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112B1 -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 Google Patents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112B1
KR101203112B1 KR1020090061968A KR20090061968A KR101203112B1 KR 101203112 B1 KR101203112 B1 KR 101203112B1 KR 1020090061968 A KR1020090061968 A KR 1020090061968A KR 20090061968 A KR20090061968 A KR 20090061968A KR 101203112 B1 KR101203112 B1 KR 10120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heat
cover
main body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15A (ko
Inventor
조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to KR102009006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1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의 열이 내솥커버에 전달되어 열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취사효율과 보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솥; 상기 내솥이 안착되고 내피와 외피의 2중 구조를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워킹코일; 및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커버부에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데 특징이 있다.
워킹코일, 내솥, 단열, 열손실, 이중구조

Description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Induction Heating Rice Cooker Having Dual Structure For Keeping Warm}
본 발명은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솥의 열이 내솥커버에 전달되어 열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취사효율과 보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도가열 밥솥의 일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 밥솥은 도 1과 같이, 내측에 쌀을 담아서 익히는 솥(11)과, 외측 하부에 손잡이(12)가 형성되며, 저면에 솥(11)에 와전류를 생성시켜 유도 가열시키는 워킹코일(미도시)이 내재된 몸체부(10)와, 상부 케이스(21)의 내측에 솥(11)을 덮는 솥뚜껑(22)과, 상기 솥뚜껑(22)을 고정축(23)으로 고정시키며 일측에 증기 배출구(2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에 대응되어 솥(11)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25)가 마련된 뚜겅부(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유도 가열 밥솥은 몸체부(10)의 내측에 내재된 워킹코일(미도시)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면 워킹코일에 의해 솥(11)에 와전류가 형성되어 솥(11)을 유도 가열시키고, 상기 유도 가열된 솥(11)에 의해 솥(11)에 담겨 있던 쌀을 가열함으로써 취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취사 도중에 생성되는 증기는 히터부(25)에 형성된 증기배출구(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취사완료 후에는 밥을 보온하게 되는데, 밥을 보온하는 경우에는 히터부(25)를 통하여 열을 가하면서 보온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밥솥의 유도가열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유도가열 밥솥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종래의 유도가열 밥솥은 내솥(1)을 둘러싸고 있는 내솥커버(2)가 단층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전력 제어부(4)에 의해 워킹코일(3)에 와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내솥(1)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취사시 발생되는 워킹코일(3)의 열은 방열팬(5)에 의해 송풍되어 방열홀(6)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도가열 밥솥은 내솥커버(2)가 단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취사를 위해 작용되는 내솥(1)의 열기도 방열팬(5)에 의해 외부로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취사시 뿐만 아니라 보온시에도 내솥(1)에 작용하는 열이 내솥커버(2)에 전달됨으로써 불필요한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내솥의 열이 내솥커버에 전달되어 열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취사효율과 보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솥; 상기 내솥이 안착되고 내피와 외피의 2중 구조를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워킹코일; 및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커버부에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솥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면에는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기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설치된 방열팬이고, 상기 본체부 하부의 일정영역에는 방열홀이 다수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솥 커버를 이중구조로 하여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솥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치 저면에 설치된 방열수단에 의해 내솥의 열기가 빼앗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취사효율 및 보온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의 이중 보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가열 밥솥은 덮개부(30), 본체부(50), 내솥(70), 내솥 커버(80), 및 전력 제어부(90)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30)는 가장자리에 회전축(3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50)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50)는 상기 내솥(70)이 수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50)의 하면에는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방열홀(54)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50)의 하면에는 상기 방열홀(54)로 열기를 유도하여 배출시키도록 방열팬(52)이 하면에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내솥 커버(80)는 외주면과 하부면에 각각 워킹코일(58)이 맞닿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 워킹코일(58)가 와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내솥(70)을 유도가열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내솥 커버(80)는 내피(81)와 외피(82)로 이루어진 2중 구조를 갖는다. 즉, 내피(81)와 외피(82) 사이에는 일정공간의 공기층(C)이 형성된다. 또한 내솥 커버(80)의 하부면 중심에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이 개방부에는 바텀센서(56)가 인입되어, 상기 내솥(70)이 안착되면 이를 감지하고 이를 전력 제어부(90)에 전송한다. 또한 내솥 커버(80)는 워킹코일(58)과 내솥(70)간에 발생되는 유도가열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솥(70)은 상기 내솥 커버(80)에 안착되어 취사시 워킹코일(58)에서 발생되는 와전류에 의해 유도가열된다.
상기 전력 제어부(90)는 상기 바텀센서(56)에 연결되어 취사 및 보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 워킹코일(58)에 제공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밥솥은 내솥 커버(80)가 내피(81)와 외피(82)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이루어진데 주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내솥 커버(80)에는 일정공간의 공기층(C)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내솥 커버(80)는 취사나 보온시 워킹코일(58)에 의해 유도가열된 내솥(70)의 열기가 방열팬(52)에 의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내솥 커버(80)의 내피(81)에는 내솥(70)이 안착되어 맞닿게 되고, 내솥 커버(80)의 외피(82)에는 워킹코일(58)이 맞닿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취사시나 보온시 워킹코일(58)이 작동하여 내솥(70)을 유도가열시켜 발생된 열은 내솥 커버(80)의 공기층(C)이 단열층 기능을 함으로써 내솥 커버(80)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체부(50)의 하부면에 장착된 방열팬(52)이 가동되면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내솥(70)의 열기가 손실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솥 커버(80)를 이중구조로 하여 내부에 공기층(C)을 형성함으로써 내솥(70)의 열기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치 저면에 형성된 방열수단(방열팬; 52)에 의해 내솥(70)의 열기가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도가열 밥솥의 일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유도가열 밥솥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의 이중 보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주요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30: 덮개부 50: 본체부
56: 바텀센서 58: 워킹코일
70: 내솥 80: 내솥 커버
90: 전력 제어부 C: 공기층

Claims (3)

  1. 본체부(50);
    상기 본체부(50)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30);
    상기 본체부(50)의 내부에 장착된 내솥(70);
    상기 내솥(70)이 안착되고 내피(81)와 외피(82)의 2중 구조를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워킹코일(58); 및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커버부에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솥(70)의 외주면 전체를 덮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면에는 개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피(81)와 외피(82)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기층(C)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는 상기 본체부(50)의 하부면에 설치된 방열팬(52)이고, 상기 본체부(50) 하부의 일정영역에는 방열홀(54)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2. 삭제
  3. 삭제
KR1020090061968A 2009-07-08 2009-07-08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KR10120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68A KR101203112B1 (ko) 2009-07-08 2009-07-08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68A KR101203112B1 (ko) 2009-07-08 2009-07-08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15A KR20110004515A (ko) 2011-01-14
KR101203112B1 true KR101203112B1 (ko) 2012-11-20

Family

ID=4361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68A KR101203112B1 (ko) 2009-07-08 2009-07-08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826A (ko) * 2019-02-20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밥솥
EP3698683B1 (en) * 2019-02-20 2021-11-03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er cooker
KR102617489B1 (ko) * 2021-06-18 2023-12-22 박옥연 알칼리성 구운 소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065A (ja) * 1998-04-28 1999-11-09 Hitachi Hometec Ltd ジャー炊飯器
KR200439873Y1 (ko) * 2006-12-27 2008-05-09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송풍팬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065A (ja) * 1998-04-28 1999-11-09 Hitachi Hometec Ltd ジャー炊飯器
KR200439873Y1 (ko) * 2006-12-27 2008-05-09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송풍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15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39671A (ja) 炊飯器
KR101203112B1 (ko)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KR102351771B1 (ko) 전기 밥솥
JP2004248901A (ja) 炊飯器
JP4799271B2 (ja) 炊飯器
JP5050441B2 (ja) 電気炊飯器
JP4821517B2 (ja) 電気炊飯器
KR200430656Y1 (ko) 전기 압력 보온 밥솥
JP5501274B2 (ja) 炊飯器
CN112220337A (zh) 一种电饭煲
JP2012223258A (ja) 炊飯器
JP2012143341A (ja) 炊飯器
JP2007252624A (ja) 電気炊飯器
JP2008272095A (ja) 電気炊飯器
JP5593861B2 (ja) 電気炊飯器
KR100235443B1 (ko) 유도가열밥솥의 냉각보온 장치 및 방법
JP3855959B2 (ja) 炊飯器
KR100315081B1 (ko) 유도가열밥솥
JP5568492B2 (ja) 炊飯器
JP4702022B2 (ja) 炊飯器
JP2018051095A (ja) 炊飯器
KR100451243B1 (ko) 전기밥솥
JP6422413B2 (ja) 炊飯器
KR102454018B1 (ko) 전기 밥솥
JPS61358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