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638B1 -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638B1
KR100828638B1 KR1020060118103A KR20060118103A KR100828638B1 KR 100828638 B1 KR100828638 B1 KR 100828638B1 KR 1020060118103 A KR1020060118103 A KR 1020060118103A KR 20060118103 A KR20060118103 A KR 20060118103A KR 100828638 B1 KR100828638 B1 KR 10082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diameter
air inlet
steam
opening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용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직경이 작은 중앙의 소직경부와, 각각 소직경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뚜껑의 상부로 연통되는 직경이 큰 증기배출부 및 외기유입부와, 소직경부에서 연장되어 하단부가 뚜껑의 하부로 연통되는 내기유입부로 이루어져, 뚜껑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벤츄리통로; 상기 벤츄리통로 상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개폐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수단; 및 상기 외기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직경부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취사완료 후 보온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고온의 증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취사완료 후 밥을 신속하게 식혀서 적정보온온도까지의 도달시간을 단축시키고 내솥의 벽면 등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밥맛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제거됨에 따라 취사완료 후의 밥을 오랫동안 양호한 밥맛을 유지하는 상태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내기유입부, 소직경부, 솔레노이드밸브, 벤츄리통로, 송풍팬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Steam Discharging Structure for Electric Pressurised Ricecooker}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 뚜껑 145: 내기유입부
151: 소직경부 153: 증기배출부
155: 벤츄리통로 157: 외기유입부
165, 185: 개폐수단 175: 메인배출통로
180: 송풍팬 195: 압력제어통로
195': 압력제어부 205: 압력제어수단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완료 후 보온단계에서 내부의 증기를 밥솥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히터가열방식 또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밥짓기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기밥솥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10)와, 가열부의 열을 전달받아 조리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내솥(20)과, 가열부와 내솥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로 개방되는 하우징(30)과, 하우징 상부에 힌지로 고정되어 개구부를 여닫는 뚜껑(4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기압력밥솥은 내솥이 위치하게 되는 내부공간이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취사를 진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취사를 완료하는 단계에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배출구조체가 밥솥의 뚜껑에 포함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증기배출구조체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뚜껑(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증기배출통로(51)와, 뚜껑(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증기배출통로에서 분기하여 뚜껑 상부로 연장되는 압력제어용 증기배출통로(61)와, 증기배출통로(51) 상에 설치되어 취사중에 내부공간을 고압상태로 유지하도록 증기배출통로를 폐쇄하고 취사완료 단계에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증기배출통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55), 및 솔레노이드밸브(55)와 병렬로 배치되도록 압력제어용 증기배출통로(61) 상에 설치되어 설정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증기가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중에 내부공간을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제어수단(6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증기배출구조체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은 취사중에 압력제어수단(65)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며, 취사가 완료되는 단계에서 전기적 제어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55)를 개방하여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의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뜸들이는 과정을 거친 후 취사를 완료하게 되고, 취사완료와 동시에 자동으로 보온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보온상태에서 오랫동안 밥맛을 유지하기 하려면, 취사완료상태의 밥을 가능한 한 빨리 보온적정온도로 식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조건이 된다. 따라 서, 일반가정에서 밥을 지을 때, 통상 취사가 완료되면 뚜껑을 개방하여 밥을 골고루 섞으면서 뒤집어줌으로써, 밥을 빨리 식힘과 동시에 증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지만, 취사완료 후 별도로 밥을 뒤집어 주지 않은 상태에서 상당한 시간이 지난 이후에 밥을 먹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증기배출구조체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55)를 개방했을 때 내외부 간의 압력차가 큰 개방상태의 초기에는 증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지만 압력차가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증기배출속도는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증기배출구조체를 갖는 전기압력밥솥은 증기배출속도가 일정 정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취사가 완료됨과 동시에 되고 보온모드로 전환되고, 보온모드에서도 계속해서 잔여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55)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증기배출속도가 떨어지면, 취사완료된 상태의 밥이 위치하는 내부공간에 많은 증기가 잔류한다는 것을 의미함과 더불어 밥이 적정보온온도까지 식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잔류증기의 과다로 인해 밥의 온도하강과 더불어 내솥의 벽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결로현상의 발생은 적정보온온도까지의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밥맛을 저하시키는 큰 원인이 된다 할 수 있다. 즉, 취사완료 후 보온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별도로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밥을 뒤집어 준 경우에는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있겠으나, 별도로 밥을 뒤집어 주지 않은 경우에는 밥맛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며, 따라서 보온모드에서 밥을 오랫동안 양호한 밥맛을 유지하도록 보존하는데 큰 문제 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취사완료 후 보온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증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중앙의 소직경부와, 각각 소직경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뚜껑의 상부로 연통되는 직경이 큰 증기배출부 및 외기유입부와, 소직경부에서 연장되어 하단부가 뚜껑의 하부로 연통되는 내기유입부로 이루어져, 뚜껑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벤츄리통로;
상기 벤츄리통로 상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개폐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수단; 및
상기 외기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직경부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벤츄리통로의 내기유입부 상에 설치되는 하나의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벤츄리 통로의 증기배출부 및 상기 외기유입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유입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팬과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벤츄리통로는 증기배출부의 개폐수단과 소직경부 사이의 위치에서 분기되는 압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는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부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중앙의 소직경부(151)와, 각각 소직경부(151) 양측으로 연장되어 뚜껑(140)의 상부로 연통되는 직경이 큰 증기배출부(153) 및 외기유입부(157), 그리고 소직경부(151)에서 연장되어 뚜껑(140)의 하부로 연통되는 내기유입부(145)로 이루어져, 뚜껑(1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벤츄리통로(155)를 사용하여, 뚜껑(1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통기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벤츄리통로(155)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는데 유체역학적 '연속의 원리'와 '베르누이 정리'에 따른 유동특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기유입부(145) 상에는 자동으로 개폐제어되는 개폐수단(165)이 설치되며, 개폐수단(165)으로는 전기적 제어가 용이한 솔레노이드벨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기유입부(157) 내부에는 소직경부(151)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80)이 설치된다.
한편, 뚜껑(1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메인배출통로(175)가 구비되며, 이 메인배출통로(175) 상에는 역시 자동으로 개폐제어되는 개폐수단(185)이 설치되며, 개폐수단(185)으로는 역시 전기적 제어가 용이한 솔레노이드벨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뚜껑(1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압력제어통로(195)가 구비되며, 이 압력제어통로(195) 상에는 설정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증기가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중에 내부공간을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제어수단(205)이 설치된다. 여기서, 압력제어수단(205)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기계적으로 개폐를 반복하면서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추 형태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에서의 증기배출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취사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벤츄리통로(155)의 내기유입부(145)에 설 치되는 개폐수단(165)과 메인배출통로(175)에 설치되는 개폐수단(185)은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고압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압력제어수단(205)을 통해 내부공간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취사완료단계에 진입하게 되면 1차적으로 메인배출통로(175)에 설치된 개폐수단(185)만을 개방하여 고압상태의 증기가 메인배출통로(17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증기가 배출되기 시작한 후 내외부간의 압력차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뜸들이는 과정을 병행한 후 취사를 완료하게 되고, 메인배출통로(175)에 설치된 개폐수단(185)은 계속해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가운데 취사완료와 동시에 자동으로 보온모드로 전환된다.
보온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벤추리통로(155)의 내기유입부(145)에 설치된 개폐수단(165)이 개방됨과 동시에 송풍팬(180)이 작동하여 벤츄리통로(155)의 소직경부(151)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송풍팬(180)의 작동으로 소직경부(151)를 향한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벤츄리통로(155)의 소직경부(151) 영역은 '연속의 원리' 및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유동의 속도는 증가하지만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소직경부(151)에 저압이 형성됨에 따라 밥솥 내부공간의 잔여 증기는 소직경부(151)에 연결되는 내기유입부(145)와 소직경부(151) 및 증기배출부(153)를 통해 더욱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내부공간과 벤츄리통로(155)의 소직경부(151)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압력차로 인해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고 온의 증기가 더욱 신속하게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는 역시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부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의 경우와 달리, 별도의 메인배출통로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 벤츄리통로(155)의 증기배출부(153)가 메인배출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증기배출부(153) 및 외기유입부(157) 상에는 각각 자동으로 개폐제어되는 개폐수단(165)(185)이 하나 씩 설치되며, 이와 같은 개폐수단(165)(185)으로는 마찬가지로 전기적 제어가 용이한 솔레노이드벨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기유입부(157) 내부에는 소직경부(151)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80)이 설치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기유입부(157)에 설치되는 개폐수단(165)은 송풍팬(180)과 소직경부(151)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취사중에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고압이 송풍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뚜껑(14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압력제어통로(195)가 구비되며, 이 압력제어통로(195) 상에는 설정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증기가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중에 내부공간을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제어수단(205)이 설치된다. 여기서, 압력제어수 단(205)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기계적으로 개폐를 반복하면서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추 형태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는 역시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부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 예의 경우와 달리, 별도의 압력제어통로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 벤츄리통로(155)가 증기배출부(153)에서 분기되어 뚜껑의 상부로 연통되는 연장되는 압력제어부(195')를 갖도록 하여, 압력제어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압력제어부(195')는 증기배출부(153)에 설치되는 개폐수단(185)으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소직경부(151) 사이의 위치에서 분기하여 뚜껑(140) 상부로 연장되며, 이 압력제어부(195') 상에는 마찬가지로 설정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증기가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중에 내부공간을 설정된 일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제어수단(205)이 설치된다. 여기서, 압력제어수단(205)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기계적으로 개폐를 반복하면서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추 형태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에서의 증기배출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취사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벤츄리통로(155)의 외기유입부(157)와 증기배출부(153)에 각각 설치되는 개폐수단(165)(185)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고압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압력제어부(195')에 설치되는 압력제어수단(205)을 통해 내부공간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취사완료단계에 진입하게 되면 1차적으로 증기배출부(153)에 설치된 개폐수단(185)만을 개방하여 고압상태의 증기가 내기유입부(145)와 소직경부(151) 및 증기배출부(153)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증기가 배출되기 시작한 후 내외부간의 압력차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뜸들이는 과정을 병행한 후 취사를 완료하게 되고, 증기배출부(153)에 설치된 개폐수단(185)은 계속해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가운데 취사완료와 동시에 자동으로 보온모드로 전환된다.
보온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외기유입부(157)에 설치된 개폐수단(165)이 개방됨과 동시에 송풍팬(180)이 작동하여 소직경부(151)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송풍팬(180)의 작동으로 소직경부(151)를 향한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벤츄리통로(155)의 소직경부(151) 영역은 '연속의 원리' 및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유동의 속도는 증가하지만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소직경부(151)에 저압이 형성됨에 따라 밥솥 내부공간의 잔여 증기는 소직경부(151)에 연결되는 내기유입부(145)와 소직경부(151) 및 증기배출부(153)를 통해 더욱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내부공간과 벤츄리통로(155)의 소직경부(151)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압력차 로 인해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고온의 증기가 더욱 신속하게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취사완료 후 보온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고온의 증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밥을 신속하게 식혀서 적정보온온도까지의 도달시간을 단축시키고 내솥의 벽면 등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밥맛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제거됨에 따라 취사완료 후의 밥을 오랫동안 양호한 밥맛을 유지하는 상태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직경이 작은 중앙의 소직경부와, 각각 소직경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뚜껑의 상부로 연통되는 직경이 큰 증기배출부 및 외기유입부와, 소직경부에서 연장되어 하단부가 뚜껑의 하부로 연통되는 내기유입부로 이루어져, 뚜껑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벤츄리통로;
    상기 벤츄리통로 상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개폐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수단; 및
    상기 외기유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직경부를 향해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통로의 내기유입부 상에 설치되는 하나의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통로의 증기배출부 및 상기 외기유입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팬과 상기 소직경부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통로는 증기배출부의 개폐수단과 소직경부 사이의 위치에서 분기되는 압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6.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KR1020060118103A 2006-11-28 2006-11-28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KR10082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103A KR100828638B1 (ko) 2006-11-28 2006-11-28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103A KR100828638B1 (ko) 2006-11-28 2006-11-28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638B1 true KR100828638B1 (ko) 2008-05-09

Family

ID=3965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103A KR100828638B1 (ko) 2006-11-28 2006-11-28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775A (zh) * 2015-08-06 2015-11-1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WO2018032542A1 (zh) * 2016-08-19 2018-02-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装置
CN108618594A (zh) * 2017-03-17 2018-10-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压力锅及快速排气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501A (ko) * 2002-09-18 2004-03-24 글로벌광통신 (주) 스테이서 및 슬롯을 사용하는 인입용 광섬유케이블
KR20040057770A (ko) * 2002-12-26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501A (ko) * 2002-09-18 2004-03-24 글로벌광통신 (주) 스테이서 및 슬롯을 사용하는 인입용 광섬유케이블
KR20040057770A (ko) * 2002-12-26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775A (zh) * 2015-08-06 2015-11-1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WO2018032542A1 (zh) * 2016-08-19 2018-02-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装置
CN108618594A (zh) * 2017-03-17 2018-10-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压力锅及快速排气控制方法
CN108618594B (zh) * 2017-03-17 2023-08-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压力锅及快速排气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6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steam distribution in a steam cooker
US7923663B2 (en) Composite cooking apparatus
ES2221885T5 (es) Dispositivo de horno y procedimiento de mando de horno.
WO2006013784A1 (ja) 蒸気調理器
CN105193247B (zh) 一种多功能智能烹饪机的导风系统
CN1981682A (zh) 快速降压的电压力锅
CN203168843U (zh) 具有风冷机构的电压力器具
KR100828638B1 (ko)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조체
CN101297739A (zh) 一种烹饪器具
JP2007010189A (ja) 加熱調理器
CN108617919A (zh) 预约保鲜方法及预约保鲜装置
CN201216465Y (zh) 烹饪器具
JP2008142229A (ja) 炊飯器
CN104799680A (zh) 气流搅拌电饭煲
KR10063479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AU2015202520B2 (en) Kitchen Appliance with a Heatable Volume with an Improved Energy Efficiency
JPS5944530A (ja) 加熱調理器
CN209153100U (zh) 一种蒸箱微波炉一体机的风道系统
JP2004198007A (ja) 加熱調理器
CN103720344A (zh) 一种蒸汽加热炉
KR100667203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히터 제어 방법
CN102589016B (zh) 一种多功能光波炉
JP2004097068A (ja) 冷凍生地を用いたパンの調理装置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CN215687015U (zh) 一种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