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081B1 - 유도가열밥솥 - Google Patents

유도가열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081B1
KR100315081B1 KR1019940013127A KR19940013127A KR100315081B1 KR 100315081 B1 KR100315081 B1 KR 100315081B1 KR 1019940013127 A KR1019940013127 A KR 1019940013127A KR 19940013127 A KR19940013127 A KR 19940013127A KR 100315081 B1 KR100315081 B1 KR 100315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ot
induction heating
lid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31A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1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081B1/ko
Publication of KR96000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세균 등으로 인해 밥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히며, 밥솥의 보온 성은을 향상시키는 유도 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유도 가열 밥솥의 뚜껑부(20)는 증기 배출구(24)가 외부와 차단되지 않아서, 유도 가열 밥솥에 담겨 있는 밥을 보온시 외부의 공기와 세균이 증기 배출구(24)를 통하여 솥(11) 내부로 들어감으로 솥(11)에 담겨 보온되는 밥이 변색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며, 보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 유도 가열 밥솥은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측에 쌀을 담아서 익히는 솥(11)과, 외측의 하부에 손잡이(12)가 형성되며, 저면에 솥(11)에 와전류를 생성시켜 유도 가열 시키는 워킹코일(미도시)이 내재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대응되어 몸체부(10)를 덮는 뚜껑부(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는 중심에 형성된 고정구멍(211)과 상기 고정구멍(211)을 중심으로 외측에 증기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증기구멍(212)이 형성된 솥뚜껑(210)과; 상기 솥뚜껑(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중심에 형성된 솥뚜껑 고정축(221)과, 일측에 증기가 배출되는 제 1 증기 배출구(222)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에 대응되어 열을 가하는 뚜껑히타부(220)와; 상기 뚜껑히타부(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증기가 배출되는 제 2 증기 배출구(231)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230)와; 상기 상부 케이스(230)에 부착되는 고정축(241)과, 상기 고정축(241)에 연결된 탄력체(242)와, 상기 탄력체(242)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증기 배출구(222)를 막는 증기구 마개(243)로 이루어진 증기배출 차단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밥솥 내측에서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나 보온시 외부의 공기나 세균등이 밥솥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보온 기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밥솥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세균 등으로 인해 밥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며, 밥솥의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는 유도 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도 가열 밥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쌀을 담아서 익히는 솥(11)과, 외측에 하부에 손잡이(12)가 형성되며, 저면에 솥(11)에 와전류를 생성시켜 유도 가열시키는 워킹코일(미도시)이 내재된 몸체부(10)와; 상부 케이스(21)의 내측에 솥(11)을 덮는 솥뚜껑(22)과, 상기 솥뚜껑(22)을 고정축(23)으로 고정시키며 일측에 증기 배출구(2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에 대응되어 솥(11)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25)로 이루어진 뚜껑부(2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 유도 가열 밥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내측에 내재된 워킹코일(미도시)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면 워킹코일(미되)에 의해 솥(11)에 와전류가 형성되어 솥(11)을 유도 가열시키고, 상기 유도 가열된 솥(11)에 의해 솥(11)에 담겨 있던 쌀을 익혀서 밥을하게 되었다.
또한, 밥을 하는 도중에 생성되는 증기는 히터부(25)에 형성된 증기배출구(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밥을 다한 후에는 밥을 보온하게 되는 데, 밥을 보온 하는 경우에는 히터부(25)를 통하여 열을 가하면서 보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유도 가열 밥솥의 뚜껑부(20)는 증기배출구(24)가 외부와 차단되지 않아서, 유도 가열 밥솥에 담겨 있는 밥을 보온시 외부의 공기와 세균이 증기배출구(24)를 통하여 솥(11)의 내부로 들어감으로 솥(11)에 담겨 보온되는 밥이 변색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며, 보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밥을 할 경우, 밥솥 내측에서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나 보온시 외부의 공기나 세균등이 밥솥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보온 기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유도 가열 밥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유도 가열 밥솥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유도 가열 밥솥의 뚜껑부를 나타내는 분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유도 가열 밥솥의 뚜껑부가 증기압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
본 발명 유도 가열 밥솥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쌀을 담아서 익히는 솥(11)과, 외측의 하부에 손잡이(12)가 형성되며, 저면에 솥(11)에 와전류를 생성시켜 유도 가열시키는 워킹코일(미도시)이 내재된 몸체부(10)와; 상기몸체부(10)에 대응되어 몸체부(10)를 덮는 뚜껑부(20)로 구성된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솥(11)을 덮도록 중심에 고정축이 끼워지게 형성된 고정구멍(211)과, 상기 고정구멍(211)의 중심으로 외측에 솥(11)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증기구멍(212)가 형성된 솥뚜껑(210)과; 상기 솥뚜껑(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중심에 형성된 고정구멍(211)에 체결되는 솥뚜껑고정축(221)과, 상기 솥(11)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제 1증기배출구(222)가 형성되어 솥(11)에 열을 가하는 뚜껑히타부(220)와; 상기 뚜껑히타부(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증기배출구(222)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증기배출구(231)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30)와: 상기 솥(11)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따라 제 1증기배출구(222)를 개폐하는 증기구마개(243)와, 증기구마개(243)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력체(242)와, 상기 증기구마개(243)와 일체로 형성된 탄력체(242)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축(241)으로 이루어진 증기배출 차단장치(24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유도 가열 밥솥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뚜껑부는 솥뚜껑 고정축(221)에 솥뚜껑(210)의 고정구멍(211)이 체결되고, 몸체부(10)의 내측에 내재된 워킹코일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면 워킹코일에 의해 솥(11)에 와전류가 형성되면서 솥(11)을 유도 가열시키므로서 상기 유도 가열된 솥(11)에 의해 상기 솥(11)에 담겨 있던 쌀을 익혀서 밥을 하게 되며, 밥을 하는 도중에 생성되는 증기는 뚜껑부(20)에 형성된 제 1,2증기배출구(222,2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밥을 다한 후에는 밥을 보온하게 되는 바, 상기 밥을 보온하는 경우에는 뚜껑부(20)를 통하여 일정한 열을 가하면서 보온하게 되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30)에 제 2증기 배출구(231)가 형성되고 일측에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력체(242)가 고정축(24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241)에 연결된 탄력체(242)의 끝단에는 증기구마개(2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뚜껑히타부(220)에 형성된 제 1증기배출구(222)를 증기구마개(243)가 막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밥솥에서 밥을 할 때에 처음에는 솥내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230)에 고정되어 있는 증기배출 차단장치(240)인 증기구마개(243)는 뚜껑히타부(220)에 형성된 제 1증기배출구(222)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밥솥에 계속 열이 가해지면 물이 끓게 되고 물이 끓음으로서 쌀이 익혀지는 바, 이때 솥내부의 압력이 약간 발생하게 되므로 평상시 보다 물의 끓는 온도가 놓게 고되고 이로 인해 솥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도 3의 (a)에서와 같이 뚜껑히타부(220)에 형성된 제 1증기배출구(222)를 차단하고 있는 증기배출 차단장치(240)인 증기구마개(243)는 솥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증기구마개(243)에 연결된 탄력체(242)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이 발생하여 증기구마개(243)는 제 1증기배출구(222)를 열어주게 된다.
따라서, 제 1증기배출구(222)의 개폐에 따라 솥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는 제 1증기배출구(222)를 통해 배출되면서 바로 상부케이스(230)에 형성된 제 2증기배출구(2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일정시간 이 경과후 밥이 다된 상태일 때 도 3의 (b)에서와 같이, 증기배출 차단장치(240)인 증기구마개(243)는 솥내부의 증기압이 낮아지게 되므로서 증기구마개(243)와 일체로 형성된 탄력체(2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증기구마개(는 뚜껑히타부(220)에 형성된 제 1증기배출구(222)를 다시 차단하여 보온시 외부의 공기와 세균이 밥솥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시켜주므로서 세균으로 인한 밥의 변색 및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켜 주며, 보온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도 가열 밥솥은 밥솥 내측에서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나 보온시 외부의 공기나 세균등이 밥솥 내부로 둘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보온 기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

Claims (1)

  1. 내측에 쌀을 담아서 익히는 솥(11)과, 외측의 하부에 손잡이(12)가 형성되며, 저면에 솥(11)에 와전류를 생성시켜 유도 가열시키는 워킹코일(미도시)이 내재된 몸체부(10)와;
    상기 솥(11)을 덮도록 중심에 고정축이 끼워지게 형성된 고정구멍(211)과, 상기 고정구멍(211)의 중심으로 외측에 솥(11)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증기구멍(212)가 형성된 솥뚜껑(210)과;
    상기 솥뚜껑(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중심에 형성된 고정구멍(211)에 체결되는 솥뚜껑고정축(221)과, 상기 솥(11)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제 1증기배출구(222)가 형성되어 솥(11)에 열을 가하는 뚜껑히타부(220)와;
    상기 뚜껑히타부(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증기배출구(222)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증기배출구(231)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30)와;
    상기 솥(11)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따라 제 1증기배출구(222)를 개폐하는 증기구마개(243)와, 증기구마개(243)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력체(242)와, 상기 증기구마개(243)와 일체로 형성된 탄력체(242)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축(241)으로 이루어진 증기배출 차단장치(240)로 구성된 유도 가열 밥솥.
KR1019940013127A 1994-06-10 1994-06-10 유도가열밥솥 KR100315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27A KR100315081B1 (ko) 1994-06-10 1994-06-10 유도가열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27A KR100315081B1 (ko) 1994-06-10 1994-06-10 유도가열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1A KR960000131A (ko) 1996-01-25
KR100315081B1 true KR100315081B1 (ko) 2002-02-19

Family

ID=3753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127A KR100315081B1 (ko) 1994-06-10 1994-06-10 유도가열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0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2222A (ja) * 1990-01-18 1991-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H05277027A (ja) * 1992-03-31 1993-10-26 Toshiba Home Technol Corp 誘導加熱式炊飯器
KR950008053U (ko) * 1993-09-17 1995-04-15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유도가열 코일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2222A (ja) * 1990-01-18 1991-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H05277027A (ja) * 1992-03-31 1993-10-26 Toshiba Home Technol Corp 誘導加熱式炊飯器
KR950008053U (ko) * 1993-09-17 1995-04-15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유도가열 코일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1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081B1 (ko) 유도가열밥솥
KR102393566B1 (ko) 밥솥
JP2885154B2 (ja) 電気炊飯器
JP2988050B2 (ja) 電気炊飯器
KR200406382Y1 (ko) 전기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200430656Y1 (ko) 전기 압력 보온 밥솥
KR0128707Y1 (ko)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KR20110004515A (ko) 이중 보온 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밥솥
JPH05207928A (ja) 電磁調理器
JP3938092B2 (ja) 炊飯器
KR100451245B1 (ko) 전기밥솥
KR20035712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KR100451243B1 (ko) 전기밥솥
KR200149674Y1 (ko) 전기보온밥솥의 뚜껑
KR0155107B1 (ko) 보온밥솥
KR20220053971A (ko) 응축수 증발 구조를 갖는 유도 가열식 전기 압력밥솥
KR20220053970A (ko) 뚜껑 분리형 유도 가열식 전기 압력밥솥
JPH0366324A (ja) 炊飯器
KR900000050Y1 (ko) 찜솥의 히터장치
JP2001025438A (ja) 炊飯器
KR960010681Y1 (ko) 전기압력밥솥
JPH05245034A (ja) 炊飯器
JPH10201617A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保温釜
JPS6135845B2 (ko)
JPS6371217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