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118A - 인덕션레인지 - Google Patents

인덕션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118A
KR20140131118A KR20130050066A KR20130050066A KR20140131118A KR 20140131118 A KR20140131118 A KR 20140131118A KR 20130050066 A KR20130050066 A KR 20130050066A KR 20130050066 A KR20130050066 A KR 20130050066A KR 20140131118 A KR20140131118 A KR 2014013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orking coil
protruding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063B1 (ko
Inventor
김재기
김원영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0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54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pieces to direct the induced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내부 부품 간의 결합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결합구조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피가열체를 지지하되,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 상부가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홀에 체결되도록 돌출되어 구비된 중공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센서베이스; 및 상단부가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 내측에 탄발지지되는 돌출형 센서를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덕션레인지{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부품 간의 결합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결합구조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덕션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레인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에 속하는 것으로 전자기력으로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세히, 자력선의 방향이 변화되는 자계 안에 금속을 놓으면 금속 자체가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되는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를 통해 자체적으로 발열되는 원리가 적용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00)는 냄비 등의 피가열체가 놓여지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탑플레이트(1)와, 상기 탑플레이트(1)의 하측에서 고주파 자장을 발생시켜 피가열체에 유도전류를 생성시켜 발열시키는 워킹코일(2)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탑플레이트(1)의 상면에는 조리영역이 표시되며, 상기 조리영역 내에 피가열체가 위치될 때 가열 효율이 가장 뛰어나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1)의 하측에는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가 구비되어 워킹코일(2)의 중앙, 즉 조리 영역의 중앙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3)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피가열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의 조리상태를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00)는 상기 워킹코일(2) 자체의 저항열 및 상기 탑플레이트(1)에서 전달되는 열로 인해 상기 워킹코일(2)과 워킹코일베이스(5)의 결합이 느슨해지고 상기 워킹코일(2)이 이탈되어 워킹코일(2)과 피가열체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지 못해 가열효율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합선 등으로 화재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3)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5)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워킹코일베이스(5)와 상기 온도센서(3)의 결합부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워킹코일베이스(5)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탑플레이트(1)가 노후화 또는 변형되어 하측으로 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센서(3)를 직접 가압하여 상기 온도센서(3)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탑플레이트(1)의 하중으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5)와의 결합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2108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부품 간의 결합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결합구조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덕션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가열체를 지지하되,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 상부가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홀에 체결되도록 돌출되어 구비된 중공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센서베이스; 및 상단부가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 내측에 탄발지지되는 돌출형 센서를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단부에 외주를 따라 돌출된 결합날개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에 형성된 결합홈부를 통과하여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홀 하단 테두리에 구속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날개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되, 인접한 각각의 상기 결합날개부 사이는 부등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결합홀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날개부를 회전에 따라 하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턱의 회전단부에는 상기 결합날개부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단과 대향되는 본체케이스 바닥면에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 테두리에는 상기 센서베이스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측 외주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리브를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격막과 상기 관통공을 차폐하도록 상기 격막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막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센서베이스의 상부에는 내주단부가 상기 돌출형 센서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주홈부에 삽입되는 센서패킹의 외주단부 및 요철부를 상기 탑플레이트 하면과의 사이에서 끼움 고정하는 센서패킹지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센서패킹지지부의 상면 일측에는 액체 유동을 제한하는 방수턱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편심 온도감지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보조센서 지지부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에는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부가 형성되되, 내주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의 일측이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서 중앙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는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는 과열방지 퓨즈가 결합되는 퓨즈수용부가 상향 돌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퓨즈수용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의 접속단자가 조립시 삽입되는 삽입용이홀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와 연결된 일측배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테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서 중앙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외곽센서홀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면에 가압접촉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편심온도센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외곽센서홀의 하면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연장후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곽센서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속배선의 일측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끝단이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돌기부에 거치된 상기 접속배선의 전후단을 타방향으로 지지하여 결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는 상기 워킹코일의 단부가 끼움결합되어 결속되도록 단부가 절곡된 결속후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하면에는 회로부의 열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방열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방열판지지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센서베이스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체결되어 고정되므로, 운반시 유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나 충격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베이스의 변형 또는 손상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인접한 상호간의 배치각도가 비대칭하도록 각각의 결합날개부 사이가 부등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센서베이스는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상기 결합홀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체결되므로 오조립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중공형 가이드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회전방지리브를 구속하는 구속돌기로 풀림을 방지하여 부품 간 유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보조센서 지지부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 내부 부품의 상기 접속배선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상기 결속수단 및 상기 워킹코일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상기 결속후크가 일체로 성형되어 부품 수가 감소되므로 조립공정이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돌출형 센서를 보조하도록 구비된 상기 편심온도센서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피가열체가 가열영역의 중앙을 벗어나거나 상기 돌출형 센서가 손상된 경우에도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므로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과열방지 퓨즈가 편심된 피가열체에 의한 제품 내의 과열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어 상기 워킹코일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제품의 소손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베이스와 배수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의 배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와 센서베이스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투영배면도.
도 8은 도 2의 A-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2의 C-D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와 방열판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200)는 탑플레이트(10), 워킹코일베이스(80), 센서베이스(60), 그리고 돌출형 센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탑플레이트(10)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피가열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피가열체의 가열상태를 견딜 수 있도록 세라믹이나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는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내열성이 좋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MPPO(modified polypheylene oxide) 계열 수지 등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중앙부에는 결합홀(81)이 형성되며,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홀(81)의 외주를 따라 워킹코일(70)이 권취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70)은 상기 탑플레이트(10)의 가열영역(12)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워킹코일(7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탑플레이트(10) 상측에 안착된 피가열체를 유도가열시킨다.
한편, 상기 센서베이스(60)는 상부가 상기 탑플레이트(10)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홀(81)에 체결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중공형 가이드부(6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베이스(60)는 내열성이 강한 합성수지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센서베이스(60)는 상기 결합홀(81)에 체결되어 고정되므로 운반시 유동으로 발생되는 마모나 충격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베이스의 변형 또는 손상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상단은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탑플레이트(10)의 가열영역(12) 중앙부에 돌출되어 그의 상단이 상기 피가열체의 하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단이 피가열체의 하면에 직접 접촉되어 보다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한 돌출형 센서(3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상세히, 상기 돌출형 센서(30)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돌출형 센서(30)는 상기 센서베이스(60)에 결합되며, 상기 센서베이스(60)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결합홀(81)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10)의 가열영역(12) 중앙부에는 센싱홀(1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형 센서(30)는 상단이 상기 센싱홀(11)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하단이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 내측에 탄성스프링(34)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돌출형 센서(30)는 상단이 상기 피가열체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접촉되되, 하단이 탄발지지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온도 측정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베이스와 배수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와 센서베이스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투영배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A-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C-D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베이스와 방열판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베이스(60)는 센서패킹지지부(62), 중공형 가이드부(61), 그리고 보조센서 지지부(6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는 상기 센서베이스(60) 상단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단부(62a)는 상측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상면 일측에는 액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방수턱(62b)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돌출된 상단부와 상기 탑플레이트(10)의 센싱홀(11)을 밀폐하여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센서패킹(3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센서패킹(31)은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되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패킹(31)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내주부와 상기 내주부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중심부, 그리고 상기 중심부의 하단 테두리에서 반경반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외주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주부의 단부는 하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외주부의 상면에는 요철부(31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내주부의 내주단부(31a)는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주홈부(32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주부의 절곡된 외주단부(31b)는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상면을 지지하되 상기 외주부의 요철부 (31c)는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탑플레이트(10)와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과 상기 센서패킹(31)의 요철부(31c)가 접하는 부분은 실리콘 접착제로 실링되어 밀폐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패킹(31)의 중심부(31d)는 하단부가 상기 방수턱(62b)과 밀착하도록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센서패킹(31)의 내주단부(31a)와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외주홈부(32a) 사이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방수턱(62b)으로 유동이 제한되어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고, 본체케이스(20)의 바닥면에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하단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수부(21)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는 상기 센서베이스(60)가 상기 결합홀(11)에 결합되면, 하면이 상기 워킹코일(70)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워킹코일(70) 자체의 저항열 및 상기 탑플레이트(10)에서 전달되는 열로 상기 워킹코일(70)과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결합이 느슨해지더라도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하면이 상기 워킹코일(70)을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므로 합선 등의 안전사고 발생이 예방될 뿐만 아니라, 밀착 권취된 상기 워킹코일(70) 와이어 사이의 유격 발생 및 이로 인한 전력효율 감소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상측으로 절곡된 단부(62a)는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탑플레이트(10)가 가열되거나 무거운 피가열체가 놓일 경우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하면을 지지하여 휘어짐 및 충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는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내주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중공을 가진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센서베이스(6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의 내주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하단이 삽입되어 탄성스프링(34)으로 탄발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에는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측으로 더 연장된 가이드관부(61c)가 형성되되, 내주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일측이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개구부(61d)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하단부에는 외주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날개부(61a)가 돌출형성되되, 인접한 각각의 상기 결합날개부(61a) 사이는 부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는 결합홀(81), 외곽센서홀(83), 퓨즈수용부(82), 페라이트 수용부(89), 결속수단(84), 결속후크(85), 그리고 방열판지지돌기(8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81)에는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가 삽입되되,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하단부에 외주를 따라 돌출된 결합날개부(61a)가 상기 결합홀(81)의 내주에 형성된 결합홈부(81a)를 통과하여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홀(81) 하단 테두리에 구속되어 고정된다.
상세히,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부(81a)는 각각의 상기 결합날개부(61a)의 대응되는 위치에 대향되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날개부(61a)는 인접한 상호간의 배치각도가 비대칭하도록 부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결합홈부(81a)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방향성이 부여되어 정확한 방향으로 조립될 뿐만 아니라,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것으로 결합되어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조립공정이 간편해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81)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날개부(61a)를 회전에 따라 하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단턱(81c)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턱(81c)의 회전단부에는 상기 결합날개부(61a)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81b)가 돌출된다.
즉, 상기 결합날개부(61a)는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단턱(81c)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상기 결합날개부(61a)의 상면이 상기 고정단턱(81c)의 하면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호간의 압력으로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결합날개부(61a)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센서베이스(60)의 이탈로 내부 부품 간의 충돌 및 마모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81b)는 상기 결합날개부(61a)가 상기 고정단턱(81c)에 위치되면 추가적인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고정단턱(81c)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센서베이스(60)를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 조립하는 공정이 체계화되어 제품의 구조 완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오조립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부(21) 테두리에는 상기 센서베이스(60)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하측 외주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리브(61b)를 구속하는 구속돌기(21c)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는 상기 센서베이스(60)가 상기 결합홀(81)에 일방향 회전되어 결합된 후에 상기 본체케이스(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속돌기(21c)가 상기 회전방지리브(61b)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베이스(60)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상기 센서베이스(60)가 타방향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측에 결합된 상기 돌출형 센서(30)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곽센서홀(83)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서 중앙부로부터 이격되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편심은 상기 워킹코일(70)에 의해 가열 가능한 영역 이내이되, 상기 돌출형 센서(30)에 의해 온도측정이 불가능한 영역에 위치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곽센서홀(83) 내측에는 편심온도센서(40)가 삽입되어, 상기 가열영역(12)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돌출형 센서(30)를 보조하도록 상기 편심온도센서(40)가 구비되므로, 피가열체가 편심된 위치에 놓이거나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손상으로 온도측정이 불가능할 때에도 상기 편심온도센서에 의한 온도측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피가열체의 자동 조리를 위한 온도 제어가 한층 정밀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센서홀(83)의 하측 테두리에는 내주를 따라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하측으로 더 연장된 센서가이드부(83c)가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에는 개구홀(8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편심온도센서(40)는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에 가압접촉되도록 탄성부재(43)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지지부재(4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세히, 상기 편심온도센서(40)는 열전대(thermo couple)나 서미스터(thremisto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공에는 상기 편심온도센서(40)가 안착되는 안착부(41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의 외주를 따라 하측으로 센서날개부(41a)가 연장되며, 상기 센서날개부(41a)의 하단부에는 상기 외곽센서홀(83)의 하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장후크(41b)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후크(41b)는 상기 개구홀(83a)로 삽입되어 상기 외곽센서홀(83)의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1)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더욱이, 상기 외곽센서홀(83)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부재(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단턱(83b)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안내단턱(83b)은 상기 지지부재(41)가 상하이동될 때 일측으로 기울여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41)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온도센서(40)의 하측에 연결된 접속배선(미도시)은 상기 외곽센서홀(83)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41)의 타측 방향으로 당겨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편심온도센서(40)가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에 밀착될 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외곽센서홀(83)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43)에 의해 탄성지지되되, 연장후크(41b)에 의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편심온도센서(40)를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서 중앙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는 퓨즈수용부(82)가 상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퓨즈수용부(82)에는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는 과열방지 퓨즈(50)가 끼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방사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으나, 피가열체가 편심된 경우 사용상 안전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위치에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퓨즈수용부(82)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5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격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배선과 본체(50a)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접속단자(50c)가 상기 회로부(90)에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퓨즈수용부(82)의 일측부에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50)가 상기 퓨즈수용부(82)에 조립될 때 상기 접속단자(50c)가 삽입되는 삽입용이홀(82c)이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퓨즈수용부(82)의 타측부에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50)와 연결된 일측배선(50b)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82a)가 테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홀(82b)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일회성 부품으로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어 상기 워킹코일(7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 전원 차단을 수행하면 교체가 필요하다.
이때,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상기 접속단자(50c)를 상기 삽입용이홀(82c)에 삽입하고, 상기 과열방지 퓨즈(50)의 양단에 연결된 배선 중 일측배선(50b)을 상기 이탈방지홀(82b)으로 삽입한 후 본체(50a)를 상기 퓨즈수용부(82)에 끼움 결합하여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82a)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일측배선(50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퓨즈수용부(82)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5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제품의 안전성과 조립성, 그리고 서비스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상기 탑플레이트(10)의 가열영역(12) 중앙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편심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에 따라 단락되어 워킹코일(80)의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품 내의 과열을 감지하여 상기 워킹코일(80)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제품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온도센서(40)는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워킹코일(70)의 가열출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어 상기 워킹코일(7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편심온도센서(40)와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세밀한 기능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편심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편심 온도감지수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한다.
즉,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편심온도센서(40)와 상기 과열방지 퓨즈(50)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 상기 돌출형 센서(3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편심온도센서(40)와 상기 과열방지 퓨즈(50)의 배치형태와 배치수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패킹지지부(62)의 외주 일측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센서 지지부(63)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센서 지지부(63)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30)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편심 온도감지수단(63a)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 온도감지수단(63a)은 편심온도센서나 과열방지 퓨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센서 지지부(63)는 상기 돌출형 센서(30)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돌출형 센서(30)와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로, 페라이트 수용부(89)들 사이에 상기 편심 온도감지수단(63a)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수용부(89)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는 상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내측에 와전류 손실방지용 페라이트(89a)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상기 편심 온도감지수단(63a)은 피가열체가 편심될 수 있는 다양한 곳에 배치되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전원 공급 차단이나 상기 피가열체의 자동 조리를 위한 온도 제어를 한층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외주면에는 결속수단(84)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수단(84)은 접속배선의 일측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기부(84a)와 상기 돌기부(84a)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끝단이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돌기부(84a)에 거치된 상기 접속배선의 전후단을 타방향으로 지지하여 결속하는 구속부(8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배선은 일측 구속부(84b)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부(84a)에 거치된 후 타측 구속부(84b)를 통과함으로써 결속된다.
이때, 상기 접속배선은 상기 과열방지 퓨즈(50), 상기 편심온도센서(40),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70)의 일측을 상기 회로부(90)로 연결하는 배선을 뜻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는 상기 워킹코일(70)의 단부나 접속배선이 끼움결합되어 결속되도록 단부가 절곡된 결속후크(85)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결속수단(84) 및 상기 결속후크(85)는 상기 접속배선 및 상기 워킹코일(70) 단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부품 간의 합선을 예방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의 하면에는 방열판지지돌기(8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지지돌기(86)는 상기 회로부(90)의 열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방열판(92)의 상면을 지지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상기 방열판(92)의 진동을 막아 상기 회로부(90)가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형 센서(30)는 센서케이스(32), 센서홀더(33), 탄성스프링(34), 그리고 온도감지수단(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센서케이스(32)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센서몸체(32b)와 상기 센서몸체(32b) 외주로부터 하향 연장된 구속날개부(32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몸체(32b)의 상단은 상기 센싱홀(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센싱홀(11)과 상기 돌출형 센서(30)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센서패킹(3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출된 상기 센서몸체(32b)의 상단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센서홀더(33)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홀더(33)의 하면에는 온도감지수단(35)이 밀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수단(35)은 열전대나 서미스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수단(35)은 피가열체에 직접 접촉하는 상기 센서홀더(33)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피가열체에 근사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날개부(32a)에는 하단부에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단부에 구속되는 걸림턱(32c)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날개부(32a)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개구부(61d)를 통과하면, 상기 걸림턱(32c)이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센서케이스(32)는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날개부(32a)의 내측에 연장된 센서몸체(32b)는 상기 가이드관부(61c)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4)은 상기 센서몸체(31b)를 감싸도록 상기 구속날개부(31a)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단은 상기 센서몸체(31b) 외주 일측에 구속되며, 하단은 상기 센서몸체(31b)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관부(62)의 상면에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놓이게 되면, 피가열체의 하중으로 상기 돌출형 센서(30)가 하방 가압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4)의 탄발지지력으로 상기 돌출형 센서(30)는 피가열체의 하면에 밀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2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면서 인덕션레인지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는 워킹코일(70)이나 회로부품의 발열을 제품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팬,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70)을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회로부(90) 등의 내장 부품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20)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80) 하측에 배치되되 내측에 회로부(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수부(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수부(21)는 상기 본체케이스(2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격막(21a)과 상기 관통공을 차폐하도록 상기 격막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막(21b,21d)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센서패킹(31)의 내주단부(31a)와 상기 돌출형 센서(30)의 외주홈부(32a) 사이로 유입된 액체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61)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배수부(21)로 유도될 때, 상기 격막(21a)은 액체의 회로부(90)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가이드막(21b,21d)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액체가 떨어질 때 낙하충격을 완충 분산하여 액체의 비산을 방지하고, 본체케이스(20)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므로 액체가 상기 회로부(90)로 유입되어 상기 회로부(90)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덕션레인지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30) 및 상기 편심온도센서(40)에서 감지된 온도 상호 간의 비교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7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심온도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상기 돌출형 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편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영역(12) 내로 이동하도록 스피커나 LED 등으로 형성된 출력부를 통해 편심상태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편심상태 경고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영역(12)내로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편심온도센서(40)와 상기 메인센서(30)에서 감지된 온도 차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기설정된 안전허용치에 도달하면 제품 내부 부품의 손상 혹은 화재 발생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워킹코일(7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피가열체가 가열영역의 중앙을 벗어난 경우에 상기 피가열체의 편심상태를 경고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편심에 따른 이상과열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워킹코일(7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가열체가 편심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편심온도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기설정된 온도를 보정하여 보정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온도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70)의 가열출력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는 피가열체가 상기 가열영역(12)의 중앙을 벗어나서 편심된 위치에 있더라도 안정적인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자동요리 구현 품질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200 : 인덕션레인지
1,10 : 탑플레이트 2,70 : 워킹코일
3 : 온도센서 11 : 센싱홀
20 : 본체케이스 21 : 배수부
30 : 돌출형 센서 31 : 센서패킹
32 : 센서케이스 33 : 센서홀더
34 : 탄성스프링 35 : 온도감지수단
40 : 편심온도센서 50 : 과열방지 퓨즈
60 : 센서베이스 61 : 중공형 가이드부
62 : 센서패킹지지부 63 : 보조센서 지지부
80 : 워킹코일베이스 81 : 결합홀
82 : 퓨즈수용부 83 : 외곽센서홀
90 : 회로부 91 : 냉각팬
92 : 방열판

Claims (16)

  1. 피가열체를 지지하되,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
    상부가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홀에 체결되도록 돌출되어 구비된 중공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센서베이스; 및
    상단부가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 내측에 탄발지지되는 돌출형 센서를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단부에 외주를 따라 돌출된 결합날개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에 형성된 결합홈부를 통과하여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홀 하단 테두리에 구속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날개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되, 인접한 각각의 상기 결합날개부 사이는 부등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날개부를 회전에 따라 하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턱의 회전단부에는 상기 결합날개부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단과 대향되는 본체케이스 바닥면에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 테두리에는 상기 센서베이스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하측 외주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리브를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격막과 상기 관통공을 차폐하도록 상기 격막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상부에는 내주단부가 상기 돌출형 센서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주홈부에 삽입되는 센서패킹의 외주단부 및 요철부를 상기 탑플레이트 하면과의 사이에서 끼움 고정하는 센서패킹지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센서패킹지지부의 상면 일측에는 액체 유동을 제한하는 방수턱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편심 온도감지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보조센서 지지부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에는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부가 형성되되, 내주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에는 상기 돌출형 센서의 일측이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서 중앙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는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는 과열방지 퓨즈가 결합되는 퓨즈수용부가 상향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수용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의 접속단자가 조립시 삽입되는 삽입용이홀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과열방지 퓨즈와 연결된 일측배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테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서 중앙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외곽센서홀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면에 가압접촉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편심온도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외곽센서홀의 하면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연장후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곽센서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배선의 일측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끝단이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돌기부에 거치된 상기 접속배선의 전후단을 타방향으로 지지하여 결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에는 상기 워킹코일의 단부가 끼움결합되어 결속되도록 단부가 절곡된 결속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인덕션레인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하면에는 회로부의 열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방열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방열판지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KR1020130050066A 2013-05-03 2013-05-03 인덕션레인지 KR10205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066A KR102051063B1 (ko) 2013-05-03 2013-05-03 인덕션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066A KR102051063B1 (ko) 2013-05-03 2013-05-03 인덕션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118A true KR20140131118A (ko) 2014-11-12
KR102051063B1 KR102051063B1 (ko) 2019-12-02

Family

ID=5245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066A KR102051063B1 (ko) 2013-05-03 2013-05-03 인덕션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63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983A (ko) 2016-07-28 2018-02-07 유선영 온도 제어 기능이 향상된 유도 가열 기기
KR20180124245A (ko) * 2017-05-11 2018-11-2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KR20190001199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KR20190001197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20190001202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KR20190001201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20190001196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방법
KR101987919B1 (ko) 2018-10-23 2019-06-12 코박스 주식회사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00007072A (ko) * 2017-06-26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방법
KR20200007993A (ko) * 2017-06-26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64156A (ko) * 2020-01-13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EP3879928A1 (en) * 2020-03-12 2021-09-1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KR102314581B1 (ko) * 2020-05-27 2021-10-19 (주) 다나일렉트릭스 적외선 온도센서가 구비된 인덕션
CN113758585A (zh) * 2021-09-09 2021-12-07 广东顺德晶纬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低延迟的温度探头及应用其的电磁烹饪器具
EP3910242A4 (en) * 2019-01-11 2022-11-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EP4096351A1 (en) * 2021-05-28 2022-11-30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02694B2 (en) 2020-03-12 2023-10-31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1855A (ko) 2022-09-01 2024-03-0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유도가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304B2 (ja) * 1995-12-25 2000-03-13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0521089B1 (ko) 2003-12-10 200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유도가열 조리기
JP4251192B2 (ja) * 2006-04-19 2009-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0919728B1 (ko) * 2002-03-12 2009-09-29 파나소닉 주식회사 유도가열장치
JP4932548B2 (ja) * 2007-03-12 2012-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1186217B1 (ko) * 2011-02-25 2012-10-08 자원전자 주식회사 공진작용에 따른 악영향을 예방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JP5178757B2 (ja) * 2010-03-10 2013-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304B2 (ja) * 1995-12-25 2000-03-13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0919728B1 (ko) * 2002-03-12 2009-09-29 파나소닉 주식회사 유도가열장치
KR100521089B1 (ko) 2003-12-10 200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유도가열 조리기
JP4251192B2 (ja) * 2006-04-19 2009-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4932548B2 (ja) * 2007-03-12 2012-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178757B2 (ja) * 2010-03-10 2013-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1186217B1 (ko) * 2011-02-25 2012-10-08 자원전자 주식회사 공진작용에 따른 악영향을 예방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983A (ko) 2016-07-28 2018-02-07 유선영 온도 제어 기능이 향상된 유도 가열 기기
KR20180124245A (ko) * 2017-05-11 2018-11-2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KR20190001202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US11153938B2 (en) 2017-06-26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ooking vessel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a cooking vessel sensor
US11202345B2 (en) 2017-06-26 2021-12-14 Lg Electronics Inc. Loaded-object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loaded-object sensor
KR20190001201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20190001196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방법
US11178732B2 (en) 2017-06-26 2021-11-16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cooking vessel o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200007072A (ko) * 2017-06-26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방법
KR20200007993A (ko) * 2017-06-26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US10869365B2 (en) 2017-06-26 2020-12-15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US11006485B2 (en) 2017-06-26 2021-05-11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190001199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US11785680B2 (en) 2017-06-26 2023-10-1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cooking vessel o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US11770881B2 (en) 2017-06-26 2023-09-26 Lg Electronics Inc. Cooking vessel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a cooking vessel sensor
KR20190001197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US11665789B2 (en) 2018-10-23 2023-05-30 Kovax Co., Ltd. Induction range of upper and lower heating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87919B1 (ko) 2018-10-23 2019-06-12 코박스 주식회사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EP3910242A4 (en) * 2019-01-11 2022-11-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KR20210064156A (ko) * 2020-01-13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US20210289592A1 (en) * 2020-03-12 2021-09-16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EP3879928A1 (en) * 2020-03-12 2021-09-1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US11802694B2 (en) 2020-03-12 2023-10-31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US11963283B2 (en) 2020-03-12 2024-04-16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KR102314581B1 (ko) * 2020-05-27 2021-10-19 (주) 다나일렉트릭스 적외선 온도센서가 구비된 인덕션
EP4096351A1 (en) * 2021-05-28 2022-11-30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758585A (zh) * 2021-09-09 2021-12-07 广东顺德晶纬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低延迟的温度探头及应用其的电磁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063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1118A (ko) 인덕션레인지
KR20140124106A (ko) 인덕션레인지
CN109804166B (zh) 离心泵盖
JP49325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925352B2 (ja) 遠心ポンプ用カバー
KR101429655B1 (ko) 인덕션레인지
JP2006209987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155109B2 (ja) 電気ケトル
US7425688B2 (en) Heating assembly for a tumble dryer
EP2960595B1 (en) Heating system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733992B1 (ko) 과열방지 장치를 구비한 가스레인지
KR102355705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US20070045278A1 (en) Glass ceramic cooktop having at least one burner
KR101337885B1 (ko)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장치
KR101754358B1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CN208822435U (zh) 一种烹饪器具
CN218128171U (zh) 烹饪设备
CN210784080U (zh) 杯体组件及食物处理机
CN219607176U (zh) 一种烹饪设备
CN218128069U (zh) 烹饪设备
CN213308961U (zh) 一种烹饪器具
CN220423752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211716626U (zh) 一种便于检知温度的烹饪器具
JPH0461823A (ja) 調理器具の温度過昇防止装置
CN210121068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