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606B1 -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 Google Patents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606B1
KR101593606B1 KR1020140077027A KR20140077027A KR101593606B1 KR 101593606 B1 KR101593606 B1 KR 101593606B1 KR 1020140077027 A KR1020140077027 A KR 1020140077027A KR 20140077027 A KR20140077027 A KR 20140077027A KR 101593606 B1 KR101593606 B1 KR 10159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tainer body
heating medium
hea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16A (ko
Inventor
유광희
Original Assignee
유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희 filed Critical 유광희
Priority to KR102014007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6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4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liquid-heating tubes extending outside the vessel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수납부가 함몰형성되고 내부 둘레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매체; 상기 용기 몸체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 상기 용기 몸체와 열 공급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용기의 내부에 열매체를 수용하면서 외부에 열 공급부를 장착하여 장기간 일정온도로 열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음식의 조리가 용이하고 음식 고유의 향을 발산하면서도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HEATING CONTAINER USING HEATING MEDIUM}
본 발명은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용기의 내부에 열매체를 저장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가열용기에는 그 형상 및 사용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조리용 가열용기에는 프라이팬, 궁중팬으로도 불리는 볶음팬, 이 밖에 전골냄비, 일반 냄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조리용 가열용기 중 재료를 부침 또는 볶음에 사용하는 프라이팬이나 볶음팬은 그 구조를 보면 알루미늄재질 또는 스틸재질로서 내부가 함몰된 형태의 몸체부가 형성되고, 그 몸체부의 테두리 한쪽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테프론코팅층을 2~3중으로 형성하거나 마블코팅층을 2~3중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 가열용기는 가열할 때 가열온도를 조금만 높이는 등 가열 열의 변화를 주었을 경우 열전도율에 민감한 조리용 가열용기는 내부의 조리 음식의 끊임에 의해 쉽게 외부로 넘치거나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미세한 열에 민감한 가열용기에 가열온도 조절의 조작실수나 일정하지 않게 가열온도를 제공할 경우에는 음식 고유의 향이 발산되거나 눋기에 의한 풍미의 발생이 억제되고 영양소 등의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025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47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용기의 내부에 열매체를 수용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장기간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 몸체의 일 측에 열매체 가열부를 장착하여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매체를 자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수납부가 함몰형성되고 내부 둘레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매체; 상기 용기 몸체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 상기 용기 몸체와 열 공급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의 하부나 일 측에는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매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열매체 가열부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의 공간부는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서로 다른 열매체가 수용되고, 상기 열 공급부와 대응하는 용기 몸체에는 열 공급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는 공간부에 열매체를 공급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용기의 내부에 열매체를 수용하면서 외부에 열 공급부를 장착하여 장기간 일정온도로 열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음식의 조리가 용이하고 음식 고유의 향을 발산하면서도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몸체의 일 측에 열매체 가열부를 장착하여 공간부에 수용되는 열매체를 자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조리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수납부에 수용되는 음식을 지정된 온도로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10)는 용기 몸체(20), 상기 용기 몸체(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매체(30), 상기 용기 몸체(20)에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40), 상기 용기 몸체(20)와 열 공급부(40)를 감싸는 커버(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 몸체(2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수납부(21)가 함몰형성되고, 내부 둘레에는 열매체(30)를 수용하는 공간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2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용기 몸체(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평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에 맞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20)의 상부에는 수납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덮개 지지부(23)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60)는 공지된 덮개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 몸체(20)는 도시된 도 3 내지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3의 용기 몸체(20)는 내부 둘레에 형성되는 공간부(22)가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서로 다른 열매체(30)가 수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공간부(22)를 구획벽(24)을 통해 내부 공간부(22a)와 외부 공간부(22b)로 분리형성한 후 상기 내부 공간부(22a)와 외부 공간부(22b)에 서로 다른 열매체(30)를 수용하여 서로 다른 열매체(30)를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4의 용기 몸체(20)는 열 공급부(40)와 대응하는 부분에 열 공급 홈(25)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용기 몸체(20)의 외부 둘레에 열 공급부(40)를 수용하는 열 공급 홈(25)을 형성하여 상기 열 공급부(40)를 고정하면서도 빠르게 용기 몸체(20)에 열 이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용기 몸체(20)는 외부 둘레에 열 공급부(4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열 공급 홈(25)을 형성하고, 상기 열 공급 홈(25)에는 열 공급부(40)를 장착하여, 상기 열 공급부(40)에서 발생하는 열이 단시간에 용기 몸체(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용기 몸체(20)는 상부에 고정구(27)가 구비된 출구(26)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용기 몸체(20)의 상부에 공간부(22)와 연통하는 고정구(27)가 구비된 출구(26)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22)에 열매체(30)를 공급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출구(26)에 장착되는 고정구(27)를 대신하여 공간부(22)의 내부 압력이나 온도가 설정 값보다 높을시 배출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용기 몸체(20)의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는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기체, 유체, 고체 중 택일하여 사용된다.
즉 상기 열매체(30)는 용기 몸체(20)의 공간부(22)에 수용되어 열 공급부(40) 또는 후설 할 열매체 가열부를 통해 공급되는 열을 공급하면서도 상기 수납부(21)에 수용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는 열의 전달과 함께 장시간에 걸쳐 열을 포함할 수 있도록 점성을 가지는 유체가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30)는 용기 몸체(20)에 장착되는 열 공급부(40)와 별도로 용기 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열매체 가열부(70)를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열매체 가열부(70)는 공지된 히팅 기기 중 택일하여 형성되어 열 공급부(40)와 별도로 단독적으로 열매체(30)를 가열함으로써 단시간에 용기 몸체(20)를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를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열매체 가열부(70)는 열매체(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72)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돌출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용기 몸체(20)에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40)는 용기 몸체(20)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수납부(21)에 수용되는 음식을 가열하게 된다.
즉 상기 열 공급부(40)는 용기 몸체(20)의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용기 몸체(20)와 더불어 열매체(30)에 열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 공급부(4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히팅 코일이나 전기 코일뿐만 아니라 공지된 히팅기구를 택일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 몸체(20)와 열 공급부(40)를 감싸는 커버(50)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용기 몸체(20)와 열 공급부(40)를 감싸면서도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50)의 외부에는 미관을 위하여 각종 무늬가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 몸체(20)와 커버(50)의 사이에는 단열재(8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수납부(21)가 함몰형성되고, 내부 둘레에는 열매체(30)를 수용하는 공간부(2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납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60)를 지지할 수 있는 덮개 지지부(23)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용기 몸체(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용기 몸체(20)의 상부에는 공간부(22)와 연통하는 고정구(27)가 구비된 출구(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몸체(20)이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외부 전원의 공급시 가열되는 히팅 코일로 구비된 열 공급부(40)를 장착한 후 상기 용기 몸체(20)의 하부에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를 가열하는 열매체 가열부(7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 몸체(20)의 고정구(27)를 제거한 후, 출구(26)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22)에 점성이 있는 유체로 형성되는 열매체(3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출구(26)를 고정구(27)로 폐쇄하면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 또는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열 공급부(40)와 열매체 가열부(70)에 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열 공급부(40)와 열매체 가열부(70)는 용기 몸체(20)의 외부 둘레와 공간부(22)의 열매체(30)를 각각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는 열 공급부(40)와 열매체 가열부(70)를 통해 단시간에 가열되고 더불어 상기 용기 몸체(20)에 단시간에 가열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 몸체(20)가 원하는 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열 공급부(40)와 열매체 가열부(70)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원을 제거하여 온도를 조절하면서 음식을 조리 또는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 몸체(20)는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를 통해 장시간에 걸쳐 원하는 온도로 음식을 조리한 후 원하는 온도로 음식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음식 고유의 향을 발산하면서도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20 : 용기 몸체,
21 : 수납부, 22 : 공간부,
23 : 단차부, 24 : 구획벽,
25 : 열 공급 홈, 26 : 출구,
27 : 고정구, 30 : 열매체,
40 : 열 공급부, 50 : 커버,
60 : 덮개, 70 : 열매체 가열부.

Claims (6)

  1.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수납부(21)가 함몰형성되고 내부 둘레에는 공간부(22)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20);
    상기 용기 몸체(20)의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
    상기 용기 몸체(20)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40);
    상기 용기 몸체(20)와 열 공급부(40)를 감싸는 커버(5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20)의 공간부(22)는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서로 다른 열매체(30)가 수용되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20)의 하부나 일 측에는 공간부(22)에 수용되는 열매체(30)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열매체 가열부(70)가 장착되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부(40)와 대응하는 용기 몸체(20)에는 열 공급 홈(25)이 형성되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20)의 상부에는 공간부(22)에 열매체(30)를 공급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출구(26)가 형성되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20)와 커버(50)의 사이에는 단열재(80)가 장착되는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KR1020140077027A 2014-06-24 2014-06-24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KR10159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27A KR101593606B1 (ko) 2014-06-24 2014-06-24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27A KR101593606B1 (ko) 2014-06-24 2014-06-24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16A KR20160000116A (ko) 2016-01-04
KR101593606B1 true KR101593606B1 (ko) 2016-02-12

Family

ID=5516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27A KR101593606B1 (ko) 2014-06-24 2014-06-24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3802B (zh) * 2017-10-10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412U (ja) * 1983-05-13 198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炊飯器
KR940003726Y1 (ko) * 1992-03-30 1994-06-09 이재천 음식물 조리기
KR20000017235U (ko) * 1999-02-20 2000-09-25 홍행일 국솥
KR20100004783A (ko) 2008-07-04 2010-01-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가열용기와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KR20110001524U (ko) * 2009-08-06 2011-02-14 서홍원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KR20110102592A (ko) 2010-03-11 2011-09-19 김한중 가열장치 겸 조립식 진공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16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780B1 (ko) 초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
JP2020157075A (ja) 炊飯器用の蓋体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炊飯器
KR20170071221A (ko) 전기 가열 조리기
KR102351771B1 (ko) 전기 밥솥
KR101593606B1 (ko)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JP321418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器
JP2007117101A (ja) 食品加熱用皿
JP6248744B2 (ja) 誘導加熱炊飯器
JP3217005U (ja) 調理補助具及び該調理補助具を用いた調理器具
KR101467484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가열 조리기구
KR101725975B1 (ko)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KR20200018026A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JP200707550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容器
KR20160048580A (ko) 음식물 조리기
JP2009233230A (ja) 炊飯器
KR101406492B1 (ko) 조리용기
KR102405053B1 (ko) 전기압력밥솥
BR112021001521B1 (pt) Estrutura de cooktop para fogões de indução
KR20200002538A (ko) 고정부 홈이 있는 컵라면 용기
JP3183737U (ja) 調理器具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102430092B1 (ko) 충전식 휴대용 가열 냄비
KR101821688B1 (ko) 수납이 용이한 버너
KR20160014337A (ko) 압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