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688B1 - 수납이 용이한 버너 - Google Patents

수납이 용이한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688B1
KR101821688B1 KR1020170060460A KR20170060460A KR101821688B1 KR 101821688 B1 KR101821688 B1 KR 101821688B1 KR 1020170060460 A KR1020170060460 A KR 1020170060460A KR 20170060460 A KR20170060460 A KR 20170060460A KR 101821688 B1 KR101821688 B1 KR 10182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ood
main body
combustion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베아
Priority to KR102017006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688B1/ko
Priority to CN201810413956.2A priority patent/CN10887046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조리부를 버너본체에 용이하게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중앙에 연소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 플레이트 하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면이 형성된 버너본체와; 상기 개구면을 통하여 상기 버너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버너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음식물조리부와; 상기 음식물조리부가 상기 버너본체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상기 버너본체의 상면 내측에 거치되며 상기 음식물조리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음식물 조리부를 버너본체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납이 용이한 버너{BURNER FOR EASILY KEEPING}
본 발명은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부를 버너본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가스버너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간단하게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휴대용 가스버너는 가스 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되며, 냄비, 후라이팬 등과 같은 조리도구가 놓여지는 버너바디와 상기 가스용 기가 장착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버너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버너는 연소부(11)가 구비된 버너 본체(10)와, 버너 본체(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연소부(11) 측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버너 본체(10)는 내부에 연소부(11)를 구비하여 음식물 측으로 열을 가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면에는 지지부재(12)가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냄비나 후라이팬 등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버너 본체(10)의 전방 일측에는 연소부(11)에서 발생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버너에 있어서, 버너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담아서 가열할 수 있는 냄비나 후라이팬과 같은 별도의 용기(20)를 구비해야 하므로 버너와는 별도로 상기 용기(20)를 준비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버너 본체(10)와 상기 용기(20)를 별도로 구비한 상태에서 이들을 운반이나 수납시에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조리부를 버너본체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납이 용이한 버너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중앙에 연소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 플레이트 하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면이 형성된 버너본체와; 상기 개구면을 통하여 상기 버너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버너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음식물조리부와; 상기 음식물조리부가 상기 버너본체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상기 버너본체의 상면 내측에 거치되며 상기 음식물조리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지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너본체의 상측 둘레면에는 방열 및 흡기를 위하여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은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조리부도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조리부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시에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음식물조리부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너본체의 상면 내측 둘레에는 거치부재가 상기 상면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재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 둘레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소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버너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발산됨을 방지하는 별도의 차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면 둘레에는 조리시에 상기 연소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음식물 조리부 측으로 방열할 수 있는 복수의 방열구가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음식물 조리부의 하면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납이 용이한 버너는, 음식물 조리부를 버너본체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너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납이 용이한 버너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지지부가 버너본체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음식물 조리부가 버너본체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음식물 조리부가 버너본체에 안착된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버너에 설치된 판형 버너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납이 용이한 버너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지지부가 버너본체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음식물 조리부가 버너본체에 안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음식물 조리부가 버너본체에 안착된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의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버너에 설치된 판형 버너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중앙에 연소 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 하부에 수납 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면(130)이 형성된 버너본체(100)와; 상기 개구면(130)을 통하여 상기 버너본체(1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공간(120)에 수납되며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음식물조리부(200)와; 상기 음식물조리부(200)가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면 내측에 거치되며 상기 음식물조리부(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310)가 구비된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는 연소 플레이트(110)가 판형으로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너본체(100)의 상측 중앙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버너본체(100) 내부의 연소 플레이트(110) 하측에 별도의 수납 공간(120)을 구비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공간(120)에 음식물조리부(20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다.
버너본체(100)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그 상측 중앙 영역에 열원이 발생되는 연소 플레이트(110)가 구비되어 개구된 상면에 음식물조리부(200)를 안착시켜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원이 음식물조리부(200)를 가열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소 플레이트(110)는 'ㅁ'자 형상의 폐곡선 형태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폐곡선을 따라 판면에는 복수의 화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영역에는 가스가 연소시에 공기와 원활히 접촉하여 상기 가스가 완전 연소되도록 공가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공(112)이 구비되어 있다.
연소 플레이트(110)에는 화공(111)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바람막이부(113)가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막이부(113)는 연소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에 연소 플레이트(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연소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스유로(101)가 형성되도록 하는 바람막이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공(111)을 통하여 발생되는 불꽃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화공(111)은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막이부재는 'ㅁ'자 형상의 연소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화공(111)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소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바람막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가스유로(101)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평탄면(114)이 구비되고, 화공(111)은 평탄면(114)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평탄면(114)이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화공(111)이 평탄면(114)에 형성되어야 상기 바람막이부재에 의하여 외부의 바람이 화공(111)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화공(111)은 평탄면(114)의 두께 방향을 따라 평탄면(114)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공(111)을 통하여 발생되는 불꽃이 수직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에 걸쳐서 조리용기 측으로 열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화공(111)이 평탄면(114)의 두께 방향을 따라 평탄면(114)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평탄면(114)에 화공(111)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막이부재의 일단과 상기 평탄면(114)의 일단을 연결하는 영역에는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면(115)이 형성되도록 하고, 바람막이부재의 높이가 평탄면(11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됨으로써 가스유로(101)는 연소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축소되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사면(115)이 바람막이부재와 평탄면(114)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연소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을 따라 가스유로(101)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하여 가스유로(101)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가 벤츄리 효과를 유발하도록 하여 가스의 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소 플레이트(110)로 유입된 가스는 바람막이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높이가 높은 가스유로(101)로 이동하게 되고, 지속적인 가스의 유입으로 인하여 경사면(115)을 따라 이동하면서 평탄면(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높이가 낮은 가스유로(101)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경사면(115)에 의하여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경사면(115)에서 가스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벤츄리 효과가 유발되어 신속하게 가스가 이동하게 되면서 분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소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버너본체(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연소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연장부재(116)가 연소 플레이트(11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재(116)에 의하여 연소 플레이트(110)는 버너본체(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연장부재(116)가 연소 플레이트(110)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이 연장부재(116)를 따라 전도되면서 냉각되어 결과적으로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버너본체(1)로 전달됨을 억제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버너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소 플레이트(110)의 하측에는 수납 공간(120)이 형성되어 음식물 조리부(20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버너본체(100)의 일측면에는 개구면(130)이 형성되어 수납 공간(120)에 음식물 조리부(200)가 수납되도록 하거나 수납 공간(120)에 수납된 음식물 조리부(20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버너본체(100)의 상측 둘레면에는 방열 및 흡기를 위하여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통공(140)이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조리부(200)를 버너본체(100)의 상면에 안착시켜 음식물을 조리시에 통공(140)을 통하여 방열 및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소 플레이트(110) 측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불완전 연소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버너본체(100)의 상면 내측 둘레에는 거치부재(150)가 상기 상면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300)가 거치부재(150)에 거치됨으로써 조리시에 음식물 조리부(200)를 버너본체(10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음식물 조리부(200)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면이 개구 형성된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버너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원에 의하여 가열되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음식물조리부(200)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구(210)가 구비되는데, 기름배출구(210)는 음식물조리부(2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배출구(210)의 단부에는 기름배출구(2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별도의 마개(211)가 구비되어 있다.
음식물 조리부(200)의 하면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음식물 조리부(200)의 하면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 측으로 골고루 분배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균일하게 음식물 조리부(2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 조리부(200)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버너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된 음식물 조리부(200)를 인출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20)가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300)는 복수의 지지부재(310)가 방사 방향을 따라 사면에 배치되어 버너본체(100)의 상면 둘레에 형성된 거치부재(150)에 거치됨으로써 음식물 조리부(200)가 버너본체(100)의 상부에 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300) 상기 음식물조리부(200)를 수납공간(120)에 수납시에 음식물조리부(200)에 수납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300)의 내측 둘레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버너본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발산됨을 방지하는 별도의 차열판(320)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부(300)의 내측 둘레에 차열판(320)이 형성됨으로써 조리시에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지지부(300)의 지지부재(310)에 안착된 음식물 조리부(200) 측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버너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된 가스용기 측으로 복사됨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300)의 상면 둘레에는 조리시에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음식물 조리부(200) 측으로 방열할 수 있는 복수의 방열구(330)가 절개 형성됨으로써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음식물을 조리하지 않고 버너를 보관시에는 음식물 조리부(200)의 내부에 지지부(300)가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음식물 조리부(200)를 버너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면(130)을 통하여 버너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하여 보관하게 된다.
지지부(300)를 음식물 조리부(200)에 수납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부(200)를 버너본체(100)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다.
버너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시에는 버너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되어 있는 음식물 조리부(200)를 인출한 후에 음식물 조리부(200)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부(300)를 버너본체(100)의 거치부재(150)에 거치시킨 후에 거치부재(150)에 음식물 조리부(200)를 안착시켜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이 용이한 버너는 음식물 조리부를 버너본체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버너본체 110 : 연소 플레이트
111 : 화공 112 : 통공
113 : 바람막이부 114 : 평탄면
115 : 경사면 116 : 연장부재
120 : 수납공간 130 : 개구면
140 : 통공 150 : 거치부재
200 : 음식물조리부 210 : 기름배출구
211 : 마개 220 : 손잡이
300 : 지지부 310 : 지지부재
320 : 차열판 330 : 방열구

Claims (13)

  1.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중앙에 복수의 화공(111)이 형성된 판상의 연소 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 하부에 수납 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면(130)이 형성된 버너본체(100)와;
    상기 개구면(130)을 통하여 상기 버너본체(1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공간(120)에 수납되며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음식물조리부(200)와;
    상기 음식물조리부(200)가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면 내측에 거치되며 상기 음식물조리부(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310)가 구비된 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버너본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발산됨을 방지하는 별도의 차열판(3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측 둘레면에는 방열 및 흡기를 위하여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통공(1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조리부(200)를 상기 수납공간(120)에 수납시에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음식물조리부(200)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본체(100)의 상면 내측 둘레에는 거치부재(150)가 상기 상면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거치부재(150)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320)은 상기 지지부(300)의 내측 둘레에서 상기 지지부(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의 상면 둘레에는 조리시에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음식물 조리부(200) 측으로 방열할 수 있는 복수의 방열구(330)가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부(200)의 하면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화공(111)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바람막이부(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부(113)는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에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스유로(101)가 형성되도록 하는 바람막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화공(111)은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바람막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가스유로(101)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평탄면(114)이 구비되고, 상기 화공(111)은 상기 평탄면(11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공(111)은 상기 평탄면(11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평탄면(114)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로(101)는 상기 연소 플레이트(110)의 폭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축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부재의 일단과 상기 평탄면(114)의 일단을 연결하는 영역에는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면(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이 용이한 버너.

KR1020170060460A 2017-05-16 2017-05-16 수납이 용이한 버너 KR10182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460A KR101821688B1 (ko) 2017-05-16 2017-05-16 수납이 용이한 버너
CN201810413956.2A CN108870469A (zh) 2017-05-16 2018-05-03 易于收纳的燃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460A KR101821688B1 (ko) 2017-05-16 2017-05-16 수납이 용이한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688B1 true KR101821688B1 (ko) 2018-01-24

Family

ID=6102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460A KR101821688B1 (ko) 2017-05-16 2017-05-16 수납이 용이한 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1688B1 (ko)
CN (1) CN10887046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288Y1 (ko) 2003-10-27 2004-01-28 김의관 수납용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341294Y1 (ko) * 2003-10-15 2004-02-11 반재훈 구이판이 구비된 휴대용 가스렌즈
KR200412364Y1 (ko) * 2005-12-30 2006-03-27 이원빈 휴대용 가스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074A (ja) * 1997-03-11 1998-09-25 Harman Co Ltd ガスコンロ
CN204100316U (zh) * 2014-08-06 2015-01-14 付强 一种可收纳灶具
CN205425047U (zh) * 2016-03-30 2016-08-03 周方正 一种便携式燃气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94Y1 (ko) * 2003-10-15 2004-02-11 반재훈 구이판이 구비된 휴대용 가스렌즈
KR200339288Y1 (ko) 2003-10-27 2004-01-28 김의관 수납용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412364Y1 (ko) * 2005-12-30 2006-03-27 이원빈 휴대용 가스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70469A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6215B2 (en) Diffusion cap burner for gas cooking appliance
US6267047B1 (en) Portable griddle stove with dual cooking surfaces
KR101328507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KR101075132B1 (ko) 온수 보일러 및 커피 포트 겸용 휴대용 난로
US10274205B2 (en) Gas cooking appliance, more particularly a gas oven
KR100505831B1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1821688B1 (ko) 수납이 용이한 버너
KR101336885B1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JP3173614U (ja) 断熱機能を有する側板を備えたコンロ
KR101860759B1 (ko) 사용 및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화덕
KR101836984B1 (ko) 숯불 화로
TW201440707A (zh) 加熱調理器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ES2906389T3 (es) Dispositivo de parrilla con suministro de aire presurizado
KR10165529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200289776Y1 (ko) 휴대용 직화구이 가스렌지
KR20140101138A (ko) 버너용 취사용기 받침대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KR20110032119A (ko) 가스 그리들 장치
KR20050013091A (ko) 휴대용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조리기구
KR101931980B1 (ko) 조리 용기의 연소방지 손잡이
JP2010065991A (ja) エネルギー反射皿
KR101935135B1 (ko) 난방 기능을 갖는 촛불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