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524U -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524U
KR20110001524U KR2020090010272U KR20090010272U KR20110001524U KR 20110001524 U KR20110001524 U KR 20110001524U KR 2020090010272 U KR2020090010272 U KR 2020090010272U KR 20090010272 U KR20090010272 U KR 20090010272U KR 20110001524 U KR20110001524 U KR 201100015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eat
space
heat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홍원
Original Assignee
서홍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홍원 filed Critical 서홍원
Priority to KR2020090010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524U/ko
Publication of KR20110001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바닥의 받침 안쪽으로 고정, 설치된 가열장치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작동하면, 몸체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열매체 물질이 열을 전달받아 몸체 내면으로 열을 발산하게 되고, 몸체 테두리부에 체결된 마개를 풀어서 몸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어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하거나 데워서 취식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의 공간에 열매체 물질이 충전되어 열전도율이 빠르고, 몸체의 내부로 열이 집중되어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하거나 데워서 취식할 수 있으며, 용기가 화기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용기의 바닥면이 그을리거나 검게 타버리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도 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중벽, 조리 기구,

Description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Cooking utensil having a double wall style}
본 고안은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바닥에 고정, 설치된 가열장치가 작동하여 몸체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충전된 열매체 물질에 열을 전달하여 몸체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구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음식물이 삽입되어 가스렌지, 버너 등의 가열장치에 올려져 장시간 높은 열을 가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뜨겁게 데워서 음식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부에 음식물이 삽입되어 조리되는 조리기구는 가스렌지, 버너 등의 가열장치에 올려져 장시간 높은 열을 받으며 사용하게되어 용기 외주면의 코팅층이 파괴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으로 조리기구 외주면이 검게 그을리거나 타버리게 되어 정기적으로 용기를 교체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 바닥의 받침 안쪽으로 고정, 설치된 가열장치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작동하면, 몸체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열매체 물질이 열을 전달받아 몸체 내면으로 열을 발산하게 되고, 몸체 테두리부에 체결된 마개를 풀어서 몸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어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하거나 데워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제1 실시 예는,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중벽 구조의 용기 형상으로, 외벽(100)의 외면에 서로 떨어져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02)에 최소한 1개 이상의 나사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100)의 바닥에 받침(105)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기둥(201)의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나사 홈(104)에 체결되고,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기 나사 홈(104)과의 결합을 풀어 상기 기둥(201)의 측면 구멍(201a)을 노출하면 이 구멍(210a)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의 압력을 배출하는 마개(200); 및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에 설치되어 발열 작동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301)와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 커버(300)를 포함하는 가열장치(31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는 열매체 물질(400)로서 파라핀, 소금,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제2 실시 예는,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중벽 구조의 판 형상으로, 외벽(100')의 상면 혹은 측면에 서로 떨어져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02')에 최소한 1개 이상의 나사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100')의 바닥에 받침(105')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기둥(201)의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나사 홈(104)에 체결되고,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기 나사 홈(104)과의 결합을 풀어 상기 기둥(201)의 구멍(201a)을 노출하면 이 구멍(201a)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배출하는 마개(210); 및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에 설치되어 발열 작동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301)와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 커버(300)를 포함하는 가열장치(3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는 열매체 물질(400)로서 파라핀, 소금,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테두리부(102')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테두리부(102')를 따라 음식물 구이 요리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의 기름이 흘러들어 모이는 오목한 기름 수용 홈(10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오목한 기름 수용 홈(107) 중 일부에 상기 수용 홈(107)에 모여진 음식물의 기름을 상기 몸체(110') 밖으로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 홈(1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의 공간에 열매체 물질이 충전되어 열전도율이 빠르고, 몸체의 내부로 열이 집중되어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하거나 데워서 취식할 수 있으며, 용기가 화기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용기의 바닥면이 그을리거나 검게 타버리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도 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1의 단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몸체(110)는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중벽 구조의 용기 형상으로, 외벽(100)의 외면에 서로 떨어져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02)에 최소한 1개 이상의 나사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100)의 바닥에 받침(10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는 열매체 물질(400)로서 파라핀, 소금, 모래 중 어느 하나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개는 기둥(201)의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0)의 나사 홈(104)에 체결되며,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기 나사 홈(104)과의 결합을 풀어 상기 기둥(201)의 측면 구멍(201a)을 노출하면 이 구멍(210a)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의 압력을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열장치는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에 설치되어 발열 작동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301)와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 커버(30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부가 개구되어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에 발열성 물질(400)이 충전되고, 상기 몸체(110) 상면의 테두리부(102)에 형성된 나사 홈(104)에 상기 마개(210)가 체결되며, 상기 몸체(110) 외벽(100)의 바닥에 돌출된 받침(105)의 안쪽으로 상기 가열장치(31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개(210)는 머리와 기둥(201)으로 형성되고 바닥에서 측면으로 구멍(201a)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면 테두리부(102)에 형성된 최소 1 이상의 나사 홈(104)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면 테두리부(102)에 마개(210)를 체결하고,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으로 상기 가열장치(310)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에 전기단자(21)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가열장치(310)의 히터(301)가 발열 작동하여 상기 몸체(110)로 열이 전달되므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데워서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과 내벽(101) 사이에 충전된 열매체 물질(400)은 상기 가열장치(310)의 히터(301)가 발열 작동하여 상기 열매체 물질(400)에 열이 전달되고, 열을 전달받은 상기 열매체 물질(400)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몸체(110)가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의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103)를 파지하여 가열된 상태의 상기 몸체(110)를 다른 곳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물질(400)은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과 내벽(101) 사이의 공간에 2/3가량이 충전되어 상기 히터(301)에서 전달받은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에 집중적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물질(400)은 파라핀, 소금, 모래 등과 같이 고온에서도 쉽게 연소되지 않는 물질을 충전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310)의 열을 전달받아 상기 몸체(110)에 지속적인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여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과 내벽(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100a)에 압력이 생성되고, 상기 몸체(110)가 팽창하게 되므로 상기 몸체(110) 상면 테두리부(102)의 나사 홈(104)에 체결된 마개(210)를 풀어 상기 마개(210)가 상기 몸체(110)에서 노출되도록 하면, 상기 마개(210)의 기둥(201)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을 따라 상기 몸 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생성된 압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210)는 필요에 따라 풀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상기 몸체(110)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충전된 열매체 물질(400)의 열 압력이 상기 마개(210)의 구멍(201a)을 따라 배출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상기 몸체(110)를 가열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몸체(110)를 세척할 때는 상기 마개(210)를 조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 상면의 테두리부(102)에 나사 홈(104)을 최소 1이상 형성하고, 상기 나사 홈(104)에 복수개의 상기 마개(21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몸체(110)가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압력이 배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이중 벽 구조 조리 기구(1000)는 상, 식탁 등에 형성된 받침판(10)의 홈에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이 바닥면과 안착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받침판(10) 홈의 바닥면에 돌출된 전기단자(21)에 상기 가열장치(310)의 히터커버(300)에 형성된 전극 연결 홈(302)이 결합되어 상기 가열장치(310)의 히터(301)가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여 상기 몸체(110)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10)의 저면에는 상기 전기단자(21)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공급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를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단면도이다.
몸체는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중벽 구조의 판 형상으로, 외벽(100')의 상면 혹은 측면에 서로 떨어져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02')에 최소한 1개 이상의 나사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100')의 바닥에 받침(10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매체 물질(400)은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파라핀, 소금,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테두리부(102')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테두리부(102')를 따라 음식물 구이 요리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의 기름이 흘러들어 모이는 오목한 기름 수용 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0')는 오목한 기름 수용 홈(107) 중 일부에 상기 수용 홈(107)에 모여진 음식물의 기름을 상기 몸체(110') 밖으로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 홈(108)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는 기둥(201)의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나사 홈(104)에 체결되고,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기 나사 홈(104)과의 결합을 풀어 상기 기둥(201)의 구멍(201a)을 노출하면 이 구멍(201a)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열장치는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에 설치되어 발열 작동함으로 써 상기 몸체(11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301)와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 커버(30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 구조 조리 기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중벽 구조의 판 형상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고, 상기 몸체(110') 상면의 테두리부(102')에 형성된 나사 홈(104)에 상기 마개(210)가 체결되며, 상기 몸체(110') 외벽(100')의 바닥에 돌출된 받침(105')의 안쪽으로 상기 가열장치(31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개(210)는 머리와 기둥(201)으로 형성되고 바닥에서 측면으로 구멍(201a)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면 테두리부(102)에 형성된 최소 1 이상의 나사 홈(104)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면 테두리부(102')에 마개(210)를 체결하고, 상기 몸체(110')의 받침 안쪽으로 상기 가열장치(310)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에 전기단자(21)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가열장치(310)의 히터(301)가 발열 작동하여 상기 몸체(110')로 열이 전달되므로 음식물을 굽거나 데워서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과 내벽(101') 사이에 충전 된 열매체 물질(400)은 상기 가열장치(310)의 히터(301)가 발열 작동하여 상기 열매체 물질(400)에 열이 전달되고, 열을 전달받은 상기 열매체 물질(400)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몸체(110')가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04)를 파지하여 가열된 상태의 상기 몸체(110')를 다른 곳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테두리부(102')의 근접한 위치에 오목한 형상의 기름 수용 홈(107)을 형성하여 구이 요리 중에 발생되는 기름을 수용하고, 상기 기름 수용 홈(107) 일부에 기름이 배출되는 배출 홈(108)을 형성하여 기름을 상기 몸체(110') 밖으로 유도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물질(400)은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과 내벽(101') 사이의 공간(100a')에 2/3가량이 충전되어 상기 히터(301)에서 전달받은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상기 몸체(110')집중적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물질(400)은 파라핀, 소금, 모래 등과 같이 고온에서도 쉽게 연소되지 않는 물질을 충전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310)의 열을 전달받아 상기 몸체(110')에 지속적인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여 상기 몸체(110')의 외벽(100')과 내벽(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100a')에 압력이 생성되고, 상기 몸체(110')가 팽창하게 되므로 상기 몸체(110') 상면 테두리부(102')의 나사 홈(104)에 체결된 마개(210)를 풀어 상기 마개(210)가 상기 몸체(110')에서 노출되도록 하면, 상기 마개(210)의 기둥(201)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10a)을 따라 상 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생성된 압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210)는 필요에 따라 풀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상기 몸체(110')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충전된 열매체 물질(400)의 열 압력이 상기 마개(210)의 구멍(201a)을 따라 배출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상기 몸체(110')를 가열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몸체(110')를 세척할 때는 상기 마개(210)를 조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 상면의 테두리부(102')에 나사 홈(104)을 최소 1이상 형성하고, 상기 나사 홈(104)에 복수개의 상기 마개(21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몸체(110')가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압력이 배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 바닥의 받침(105) 안쪽으로 고정, 설치된 가열장치(300)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작동하여 상기 열매체 물질(400)을 통해 상기 몸체(100)를 가열하는 상기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1000)는, 열전달이 신속하여 짧은 시간안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상기 몸체(100)가 화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상기 몸체(100) 외주 면에 손상이 없으며, 화기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20 : 전기 공급 장치
21 : 전기 단자 100, 100' : 내벽
101, 101' : 외벽 100a, 100a' : 공간
102, 102' : 테두리 103 : 손잡이
104 : 나사 홈 105, 105' : 받침
107 : 기름 수용 홈 108 : 기름 배출 홈
110, 110' : 몸체 201 : 기둥
201a : 구멍 210 : 마개
300 : 히터커버 301 : 히터
302 : 전극 연결 홈 310 : 가열장치
400 : 열매체 물질 1000 :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Claims (6)

  1.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중벽 구조의 용기 형상으로, 외벽(100)의 외면에 서로 떨어져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02)에 최소한 1개 이상의 나사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100)의 바닥에 받침(105)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기둥(201)의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나사 홈(104)에 체결되고,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기 나사 홈(104)과의 결합을 풀어 상기 기둥(201)의 측면 구멍(201a)을 노출하면 이 구멍(210a)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의 압력을 배출하는 마개(200); 및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에 설치되어 발열 작동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301)와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 커버(300)를 포함하는 가열장치(31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 간(100a)에는 열매체 물질(400)로서 파라핀, 소금,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3.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에 공간(100a')을 형성하는 이중벽 구조의 판 형상으로, 외벽(100')의 상면 혹은 측면에 서로 떨어져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 열매체 물질(400)이 충전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02')에 최소한 1개 이상의 나사 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100')의 바닥에 받침(105')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기둥(201)의 바닥에서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나사 홈(104)에 체결되고, 상기 열매체 물질(400)이 발열 작동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상기 나사 홈(104)과의 결합을 풀어 상기 기둥(201)의 구멍(201a)을 노출하면 이 구멍(201a)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배출하는 마개(210); 및
    상기 몸체(110')의 받침(105') 안쪽에 설치되어 발열 작동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301)와 상기 히터(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히터(301)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연결 홈(302)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 커버(300)를 포함하는 가열장치(31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101')과 외벽(100') 사이의 공간(100a')에는 열매체 물질(400)로서 파라핀, 소금, 모래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테두리부(102')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테두리부(102')를 따라 음식물 구이 요리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의 기름이 흘러들어 모이는 오목한 기름 수용 홈(10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오목한 기름 수용 홈(107) 중 일부에 상기 수용 홈(107)에 모여진 음식물의 기름을 상기 몸체(110') 밖으로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 홈(1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KR2020090010272U 2009-08-06 2009-08-06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KR201100015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72U KR20110001524U (ko) 2009-08-06 2009-08-06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72U KR20110001524U (ko) 2009-08-06 2009-08-06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24U true KR20110001524U (ko) 2011-02-14

Family

ID=4420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72U KR20110001524U (ko) 2009-08-06 2009-08-06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5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16A (ko) * 2014-06-24 2016-01-04 유광희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16A (ko) * 2014-06-24 2016-01-04 유광희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821B1 (ko) 오븐
KR101626303B1 (ko) 조리기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20150000697U (ko) 적외선 가열조리기
KR100495152B1 (ko) 가열 조리기
KR102558298B1 (ko) 증기 발생기를 갖는 레인지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KR20110001524U (ko) 이중벽 구조 조리 기구
KR100980203B1 (ko) 수냉식 고기구이장치
KR20090006658U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주방용기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20090120927A (ko) 음식물 보온용기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JP3173614U (ja) 断熱機能を有する側板を備えたコンロ
CN209733607U (zh) 烤盘组件和烹饪装置
KR101725975B1 (ko)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CN202635898U (zh) 饭盒
KR200324719Y1 (ko) 양면회전 전기팬
KR200380139Y1 (ko)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KR20050013091A (ko)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JP3193322U (ja) 固体燃料用携帯型コンロ
KR102399849B1 (ko) 전기 조리장치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JP2004065536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