 초과하는 높이를 따라 연장 형성된 하부가이더(55a)와, 상기 하부가이더(55a)의 측부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설되어 상기 경유배출홀(52)의 측부 테두리 및 상기 저수홈(56)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측부가이더(55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가이더(55a)는 상기 경유배출홀(52)을 통해 상기 저수홈(56)으로 유입되는 냉각풍의 유동고도를 저수홈(56) 내에 최대 수용가능한 수위인 수위조절관(57a)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된 물의 표면에 냉각풍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수된 물이 저수홈(56)의 외측으로 비산되거나 수위조절관(57a)측으로 강제 배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부가이더(55b)는 상기 경유배출홀(52)을 통해 송출된 냉각풍의 흐름 방향을 상기 저수홈(56)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람가이드부(55)를 따라 유동되는 냉각풍이 상기 저수홈(56) 내에 집수된 물의 표면을 정확하게 경유할 수 있으므로 냉각풍을 통한 증발 효율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배수안내부(260a)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도시 및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안내부(260a)에는 상기 수위조절관(57a)의 낙수영역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보조저수홈(262)이 형성되되, 상기 낙수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보조배수홀(263)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배수홀(263)의 테두리에는 상기 보조저수홈(262)의 함몰깊이 미만으로 보조수위조절관(263a)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팬수용부(261)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저수홈(262)과 연통되도록 하부배출홀(264)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센싱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집수부(50a)에 1차 수용되고, 저수홈(56)의 저수량을 초과하는 수위의 물이 배수홀을 통해 배수안내부(260a)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수홀(263)의 테두리를 따라 돌설된 보조수위조절관(263a)을 통해, 상기 배수안내부(260a)로 유동된 물이 상기 보조수위조절관(263a)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수위까지 저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저수홈(262)은 상기 하부배출홀(264)을 통해 상기 냉각팬이 수용된 팬수용부(261) 및 팬커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보조저수홈(262)에 수용된 물의 표면으로 냉각풍이 추가 경유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부 및 배수안내부(260a)를 통해 이중의 저수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경유배출홀을 통해 상기 집수부(50a)의 1차 저수공간에 냉각풍이 경유되되 상기 하부배출홀(264)을 통해 상기 배수안내부(260a)의 2차 저수공간에 냉각풍이 경유되며, 각 저수공간에 집수된 물이 신속하게 증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센싱홀의 내측으로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중의 저수공간을 통해 안정적인 집수가 가능하되, 각 저수공간의 물이 외부 배출 없이도 냉각풍에 의해 최대한 증발 및 건조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전기레인지 10: 탑플레이트
20: 센서부 30: 열원부
40: 냉각팬 50: 팬커버
60,260: 본체케이스

Claims (12)

  1.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 회로부가 설치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되, 피가열체가 안착되는 가열영역에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센서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되, 상기 회로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 및 제어되는 열원부;
    상기 열원부 및 상기 회로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각팬; 및
    상기 센싱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센서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집수된 물이 증발되도록 상기 냉각풍이 경유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풍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팬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집수부는 상기 팬커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에는 상기 회로부와 대향되는 측면부를 따라 회로냉각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회로냉각홀 및 상기 회로부 사이에 대응되는 송풍경로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격벽이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에는 상기 열원부와 대향되는 상면부에 열원냉각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집수부와 대향되는 측면부에 경유배출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센싱홀을 통해 유입된 물의 낙하영역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낙하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홈과,
    상기 배수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저수홈의 함몰 깊이 미만으로 돌출 형성된 수위조절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배출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열원부를 경유하여 가열된 냉각풍이 합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되 팽창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팬커버의 상면부로부터 하향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저수홈에 연결되는 바람가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가이드부는
    상기 냉각풍의 유동고도가 안내되도록 상기 수위조절관의 상단부를 초과하는 높이를 따라 연장 형성된 하부가이더와,
    상기 냉각풍의 흐름 방향이 안내되도록 상기 하부가이더의 측부테두리를 따라 돌설되어 상기 경유배출홀의 측부 테두리 및 상기 저수홈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측부가이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팬커버의 하단부가 결합되되 일측에 배수안내부가 형성된 팬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안내부에는 상기 수위조절관의 낙수영역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보조저수홈이 형성되되, 상기 낙수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보조배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수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보조저수홈의 함몰깊이 미만으로 보조수위조절관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팬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저수홈과 연통되도록 하부배출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되 중앙부에 상기 센서부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워킹코일베이스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 권취되는 워킹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하면부에는 상기 냉각풍이 유입되는 열유동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에 일방향 회전되어 체결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센서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센서부의 하부 외주에 돌설된 회전방지돌기의 타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부에 상기 탑플레이트 및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날개부가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결합홀에 체결되는 중공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센서베이스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에 탄발 지지되는 센서몸체부와,
    상기 센서몸체부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지지날개부에 안착되는 센서패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KR1020170058430A 2017-05-11 2017-05-11 전기레인지 KR10234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30A KR102346115B1 (ko) 2017-05-11 2017-05-11 전기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30A KR102346115B1 (ko) 2017-05-11 2017-05-11 전기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45A true KR20180124245A (ko) 2018-11-21
KR102346115B1 KR102346115B1 (ko) 2022-01-03

Family

ID=6460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430A KR102346115B1 (ko) 2017-05-11 2017-05-11 전기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0242A4 (en) * 2019-01-11 2022-11-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799B1 (ko) 1996-11-30 1999-08-16 구자홍 유도가열기
JP2010086842A (ja) * 2008-10-01 2010-04-15 Panasonic Corp 電磁加熱調理器
KR101429655B1 (ko) *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20140131118A (ko) * 2013-05-03 2014-11-12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20150121998A (ko) * 2014-04-22 2015-10-3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레인지
JP2016106366A (ja) * 2016-02-08 2016-06-1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799B1 (ko) 1996-11-30 1999-08-16 구자홍 유도가열기
JP2010086842A (ja) * 2008-10-01 2010-04-15 Panasonic Corp 電磁加熱調理器
KR101429655B1 (ko) *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20140131118A (ko) * 2013-05-03 2014-11-12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20150121998A (ko) * 2014-04-22 2015-10-3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레인지
JP2016106366A (ja) * 2016-02-08 2016-06-1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0242A4 (en) * 2019-01-11 2022-11-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15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046B1 (en) Convection steamer
JP4617386B2 (ja) 蒸気調理器
US9253824B2 (en) Steam generator
US5404803A (en) Food steamer utensil
AU2017273024B2 (en) Steamer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steaming food in a container
JP6758507B2 (ja) 容器内に入れられた食物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蒸気調理するためのモジュラースチーマ付属品
RU2754410C2 (ru) Улучшенная паровароч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для нагрева и/или варки на пару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емкости
KR20140082331A (ko)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4476881B2 (ja) 加熱調理器
KR101922455B1 (ko)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KR20180124245A (ko) 전기레인지
US3589271A (en) Coffee making apparatus
CN110811294B (zh) 电炊具
RU2643972C2 (ru) Паровой гла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CN209733475U (zh) 一种蒸烤组合机
US6285829B1 (en) Radiant electric space heater
CN107343741B (zh) 利用热空气循环制备食物的装置
KR200361381Y1 (ko) 인덕션 낮은 렌지
CN217696177U (zh) 一种测温准的烹饪器具
CN217013557U (zh) 蒸汽电器
CN220423754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217952375U (zh) 一种便于线束固定的烹饪器具
JP2023032002A (ja) 蒸気発生装置
CN221204982U (en) Cooking utensil
CN216786641U (zh) 一种延长使用寿命的蒸汽电熨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