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083B1 -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 Google Patents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083B1
KR102607083B1 KR1020170000562A KR20170000562A KR102607083B1 KR 102607083 B1 KR102607083 B1 KR 102607083B1 KR 1020170000562 A KR1020170000562 A KR 1020170000562A KR 20170000562 A KR20170000562 A KR 20170000562A KR 102607083 B1 KR102607083 B1 KR 10260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raising
opening
cooling
residua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868A (ko
Inventor
김현영
이진욱
이현철
성연수
강지혜
김주민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의 승하강 동작을 통하여 발열체의 사용후 냉각이 잔열 냉각이 용이한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 및 양측이 개방된 통풍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통풍구와 마주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판넬; 상기 각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부; 상기 통풍구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팬; 및 상기 발열체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발열체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발열체를 승하강시켜 조리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열체의 사용 후 냉각에 있어서는, 보다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열체의 사용시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발열체의 열이 상판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electronic range capable of cooling dacay heat}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체의 승하강 동작을 통하여 발열체의 사용후 냉각이 잔열 냉각이 용이한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의 조리시 조리기구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로 변환하는 발열체가 구비되는 레인지 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발열체를 이용한 레인지 장치는 사용 후 발열체의 잔열이 비교적 오래 남아있기에, 남아있는 잔열에 의하여 화상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고는 레인지 사용 후 발열체에 남아있는 잔열을 바로 냉각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이하, 관련 선행기술을 살펴본다.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발열체와 하우징의 상하부의 공간으로 팬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발열체의 냉각을 행한다.
그러나, 발열체가 상판과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발열체의 열이 상판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즉, 발열체의 냉각을 위한 공간을 상판과 발열체 사이에 둠으로서, 오히려 조리기구 본연의 효과를 저하시키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발열체와 상판 사이를 이격시키되, 이격된 사이로 열이 누출되지 않도록 막고, 이에 냉각기류 배출구를 형성하여 공기가 유동하여 냉각되도록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냉각기류 배출구로는 공기가 유입될 수 없어, 발열체의 하부에 팬을 배치시키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발열체 중앙 하부로부터 발열체를 통과하여 발열체의 양단으로 유동하여야 하기에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냉각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556,802 B1 특허문헌 2: KR 565,246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시의 열효율을 유지하고, 전기레인지 사용 후 남아있는 잔열을 신속히 냉각하여, 잔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 및 양측이 개방된 통풍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통풍구와 마주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판넬; 상기 각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부; 상기 통풍구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팬; 및 상기 발열체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체, 상기 개폐부, 상기 팬 및 상기 승하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의 동작이 정지하면,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양 통풍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발열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팬을 동작시키며,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의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발열체를 상기 상판 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팬을 정지시키며, 상기 개폐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는 힌지동작이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팬으로부터의 동작에 따른 풍압의 인가 또는 해제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발열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외부로 출몰동작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출몰동작에 의해 상기 발열체의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구 중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 측에 위치하는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에 의하면, 발열체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발열체를 승하강시켜 조리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열체의 사용 후 냉각에 있어서는, 보다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열체의 사용시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발열체의 열이 상판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의 사시도로서, 덕트를 제외하고, 상판을 분리하여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의 덕트부를 제외하고, I-I선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발열체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발열체의 동작이 정지하고 냉각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 겸용 레인지는 하우징(100), 발열체(200), 판넬(300), 개폐부(400), 팬(150) 및 승하강수단(2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태이며, 또한 그 양측이 개방된 통풍구(130, 140)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통풍구(130, 140)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갯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각 통풍구(130, 140)는 제1통풍구(130) 및 제2통풍구(140)로 나뉘어 칭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판(110)이 위치하여,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상판(110)의 상부면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발열체(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발열체(20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나, 인가되는 전력을 열로 변환하는 코일 등의 발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할 승하강수단(250)에 의해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발열체(2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상판(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통하여, 상판(110)의 상부면에 위치한 조리기구로 전달됨으로써 조리기구에 수용된 음식물 등의 조리가 가능하다.
판넬(300)은 발열체(200)와 상판(110)의 사이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발열체(200)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며, 발열체(200)이 상승한 경우 발열체(200)와 하우징(100) 내부를 구획한다.
판넬(300)의 양측에는, 판넬(300)의 일부가 개방된 개구부(310)가 위치하며, 양측 개구부(310)는 각각, 하우징(100)에 형성된 양측의 통풍구(130, 140) 측을 향하여 마주하도록 개방된다(도 4 참조).
개폐부(400)는 개구부(310) 측에 위치하여 개구부(3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400)의 일측에 연결된 샤프트(미도시) 등을 통하여 힌지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도 3 및 도 4 참조), 판넬(300)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개구부(31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400)는 이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개폐부(4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수동으로 동작이 가능할 수 있고, 특히, 상기와 같이 힌지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후술할 팬(150)으로 송풍되는 풍압의 인가 또는 해제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팬(150)은 하우징(100) 일측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상기 통풍구(130, 140) 중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통풍구(130, 140)로부터 발열체(200) 측을 향하여 송풍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150)이 제2통풍구(140) 측에 위치하여, 회전동작에 의해 제1통풍구(130)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팬(150)은 제1통풍구(130) 측에 설치되어 그 회전 동작에 의해 제2통풍구(140)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승하강수단(250)은, 발열체(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발열체(200)의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하강수단(250)은 발열체(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실린더(251) 및 실린더(251)의 내외부를 출몰동작 가능한 실린더 로드(252)로 구성된다.
발열체(200)의 하부에 지지판(210)이 구비되고, 실린더 로드(252)의 일측이 지지판(210)에 연결되고, 실린더 로드(252)의 출몰동작에 의해 발열체(200)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다. 다만, 실린더 로드(252) 일측이 판넬(300) 또는 발열체 하부(200)와 연결되어, 발열체(200)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200), 개폐부(400), 승하강수단(250) 및 팬(150)의 동작, 즉, 발열체(200)의 발열, 개폐부(400)의 개폐, 승하강수단(250)의 동작 및 팬(150)의 송풍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의 동작을 설명하되, 발열체(200)가 동작하는 상태(도 3)로부터 설명한다.
상기 발열체(200), 개폐부(400), 승하강수단(250) 및 팬(150)의 동작은, 상판(110)에 위치하며 제어부와 연결된 조작부(12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설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열체(200)의 동작 상태 즉,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발열체(200)가 상판(110) 측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발열체(200) 주위에 위치하는 판넬(300) 및 개폐부(400)에 의해 발열체(200)와 하우징(100) 내부가 구획된다.
따라서, 발열체(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판(110)으로 전달되어, 조리 효율을 높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가 종료된 후, 발열체(200)의 동작이 정지하면, 제어부는 승하강수단(250)의 실린더 로드(252)를 돌출되도록 동작시켜, 발열체(200) 및 판넬(300)을 하강시킨다.
발열체(200) 및 판넬(300)이 하강함으로써, 판넬(300)에 형성된 개구부(310)와 상기 제1 및 제2통풍구(130, 140)가 연통되도록 대략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팬(150)을 동작시키고, 개폐부(400)를 개방한다.
팬(150)이 동작함에 따라 제1통풍구(130)로부터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개폐부(400)에 의해 개방된 양 개구부(310)를 통과하여, 발열체(200) 상을 집중적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로써 발열체(200)의 잔열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양 개구부(310)를 지나며 발열체(200)를 냉각함에 따라 뜨거워진 공기는 제2통풍구(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제2통풍구(140) 측에는 제2통풍구(140)와 연통된 덕트(500)가 구비되어, 일측으로는 상판(110) 상에서의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가 유입되어 배출되고, 제2통풍구(140)와 연통된 타측으로는 발열체(200)의 냉각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는 물론, 발열체(200) 냉각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 배출에 따른 실내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도 1의 덕트(500) 좌상단 측 화살표 참조).
상기와 같이, 발열체(200)의 사용이 끝난 후, 다시 발열체(200)를 동작시켜 조리를 행하는 경우, 제어부는 팬(150), 승하강수단(250) 및 개폐부(400)를 상기와 반대로 동작시켜 조리가 행해지도록 한다.
즉, 발열체(200)의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승하강수단(250)의 실린더 로드(252)를 몰입시켜 발열체(200)를 상기 상판 측으로 상승시키고, 개폐부(400)를 폐쇄하며, 팬(1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에 의하면, 발열체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발열체를 승하강시켜 조리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열체의 사용 후 냉각에 있어서 보다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열체의 사용시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발열체의 열이 상판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50: 팬
200: 발열체
250: 승하강수단
300: 판넬
400: 개폐부

Claims (7)

  1.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 및 양측이 개방된 통풍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통풍구와 마주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판넬;
    상기 각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부;
    상기 통풍구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위치하는 팬; 및
    상기 발열체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상기 개폐부, 상기 팬 및 상기 승하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의 동작이 정지하면,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양 통풍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발열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팬을 동작시키며,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의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발열체를 상기 상판 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팬을 정지시키며, 상기 개폐부를 폐쇄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힌지동작이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팬으로부터의 동작에 따른 풍압의 인가 또는 해제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발열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외부로 출몰동작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출몰동작에 의해 상기 발열체의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중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 측에 위치하는 덕트를 더 포함하는,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KR1020170000562A 2017-01-03 2017-01-03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KR10260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62A KR102607083B1 (ko) 2017-01-03 2017-01-03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62A KR102607083B1 (ko) 2017-01-03 2017-01-03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68A KR20180079868A (ko) 2018-07-11
KR102607083B1 true KR102607083B1 (ko) 2023-11-28

Family

ID=6291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562A KR102607083B1 (ko) 2017-01-03 2017-01-03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331A (ko) * 2020-03-12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및 이에 포함되는 에어 가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596A (en) 1980-12-26 1984-1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cooking apparatus having cooling arrangement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02B1 (ko) 2004-04-29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정용 전기 쿡탑
KR100565246B1 (ko) 2004-07-13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정용 전기 쿡탑
KR20060008548A (ko)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용 복사 히터의 냉각 장치
KR100790044B1 (ko) * 2006-03-09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호브의 냉각장치
KR20070092801A (ko) * 2006-03-09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호브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596A (en) 1980-12-26 1984-1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cooking apparatus having cooling arrangemen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68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0513B2 (ja) 複合調理器システム
CN201790601U (zh) 一种烤箱散热系统
KR102011425B1 (ko) 후드 일체형 전기레인지 환기 구조
KR100613510B1 (ko)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CN106724909A (zh) 一种改良支撑臂散热结构的烹调器
KR20130024518A (ko) 압력밥솥의 증기 냉각장치
KR102607083B1 (ko) 잔열 냉각이 가능한 전기레인지
US201102096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User Interface and/or Door of a Cooking Device
JP2008039277A (ja) 加熱調理器
CN107830555A (zh) 微波炉
JP5609306B2 (ja) 加熱調理器
KR102585966B1 (ko) 온풍기 겸용 레인지
CN206402549U (zh) 一种印制电路板组件的预热装置
KR101203112B1 (ko)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KR100676138B1 (ko) 오븐
WO2019153513A1 (zh) 加热烹调器
JPS583272Y2 (ja) 調理機器ユニツト
JP4624917B2 (ja) 加熱殺菌装置
KR100764276B1 (ko) 조리기구
KR100676135B1 (ko) 이중 컨벡션팬이 구비된 가열조리기
JP2006226537A (ja) 加熱調理器
KR100790044B1 (ko) 전기 호브의 냉각장치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JP5542563B2 (ja) 加熱調理器
KR100451243B1 (ko) 전기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