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37A - 증기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37A
KR20200109137A KR1020190028267A KR20190028267A KR20200109137A KR 20200109137 A KR20200109137 A KR 20200109137A KR 1020190028267 A KR1020190028267 A KR 1020190028267A KR 20190028267 A KR20190028267 A KR 20190028267A KR 20200109137 A KR20200109137 A KR 2020010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apor
steam
collecting devic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577B1 (ko
Inventor
곽현기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2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 장치로서, 상기 증기 포집 장치는, 소정의 용적을 갖고 내부에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동 공간을 갖는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기 포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TEAM}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증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전기 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은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 조리기기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기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므로, 조리 과정에서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증기가 생성되는 부분과, 증기를 외부로 전달하는 부분 사이가 서로 기밀하게 연결되지 아니하여, 가열 조리기기 내에서 증기가 유출되어 가열 조리기기 내부의 각종 전기, 전자 장치 등이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서, 증기를 내부에서 처리하는 소정의 증기 포집 장치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증기 포집 장치 내의 증기 처리 효율에 한계가 있어서, 증기 포집 장치 내에서 충분히 처리되지 못한 증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증기 포집 장치 내에 물이 체류하여 위생상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4-0082331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기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 장치로서, 상기 증기 포집 장치는, 소정의 용적을 갖고 내부에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동 공간을 갖는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증기 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 케이스는, 증기 포집 장치의 상부분을 구성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후방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케이스는, 하면에 하방향으로 오픈되는 유입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 포트가 조리 장치의 배기 포트와 연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기체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팬 모듈은, 블로잉 팬, 및 상기 블로잉 팬과 상기 제1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블로잉 팬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면 오픈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 내의 증기 유로에 의한 증기 유동 방향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를 둘러싸는 구획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내공간부, 및 상기 내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내공간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외공간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 포트를 통해 유입된 증기는 상기 내공간부에서 외공간부로 유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케이스 내의 증기 유로에 의한 증기 유동 방향은, 상하로 지그재그 방향이되 일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3 케이스 내의 증기 유로에 의한 증기 유동 방향은, 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방향이되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 케이스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포집 케이스에서 유출된 물을 수용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가 형성된 물받이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시스템은, 증기 포집 장치; 상기 증기 포집 장치와 연결되는 조리 장치; 및상기 증기 포집 장치 및 조리 장치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를 포함하는 포집 케이스로 이루어진 증기 포집 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증기 포집 장치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구비됨으로써, 증기의 유동 경로가 연장된다. 따라서, 조리 장치의 증기 포집 장치 내에서 증기가 충분히 유동하여 열 교환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포집 케이스가 조리 장치를 상방, 후방, 및 하방에서 둘러싸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어, 적은 공간에서 최대의 증기 유동 경로가 확보되어 증기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 내의 유로 가이드는 소정의 배치를 가짐으로써, 각 케이스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각각 소정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증기압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에 가해지는 증기압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의 내공간에는 유입 포트를 통해 유입된 증기가 팽창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증기가 급작스럽게 저항을 받고 유동하지 않도록 하며, 충분히 팽창된 후 유동하도록 하여,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하고, 증기의 냉각 및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팬 모듈을 구비함으로서, 증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으며, 팬 모듈은 개폐 가능한 셔터를 구비하여, 팬 모듈 내의 증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는 증기 포집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증기 포집 장치와 조리 장치의 사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는 증기 포집 장치와 조리 장치의 연결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제1 케이스(100A)를 도 2 의 X-X 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팬 모듈(1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도 2 의 제2 케이스(100B)를 도 2 의 Y-Y 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2 의 제3 케이스(100C)를 도 2 의 Z-Z 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한 조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는 증기 포집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증기 포집 장치(1)는 조리 장치(2)에서 배출된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조리 장치(2)는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조리 장치(2)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일 수 있다. 조리 장치(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예를 들어, 증기 포집 장치(1)는 외부로 방출되기에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켜 증기 상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 장치(1)는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케이스(100)는,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A)는 증기 포집 장치(1)의 상부분을 구성하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00B)는 증기 포집 장치(1)의 중간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후방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아울러, 제3 케이스(100C)는 증기 포집 장치(1)의 하부 부분을 구성하며, 제2 케이스(100B)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를 포함하는 포집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ㄷ 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조리 장치(2)는 ㄷ 자형 공간 내에 위치하여 제3 케이스(100C)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0A)는 조리 장치(2)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2 케이스(100B)는 조리 장치(2)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 케이스(100A)는 조리 장치(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는 서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는 각각 내부에 제1 내지 제3 증기 유동 공간(140, 150, 160)을 갖되, 상기 제1 내지 제3 증기 유동 공간(140, 150, 160)은 서로 연통하여 하나의 증기 유로(110)를 구성할 수 있다.
포집 케이스(100)는 조리 장치(2)의 배기 포트(221)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111)를 포함하고, 증기 포집 장치(1)에서 냉각된 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가 유출되는 유출 포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포트(111)는 제1 케이스(100A)의 하면에 마련되어 하방향으로 오픈되며, 유출 포트(112)는 제3 케이스(100C)전방 단부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오픈될 수 있다.
유입 포트(111)와 유출 포트(112)는, 각각 포집 케이스(100)의 증기 유로(110) 내의 증기 유동 방향으로,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포트(111)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포집 케이스(100)에 마련된 증기 유로(110)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유출 포트(112)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 포트(111)는 조리 장치(2)의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증기 포집 장치(1)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조리 장치(2)와 상호 연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포집 장치(1)는 조리 장치(2)와 증기 포집 장치(1)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 포트(111)에 장착된 패킹(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120)은, 후술하는 조리 장치(2)에 구비된 배기 포트(16)에 밀착되어, 조리 장치(2)에서 배출된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기 포집 장치(1)는 포집 케이스(100) 내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110)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14)는 예를 들면, 포집 케이스(100)의 내벽에 장착된 격벽 구조일 수 있다. 유로 가이드(114)는 포집 케이스(100)내에서 증기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며, 유입 포트(111)로부터 유출 포트(112)까지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증가시켜서 증기가 포집 케이스(100)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기 포집 장치(1) 내에서 증기가 냉각되는 정도 및 증기가 물로 치환되는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114) 및 증기 유로(110)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증기 포집 장치(1)는 포집 케이스(100) 내의 유체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는 팬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모듈(130)은 유입 포트(111) 근방에 마련되며, 포집 케이스(10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포집 케이스(100) 내의 공기를 유출 포트(112)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3 은 증기 포집 장치(1)와 조리 장치(2)의 사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는 증기 포집 장치(1)와 조리 장치(2)의 연결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증기 포집 장치(1)가 사용될 수 있는 조리 장치(2)의 일 예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조리 장치(2)는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조리 장치(2)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2)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뚜껑(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조리 공간 내의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 및 조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 조리 장치(2)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뚜껑(12)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조리 공간 내에 취사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12)은 본체(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뚜껑(12)은 본체(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12)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에 본체(10)의 조리 공간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소정의 배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조립체는 조리 공간 내의 증기를 배출하여 조리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공간 내의 압력을 취사에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뚜껑(12)은 상기 뚜껑(12)의 외부로 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16)를 가진 증기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커버(14)는 뚜껑(12)의 외면을 형성하며, 뚜껑(12) 내부의 배기 조립체를 덮고, 상기 배기 조립체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증기 포집 장치(1)는, 물받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200)는 증기 포집 장치(1)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저수부(210)를 가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200)는 증기 포집 장치(1)의 유출 포트(112)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유입구를 가지며, 유출 포트(112)로부터 배출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200)는 조리 장치(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증기 포집 장치(1)를 구성하는 포집 케이스(100) 및 포집 케이스(100) 내의 유로 가이드(11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도 8, 도 9 는 각각 포집 케이스(100)의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를 각각 도 2 의 X-X, Y-Y, Z-Z 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 케이스(100A)는 조리 장치(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저면은 상기 조리 장치(2)의 상부와 면하게 구성된다. 상기 유입 포트(111)는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하면에 위치하여 하방향으로 오픈된다. 조리 장치(2)와 증기 포집 장치(1)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유입 포트(111)는 조리 장치(2)의 배기 포트(16)와 맞닿아서 연통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A)는 제1 증기 유동 유로(140)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제1 증기 유동 유로(140) 내에 구비된 구획 격벽(141)을 포함한다. 구획 격벽(141)은 상기 유입 포트(111)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제1 케이스(100A) 내부 공간을 내공간부(142)와 외공간부(143)로 구획한다. 상기 내공간부(142)와 외공간부(143)는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조리 장치(2)에서 제1 케이스(100A)로 전달되는 증기는 먼저 내공간부(142) 내부로 유입된 후, 외공간부(143)로 유입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구획 격벽(141)의 전방 및 측방은 상하로 밀폐되어 있으며, 후방은 일부분(바람직하게는 하부분)이 오픈된 형태로 상기 내공간부(142)와 외공간부(143)이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포트(111)를 통해 내공간부(142)로 유입된 증기가 후방으로 배기된 후 외공간부(143)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케이스(100A)의 전방에 위치한 팬 모듈(130)로 고압 고온의 증기가 바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팬 모듈(130)에서 생성된 공기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제1 케이스(100A)에서 제2 케이스(100B)로 증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내공간부(142) 내에는 복수 개의 제1 패널(144)이 구비되어, 증기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패널(144)은 상하 방향(Z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 F1 과 같은 형태의 증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 포트(111) 상에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P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팽창 공간(P1)은, 내공간부(142) 내의 타 공간(상기 제1 패널(144)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비해서 큰 용적을 갖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서, 유입 포트(111)를 통해 전달된 증기가 상기 팽창 공간(P1)에 유입되면 급속도로 팽창하여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타 부분에 비해 큰 용적으로 갖는 팽창 공간(P1)에 먼저 증기가 유입됨으로써, 증기가 유입 포트(111)를 통해 제1 케이스(100A) 내부로 유입될 때 저항을 크게 받지 않고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장치(2)에서 증기 포집 장치(1)내로 증기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조리 장치(2)와 증기 포집 장치(1) 사이에서 증기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은 팬 모듈(1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케이스(100A)의 전방에는 팬 모듈(13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팬 모듈(130)은,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기체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케이스(100A)의 전방 단부에 소정의 오픈부(145)가 마련되며, 상기 오픈부(145)에 팬 모듈(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팬 모듈(130)에서 발생한 기체의 유동은, 유입 포트(111)에서 유입된 증기를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를 지나서 유출 포트(112)로 배기할 수 있다.
팬 모듈(130)은, 후방에 출구를 갖는 팬 케이싱(131), 상기 팬 케이싱(131)의 내부에 내장되는 소정의 블로잉 팬(132), 및 상기 팬 케이싱(131)의 출구를 오픈/클로징하는 셔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셔터(133)는, 공기 유동이 없거나, 또는 포집 케이스(100)로부터 팬 모듈(130)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에는 클로징된 상태를 가지며, 팬 모듈(130)에서 포집 케이스(100)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에는 오픈된 상태를 갖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팬 케이싱(131)의 출구는 소정의 기울임 각도를 갖고, 셔터(133)는 소정의 무게를 갖고 회동 가능하며, 팬 케이싱(131)의 출구에 안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포집 케이스(100)로부터 팬 모듈(130)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에는 셔터(133)가 팬 케이싱(131)의 출구에 안착되어 팬 케이싱(131)의 출구가 클로징되어 있으며, 팬 모듈(130)에서 포집 케이스(100)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에는 셔터(133)가 회동하여 팬 케이싱(131)의 출구가 오픈된 상태를 갖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증기가 팬 모듈(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서, 증기에 의한 팬 모듈(130)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획 격벽(141)의 전방은 밀폐되어 있으므로, 유입 포트(111)를 통해 제1 케이스(100A)로 유입된 고압 고온의 증기가 제1 케이스(100A)의 전방에 위치한 팬 모듈(130)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팬 모듈(130)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00B)는 제1 케이스(100A)의 후방 하부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2 케이스(100B)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타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00B)의 상부는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는 후술하는 제3 케이스(100C)의 상부와 연결된다.
제2 케이스(100B) 내에는 복수 개의 제2 패널(151)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패널(151)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패널(151)에 의해서 제2 케이스(100B)의 내부 공간이 지그재그 형상의 증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패널(151)은 상하 방향(Z 축 방향)으로 교대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측 방향(Y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연결되어 하단이 오픈된 제2-1 패널(151A), 하부에 연결되어 상단이 오픈된 제2-2 패널(151B)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100B) 내의 증기 유동은, 화살표 F2 와 같은 형태인, 상하로 지그재그 방향이되 일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케이스(100C)는 제2 케이스(100B)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3 케이스(100C)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3 케이스(100C)의 상면은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하부와 면할 수 있다. 상기 제3 케이스(100C)의 후방 상면은 상기 제2 케이스(100B)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케이스(100C)는 제3 증기 유로(160)를 가지며, 제3 증기 유로(160) 내에는 복수 개의 제3 패널(161)이 구비된다. 상기 제3 패널(161)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패널(161)에 의해서 제3 케이스(100C)의 내부 공간이 지그재그 형상의 증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패널(161)은 측 방향(Y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연결되어 우측이 오픈된 제3-1 패널(161A), 우측에 연결되어 좌측이 오픈된 제3-2 패널(161B)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 F3 과 같은 형태의 증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증기 유동 유로(160)의 전방부에는 제2 팽창 공간(P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팽창 공간(P2)에 의한 효과는 앞서 설명한 제1 팽창 공간(P1)에 의한 효과와 상통하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포집 장치(1) 내부의 증기의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유입 포트(111)를 통해 제1 케이스(100A) 내부로 증기가 유입된다. 증기는 제1 케이스(100A)의 내공간부(142)에서 외공간부(143)로 전달된다. 이때, 내공간부(142) 내에는 제1 패널(144)에 의해서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증기의 유동 경로가 연장되게 된다. 이때, 증기의 유동 경로는 도 5 에 도시된 화살표 F1 과 같을 수 있다.
이어서, 증기는 제1 케이스(100A)에서 제2 케이스(100B)로 전달된다. 제2 케이스(100B)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100B)를 통과하는 증기의 유동 경로 또한 연장되게 된다. 이때, 증기의 유동 경로는 도 8 에 도시된 화살표 F2 와 같을 수 있다.
이어서, 증기는 제2 케이스(100B)에서 제3 케이스(100C)로 전달된다. 제3 케이스(100C) 내에도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케이스(100C)를 통과하는 증기의 유동 경로 또한 연장되게 된다. 이때, 증기의 유동 경로는 도 9 에 도시된 화살표 F3 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증기 포집 장치(1)는,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를 포함하는 포집 케이스(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기 포집 장치(1)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구비됨으로써, 증기의 유동 경로가 연장된다. 따라서, 조리 장치의 증기 포집 장치(1) 내에서 증기가 충분히 유동하여 열 교환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화상 사고, 및 주변 가구 등의 물맺힘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포집 케이스(100)가 조리 장치(2)를 상방, 후방, 및 하방에서 둘러싸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어, 적은 공간에서 최대의 증기 유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스(100A), 제2 케이스(100B), 및 제3 케이스(100C) 내의 유로 가이드(114)는 소정의 배치를 가짐으로써, 각 케이스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각각 소정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케이스(100A)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상하 방향 지그재그 경로를 갖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며, 제2 케이스(100B)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상하 방향 지그재그 경로를 갖되 측방향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한다. 아울러, 제3 케이스(100C)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측방향 지그재그 경로를 갖되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한다. 즉,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증기 포집 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포집 케이스(100)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케이스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 유로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증기압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에 가해지는 증기압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0A), 제3 케이스(100C)의 내공간에는 유입된 증기가 팽창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P1, P2)이 마련됨으로써, 증기가 급작스럽게 저항을 받고 유동하지 않도록 하며, 충분히 팽창된 후 유동하도록 하여,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하고, 증기의 냉각 및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 포집 장치(1)를 포함한 조리 시스템(30)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의한 증기 포집 장치(1)는, 조리 장치(2)와 함께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갖는 프레임(3)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포집 장치는 프레임(3)에 내장된(embedded) 또는 매립된(buri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포집 장치(1)와 조리 장치(2)는 프레임(3)의 수납 공간(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리 장치(2)는 프레임(3)의 수납 공간(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3)의 수납 공간(20)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아울러, 증기 포집 장치는, 프레임(3)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빌트 인(built in) 구조를 갖는 조리 시스템(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증기 포집 장치
2: 조리 장치
3: 프레임
10: 본체
12: 뚜껑
14: 증기 커버
16: 배기 포트
20: 수납 공간
30: 조리 시스템
100: 포집 케이스
100A: 제1 케이스
100B: 제2 케이스
100C: 제3 케이스
110: 증기 유로
111: 유입 포트
112: 유출 포트
114: 유로 가이드
120: 패킹
130: 팬 모듈
131: 팬 케이싱
132: 블로잉 팬
133: 셔터
140: 제1 증기 유동 유로
141: 구획 격벽
142: 내공간부
143: 외공간부
144: 제1 패널
145: 오픈부
150: 제2 증기 유동 유로
151: 제2 패널
160: 제3 증기 유동 유로
161: 제3 패널
200: 물받이
210: 저수부

Claims (11)

  1. 조리 장치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 장치로서,
    상기 증기 포집 장치는,
    소정의 용적을 갖고 내부에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동 공간을 갖는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는 증기 포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증기 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는 증기 포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는,
    증기 포집 장치의 상부분을 구성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후방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는 증기 포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하면에 하방향으로 오픈되는 유입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 포트가 조리 장치의 배기 포트와 연통하는 증기 포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기체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증기 포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듈은,
    블로잉 팬, 및
    상기 블로잉 팬과 상기 제1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블로잉 팬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면 오픈되는 증기 포집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 내의 증기 유로에 의한 증기 유동 방향은 서로 상이한 증기 포집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를 둘러싸는 구획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내공간부, 및
    상기 내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내공간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외공간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 포트를 통해 유입된 증기는 상기 내공간부에서 외공간부로 유동하는 증기 포집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내의 증기 유로에 의한 증기 유동 방향은,
    상하로 지그재그 방향이되 일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3 케이스 내의 증기 유로에 의한 증기 유동 방향은,
    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방향이되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갖는 증기 포집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포집 케이스에서 유출된 물을 수용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가 형성된 물받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증기 포집 장치.
  11. 제 1 내지 제1항 중 어느 한항의 증기 포집 장치;
    상기 증기 포집 장치와 연결되는 조리 장치; 및
    상기 증기 포집 장치 및 조리 장치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1020190028267A 2019-03-12 2019-03-12 증기 포집 장치 KR10216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7A KR102165577B1 (ko) 2019-03-12 2019-03-12 증기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7A KR102165577B1 (ko) 2019-03-12 2019-03-12 증기 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37A true KR20200109137A (ko) 2020-09-22
KR102165577B1 KR102165577B1 (ko) 2020-10-14

Family

ID=7270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67A KR102165577B1 (ko) 2019-03-12 2019-03-12 증기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826A (ja) * 1992-10-29 1994-05-17 Toshiba Corp 集合形加熱装置
US6047632A (en) * 1996-06-21 2000-04-11 Moulinex S.A. Device for condensing cooking steams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090019332A (ko) * 2007-08-20 2009-02-25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140082331A (ko)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6098089B2 (ja) * 2012-09-26 2017-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逆多重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826A (ja) * 1992-10-29 1994-05-17 Toshiba Corp 集合形加熱装置
US6047632A (en) * 1996-06-21 2000-04-11 Moulinex S.A. Device for condensing cooking steams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090019332A (ko) * 2007-08-20 2009-02-25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6098089B2 (ja) * 2012-09-26 2017-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逆多重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KR20140082331A (ko)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577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2806B (zh) 电烤箱
CN106473589A (zh) 一种蒸箱
CN110115515A (zh) 用于多区烤箱的蒸汽控制系统
KR102060356B1 (ko) 조리기기
BR102019002257A2 (pt) Forno de múltiplas cavidades.
US11092343B2 (en) Zero clearance combination oven
CN110115514A (zh) 用于多区烤箱的清洁系统
KR100715042B1 (ko) 가열조리장치
KR102165577B1 (ko) 증기 포집 장치
KR102213170B1 (ko) 조리 장치
KR101307659B1 (ko)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CN214120140U (zh) 一种带有蒸烤箱的集成灶
KR102120178B1 (ko) 조리 장치
KR102126077B1 (ko) 조리 장치
KR10063479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2100392B1 (ko) 조리 장치
JP380444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60127690A (ko) 전기오븐렌지
JP2015105773A (ja) 給水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102120181B1 (ko) 조리 장치
KR102201070B1 (ko) 조리 장치
KR102120180B1 (ko) 조리 장치
KR101014436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조리기기
KR102039707B1 (ko)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CN213962954U (zh) 一种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