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70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170B1
KR102213170B1 KR1020200073921A KR20200073921A KR102213170B1 KR 102213170 B1 KR102213170 B1 KR 102213170B1 KR 1020200073921 A KR1020200073921 A KR 1020200073921A KR 20200073921 A KR20200073921 A KR 20200073921A KR 102213170 B1 KR102213170 B1 KR 10221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oking
steam
vap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440A (ko
Inventor
곽현기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7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소정의 용적을 갖고 내부에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전기 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은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 조리기기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기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므로, 조리 과정에서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증기가 생성되는 부분과, 증기를 외부로 전달하는 부분 사이가 서로 기밀하게 연결되지 아니하여, 가열 조리기기 내에서 증기가 유출되어 가열 조리기기 내부의 각종 전기, 전자 장치 등이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서, 증기를 내부에서 처리하는 소정의 증기 포집부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증기 포집부 내의 증기 처리 효율에 한계가 있어서, 증기 포집부 내에서 충분히 처리되지 못한 증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증기 포집부 내에 물이 체류하여 위생상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3-0024518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기 포집부 내의 증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소정의 용적을 갖고 내부에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 상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포트는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오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상부와 면하는 위치에 상기 배기 포트와 연통하도록 하방향으로 오픈되는 유입 포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를 둘러싸는 구획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내공간부, 및 상기 내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내공간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외공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의 상기 증기 유로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스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패널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패널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 상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 케이스는, 증기 포집 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케이스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 유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 포집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에서 유출된 물을 수용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가 형성된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를 포함하는 포집 케이스로 이루어진 증기 포집부가 마련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구비됨으로써, 증기의 유동 경로가 연장된다. 따라서, 조리 장치의 증기 포집부 내에서 증기가 충분히 유동하여 열 교환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포집 케이스가 조리부를 상방, 후방, 및 하방에서 둘러싸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어, 적은 공간에서 최대의 증기 유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 내의 유로 가이드는 소정의 배치를 가짐으로써, 각 케이스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각각 소정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증기압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에 가해지는 증기압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의 내공간에는 유입 포트를 통해 유입된 증기가 팽창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증기가 급작스럽게 저항을 받고 유동하지 않도록 하며, 충분히 팽창된 후 유동하도록 하여,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하고, 증기의 냉각 및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7 내지 9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증기의 유동을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 조리부(20), 및 증기 포집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물받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수납 공간(111)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다른 물체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함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부(20)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213)을 가지는 조리 용기(212)를 포함하는 본체(210)와,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0)에는 조리 공간(213) 내의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 및 조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8) 등 조리부(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조리 공간(213) 내에 취사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 공간(213)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220)은 본체(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에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소정의 배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조립체는 조리 공간(213) 내의 증기를 배출하여 조리 공간(213)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공간(213) 내의 압력을 취사에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뚜껑(220)은 상기 뚜껑(220)의 외부로 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221)를 가진 증기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커버(230)는 뚜껑(220)의 외면을 형성하며, 뚜껑(220) 내부의 배기 조립체를 덮고, 상기 배기 조립체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내장된(embedded) 또는 매립된(buri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부(20)의 본체(21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포집부(30)는 외부로 방출되기에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켜 증기 상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 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케이스(310)는, 제1 케이스(310A), 제2 케이스(310B), 및 ,제3 케이스(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310A)는 상부분을 구성하며 조리부(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스(310B)는 중간 부분을 구성하고 조리부(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케이스(310C)는 하부 부분을 구성하고 조리부(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10A), 제2 케이스(310B), 및 제3 케이스(310C)는 서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310A), 제2 케이스(310B), 및 제3 케이스(310C)는 서로 연통하여 하나의 유동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포집 케이스(310)는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311)를 포함하고, 증기 포집부(30)에서 냉각된 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가 유출되는 유출 포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는 제1 케이스(310A)의 저면부에 마련되며, 유출 포트(313)는 제3 케이스(310C)전단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포집 케이스(310)에 마련된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유출 포트(313)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출 포트(313)는 유입 포트(311)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증기는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는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증기 포집부(3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배기 포트(221)와 상호 연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포집부(30)는 조리부(20)와 증기 포집부(30)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 포트(311)에 장착된 패킹(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340)은 조리부(20)의 뚜껑(220)의 배기 포트(221)에 밀착되어,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330)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예를 들면, 포집 케이스(310)의 내벽에 장착된 격벽 구조일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포집 케이스(310)내에서 증기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며, 유입 포트(311)로부터 유출 포트(313)까지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증가시켜서 증기가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기 포집부(30) 내에서 증기가 냉각되는 정도 및 증기가 물로 치환되는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된 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팬(120)은 수납 공간(111) 내에서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수납 공간(111)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의 유체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는 팬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모듈(350)은 유입 포트(311) 근방에 마련되며,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포집 케이스(310) 내의 공기를 유출 포트(313)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팬 모듈(350)은, 소정의 팬(351), 및 오픈/클로징되는 셔터(35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증기 포집부(30)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증기 포집부(30)의 유출 포트(313)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유입구(410)를 가지며, 유출 포트(313)로부터 배출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40)는 조리부(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20)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1)의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1)이 마련되며, 본체(210)에는 고정 레일(15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251)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2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9)가 마련되며, 조리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수용된 제1 위치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는 조리 장치(1)의 조리 과정 시의 조리부(20)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와 증기 포집부(30)의 유입 포트(311)가 상호 연통할 수 있고, 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패킹은 배기 포트(221)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2 위치는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에 조리될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으로부터 조리가 완료된 조리 대상물을 꺼내기 적합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의 제2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20)은 프레임(10)과의 간섭 없이 회전되어 조리 공간(213)을 개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6은 물받이(40)의 반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예컨대 도 6과 같이 물받이(40)가 반출되어 물받이(40)에 고인 물이 처리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4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3)이 마련되며, 물받이(40)에는 고정 레일(15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453)이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40)의 도어(4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9)가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4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물받이(40)가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물받이(40)를 반출하여 물받이(40)의 저수된 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물받이(40)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증기 포집부(30)를 구성하는 포집 케이스(310) 및 포집 케이스(310) 내의 유로 가이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격벽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9 는 각각 포집 케이스(310)의 제1 케이스(310A), 제2 케이스(310B), 및 제3 케이스(310C)를 각각 도 2 의 X-X, Y-Y, Z-Z 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 케이스(310A)는 조리부(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310A)의 저면은 상기 조리부(20)의 상부와 면하게 구성된다. 상기 유입 포트(311)는 상기 제1 케이스(310A)의 저면에 위치하여 하방향으로 오픈된다. 조리부(20)가 프레임(10)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유입 포트(311)는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와 맞닿아서 연통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10A)는 구획 격벽(512)을 포함한다. 구획 격벽(512)은 상기 유입 포트(311)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제1 케이스(310A) 내부 공간을 내공간부(514)와 외공간부(516)로 구획한다. 상기 내공간부(514)와 외공간부(516)는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조리부(20)에서 제1 케이스(310A)로 전달되는 증기는 먼저 내공간부(514) 내부로 유입된 후, 외공간부(516)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내공간부(514) 내에는 복수 개의 제1 패널(510)이 구비되어, 증기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패널(510)은 상하 방향(Z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 F1 과 같은 형태의 증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 포트(311) 상에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P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팽창 공간(P1)은, 내공간부(514) 내의 타 공간(상기 제1 패널(51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비해서 큰 용적을 갖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서, 유입 포트(311)를 통해 전달된 증기가 상기 팽창 공간(P1)에 유입되면 급속도로 팽창하여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타 부분에 비해 큰 용적으로 갖는 팽창 공간(P1)에 먼저 증기가 유입됨으로써, 증기가 유입 포트(311)를 통해 제1 케이스(310A) 내부로 유입될 때 저항을 크게 받지 않고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부(20)에서 증기 포집부(30)내로 증기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조리부(20)와 증기 포집부(30) 사이에서 증기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케이스(310B)는 제1 케이스(310A)의 하부에 연결되며, 조리부(20)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케이스(310B)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타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310B)의 상부는 상기 제1 케이스(310A)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 케이스(310A)와 제2 케이스(310B)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한다.
제2 케이스(310B) 내에는 복수 개의 제2 패널(52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패널(52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패널(520)에 의해서 제2 케이스(310B)의 내부 공간이 지그재그 형상의 증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패널(520)은 상하 방향(Z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측 방향(Y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연결되어 하단이 오픈된 제2-1 패널(522), 하부에 연결되어 상단이 오픈된 제2-2 패널(524)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 F2 와 같은 형태의 증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케이스(310C)는 제2 케이스(310B)의 하부에 연결되며 조리부(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3 케이스(310C)는 조리부(2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3 케이스(310C)의 상면은 상기 조리부(20)의 하부와 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3 케이스(310C)의 후방 상면은 상기 제2 케이스(310B)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스(310B)와 제3 케이스(310C)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한다.
제3 케이스(310C) 내에는 복수 개의 제3 패널(530)이 구비된다. 상기 제3 패널(53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패널(530)에 의해서 제3 케이스(310C)의 내부 공간이 지그재그 형상의 증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패널(530)은 측 방향(Y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연결되어 우측이 오픈된 제3-1 패널(532), 우측에 연결되어 좌측이 오픈된 제3-2 패널(534)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 F3 과 같은 형태의 증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포집부(30) 내부의 증기의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유입 포트(311)를 통해 제1 케이스(310A) 내부로 증기가 유입된다. 증기는 제1 케이스(310A)의 내공간부(514)에서 외공간부(516)로 전달된다. 이때, 내공간부(514) 내에는 제1 패널(510)에 의해서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증기의 유동 경로가 연장되게 된다. 이때, 증기의 유동 경로는 도 7 에 도시된 화살표 F1 과 같을 수 있다.
증기는 제1 케이스(310A)에서 제2 케이스(310B)로 전달된다. 제2 케이스(310B)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310B)를 통과하는 증기의 유동 경로 또한 연장되게 된다. 이때, 증기의 유동 경로는 도 8 에 도시된 화살표 F2 와 같을 수 있다.
이어서, 증기는 제2 케이스(310B)에서 제3 케이스(310C)로 전달된다. 제3 케이스(310C) 내에도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케이스(310C)를 통과하는 증기의 유동 경로 또한 연장되게 된다. 이때, 증기의 유동 경로는 도 9 에 도시된 화살표 F3 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는, 제1 케이스(310A), 제2 케이스(310B), 및 제3 케이스(310C)를 포함하는 포집 케이스(310)로 이루어진 증기 포집부(30)가 마련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30)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 경로가 구비됨으로써, 증기의 유동 경로가 연장된다. 따라서, 조리 장치의 증기 포집부(30) 내에서 증기가 충분히 유동하여 열 교환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스(310A)는 조리부(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케이스(310B)는 조리부(2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3 케이스(310C)는 조리부(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포집 케이스(310)가 조리부(20)를 상방, 후방, 및 하방에서 둘러싸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어, 적은 공간에서 최대의 증기 유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스(310A), 제2 케이스(310B), 및 제3 케이스(310C) 내의 유로 가이드는 소정의 배치를 가짐으로써, 각 케이스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각각 소정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케이스(310A)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상하 방향 지그재그 경로를 갖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며, 제2 케이스(310B)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상하 방향 지그재그 경로를 갖되 측방향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한다. 아울러, 제3 케이스(310C) 내의 증기 유동 경로는 측방향 지그재그 경로를 갖되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한다. 즉,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증기 포집 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포집 케이스(310)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케이스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 유로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증기압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에 가해지는 증기압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310A)의 내공간에는 유입 포트(311)를 통해 유입된 증기가 팽창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P)이 마련됨으로써, 증기가 급작스럽게 저항을 받고 유동하지 않도록 하며, 충분히 팽창된 후 유동하도록 하여,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하고, 증기의 냉각 및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조리 장치
10: 프레임
20: 조리부
30: 증기 포집부
40: 물받이
210: 본체
220: 뚜껑
230: 증기 커버
310: 포집 케이스
310A: 제1 케이스
310B: 제2 케이스
310C: 제3 케이스
320: 유로 가이드
330: 증기 유로
340: 패킹
510: 제1 패널
512: 구획 격벽
514: 내공간부
516: 외공간부
520: 제2 패널
522: 제2-1 패널
524: 제2-2 패널
530: 제3 패널
532: 제3-1 패널
534: 제3-2 패널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는,
    소정의 용적을 갖고 내부에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포집 케이스 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포집 케이스는,
    증기 포집 케이스의 상부분을 구성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후방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 케이스가 상기 조리부를 상방, 후방, 및 하방에서 둘러싸는 “ㄷ”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 포트는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오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상부와 면하는 위치에 상기 배기 포트와 연통하도록 하방향으로 오픈되는 유입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포트를 통해 유입된 증기는 상기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제3 케이스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조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를 둘러싸는 구획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내공간부, 및
    상기 내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내공간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외공간부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내의 상기 증기 유로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팽창 공간이 형성된 조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스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패널이 구비되는 조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 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패널이 구비되는 조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 상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케이스는,
    증기 포집 공간을 갖는 복수 개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케이스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 유로를 갖는 조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포집부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에서 유출된 물을 수용하며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가 형성된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리 장치.
KR1020200073921A 2020-06-17 2020-06-17 조리 장치 KR10221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21A KR102213170B1 (ko) 2020-06-17 2020-06-17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21A KR102213170B1 (ko) 2020-06-17 2020-06-17 조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422A Division KR102126077B1 (ko) 2018-12-11 2018-12-11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40A KR20200078440A (ko) 2020-07-01
KR102213170B1 true KR102213170B1 (ko) 2021-02-05

Family

ID=7160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21A KR102213170B1 (ko) 2020-06-17 2020-06-17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9158A1 (de) * 2021-12-01 2023-06-0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dampfgargerät mit dampfbehandlungsschubla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249A (ja) * 1996-06-21 2001-06-05 ムーリネツクス・ソシエテ・アノニム 加熱調理用蒸気凝縮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用器具
JP2010035979A (ja) * 2008-08-08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920A (ja) * 1990-09-10 1992-04-17 Tiger Vacuum Bottle Co Ltd 炊飯器
JP3118914B2 (ja) * 1991-12-02 2000-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排出ファン付収納庫
JPH06296558A (ja) * 1993-04-13 1994-10-25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炊飯器等の載置台
KR20130024518A (ko)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리홈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249A (ja) * 1996-06-21 2001-06-05 ムーリネツクス・ソシエテ・アノニム 加熱調理用蒸気凝縮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用器具
JP2010035979A (ja) * 2008-08-08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9158A1 (de) * 2021-12-01 2023-06-0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dampfgargerät mit dampfbehandlungsschu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40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3589B (zh) 一种蒸箱
CN208582202U (zh) 一种蒸箱烤箱一体机
US7341055B2 (en) Overheated steam oven
CN105286489B (zh) 全能厨艺机
CN206675401U (zh) 一种蒸箱
KR100715042B1 (ko) 가열조리장치
CN109965676A (zh) 一种蒸箱烤箱一体机
CN206303708U (zh) 一种环保节能蒸柜
KR102213170B1 (ko) 조리 장치
CN110881846A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及其内胆烘干方法
KR102556755B1 (ko) 오븐
CN110115514A (zh) 用于多区烤箱的清洁系统
KR101307659B1 (ko)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20060129118A (ko) 가열조리장치
CN212408755U (zh) 烹饪设备
KR102120178B1 (ko) 조리 장치
KR102100392B1 (ko) 조리 장치
KR102126077B1 (ko) 조리 장치
CN212368786U (zh) 一种蒸烤一体机
KR10063479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2201070B1 (ko) 조리 장치
KR102165577B1 (ko) 증기 포집 장치
KR102120180B1 (ko) 조리 장치
KR102120181B1 (ko) 조리 장치
CN211795864U (zh) 一种烹饪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