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984B1 - 숯불 화로 - Google Patents

숯불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984B1
KR101836984B1 KR1020160108399A KR20160108399A KR101836984B1 KR 101836984 B1 KR101836984 B1 KR 101836984B1 KR 1020160108399 A KR1020160108399 A KR 1020160108399A KR 20160108399 A KR20160108399 A KR 20160108399A KR 101836984 B1 KR101836984 B1 KR 10183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urnace
radiating support
heat dissipat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308A (ko
Inventor
석우성
Original Assignee
석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우성 filed Critical 석우성
Priority to KR102016010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9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가 화로몸체와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S2)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열 교환(Heat exchange)을 통해 방열 지지체로 전달받은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 및 이동이 간단해져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방열지지체가 화로몸체의 하단부보다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구조물에 안착될 때 화로몸체가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조물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판의 상면에 제1 고정돌부 및 제2 고정돌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의 하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방열지지체를 보조고정판에 안착시킬 때 방열지지체의 내경으로 제1 고정돌부가 삽입되고, 방열지지체의 삽입홈으로 제2 고정돌부가 삽입되어 방열지지체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발생하더라도 방열지지체가 옆으로 쓰러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 화로{Charcoal brazier}
본 발명은 숯불 화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보온대상인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은은하게 보온하여 음식물의 맛, 식감 및 풍미가 지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화력차단 및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숯불 화로는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숯불 등의 화원이 수용되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화원수용부와, 몸체의 상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석쇠로 이루어진다.
또한 숯불 화로는 석쇠의 상면으로 육류 및 어류 등의 음식물이 안착되면, 화원으로부터 상승하는 열기가 석쇠에 놓인 요리로 전달됨으로써 음식물을 보온시키기 위한 보온용 또는 음식물을 굽기 위한 구이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숯불 화로는 음식물의 보온 또는 구이를 위하여 음식물로 열을 공급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맛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삶의 질이 개선됨에 따라 요리의 종류가 다양해짐과 동시에 `맛집` 등과 같이 요리의 맛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으며, 캠핑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음식물의 맛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숯불 화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29490호(발명의 명칭 : 방염, 방열판을 갖는 다용도 화로)에 개시된 다용도 화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다용도 화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200)는 내부 공간(211)의 하측에 재받이(2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공기 통기(214)가 형성되는 화로 본체(210)와, 복수개의 공기 통로(221)를 갖는 지주(222)가 상향 돌출되면서 하측면에 바닥판(225)을 갖는 원형의 받침대(220)와, 받침대(220)의 바닥판(225) 하측 면에 내열 접착제로 접합하여 고정 설치되는 원형의 방염, 방열판(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기술(200)은 화로 본체(210)의 상부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면으로 음식물이 안착되는 석쇠(미도시)와, 화로 본체(210)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들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200)은 재받이(212)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열전도를 방지하는 방염, 방열판(230)을 바닥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잔디, 식탁 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본 발명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본체(210) 및 받침대(220)의 외측면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 및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재받이(212)의 상부로 숯불 등의 화원이 안착될 때, 화원으로부터의 열기가 화로 본체(210) 및 받침대(220)의 외측면으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화상 사고 등의 안전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장소를 이동하고자 할 때 과열된 외면으로 인해 파지 및 이동이 어려워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종래기술(200)은 화로 본체(210)의 외주면에 손잡이(미도시)들이 구비된다고 할지라도, 화원의 열기가 화로 본체(210)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손잡이들 또한 열을 전달받게 되어 파지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받침대(2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방염, 방열판(230)을 포함함으로써 식탁 등의 구조물의 상부에 안착되어 사용될 때, 방염, 방열판(230)에 의하여 구조물로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은 방염, 방열판(230)이 재받이(212)로부터 화원의 열을 그대로 전달받기 때문에 화력 차단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화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구조물과 접촉되는 영역이 화원으로부터 열을 그대로 전달받지 않기 위한 별도의 수단 및 방법이 기재되어야 하나, 종래기술(200)은 단순히 하부에 방염, 방열판(230)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화력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열차단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식탁 등의 구조물에 안착될 때, 구조물과의 접촉 면적이 방염, 방열판(230)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지지력이 약하여 외부로부터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질 때 화로 본체(210)가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화로 본체(210)의 쓰러짐은 안전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사고 위험도가 높은 단점을 갖는다.
즉 1)화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효율적으로 차폐시켜 이동 및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2)식탁 등의 구조물에 배치될 때 구조물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숯불 화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본 발명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가 화로몸체와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S2)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열 교환(Heat exchange)을 통해 방열 지지체로 전달받은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 및 이동이 간단해져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방열지지체가 화로몸체의 하단부보다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구조물에 안착될 때 화로몸체가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조물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방열지지체의 하부에 판재 형상의 보조고정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의 하부면에 패드부를 설치함으로써 파지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의해 안착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보조고정판의 상면에 제1 고정돌부 및 제2 고정돌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의 하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방열지지체를 보조고정판에 안착시킬 때 방열지지체의 내경으로 제1 고정돌부가 삽입되고, 방열지지체의 삽입홈으로 제2 고정돌부가 삽입되어 방열지지체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발생하더라도 방열지지체가 옆으로 쓰러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열원이 수용되는 화로몸체; 상하부가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화로몸체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S2)가 형성되는 방열지지체; 상기 화로몸체 및 상기 방열지지체를 연결시키는 보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숯불 화로는 외부 구조물에 안착될 때, 상기 방열지지체의 하단부가 상기 구조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화로몸체는 상기 구조물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상기 보조몸체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단부 및 내측단부를 연결하는 양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내측단부가 상기 화로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곡면부; 원형 띠 형상의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며, 내측단부가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는 평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지지체는 상기 평탄부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곡면부에 의하여 상기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의 전달경로가 증가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평탄부의 외측단부에 수직 연결되며, 내측면에 음식물이 놓이는 불판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열지지체는 상기 보조몸체의 상기 평탄부에 대접되는 상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부(S2)와 연결되는 개구공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는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방열지지체의 개구공에 연결되는 유입공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숯불 화로는 상기 방열지지체가 안착되는 보조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지지체는 상기 보조고정판에 대접되는 하단면에 내측으로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고정판은 원판으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중앙에 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지지체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돌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원형 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지지체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제2 고정돌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가 화로몸체와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S2)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열 교환(Heat exchange)을 통해 방열 지지체로 전달받은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 및 이동이 간단해져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지지체가 화로몸체의 하단부보다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구조물에 안착될 때 화로몸체가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조물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지지체의 하부에 판재 형상의 보조고정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의 하부면에 패드부를 설치함으로써 파지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의해 안착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고정판의 상면에 제1 고정돌부 및 제2 고정돌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의 하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방열지지체를 보조고정판에 안착시킬 때 방열지지체의 내경으로 제1 고정돌부가 삽입되고, 방열지지체의 삽입홈으로 제2 고정돌부가 삽입되어 방열지지체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발생하더라도 방열지지체가 옆으로 쓰러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29490호(발명의 명칭 : 방염, 방열판을 갖는 다용도 화로)에 개시된 다용도 화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숯불 화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보조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방열지지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보조고정판이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보조고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숯불 화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숯불 화로(1)는 내부에 안착된 숯불 등의 열원(10)이, 불판(9)의 상면에 놓인 육류, 어류 및 찌개류 등의 음식물로 소정의 열을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음식물의 보온성을 높여 음식물의 맛, 식감 및 풍미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숯불 화로(1)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몸체(3)와, 보조몸체(7), 방열지지체(5), 불판(9), 보조고정판(8)으로 이루어진다.
불판(9)은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91)들이 형성되는 원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불판(9)은 상면에 보온대상인 육류, 어류 및 찌개류 등의 음식물이 안착된다.
또한 불판(9)은 후술되는 도 5와 6의 보조몸체(7)의 걸림턱(7511)에 안착된다. 이때 불판(9)의 테두리를 제외한 영역의 직하부에는 화로몸체(3)가 배치됨에 따라 불판(9)에 안착된 음식물은 화로몸체(3)의 내부에 수용된 열원(1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열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불판(9)은 스테인리스(Stainless), 황동과 같은 구리합금, 맥반석, 원석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상, 형태 및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화로몸체(3)는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S1)에는 숯불 등의 열원(10)이 수용된다.
이때 열원(10)은 화로몸체(3)의 상부에 배치되는 불판(9)으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불판(9)의 상면에 놓인 육류, 어류 및 찌개류 등의 음식물을 보온하여 식힘 현상으로 인해 음식물의 맛, 식감 및 풍미가 변하는 문제점을 해결, 더욱 상세하게로는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보온하여 음식물 취식이 완료되기 전까지 음식물의 맛, 식감 및 풍미를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로몸체(3)는 측벽(31)에 양면을 관통하는 공기통과공(311), (312)들이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통과공들이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공기통과공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화로몸체(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통과공(311), (312)들을 밀폐 또는 개방시켜 유량 조절을 통해 화력을 제어할 수 있는 유량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유량조절부는 화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화로몸체(3)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에 보조몸체(7)가 연결되고, 보조몸체(7)의 하부의 화로몸체(3)의 외측에는 방열지지체(5)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숯불 화로(1)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5)가 보조몸체(7)에 의하여 화로몸체(3)와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화로몸체(3) 내부에 수용된 열원(10)으로부터 발생된 열은 방열지지체(5)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보조몸체(7)를 거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화로몸체(3) 및 방열지지체(5)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방열지지체(5)로의 열전달율이 줄어들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은 화로의 경우, 이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이용자의 신체가 화로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외측부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5)를 화로몸체(3)와 이격시킴으로써 열 전달율을 절감시켜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로몸체(3)는 높이가 방열지지체(5)의 높이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결합 시 하단부가 방열지지체(5)의 하단부보다 상향 배치됨에 따라 보조고정판(8)에 안착될 때 하단부가 보조고정판(8)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됨으로써 보조고정판(8)으로의 열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예를 들어 화로가 보조고정판(8) 또는 식탁 등의 구조물에 안착될 때 화로몸체(3)의 하부면이 보조고정판(8) 또는 구조물의 상면에 넓은 면적으로 대접되는 경우, 열원(10)으로부터의 열은 보조고정판(8) 또는 구조물의 상부면으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화재 및 화상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화로몸체(3)가 보조고정판(8)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3의 보조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보조몸체(7)는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화로몸체(3)와 방열지지체(5)를 연결시킨다.
또한 보조몸체(7)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부(71)와, 평탄부(73), 수직부(75), 절곡부(77)로 이루어진다. 이때 곡면부(71) 및 평탄부(73)는 수평부라고 한다.
곡면부(71)는 중앙에 내경(S3)이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S3)을 형성하는 내측 단부가 화로몸체(3)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외측 단부가 평탄부(73)에 연결된다.
또한 곡면부(71)는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로부터, 이들의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상향되도록 곡면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보조몸체(7)의 곡면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었을 때와, 곡면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었을 때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곡면으로 형성될 때의 곡면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때의 곡면부와 비교하여 동일 수평거리 대비 열 전달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화로몸체(3)로부터 방열지지체(5)로의 열 전달경로의 증가는 방열지지체(5)의 열 전달율을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곡면부(71)의 외측 단부는 평탄부(73)에 연결된다.
평탄부(73)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평탄부(73)는 내측단부가 곡면부(71)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며, 외측단부는 수직부(75)에 연결된다.
또한 평탄부(73)의 내측단부 및 외측단부 사이에는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유입공(731)이 형성되고, 유입공(731)은 원호를 따라 연장되어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평탄부(73)의 하면에는 방열지지체(5)가 설치됨에 따라 유입공(73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방열지지체(5)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되어 수용된다.
수직부(75)는 평탄부(73)의 외측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원호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수직부(75)는 상단부가 보조몸체(7)의 곡면부(71)의 최상측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수직부(75)는 상부 내측면(751)에 걸림턱(7511)이 형성되고, 걸림턱(7511)으로는 불판(9)이 안착된다.
또한 수직부(75)의 상단부는 절곡부(77)가 연결되고, 절곡부(77)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도 3의 방열지지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방열지지체(5)는 화로몸체(3) 및 보조몸체(7)를 보조고정판(8)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상부가 보조몸체(7)의 평탄부(73)의 하부에 결합된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보조몸체(7)의 평탄부(73)에 대접되는 상단면(51)에 내측으로 개구공(511)이 원호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방열지지체(5)의 개구공(511)은 결합 시 보조몸체(7)의 평탄부(73)의 유입공(731)에 연결됨으로써 유입공(731)을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과되게 된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내부에 개구공(511)에 연설되는 공간인 물 수용부(S2)가 형성되고, 물 수용부(S2)로는 방열수단인 물(10)이 수용되게 된다.
이때 방열지지체(5)는 보조몸체(7)를 통해 화로몸체(3)로부터 열을 전달받게 되면, 물 수용부(S2)에 수용된 물이 전달받은 열기와 열 교환(Heat exchange)을 수행함으로써 방열지지체(5)로 전달된 열은 물(10)에 의하여 방열되게 된다. 즉 방열지지체(5)는 수냉 방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화로몸체(3)로부터 전달받을 열의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숯불 화로(1)는 본 발명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5)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및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1)화로몸체(3) 및 방열지지체(5)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2)화로몸체(3) 및 방열지지체(5)를 연결시키는 보조몸체(7)가 곡면부(71)를 포함하여 열전달경로를 극대화시켰으며, 3)방열지지체(5)의 내부에 방열수단인 물(10)을 수용시킴으로써 방열지지체(5)의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외측면(53)이 보조몸체(7)의 수직부(75)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높이가 화로몸체(3)의 높이 보다 큰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보조고정판(8)에 안착될 때 화로몸체(3)는 보조고정판(8)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방열지지체(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고정판(8)에 대접되는 하단면(55)에 내측으로 삽입홈(551)이 원호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551)으로는 후술되는 도 10의 보조고정판(8)의 제2 고정돌부(87)가 삽입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보조고정판이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 화로(1)는 방열지지체(5)의 내부에 물을 수용시키는 구성1과, 방열지지체(5)를 화로몸체(3)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는 구성2와, 방열지지체(5) 및 화로몸체(3)를 연결시키는 보조몸체(7)가 곡면부(71)를 포함하여 열전달경로를 극대화시키는 구성3을 통하여,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5)의 열 전달율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숯불 화로(1)가 식탁 등의 구조물에 안착될 때 구조물과의 접촉이 방열지지체(5)의 하단면의 협소한 면적으로만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물과의 마찰력, 지지력 및 견고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질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불 화로가 옆으로 쓰러지거나 또는 설치 위치가 변동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화상 및 화재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숯불 화로(1)는 전술하였던 구성 1, 2, 3에 의하여 방열지지체(5)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방열지지체(5)는 미세한 열전달로 인해 소정의 열을 갖게 된다. 특히 보온시간이 임계시간 이상으로 지속되어 과도한 열교환으로 인해 물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방열효율이 떨어져 방열지지체(5)의 온도가 증가함으로써 파지 및 이동이 불편한 단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하였던 1)구조물과의 마찰력, 견고성 및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2)파지 및 이동의 불편함으로 인해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열지지체(5)의 하부에 보조고정판(8)을 설치하였다.
도 10은 도 3의 보조고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보조고정판(8)은 1)방열지지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방열지지체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높임과 동시에 2)하부면에 패드부를 설치하여 식탁 등의 구조물과의 마찰력을 높이고, 3)파지 및 이동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보조고정판(8)은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81), 패드부(83) 및 제1 고정돌부(85), 제2 고정돌부(87)로 이루어진다.
원판부(81)는 원형상의 판재로 형성된다. 이때 원판부(81)는 방열지지체(5) 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판부(81)는 상면의 중앙에 원 형상의 제1 고정돌부(85)가 돌출 형성되고, 제1 고정돌부(85)는 방열지지체(5) 안착 시 방열지지체(5)의 내경으로 삽입됨으로써 방열지지체(5)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또한 원판부(81)는 상면의 제1 고정돌부(85)의 외측에 원형 링 형상의 제2 고정돌부(87)가 돌출 형성되고, 제2 고정돌부(87)는 방열지지체 안착 시 방열지지체(5)의 삽입홈(551)으로 삽입됨으로써 방열지지체(5)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한다.
또한 원판부(81)는 하부면(811)에 내측으로 원 형상의 패드부 안착홈(8111)이 형성되고, 패드부 안착홈(8111)으로는 패드부(83)가 결합된다.
패드부(83)는 마찰계수가 높으면서 내열성인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드부(83)는 원판부(81)의 패드부 안착홈(8111)으로 삽입되며, 내열성 접착재를 통해 원판부(81)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고정판(8)은 원판부(81)의 상면에, 방열지지체(5)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돌부(85)와, 방열지지체(5)의 삽입홈(551)으로 삽입되는 제2 고정돌부(87)가 형성됨으로써 방열지지체(5)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높여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및 힘이 발생하더라도 방열지지체(5)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전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원판부(81)의 하부면에 식탁 등의 구조물에 대접되는 패드부(83)가 설치됨으로써 구조물과의 마찰력을 높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힘이 발생하더라도 마찰력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숯불 화로(1)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방열지지체(5)가 화로몸체(3)와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S2)가 형성됨으로써 물의 열 교환(Heat exchange)을 통해 방열지지체(5)로 전달받은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 및 이동이 간단해져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숯불 화로(1)는 방열지지체(5)가 화로몸체(3)의 하단부보다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구조물에 안착될 때 화로몸체(3)가 구조물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구조물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숯불 화로(1)는 방열지지체(5)의 하부에 판재 형상의 보조고정판(8)을 설치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5)의 하면에 패드부(83)를 설치함으로써 파지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의해 안착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숯불 화로(1)는 보조고정판(8)의 상면에 제1 고정돌부 및 제2 고정돌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방열지지체(5)의 하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방열지지체(5)를 보조고정판(8)에 안착시킬 때 방열지지체(5)의 내경으로 제1 고정돌부가 삽입되고, 방열지지체(5)의 삽입홈으로 제2 고정돌부가 삽입되어 방열지지체(5)의 견고성 및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순간적인 충격 또는 힘에 발생하더라도 방열지지체(5)가 옆으로 쓰러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화로 3:화로몸체 5:방열지지체
7:보조몸체 8:보조고정판 9:불판
31:측벽 51:상단면 53:외측면
55:하단면 71:곡면부 73:평탄부
75:수직부 77:절곡부 81:원판부
83:패드부 85:제1 고정돌부 87:제2 고정돌부
311:공기통과공 511:개구공 551:삽입홈
731:유입공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열원이 수용되는 화로몸체;
    상하부가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화로몸체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S2)가 형성되는 방열지지체;
    상기 화로몸체 및 상기 방열지지체를 연결시키는 보조몸체를 포함하고,
    외부 구조물에 안착될 때, 상기 방열지지체의 하단부가 상기 구조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화로몸체는 상기 구조물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상기 보조몸체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단부 및 내측단부를 연결하는 양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내측단부가 상기 화로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곡면부;
    원형 띠 형상의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며, 내측단부가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부에 연결되는 평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지지체는 상기 평탄부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곡면부에 의하여 상기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의 전달경로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평탄부의 외측단부에 수직 연결되며, 내측면에 음식물이 놓이는 불판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지지체는 상기 보조몸체의 상기 평탄부에 대접되는 상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부(S2)와 연결되는 개구공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는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방열지지체의 개구공에 연결되는 유입공이 원호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5.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 화로는 상기 방열지지체가 안착되는 보조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지지체는 상기 보조고정판에 대접되는 하단면에 내측으로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고정판은 원판으로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중앙에 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지지체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제1 고정돌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원형 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지지체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제2 고정돌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KR1020160108399A 2016-08-25 2016-08-25 숯불 화로 KR10183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99A KR101836984B1 (ko) 2016-08-25 2016-08-25 숯불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99A KR101836984B1 (ko) 2016-08-25 2016-08-25 숯불 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08A KR20180023308A (ko) 2018-03-07
KR101836984B1 true KR101836984B1 (ko) 2018-03-09

Family

ID=6168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99A KR101836984B1 (ko) 2016-08-25 2016-08-25 숯불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26Y1 (ko)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20230082996A (ko) 2021-12-02 2023-06-09 방두산 구이용 화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8328B1 (de) 1986-11-08 1991-03-06 Mauer GmbH Umstellbares Schlo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8328B1 (de) 1986-11-08 1991-03-06 Mauer GmbH Umstellbares Schlo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26Y1 (ko)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20230082996A (ko) 2021-12-02 2023-06-09 방두산 구이용 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08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241B2 (en) Camping coffee maker
US20120033953A1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TW201809551A (zh) 加熱調理器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836984B1 (ko) 숯불 화로
US20100096116A1 (en) Heat Diffuser with Silicone Handle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KR100610055B1 (ko) 구이판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JP7441975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EP2671482B1 (en) A grill
KR101840688B1 (ko) 세라믹 조리 용기용 열전도 패드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445665B1 (ko) 열기 유도장치
CN218791745U (zh) 一种散热快的风冷烹饪器具
KR102377957B1 (ko) 구이용 석쇠
KR101821688B1 (ko) 수납이 용이한 버너
JP3185556U (ja) ミニ焼き板
CN209996071U (zh) 一种烧烤用器具
KR102447387B1 (ko) 구이판
KR101901762B1 (ko) 언더 레인지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