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71B1 - 전기 밥솥 - Google Patents

전기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71B1
KR102351771B1 KR1020207012526A KR20207012526A KR102351771B1 KR 102351771 B1 KR102351771 B1 KR 102351771B1 KR 1020207012526 A KR1020207012526 A KR 1020207012526A KR 20207012526 A KR20207012526 A KR 20207012526A KR 102351771 B1 KR102351771 B1 KR 10235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rice cooker
cooking
pot body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658A (ko
Inventor
유지 나가타니
쿠니타카 사토
Original Assignee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Abstract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보다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전기 밥솥이 제공된다. 취반 냄비(12)가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와 뚜껑체(22)로 구성되는 동시에,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부 개구(106)에서 뚜껑체(22)가 외부에 노출되는 한편,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와 취반 냄비(12)의 냄비 본체(18)와의 사이에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송풍로(102)가 형성되는 동시에, 송풍로(102)의 상단 개구(104)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부 개구(106)에서 외부로 직접 연통되는 한편,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가 밥솥 본체(16) 내로 연통되고, 제어부(82)가 취반의 뜸들이기 공정에서 송풍 팬(80)을 구동시켜,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송풍로(102)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단 개구(104)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전기 밥솥
본 발명은 도기제(earthenware)의 취반 냄비(cooking pot)를 사용하는 전기 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열 시간 등의 관리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밥짓기가 가능한 기기로서 전기 밥솥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가열 효율이 높아 빠르게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일본 특허 제4910441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자 유도 가열식의 전기 밥솥도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도기제의 뚝배기를 사용하여 지은 밥은, 열원에 의해 직접 가열되기 때문에, 가열된 도기로부터의 복사열의 효과에 의해, 쌀의 속까지 균일하게 가열되어 한알 한알이 탱탱하게 살아 있는 맛있는 밥이 지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 유도 가열식의 전기 밥솥이라도 세라믹제의 내솥을 채용하고, 내솥의 바닥부 및 바닥부 부근에 유전 효율이 높은 금속제의 페이스트를 도포함으로써, 전자 유도 가열에 의해 금속제 페이스트를 유도 발열시켜, 내솥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도 제안되었다.
그런데, 세라믹 등의 비금속제의 내솥을 채용하면, 자성 금속제의 내솥의 경우에 비해 열전도성이 떨어지고 열반점이 생기기 쉽고, 피취반물의 균일한 가열이 실현되기 어렵다. 그래서, 송풍 팬으로부터의 바람으로 전자 유도 가열 수단을 냉각함으로써 얻어진 열풍을, 내솥 측부의 주위에 마련된 좁은 간격의 열풍 체류 공간에서 체류시키는 것에 의해, 내솥의 저온 부분을 가온하여 내솥의 균일한 가열화를 도모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열풍 체류에 의한 내솥의 가온 정도로는, 충분하고 신속한 내솥의 균일한 가열화를 도모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수요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밥짓기를 행하기에는 불충분하였다. 게다가, 내솥을 가열할 목적으로 송풍 팬을 이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익히기 공정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송풍을 행하거나, 뜸들이기 공정에서 송풍 팬을 단속적으로 구동하는 등, 송풍 팬의 구동 제어가 복잡해지기 쉬운 문제를 내재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910441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보다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기 밥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양태를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각각의 양태에서 채용되는 구성 요소는, 가능한 한 임의의 조합으로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피취반물을 수용하는 취반 냄비와, 상기 취반 냄비를 꺼낼 수 있게 수용하는 냄비 수용 오목부를 가지는 밥솥 본체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바닥 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취반 냄비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와, 상기 밥솥 본체 내에 설치된 송풍 팬과, 상기 전기 히터와 상기 송풍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 밥솥에 있어서, 상기 취반 냄비는 상기 피취반물을 수용하는 도기제의 냄비 본체와 상기 냄비 본체의 개구를 덮는 뚜껑체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밥솥 본체의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에 상기 취반 냄비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에서 상기 뚜껑체가 외부에 노출되는 한편,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주벽부(circumferential wall section)와 상기 취반 냄비의 상기 냄비 본체 사이에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송풍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송풍로의 상단 개구는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기 상부 개구에서 외부로 직접 연통되는 한편, 상기 송풍로의 하단 개구가 상기 밥솥 본체 내로 연통되고, 상기 제어부는 밥짓기의 뜸들이기 공정에서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로의 상기 하단 개구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상기 송풍로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기 상단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밥솥 본체의 냄비 수용 오목부의 바닥 벽부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러한 냄비 수용 오목부에 도기제의 냄비 본체를 수용하여, 냄비 본체를 전기 히터로 직접 가열하는 구조가 채용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옛 방식 그대로의 부뚜막과 마찬가지로, 도기제의 냄비 본체가 직접 가열되는 경우의 냄비 본체의 완만한 온도 상승성이나 온도 상승시에서의 균일한 가열화, 또한 가열 후의 높은 축열성을 잘 이용하는 것에 의해, 쌀을 맛있게 익힐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열원은 전기 히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어부에 의해 전기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어, 예약 밥짓기 등 전기 밥솥의 편리성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밥솥 본체의 냄비 수용 오목부에 취반 냄비가 수용된 상태에서, 취반 냄비의 도기제 냄비 본체의 개구를 덮는 뚜껑체는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축열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된 취반 냄비의 위쪽으로의 방열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도기제 냄비 본체의 높은 축열성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쌀의 눌어붙음 등을 유리하고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냄비 수용 오목부의 주벽부와 취반 냄비의 냄비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송풍로는, 그 상단 개구가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에서 외부로 직접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의 송풍로에 대하여, 제어부가, 밥짓기의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송풍 팬을 구동하여 송풍로의 하단 개구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송풍로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단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축열성이 문제가 되는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송풍 팬을 구동하는 것만으로, 송풍로에 외기를 연속해서 통과시킬 수 있고, 냄비 본체의 전체의 냉각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송풍로의 상단 개구가 외부로 직접 연통되어 있으므로, 송풍로부터의 신속한 공기의 배출을 실현할 수 있고, 공기의 체류를 방지하여 냄비 본체의 신속한 냉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취반 냄비에 있어서, 뚜껑체는 반드시 도기제일 필요는 없고, 도기제 외에, 주물제나 유리제 등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기제의 냄비 본체는, 높은 축열성을 유지하기 위해, JIS A 1509에 의해 측정한 부피 밀도가, 1.5g/㎤ 내지 2.3g/㎤, 바람직하게 2.0g/㎤ 내지 2.1g/㎤으로 된다. 또한,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JIS A 1509에 의해 측정한 흡수율이 6 내지 12%, 바람직하게 8 내지 10%로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뜸들이기 공정의 초반부터 상기 뜸들이기 공정의 전체 기간의 70%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연속해서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로에 외기를 연속해서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축열성이 문제가 되는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초반부터 전체 기간의 70%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전기 히터가 오프로 되는 동시에 연속해서 송풍로에 외기가 계속 도입되고, 냄비 본체의 방열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뜸들이기 공정에 적합한 냄비 본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탱글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의 송풍 팬의 연속 구동과 전기 히터의 오프 상태는, 뜸들이기 공정의 초반부터 70% 이상의 기간에서 실시되면 좋고, 밥짓기의 내용에 따라서는, 뜸들이기 공정의 마지막에 송풍 팬을 구동하지 않고 전기 히터를 오프로 하여 여분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공정을 집어넣거나, 뜸들이기 공정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 송풍 팬의 연속 구동과 전기 히터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뜸들이기 공정 이외의 공정에서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지 않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뜸들이기 공정 이외의 공정에서, 송풍 팬이 구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송풍로를 통과하는 외기에 의한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방열이 방지되고,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축열성을 이용한 밥짓기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기 주벽부와 상기 냄비 본체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전개되는 고리 형상을 띠고, 상기 송풍로의 상기 상단 개구는 상기 주벽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냄비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된 상측 고리 형상 틈새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송풍로의 상기 하단 개구가 상기 주벽부와 상기 바닥 벽부의 사이에 마련된 하측 고리 형상 틈새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송풍로가, 냄비 수용 오목부의 주벽부와 냄비 본체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전개되는 고리 형상을 띠고, 또한 송풍로의 상단 개구와 하단 개구가 함께, 전체 둘레에 걸쳐 개방되는 고리 형상을 띠고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송풍로를 통과하는 외기의 삽통이 방해되는 경우가 없고, 한층 신속한 외기의 삽통과 그에 의한 냄비 본체의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양태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에서의 상기 주벽부와 상기 냄비 본체 사이의 틈새 치수가 상기 상단 개구를 향해 확대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송풍로의 틈새 치수가 상단 개구를 향해 확대되므로, 송풍로 내로의 외기의 체류를 한층 확실하게 회피하여, 보다 신속한 외기의 삽통 및 이에 의한 냄비 본체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밥솥 본체의 상기 상부 개구측에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고리 형상 오목홈부가 상기 주벽부의 외주측에 연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바닥벽이 상기 주벽부의 선단부보다도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상기 취반 냄비의 상기 냄비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에는, 외주측으로 펼쳐지는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이 상기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바닥면에는,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상기 바닥벽에 접근하는 아래로 경사지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냄비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이, 그 아래쪽에 마련된 밥솥 본체의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밥을 지을 때 끓어넘치는 밥물이, 플랜지부를 타고 샌 경우라도, 고리 형상 오목홈부에 수용될 수 있고, 사용 후의 청소 등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플랜지부의 바닥면에는,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바닥벽에 접근하는 하방 경사가 붙어있으므로, 플랜지부의 바닥면을 타고 끓어넘친 밥물이 냄비 수용 오목부측에 들어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취반 냄비의 상기 뚜껑체가, 상기 냄비 본체의 개구를 덮어서 평탄하게 전개되는 안 뚜껑과, 상기 안 뚜껑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안 뚜껑과의 사이에 증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깥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안 뚜껑에 두께 치수가 상기 바깥 뚜껑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취반 냄비의 뚜껑체가, 안 뚜껑과 바깥 뚜껑의 이중 뚜껑 구조로 되고, 안 뚜껑과 바깥 뚜껑의 사이에 증기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밥지을 때의 냄비 본체 내부의 가압 상태나 균일한 가열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 뚜껑이, 냄비 본체의 개구를 덮어서 평탄하게 전개되는 동시에, 바깥 뚜껑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 뚜껑의 중량에 의해 밥지을 때의 냄비 본체 내부의 가압을 한층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밥짓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전기 히터가, 상기 냄비 본체의 바닥부 중앙에 얹어지는 제 1 시즈 히터(sheath heater)와, 상기 냄비 본체의 바닥부 주변 가장자리가 얹어지는 제 2 시즈 히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제 1 시즈 히터와 제 2 시즈 히터를, 밥짓는 공정에 맞춰서 각각의 온/오프나 출력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밥을 지을 때의 냄비 본체의 온도 분포를 보다 유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상기 제 8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밥짓기의 승온 공정에서 상기 제 1 시즈 히터와 상기 제 2 시즈 히터의 양쪽을 사용하는 한편, 그 후의 익히기 공정에서 상기 제 1 시즈 히터와 상기 제 2 시즈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축열성을 이용하여, 익히기 공정에서는, 냄비 본체의 바닥부 중앙이 얹어지는 제 1 시즈 히터와 제 2 시즈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의 사용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축열성을 이용한 저전력의 밥짓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상기 제 9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익히기 공정에서 상기 제 1 시즈 히터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상기 제 8 내지 제 10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즈 히터의 상기 승온 공정에서의 출력값이 상기 승온 공정에서의 초반에 흡수 공정의 출력값보다 낮다.
본 양태에 의하면, 가온에 시간을 요하는 도기제의 냄비 본체를 흡수 공정의 시간을 잘 이용하여 가온을 행하고, 승온 공정의 초반부터 원하는 냄비 본체 내의 온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일단 승온 공정의 초반에서 히터의 출력을 떨어뜨리는 것에 의해 냄비 본체 내의 온도를 밥짓기에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11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피취반물을 수용하지 않는 상기 냄비 본체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히터와 상기 송풍 팬을 구동시켜서 상기 냄비 본체의 건조를 촉진하는 건조 모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용 후의 도기제의 냄비 본체를 냄비 수용 오목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냄비 본체의 건조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잊기 쉬운 사용 후의 냄비 본체의 건조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고, 냄비 본체의 제품 상태의 유지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12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바닥 벽부 중앙에는, 온도 센서의 센서부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부가 맞닿는 검온판이 배치되고, 상기 검온판이, 상기 도기보다도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온도 센서의 센서부가 압접되는 검온부가, 도기보다도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검온판의 안쪽 표면이 접하는 냄비 본체 내의 온도가, 온도 센서의 센서부에 신속하게 전달되고, 도기 표면에 압접된 센서부에 의해 검지하는 경우에 비해, 냄비 본체 내의 온도를 보다 정확히 검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의 센서부가 탄성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취반 냄비의 유무를 검지하는 기구를 유리하게 겸비할 수 있다. 또한, 검온판의 소재로서는, 도기보다도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이면 무엇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나, 카본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상기 제 13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검온판이, 상기 냄비 본체의 내주면을 구획 형성하는 안쪽 표면측에 비해, 상기 냄비 본체의 외주면을 구획 형성하는 바깥쪽 표면측의 직경 치수가 작은 단차를 가진 원주 형상으로 되고, 상기 검온판의 상기 바깥쪽 표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검온판이 단차를 가지는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단차 부분에서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고, 검온판을 안정적으로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바깥쪽 표면의 중앙부에는 수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센서부를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검온판부의 센서부가 맞닿는 부위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한층 확실하게 또한 신속하게 냄비 본체의 내부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는, 상기 제 14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검온판의 대경부와 소경부의 사이의 단차면이, 내주측으로 감에 따라서 하강하는 하방 경사면으로 되는 한편, 상기 수용 오목부의 주벽부가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테이퍼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소경부와 대경부의 사이의 단차면이 하방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검온판의 냄비 본체의 바닥 벽부로의 걸림 부분에서 국소적인 응력의 집중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가 아래쪽을 향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센서부를 센터링(centering)하면서 수용할 수 있고, 검온판과 센서부의 위치 결정을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밥솥 본체의 냄비 수용 오목부의 바닥 벽부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냄비 본체를 전기 히터로 직접 가열하는 구조가 채용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도기제의 냄비 본체가 직접 가열되는 경우의 냄비 본체의 완만한 온도 상승성이나 온도 상승시에서의 균일한 가열화, 또한 가열 후의 높은 축열성을 잘 이용함으로써, 쌀을 맛있게 익힐 수 있다. 게다가, 열원은 전기 히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예약 밥짓기 등 전기 밥솥의 편리성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체가,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축열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된 취반 냄비의 위쪽으로의 방열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도기제 냄비 본체의 높은 축열성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쌀의 눌어붙음 등을 유리하고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로는, 그 상단 개구가,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에서 외부로 직접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의 송풍로에 대하여, 제어부가, 밥짓기의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송풍 팬을 구동하여 송풍로의 하단 개구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송풍로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단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축열성이 문제가 되는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송풍 팬을 구동하는 것만으로, 송풍로에 외기를 연속해서 통과시킬 수 있고, 냄비 본체의 전체의 냉각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전기 밥솥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밥솥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밥솥의 바닥면도.
도 4는 도 2에서의 IV-IV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전기 밥솥에서의 밥짓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전기 밥솥(10)이 도시되어 있다. 전기 밥솥(10)은, 피취반물로서의 쌀이나 물 등을 수용하는 취반 냄비(12)와, 취반 냄비(12)를 꺼낼 수 있게 수용하는 냄비 수용 오목부(14)를 가지는 밥솥 본체(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방이란, 도 1 및 도 4의 위쪽, 하방이란 도 1 및 도 4의 아래쪽을 말하고, 또한 전방이란 도 1, 도 2, 및 도 4의 왼쪽, 후방이란 도 1, 도 2, 및 도 4의 오른쪽을 말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냄비(12)는, 피취반물로서의 쌀이나 물 등을 수용하는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와, 냄비 본체(18)의 개구인 상부 개구(20)를 덮는 뚜껑체(22)로 구성된다. 냄비 본체(18)와 뚜껑체(22)는 모두 표면으로 개방되는 다수의 미소 공간을 가지는 다공질의 도기제로 된다. 냄비 본체(18)는, 일체로 형성된 상부 개구(20)를 향해 직경 확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주벽부(24)와 대략 원판 형상의 바닥부(26)를 갖고 있고, 전체로서 대략 둥근 솥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부(24)의 두께 치수는, 바닥부(26)로부터 상부 개구(20)를 향해 점차 두껍게 되고, 바닥부(26)의 두께 치수(t1)보다 주벽부(24)의 중간으로부터 상단의 두께 치수(t2)가 크게 된다(t1<t2). 또한, 취반 냄비(12)의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에는, 외주측을 향해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외주측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전개되도록 플랜지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30)의 바닥면(32)에는,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하방 경사가 붙어있다. 즉, 이러한 하방 경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의 바닥벽(112)에 접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플랜지부(30)의 상면(34)에도,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하방 경사가 붙어있다. 또한,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의 내주측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대략 L자 단면 형상의 단차면(36a, 36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단차면(36b)은 단차면(36a)보다도 아래쪽 또는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냄비(12)의 냄비 본체(18)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바닥부(26)의 중앙부에는 검온판(38)과 대략 서로 비슷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관통 구멍(40)이 형성되고, 검온판(38)이 관통 구멍에 배치된다. 검온판(38)의 외형과 관통 구멍(40)이 대략 서로 비슷한 T자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검온판(38)이 관통 구멍(40)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검온판(38)은, 바닥부(26)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밥솥 본체(16)의 센서부(76a)가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검온판(38)은, 냄비 본체(18)나 뚜껑체(22)를 구성하는 도기보다도 열 전달율이 높은 소재인, 각종 금속이나 금속 화합물 또는 카본이나 알루미나나 질화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온도 센서(76)의 센서부(76a)가 도기 표면에 압접된 경우에 비해, 냄비 본체(18) 내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온판(38)의 외형과 관통 구멍(40)이 대략 서로 비슷한 T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검온판(38)을 예로 들어 그 형상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검온판(38)은, 냄비 본체(18)의 내주면을 구획 형성하는 바닥부(26)의 안쪽 표면측이 대경부(42)로 되는 한편, 냄비 본체(18)의 외주면을 구획 형성하는 바닥부(26)의 바깥쪽 표면측이 소경부(44)로 되고, 전체적으로 대략 단차를 가지는 원주 형상을 띠고 있다. 게다가, 검온판(38)의 대경부(42)와 소경부(44) 사이의 단차면(46)이, 내주측으로 감에 따라서 하강하는 하방 경사면으로 된다. 이상의 형상이, 검온판(38)의 외형과 관통 구멍(40)이 서로 비슷한 T자 단면 형상이다. 또한, 검온판(38)에는 관통 구멍(40)과는 달리, 바깥쪽 표면의 중앙부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 개구되어 후술하는 센서부(76a)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48)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수용 오목부(48)의 주벽부의 내면(50)이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직경 방향(도 4 중,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테이퍼면 형상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온판(38)이 단차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에 마련된 서로 비슷한 형상의 관통 구멍(40)에 대하여 단차 부분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검온판(38)을 안정적으로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바깥쪽 표면의 중앙부에 센서부(76a)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48)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센서부(76a)를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4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센서부(76a)가 맞닿는 부위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냄비 본체(18)의 내부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검온판(38)의 대경부(42)와 소경부(44) 사이의 단차면(46)이 하방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검온판(38)의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로의 걸림 부분에서 국소적인 응력의 집중을 해소할 수 있고, 제조 공정에서는, 양자의 사이에 접착제를 흘려넣기 쉬워지고, 제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48)의 주벽부의 내면(50)이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테이퍼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센서부(76a)를 가이드하여 수용 오목부(48)에 수용할 수 있고, 검온판(38)과 센서부(76a)의 위치 결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냄비(12)의 뚜껑체(22)는, 안 뚜껑(52)과 바깥 뚜껑(54)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냄비 본체(18)와 마찬가지로, 도기제로 된다. 안 뚜껑(52)은,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전개되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갖고 있고, 직경 방향 중앙 부분에는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기둥 모양의 손잡이(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 뚜껑(52)의 두께 치수(t3)는 바닥부(26)의 두께 치수(t1)나 바깥 뚜껑(54)의 두께 치수(t4)보다 크게 되고, 주벽부(24)의 중간으로부터 상단측의 두께 치수(t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t1≒t4<t3<t2). 또한, 안 뚜껑(52)의 외주변부의 상단 부분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외주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 형상의 걸림편(5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 뚜껑(52)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 빼기용의 압력 빼기 구멍이, 안 뚜껑(5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 뚜껑(52)의 하면에는, 아래쪽을 향해 대략 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0)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안 뚜껑(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6)를 잡은 상태에서 상태에서 안 뚜껑(52)의 걸림편(58)을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의 단차면(36b)에 결합시킴으로써, 냄비 본체(18)의 개구인 상부 개구(20)를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바깥 뚜껑(54)은,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구면 껍질 형상을 갖고 있고, 직경 방향 중앙 부분에는,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대략 통 형상의 손잡이(6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2)의 후방(도 2 중, 오른쪽)에는, 대략 원형 단면 형상으로 관통 설치된 압력 빼기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바깥 뚜껑(54)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2)를 잡은 상태에서 바깥 뚜껑(54)의 외주변부를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의 단차면(36a)에 결합시킴으로써, 안 뚜껑(52)의 위쪽에 설치되어 안 뚜껑(52)과의 사이에 증기 수납 공간(66)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뚜껑체(22)가 안 뚜껑(52)과 바깥 뚜껑(54)의 2중부 뚜껑 구조로 되는 동시에 안 뚜껑(52)과 바깥 뚜껑(54)의 사이에 증기 수납 공간(6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밥짓기시에서의 냄비 본체(18) 내부의 가압 상태나 균일한 가열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 뚜껑(52)이 냄비 본체(18)의 상부 개구(20)를 덮어서 평탄하게 전개되는 동시에 바깥 뚜껑(54)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안 뚜껑(52)의 중량에 의해 밥짓기시에서의 냄비 본체(18) 내부의 가압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밥짓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 본체(16)는 냄비 수용 오목부(14)를 구비하고 있는 한편, 이러한 냄비 수용 오목부(14)는 평면시에서 대략 원 형상으로 된 바닥 벽부(68)와 바닥 벽부(68)의 외주변부로부터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구면껍질 형상으로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주벽부(70)를 갖고 구성된다. 냄비 수용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에는, 취반 냄비(12)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로서의 시즈 히터(72)가 설치되는 동시에, 시즈 히터(7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 구멍(74) 내에는 온도 센서(7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즈 히터(7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밥솥 본체(16)의 바닥면(78)측의 밥솥 본체(16) 내에는, 송풍 팬(80)과, 송풍 팬(80)과 시즈 히터(72)를 제어하는 제어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시즈 히터(7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접시 형상을 가지는 시즈 히터 유지 부재(84)에 대하여, 제 1 시즈 히터(72a)와 제 2 시즈 히터(72b)가 유지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시즈 히터 유지부(84)는 금속제로 되고, 상면측이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와 대략 서로 비슷한 형상으로 되는 한편, 하면측에는 제 1 시즈 히터(72a)와 제 2 시즈 히터(72b)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시즈 히터 수용구멍(86)이, 아래쪽을 향해 개방되는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대략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시즈 히터(72a)가 대략 접시 형상으로 된 시즈 히터 유지 부재(84)의 대략 원판 형상의 바닥벽(84a)에 유지되는 한편, 제 2 시즈 히터(72b)는 대략 접시 형상으로 된 시즈 히터 유지 부재(84)의 대략 둥근 고리 형상의 바닥벽 주변(84b)에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 히터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는,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의 중앙이 얹어지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제 1 시즈 히터(72a)와,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의 주변이 얹어지는 대략 둥근 고리 형상의 제 2 시즈 히터(72b)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즈 히터(72)는, 밥솥 본체(16) 내의 소정 위치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제 1 시즈 히터(72a)와 제 2 시즈 히터(72b)를 밥짓기 공정에 맞춰서 출력 제어를 함으로써, 밥짓기시에서의 냄비 본체(18)의 온도 분포를 유리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74)이 마련되고, 이러한 관통 구멍(74) 내에는 온도 센서(76)의 센서부(76a)가,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취반 냄비(12)의 유무를 검지하는 기구도 유리하게 겸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도 센서(76)는, 선단면이 센서부(76a)로 되고, 이 센서부(76a)에서 피검출물에 맞닿음으로써 피검출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공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온도 센서(76)가, 온도 센서(76)의 아래쪽에 설치된 온도 센서 지지부(90)에 연결되는 한편, 온도 센서 지지부(9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통해 밥솥 본체(1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76)가, 관통 구멍(74)의 상부 개구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가 시즈 히터(72) 위에 얹어졌을 때에, 온도 센서(76)의 센서부(76a)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기초하여,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검온판(38)의 수용 오목부(48)의 바닥면에 대하여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바닥면(78)측의 밥솥 본체(16) 내에는, 후방측(도 4 중, 오른쪽측)에 송풍 팬(80)이 설치되는 한편, 전방측(도 4 중, 왼쪽측)에는 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어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 팬(80)이 설치된 밥솥 본체(16)의 바닥면(78)에는 대략 전체면에 걸쳐 대략 방사선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대략 스트립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흡기구(92a)가 형성되는 한편, 제어부(82)가 설치된 밥솥 본체(16)의 바닥면(78)에는 대략 전체면에 걸쳐 대략 전후 방향(도 3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대략 스트립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흡기구(92b)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이러한 흡기구(92a, 92b)에 의해, 밥솥 본체(16) 내에 효율적으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흡기구(92a)로부터 밥솥 본체(16) 내에 도입된 외기는 위쪽으로 보내져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를 공냉시키는 동시에, 후술하는 냄비 수용 오목부(14)와 냄비 본체(18)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송풍로(102)를 통해서 위쪽을 향해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기구(92b)로부터 밥솥 본체(16) 내에 도입된 외기는 위쪽으로 보내져 제어부(82)와 시즈 히터(72)를 공냉시키는 동시에, 후술하는 냄비 수용 오목부(14)와 냄비 본체(18)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송풍로(102)를 통해서 위쪽을 향해 배기된다. 또한, 제어부(82)의 위쪽에는 제어부(82)를 향해 개방되는 대략 직사각형 케이스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커버(93)가 배치되고, 제어부(82)에 대한 물 등의 튐의 방지나 시즈 히터(72)로부터의 열 차단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밥솥 본체(16)의 바닥면(78)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4개의 부위에서 대략 중실형 원뿔대 형상으로 돌출하는 각부(脚部; 94)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는,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의 외주변부(96)에 대하여 바깥쪽을 향해 이격된 위치로부터, 위쪽을 향해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벽부(70)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부위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안쪽을 향해 돌출되는 고무 돌기부(9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취반 냄비(12)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에서 냄비 본체(18)의 주벽부(24)의 외주면에 고무 돌기부(98)가 압접함으로써,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와 냄비 본체(18)의 주벽부(24)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 치수의 틈새를 형성한 상태에서 냄비 본체(18)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틈새에 의해,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와 냄비 본체(18)의 주벽부(24)의 외주면 사이에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송풍로(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벽부(70)는, 고무 돌기부(98)를 경계로 하여, 상방측이 상방 주벽부(70a)로 되는 한편, 하방측이 하방 주벽부(70b)로 된다. 이러한 주벽부(70)를 구성하는 상방 주벽부(70a)와 하방 주벽부(70b)는 모두 금속제로 되고, 각각 별개로 성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냄비(12)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에서, 송풍로(102)의 상단 개구(104)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부 개구(106)에서 외부로 직접 연통되는 한편,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가 밥솥 본체(16)에 연통된다. 보다 상세하게, 송풍로(102)는,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와 냄비 본체(18)의 주벽부(24)의 외주면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전개되는 고리 형상을 띠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송풍로(102)의 상단 개구(104)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와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의 사이에 형성된 상측 고리 형상 틈새(α)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와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의 사이에 마련된 하측 고리 형상 틈새(β)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에 의해, 송풍로(102)를 통과하는 외기의 삽통이 방해받지 않고, 보다 신속한 외기의 삽통과 그에 의한 냄비 본체(18)의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송풍로(102)에서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방 주벽부(70a)와 냄비 본체(18)의 주벽부(24) 사이의 틈새 치수(γ)가 상단 개구(104)를 향해 확대되어 있다. 이 결과, 송풍로(102) 내로의 외기의 체류를 보다 확실하게 회피하여 신속한 외기의 삽통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냄비 본체(18)의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밥솥 본체(16)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부 개구(106)측에는, 위쪽을 향해 개방되는 동시에 상방 주벽부(70a)의 외주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가 위쪽 주벽부(70a)의 외주측에 연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는 대략 홈통 형상으로 되고, 바닥벽(112)과, 바닥벽(112)의 내주측의 단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내주 측벽(114a)과, 바닥벽(112)의 외주측의 단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외주 측벽(114b)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의 내주 측벽(114a)의 선단부가 상방 주벽부(70a)의 선단부와 연접되어, 바닥벽(112)이 상방 주벽부(70a)의 선단부보다도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의 외주 측벽(114b)의 선단부는, 상방 주벽부(70a)의 선단부를 넘어 위쪽을 향해 돌출되고, 취반 냄비(12)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에서 냄비 본체(18)의 플랜지부(30)의 상면(34)의 외주변부보다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반 냄비(12)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에서,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에 설치된 플랜지부(30)의 외주 단면이, 그 아래쪽에 마련된 밥솥 본체(16)의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의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밥을 지을 때에 끓어넘치는 밥물 등이 플랜지부(30)의 상면(34)을 타고 외부로 누설된 경우라도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의 청소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플랜지부(30)의 바닥면(32)에는 외주측을 향해 하방 경사가 붙어있으므로, 플랜지부(30)의 바닥면(32)을 타고 끓어넘친 밥물 등이 냄비 수용 오목부(14)측에 들어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플랜지부(30)의 상면(34)에도 외주측을 향해 하방 경사가 붙어있으므로, 밥을 지을 때의 끓어넘치는 밥물 등이 플랜지(30)의 상면(34)을 타고 확실히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취반 냄비(12)를 밥솥 본체(16)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설치할 때에 냄비 본체(18)의 플랜지부(30)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플랜지부(30)의 바닥면(32)의 하방 경사에 의해 플랜지부(30)로의 손가락의 결합성이 향상되고 안정된 취급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밥솥 본체(16)의 주벽부(100)의 대향하는 상단부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잘려서 형성된 노치부(116)에서는(도 1 참조), 도시는 생략하지만, 고리 형상 오목홈부(110)의 외주 측벽(114b)의 선단부가, 상방 주벽부(70a)의 선단부보다도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양손의 손가락을 노치부(116)에 삽입함으로써, 취반 냄비(12)를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할 때에 손가락이 취반 냄비(12)와 밥솥 본체(16)와의 사이에 끼일 우려를 유리하게 저감 내지는 없앨 수 있다.
또한, 밥솥 본체(16)의 주벽부(100)에서의 전방측(도 4 중, 좌측)의 외면에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각종 터치 패널식의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 패널(11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패널(118)의 안쪽에는, 조작 패널(118)용의 제어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20)의 후방(도 4 중, 오른쪽)에는 제어부(120)를 향해 개방되는 대략 직사각형 케이스체 형상의 합성수지제의 커버(122)가 배치되고, 제어부(120)에 대한 물 등의 튐의 방지나 시즈 히터(72)로부터의 열의 차단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의 전기 밥솥(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냄비(12)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부 개구(106)에서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 및 뚜껑체(22)의 대략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다.
밥짓기의 공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공정과, 승온 공정과, 익힘 공정과, 뜸들이기 공정을 포함한다. 먼저, 흡수 공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흡수 공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 본체(16)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의 취반 냄비(12)의 냄비 본체(18) 내에, 도시하지 않은 피취반물로서의 쌀이나 물 등을 수용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냄비 본체(18)가 열전도성이 낮은 도기제로 되어 있으므로, 온도가 오르기 어렵고 또한 온도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온 공정 전의 흡수 공정에 있어서, 미리 가열하는 예열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예열 작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공정에 있어서, 제어부(82)가 양쪽의 시즈 히터(72a, 72b)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50% 정도의 출력값으로 20분 정도 가열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흡수 공정의 시간을 잘 이용하여 냄비 본체(18)의 가열을 행하고, 가열에 시간을 요하는 도기제의 냄비 본체(18)를 승온 공정의 초반부터 원하는 냄비 본체(18) 내의 온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열 작업 중의 흡수 공정에서는, 제어부(82)에 의해 송풍 팬(80)이 OFF(비작동) 상태로 된다.
이러한 흡수 공정 후에는, 승온 공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승온 공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제어부(82)가 양쪽의 시즈 히터(72a, 72b)를 사용하여 냄비 본체(18)를 가열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시즈 히터(72a, 72b)의 승온 공정에서의 출력값은, 승온 공정의 초반의 승온 (i)(도 5 참조)에서 예를 들어 20%, 10%에서 5분이 되고, 흡수 공정에서의 시즈 히터(72a, 72b)의 출력 값의 50%보다도 낮아져 있다. 이와 같이 일단 승온 공정의 초반에서 시즈 히터(72a, 72b)의 출력을 떨어뜨림으로써, 도기의 축열성을 이용하여 냄비 본체(18) 내의 온도를, 온도 불균일을 없애어 밥짓기에 최적인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승온 공정의 승온 (ii)(도 5 참조)에 있어서, 시즈 히터(72a, 72b)의 출력값을 예를 들어 90%, 50%에서 10분 가열함으로써, 냄비 본체(18) 내의 온도를 밥짓기에 최적인 온도까지 승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승온 공정에서도, 제어부(82)에 의해 송풍 팬(80)이 OFF(비작동)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승온 공정 후에는, 익히기 공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익히기 공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2)가 제 1 시즈 히터(72a)만을 사용하여 냄비 본체(18)를 가열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제 1 시즈 히터(72a)의 익히기 공정에서의 출력값은, 익히기 공정의 초반의 익히기 (i)(도 5 참조)에서 예를 들어 40%에서 5분으로 되어있는 한편, 익히기 공정의 후반의 익히기 (ii)에서는 예를 들어 20%에서 5분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익히기 공정에서는,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의 축열성을 이용함으로써, 냄비 본체(18)의 바닥부(26) 중앙이 얹어지는 제 1 시즈 히터(72a)만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의 축열성을 이용한 저전력의 밥짓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익히기 공정에서도, 제어부(82)에 의해 송풍 팬(80)이 OFF(비작동)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익히기 공정 후에는, 뜸들이기 공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뜸들이기 공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들이기 공정의 초반의 뜸들이기 (i)(도 5 참조)에 있어서, 제어부(82)가 양쪽의 시즈 히터(72a, 72b)의 출력값을 예를 들어 0%에서 15분 정도로 하는 동시에 송풍 팬(80)을 구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송풍로(102)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단 개구(104)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냄비 본체(18)의 전체의 냉각을 촉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뜸들이기 공정의 후반의 뜸들이기 (ii)(도 5 참조)에서는, 제어부(82)가, 제 1 시즈 히터(72a)의 출력값만을 예를 들어 10%에서 5분 정도로 하는 동시에 송풍 팬(80)을 OFF(비작동) 상태로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밥짓기의 공정 전체가 종료되고, 이후에는 보온 공정이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82)가, 연속해서 송풍 팬(80)을 구동하여 송풍로(102)에 외기를 연속해서 통과시키는 동시에, 시즈 히터(72a, 72b)를 오프로 하고 있는 뜸들이기 공정의 초반의 뜸들이기 (i)의 기간(15분)이, 뜸들이기 공정의 전체 기간(15분+5분)의 70% 이상의 기간에 걸쳐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제어부(82)가, 뜸들이기 공정의 초반의 뜸들이기 (i)부터 뜸들이기 공정의 70% 이상의 기간에 걸쳐 시즈 히터(72a, 72b)가 오프로 되는 동시에 연속해서 송풍로(102)에 외기가 계속 도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냄비 본체(18)의 방열을 신속하게 실행하여 뜸들이기 공정에 적합한 냄비 본체(18)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탱글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들이기 공정 이외의 공정에서, 제어부(82)가 송풍 팬(80)을 구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송풍로(102)를 통과하는 외기에 의한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의 방열이 방지되고,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의 축열성을 이용한 밥짓기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으로 한 전기 밥솥(10)에 의하면, 밥솥 본체(16)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바닥 벽부(68)에 설치된 시즈 히터(72)에 의해 취반 냄비(12)의 냄비 본체(18)를 직접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옛 방식 그대로의 부뚜막과 마찬가지로, 도기제의 냄비 본체(18)가 직접 가열되는 것에 의한 냄비 본체(18)의 완만한 온도 상승성이나 온도 상승시에서의 균일한 가열화 및 가열 후의 높은 축열성을 잘 이용함으로써, 쌀을 맛있게 익힐 수 있다. 게다가, 시즈 히터(72)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어부(82)에 의해 예약 밥짓기 등 전기 밥솥(10)의 편리성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취반 냄비(12)가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된 상태에서,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상부 개구(106)에서 냄비 본체(18)의 상단부 가장자리부(28) 및 뚜껑체(22)의 대략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축열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된 취반 냄비(12)의 위쪽으로의 방열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동시에, 이러한 높은 축열성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쌀의 눌어붙음 등을 유리하고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냄비 수용 오목부(14)의 주벽부(70)와 냄비 본체(18)의 주벽부(24)의 외주면 사이에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송풍로(102)가 형성되고, 송풍로(102)의 상단 개구(104)가 외부에 직접 연통되는 한편,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가 밥솥 본체(16) 내로 연통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의 축열성이 문제가 되는 뜸들이기 공정에서 송풍 팬(80)을 구동하는 것만으로, 송풍로(102)의 하단 개구(108)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송풍로(102)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단 개구(104)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냄비 본체(18)의 전체의 냉각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2)는 건조 모드를 갖고 있다. 이러한 건조 공정은, 피취반물로서의 쌀이나 물 등이 수용되고 있지 않은 냄비 본체(18)만을 밥솥 본체(16)의 냄비 수용 오목부(14)에 수용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 건조 공정은, 제어부(82)가 전기 히터를 구성하는 시즈 히터(72)와 송풍 팬(80)을 구동시킴으로써, 냄비 본체(18)의 건조를 촉진하도록 행해진다. 이러한 건조 공정에 의해, 잊기 쉬운 사용 후의 냄비 본체(18)의 건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냄비 본체(18)의 초반 상태를 유지하여, 냄비 본체(18)의 내구성의 유지·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 하등,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취반 냄비(12)의 뚜껑체(22)도 냄비 본체(18)와 동일하게 도기제로 되어 있었지만, 뚜껑체(22)는 반드시 도기제일 필요는 없고, 도기제 외에, 주물제나 유리제 등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기제의 냄비 본체는, 높은 축열성을 유지하기 위해, JIS A 1509에 의해 측정한 부피 밀도가 1.5g/㎤ 내지 2.3g/㎤, 바람직하게 2.0g/㎤ 내지 2.1g/㎤으로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2.05g/㎤ 내지 2.08g/㎤으로 된다. 또한, 도기제의 냄비 본체의 JIS A 1509에 의해 측정한 흡수율이, 6 내지 12%, 바람직하게 8 내지 10%로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9%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히터는 시즈 히터(72)로 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세라믹 히터나 카본 히터 등의 공지의 전기 히터가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뜸들이기 공정의 후반의 뜸들이기 (ii)에서는, 제 1 시즈 히터(72a)의 출력값만을 예를 들어 10%에서 5분 정도로 하는 동시에 송풍 팬(80)을 OFF(비작동) 상태로 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속해서 송풍 팬(80)을 구동하는 동시에 양쪽의 시즈 히터(72a, 72b)의 출력값이 제로가 되는 기간을 뜸들이기 공정의 전체 기간의 70% 이상으로 한 상태에서, 뜸들이기 공정의 후반의 뜸들이기 (ii)에서 송풍 팬(80)을 구동하지 않고 양쪽의 시즈 히터(72a, 72b)를 오프로 하여 여분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공정을 넣어도 좋다. 혹은, 뜸들이기 공정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뜸들이기 (i)과 같이 송풍 팬(80)의 연속 구동과 양쪽의 시즈 히터(72a, 72b)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히터를 제 1 시즈 히터(72a)와 제 2 시즈 히터(72b)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단일의 전기 히터를 이용해 도기제의 냄비 본체(18)의 축열성만을 이용하고 또한 뜸들이기 공정에서 송풍 팬(80)에 의한 강제 냉각을 행함으로써, 밥짓기를 행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익히기 공정에서 제 2 시즈 히터(72b)를 OFF로 하여, 제 1 시즈 히터(72a)만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익힘의 취향에 따라 제 1 시즈 히터(72a)와 제 2 시즈 히터(72b)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도록 변경 가능하다. 즉, 익히기 공정에 있어서, 제 1 시즈 히터(72a)를 오프로 하여 제 2 시즈 히터(72b)만을 사용해도 좋고, 제 1, 제 2 시즈 히터(72a, 72b)의 양쪽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그밖에, 일일이 열거는 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수정, 개량 등을 가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그러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어느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0: 전기 밥솥, 12: 취반 냄비, 14: 냄비 수용 오목부, 16: 밥솥 본체, 18: 냄비 본체, 20: 상부 개구(개구), 22: 뚜껑체, 26: 바닥부(바닥면), 28: 상단부 가장자리부, 30: 플랜지부, 32: 바닥면, 38: 검온판, 42: 대경부, 44: 소경부, 46: 단차면, 48: 수용 오목부, 50: 내면, 52: 안 뚜껑, 66: 증기 수납 공간, 68: 바닥 벽부, 70: 주벽부, 72: 시즈 히터(전기 히터), 72a: 제 1 시즈 히터, 72b: 제 2 시즈 히터, 76: 온도 센서, 76a: 센서부, 80: 송풍 팬, 82: 제어부, 102: 송풍로, 104: 상단 개구, 106: 상부 개구, 108: 하단 개구, 110: 고리 형상 오목홈부, 112: 바닥벽

Claims (15)

  1. 피취반물을 수용하는 취반 냄비와, 상기 취반 냄비를 꺼낼 수 있게 수용하는 냄비 수용 오목부를 가지는 밥솥 본체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바닥 벽부(底壁部)에 설치되어 상기 취반 냄비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와, 상기 밥솥 본체 내에 설치된 송풍 팬과, 상기 전기 히터와 상기 송풍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기 밥솥에 있어서,
    상기 취반 냄비가, 상기 피취반물을 수용하는 도기제의 냄비 본체와 상기 냄비 본체의 개구를 덮는 뚜껑체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밥솥 본체의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에 상기 취반 냄비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에서 상기 뚜껑체가 외부에 노출되는 한편,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주벽부와 상기 취반 냄비의 상기 냄비 본체와의 사이에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송풍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송풍로의 상단 개구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기 상부 개구에서 외부로 직접 연통되는 한편, 상기 송풍로의 하단 개구가 상기 밥솥 본체 내로 연통되고,
    상기 제어부가, 밥짓기의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로의 상기 하단 개구로부터 도입된 외기를 상기 송풍로 내에 체류시키지 않고 상기 상단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뜸들이기 공정 이외의 공정에서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뜸들이기 공정의 초반부터 상기 뜸들이기 공정의 전체 기간의 70%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연속해서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여 상기 송풍로에 외기를 연속해서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전기 밥솥.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상기 주벽부와 상기 냄비 본체 사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전개되는 고리 형상을 띠고, 상기 송풍로의 상기 상단 개구는 상기 주벽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와 상기 냄비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측 고리 형상 틈새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송풍로의 상기 하단 개구는 상기 주벽부와 상기 바닥 벽부의 사이에 제공된 하측 고리 형상 틈새로 구성되는 전기 밥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에서의 상기 주벽부와 상기 냄비 본체 사이의 틈새 치수는 상기 상단 개구를 향해 확대되는 전기 밥솥.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 본체의 상기 상부 개구측에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고리 형상 오목홈부가 상기 주벽부의 외주측에 연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바닥벽이 상기 주벽부의 선단부보다도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제공되는 한편,
    상기 취반 냄비의 상기 냄비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부에는, 외주측으로 펼쳐지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 단면이 상기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바닥면에는,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고리 형상 오목홈부의 상기 바닥벽에 접근하는 하방 경사가 붙어있는 전기 밥솥.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 냄비의 상기 뚜껑체는 상기 냄비 본체의 개구를 덮어서 평탄하게 전개되는 안 뚜껑과, 상기 안 뚜껑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안 뚜껑과의 사이에 증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깥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안 뚜껑에 두께 치수가 상기 바깥 뚜껑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전기 밥솥.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냄비 본체의 바닥부 중앙이 얹어지는 제 1 시즈 히터와, 상기 냄비 본체의 바닥부 주변이 얹어지는 제 2 시즈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밥짓기의 승온 공정에서 상기 제 1 시즈 히터와 상기 제 2 시즈 히터의 양쪽을 사용하는 한편, 그 후의 익히기 공정에서 상기 제 1 시즈 히터와 상기 제 2 시즈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는 전기 밥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익히기 공정에서, 상기 제 1 시즈 히터만을 사용하는 전기 밥솥.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즈 히터의 상기 승온 공정에서의 출력값은 상기 승온 공정의 초반에 흡수 공정의 출력값보다도 낮은 전기 밥솥.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취반물을 수용하지 않는 상기 냄비 본체가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히터와 상기 송풍 팬을 구동시켜서 상기 냄비 본체의 건조를 촉진하는 건조 모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밥솥.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수용 오목부의 바닥 벽부 중앙에는 온도 센서의 센서부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냄비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부가 맞닿는 검온판이 배치되고,
    상기 검온판은 상기 도기보다도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로 구성되는 전기 밥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온판은, 상기 냄비 본체의 내주면을 구획 형성하는 안쪽 표면측에 비해, 상기 냄비 본체의 외주면을 구획 형성하는 바깥쪽 표면측의 직경 치수가 작은 단차를 가진 원주 형상으로 되고,
    상기 검온판의 상기 바깥쪽 표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마련되는 전기 밥솥.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온판의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의 단차면이, 내주측으로 감에 따라 하강하는 하방 경사면으로 되는 한편, 상기 수용 오목부의 주벽부가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테이퍼면 형상을 가지는 전기 밥솥.
KR1020207012526A 2017-10-27 2018-10-26 전기 밥솥 KR102351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8160 2017-10-27
JP2017208160A JP6553151B2 (ja) 2017-10-27 2017-10-27 電気炊飯器
PCT/JP2018/039831 WO2019083005A1 (ja) 2017-10-27 2018-10-26 電気炊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658A KR20200066658A (ko) 2020-06-10
KR102351771B1 true KR102351771B1 (ko) 2022-01-18

Family

ID=6624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526A KR102351771B1 (ko) 2017-10-27 2018-10-26 전기 밥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53151B2 (ko)
KR (1) KR102351771B1 (ko)
CN (1) CN111278334A (ko)
TW (1) TWI772541B (ko)
WO (1) WO2019083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7490B2 (ja) * 2019-05-27 2023-02-2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炊飯器
JP7161244B1 (ja) * 2021-06-18 2022-10-26 シロカ株式会社 加熱調理器
DK181195B1 (en) * 2021-09-24 2023-04-24 Norqi Aps Electrically heated cook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934B2 (ja) * 1989-04-17 1998-08-13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調理器
JP3063611B2 (ja) * 1996-03-15 2000-07-1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2007044306A (ja) *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鍋状容器の乾燥方法
JP2009273743A (ja) * 2008-05-16 2009-11-26 Rinnai Corp 調理鍋
JP2009293806A (ja) * 2008-06-02 2009-12-17 Nagatani Seito Kk 加熱調理器とそれを構成するカバー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441B1 (ko) 1968-01-05 1974-03-11
JPH03261415A (ja) * 1990-03-12 1991-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3611229B2 (ja) * 1997-03-22 2005-01-19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炊飯器
JP4910441B2 (ja) * 2006-03-23 2012-04-0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KR101632742B1 (ko) * 2014-05-28 2016-06-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
CN204698350U (zh) * 2015-05-13 2015-10-14 黄俊杰 双层锅盖的陶瓷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934B2 (ja) * 1989-04-17 1998-08-13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調理器
JP3063611B2 (ja) * 1996-03-15 2000-07-1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2007044306A (ja) *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鍋状容器の乾燥方法
JP2009273743A (ja) * 2008-05-16 2009-11-26 Rinnai Corp 調理鍋
JP2009293806A (ja) * 2008-06-02 2009-12-17 Nagatani Seito Kk 加熱調理器とそれを構成するカバー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658A (ko) 2020-06-10
CN111278334A (zh) 2020-06-12
JP2019076661A (ja) 2019-05-23
TW201922154A (zh) 2019-06-16
WO2019083005A1 (ja) 2019-05-02
TWI772541B (zh) 2022-08-01
JP6553151B2 (ja)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771B1 (ko) 전기 밥솥
JP5025154B2 (ja) 電気炊飯器
JP2005304709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JP2014128729A (ja) 炊飯器
JP2019076661A5 (ko)
JP6239014B2 (ja) 炊飯器
JP2007312867A (ja) 炊飯器
JP4832149B2 (ja) 炊飯器
KR200179454Y1 (ko) 프라이팬
JP6197167B2 (ja) 電気炊飯器
JP2007252624A (ja) 電気炊飯器
JP2005174705A (ja) 加熱調理器
JP6369138B2 (ja) 電気炊飯器
JP6550936B2 (ja) 電気炊飯器
JP6161585B2 (ja) 電気炊飯器
JP2018114207A (ja) 調理容器、加熱調理器および調理容器の製造方法
KR101593606B1 (ko)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KR200149674Y1 (ko) 전기보온밥솥의 뚜껑
JP2012000383A (ja) 炊飯器
KR20170138331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US7564010B2 (en) Jar type cauldron
JP5872646B1 (ja) 炊飯器
JPH1156611A (ja) ジャー炊飯器
KR20170025933A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JP3073354U (ja) 遠赤外線加熱調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