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518A -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518A
KR20130024518A KR1020110088007A KR20110088007A KR20130024518A KR 20130024518 A KR20130024518 A KR 20130024518A KR 1020110088007 A KR1020110088007 A KR 1020110088007A KR 20110088007 A KR20110088007 A KR 20110088007A KR 20130024518 A KR20130024518 A KR 2013002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ressure cooker
lid
discharged
coo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to KR102011008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518A/ko
Publication of KR2013002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시 압력밥솥에서 배기되는 증기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를 냉각하여 외기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압력밥솥의 뚜껑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취사시 고온의 증기를 냉각시켜 외기로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로서, 상기 뚜껑 커버의 내부에는 일정공간을 갖으며 송풍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와 연통된 송풍팬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밀폐공간으로 공급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선회시켜 상기 증기를 냉각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Steam cooling Apparatus for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시 압력밥솥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증기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를 냉각하여 외기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압력에 의하여 취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뚜껑이 완전히 닫혔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취사 시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과 동시에 취사 과정에서 밥솥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고온(일반적으로 80℃이상), 고압으로 되기 때문에 취사 완료 후 뚜껑이 완전히 개방되기 전에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상태에서 증기배출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해제상태에서 증기배출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는 밥솥 본체(10)와, 밥솥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솥(20)과, 밥솥 본체(10)에 힌지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밥솥 본체(10)와 내솥(20)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
밥솥 본체(10)는 내솥(20)이 삽입되는 공간 외에도 각종 부품 즉, 히터, 제어회로부 등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갖는다.
내솥(20)은 상부가 개방되어 쌀 등의 조리물을 수용하며, 상단 가장자리에는 걸림돌기(21)가 외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있다.
뚜껑(30)은 외관을 이루는 뚜껑 본체(31)와, 이 뚜껑 본체(31)에 결합되는 뚜껑 프레임(33)과, 이 뚜껑 프레임(33)에 결합되어 내솥(20)을 개폐하는 내솥 뚜껑(34)으로 구성되며, 내솥 뚜껑(34)을 내솥(20)에 대하여 닫힌 상태로 잠그는 내솥 뚜껑 잠금수단과, 내솥 뚜껑 잠금수단에 의한 뚜껑 잠금 여부를 감지하는 내솥 뚜껑 잠김여부 감지수단 및, 내솥(20)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다.
한편, 증기배출수단은 뚜껑 본체(31)의 일측에서 상단이 뚜껑 본체(31)의 상면에 이르며, 하단이 내솥(20)의 상단부에 이르는 증기배출관(61)과, 증기배출관(61)의 상단에 얹혀지는 압력추(62) 및, 내솥 뚜껑 개폐손잡이(43)에 연동하여 압력추(62)를 들어올리는 압력추 작동 레버(63)로 구성된다.
압력추 작동 레버(63)는 그 중간부가 뚜껑 프레임(33)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편(64)에 힌지핀(64a)으로 회동가능하게 시소형으로 지지되고, 일단은 내솥 뚜껑 개폐손잡이(43)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캠부(43a)에 접하며, 타단은 압력추(62)의 저면 일측에 접하는 압력추 들편(65)에 접한다.
압력추 들편(65)은 뚜껑 본체(31)에 고정되어 증기배출관(61)을 지지하는 브라켓(66)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내솥 뚜껑(34)이 잠기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취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내솥(20)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압력추(62)가 들려서 증기와 공기가 증기배출관(6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취사가 진행된다.
이때, 압력추 작동 레버(63)의 일단부가 내솥 뚜껑 개폐손잡이(43)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캠부(43a)의 상단위치에 접하고 있으므로 압력추 작동 레버(63)는 자중과 압력추 들편(65)의 자중에 의해 압력추 들편(65)측이 하강하게 되어 압력추(62)는 증기배출관(61)의 상단부에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취사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뚜껑(30)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뚜껑(30) 전체를 열기전에 개폐손잡이(43)를 일방향으로 돌려 그 하단에 결합된 회동 레버(41)가 이동하게 되면, 회동 레버(41)의 선단에 결합된 내솥 뚜껑 잠금링(42)이 회전하면서 잠금돌기(42a)가 내솥(20)의 걸림돌기(21)에서 이탈되어 내솥 뚜껑(34)이 내솥(20)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때, 개폐손잡이(43)를 돌려 내솥 뚜껑(34)의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개폐손잡이(43)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캠부(43a)가 압력추 작동 레버(63)를 밑으로 누르게 되고 회동 레버(41)가 이동하게 되면 작동 레버(63)의 일단부가 완전히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타단부에 접하고 있는 압력추 들편(65)이 상승하면서 압력추(62)를 들어올려 증기배출관(61)을 개방하므로 증기 및 잔류공기가 증기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솥 뚜껑(34)의 잠금 상태에서는 압력추(62)가 증기배출관(61)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내솥 뚜껑(34)의 해제 상태에서는 압력추(62)가 증기배출관(61)의 상단에서 들려져 취사 완료 후, 뚜껑(30) 전체를 열기 전에 미리 잔류 증기 및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전기압력밥솥은 사용자가 부주의로 압력추(62)를 개방시키거나, 취사 중 증기가 배출될 때 주변에 사람(특히,유아) 등이 있는 경우에 고온의 증기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취사시 압력밥솥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증기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를 냉각하여 외기로 배출할 수 있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력밥솥의 뚜껑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취사시 고온의 증기를 냉각시켜 외기로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로서, 상기 뚜껑 커버의 내부에는 일정공간을 갖으며 송풍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와 연통된 송풍팬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밀폐공간으로 공급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선회시켜 상기 증기를 냉각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토출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밀폐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과 상기 배기구의 상부로는 다수의 슬릿공이 형성된 그릴부가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송풍구와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밀폐공간의 일측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송풍구를 통해 토출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증기배출수단의 주변을 선회하고 상기 배기구로 토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수단의 상부는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밀폐공간의 상부로는 탈착이 가능한 탑 커버가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밥솥의 뚜껑 본체 상에 송풍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통해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어 취사시 고온의 증기가 갑작스럽게 토출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상태에서 증기배출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 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해제상태에서 증기배출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탑 커버와 그릴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그릴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의 냉각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의 탑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탑 커버와 그릴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그릴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의 냉각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냉각장치는, 송풍팬(140)이 밀폐공간(200)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밀폐공간(200)에는 송풍구(210)와 배기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210)에는 송풍팬(140)의 토출 측이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밀폐공간(200)에는 증기배출수단이 형성되는데, 도 2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20) 및 압력추(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증기배출수단은 취사시 내부의 증기(고온상태, 통상 80℃이상)를 외부로 배기하는 통상의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10은 통상의 개폐 레버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증기 냉각장치는 송풍팬(140)을 통해 외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210)를 통해 공급한다. 송풍된 공기(외기)는 밀페공간(200)의 내부공간의 내측 테두리, 구체적으로 압력추(130)와 솔레노이드 밸브(12)의 주변을 선회하여 배기구(220)로 토출하게 된다(도 5참조). 이때, 송풍구(210)와 배기구(220)에는 패킹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기를 밀폐공간(200)으로 공급함으로써 일정형태(U 형)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류를 통해 압력추(130) 등과 같이 증기배출수단에서 토출된 고온의 증기는 밀폐공간(200)의 내부에서 선회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류에 편승된 증기는 점차 냉각(80℃ 이상에서 40℃이하)되고, 냉각된 상태의 증기는 기류를 따라 배기구(220)로 토출됨으로써 외기로 배기되는 일련의 과정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밀페공간(200)은 도 3과 같이 탑 커버(500)가 상부에 장착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개방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뚜껑본체(100)의 내부에는 일정공간의 밀폐공간(20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밀폐공간(200)은 탑 커버(500)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4)의 상부로는 그릴부(40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그릴부(400)는 다수의 슬릿공이 형성되고, 기체의 흡입 및 배기에 따라 급기부(410)와 토출부(42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급기부(410)는 송풍팬으로 외기가 급기되는 채널이고, 토출부(420)는 냉각과정을 거친 증기가 배출되는 채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의 탑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탑 커버(500)에는 상판부(510)와 테두리부(520)로 구분되고, 이 테두리부(520)에는 고정돌기(530)가 형성되어 밀폐공간(200)의 내측에 고정 및 이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에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사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증기가 압력추(130)나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 마이컴(미도시)에서는 송풍팬(130)을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외기는 송풍구(210)를 통해 공급되어 밀폐공간(200)의 내측 테두리를 타고 선회되어 배기구(220)로 토출된다. 이때 배출된 고온의 증기도 송풍팬(130)를 통해 형성된 기류를 타고 밀폐공간(200)을 선회하고 이때 증기의 온도가 떨어지는 냉각작용(40℃이상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류에 편승되어 밀폐공간(200)에서 선회하는 증기는 열을 외기에 빼앗긴 상태(냉각작용)로 배기구(220)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밀폐공간(200)의 상방으로는 탈착이 가능한 탑 커버(500)가 장착되고 송풍팬(140)의 상방으로는 그릴부(400)가 장착됨으로써 추후 유지보수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뚜껑 본체 110: 개폐 레버
120: 솔레노이드 밸브 130: 압력추
140: 송풍팬 200: 밀폐공간
210: 송풍구 220: 배기구
400: 그릴부 410: 급기부
420: 토출부 500: 탑커버

Claims (5)

  1. 압력밥솥의 뚜껑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취사시 고온의 증기를 냉각시켜 외기로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로서,
    상기 뚜껑 커버의 내부에는 일정공간을 가지며 송풍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와 연통된 송풍팬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밀폐공간으로 공급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선회시키는 것으로 상기 증기를 냉각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냉각된 상기 증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기를 배기하는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배기구의 상부로는 다수의 슬릿공이 형성된 그릴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와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밀폐공간의 일측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송풍구를 통해 토출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증기배출수단의 주변을 선회하여 상기 배기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수단의 상부는 개방되고, 이 개방된 상기 밀폐공간의 상부로는 탈착이 가능한 탑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KR1020110088007A 2011-08-31 2011-08-31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KR20130024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07A KR20130024518A (ko) 2011-08-31 2011-08-31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07A KR20130024518A (ko) 2011-08-31 2011-08-31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18A true KR20130024518A (ko) 2013-03-08

Family

ID=4817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07A KR20130024518A (ko) 2011-08-31 2011-08-31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51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8336A (zh) * 2014-09-12 2014-12-3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冷却的压力烹饪装置
CN105054775A (zh) * 2015-08-06 2015-11-1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KR20160080145A (ko) 2014-12-29 2016-07-07 이소영 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CN105902150A (zh) * 2016-06-27 2016-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排气开盖装置及其工作方法、电压力锅
CN106000228A (zh) * 2016-06-07 2016-10-12 淮南市鸿裕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蒸压釜对折式防护装置
CN106108630A (zh) * 2016-09-19 2016-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压力锅及其锅盖总成
KR102067468B1 (ko) * 2018-08-31 2020-01-17 (주)에이엔에이치 가열식 가습기 덮개 및 이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
KR20200071562A (ko) 2018-12-11 2020-06-19 (주)쿠첸 조리 장치
KR20200078440A (ko) 2020-06-17 2020-07-01 (주)쿠첸 조리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8336A (zh) * 2014-09-12 2014-12-3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冷却的压力烹饪装置
KR20160080145A (ko) 2014-12-29 2016-07-07 이소영 식빵을 이용한 고로케 제조방법
CN105054775A (zh) * 2015-08-06 2015-11-1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6000228A (zh) * 2016-06-07 2016-10-12 淮南市鸿裕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蒸压釜对折式防护装置
CN105902150A (zh) * 2016-06-27 2016-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排气开盖装置及其工作方法、电压力锅
CN106108630A (zh) * 2016-09-19 2016-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压力锅及其锅盖总成
KR102067468B1 (ko) * 2018-08-31 2020-01-17 (주)에이엔에이치 가열식 가습기 덮개 및 이를 이용한 가열식 가습기
KR20200071562A (ko) 2018-12-11 2020-06-19 (주)쿠첸 조리 장치
KR20200078440A (ko) 2020-06-17 2020-07-01 (주)쿠첸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4518A (ko)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TWI595852B (zh) Heating conditioner
EP3107435A1 (en) Multi-zoned clamshell charbroiler
JPH0675534B2 (ja) 炊飯装置
KR100473941B1 (ko) 연속취반이 가능한 취반기
JPS5944528A (ja) 加熱調理器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100828638B1 (ko)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CN109312956B (zh) 烧水器
KR102607083B1 (ko)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KR200367548Y1 (ko) 석쇠 회전식 구이기
JP4755212B2 (ja) 厨芥処理機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JP3599660B2 (ja) 炊飯器
KR101292829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숯 착화장치
KR20180026167A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 어셈블리
JPH0572207B2 (ko)
JP5203257B2 (ja) 加熱調理器
JPH0531409B2 (ko)
JPH10295554A (ja) ホットプレート
KR200371476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배기장치
JPS596166Y2 (ja) 加熱調理器
KR19980022666U (ko) 오븐렌지의 냉각장치
KR200365081Y1 (ko) 자동식 밤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