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09Y1 - 두부 제조기 - Google Patents

두부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09Y1
KR200465509Y1 KR2020120011824U KR20120011824U KR200465509Y1 KR 200465509 Y1 KR200465509 Y1 KR 200465509Y1 KR 2020120011824 U KR2020120011824 U KR 2020120011824U KR 20120011824 U KR20120011824 U KR 20120011824U KR 200465509 Y1 KR200465509 Y1 KR 200465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heating vessel
bag
ring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김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철 filed Critical 김승철
Priority to KR2020120011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부 제조시 두유기로 만든 콩물을 걸름포대에 넣은 상태에서 가열하여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거품의 발생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좋은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부 제조기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용기(200);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용기(200)로 배출구(320)가 구비된 두유기(300); 상기 가열용기(200)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구(32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320)로 배출되는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걸름포대(400);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포대(400) 내부로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기(500);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포대(400)와 연결되어 상기 걸름포대(400)를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로 이동시키는 견인기(600); 상기 받침대(100)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기(600)와 상기 가열용기(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견인기(600)에 매달린 상기 걸름포대(400)를 가압하는 압축장치(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두부 제조기 {Apparatus for making a bean curd}
본 고안은 두부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래식 두부 제조 방법을 응용하여 친환경적으로 두부를 제작할 수 있는 공정 개선에 관한 것으로, 장시간 노동집약 업종으로 점차 기피현상이 심화되어 차후 그 명맥조차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전통 두부 시장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두부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두부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콩을 물에 불려서 맷돌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콩물을 만들고, 콩물에서 비지를 분리하여 두유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두유를 가열하고, 가열된 두유에 간수(응고제)를 투여하여 순두부로 만든 상태에서 성형틀에 순두부를 수용시켜 적절한 압력을 가해 두부를 성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과정 중 마땅한 설비 부족과 과도한 노동, 지리한 시간 허비 등의 취약점으로 인해 생산 원천이 점차 고갈됨에 따라 친환경 먹거리인 전통 두부를 접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두부제조방법을 자동화 기계에 응용하여 두부를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자동 두부제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동 두부제조기의 일반적인 구성과 두부 제조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콩이 물과 함께 믹서의 호퍼로 공급된 다음, 맷돌형식의 믹서에서 분쇄되어 콩물로 형성된다.
믹서에서 형성된 콩물은 수평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깔때기 형상의 두유추출기로 공급되어 비지가 걸러진 두유로 추출된다.
두유 추출부에서 추출된 두유는 히터가 설치된 두유 가열통으로 공급되고, 두유 가열통으로 공급된 두유는 히터의 가열과 간수(응고제)의 공급에 의해 순두부로 변화된다.
그런 다음, 순두부는 두부성형틀로 공급되고, 두부 성형틀로 공급된 순두부는 압축기의 압축력에 의해 두부성형틀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두부로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두부 제조기에는 두유 가열통에서 두유를 가열할 때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인체에 유익하지 않은 거품제거용 소포제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93-0002174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03041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부 제조시 두유기로 만든 콩물을 걸름포대에 넣은 상태에서 가열하여 소포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거품의 발생을 줄여 친환경적으로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두부 제조기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용기(200);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에 배출구(320)가 배치된 두유기(300); 상기 가열용기(200)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구(32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320)로 배출되는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걸름포대(400);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포대(400) 내부로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기(500);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포대(400)와 연결되어 상기 걸름포대(400)를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로 이동시키는 견인기(600); 및 상기 받침대(100)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기(600)와 상기 가열용기(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견인기(600)에 매달린 상기 걸름포대(400)를 가압하는 압축장치(700); 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기(600)는, 상기 받침대(100)에 장착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지지대(610);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610) 각각의 상면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대(620); 상기 한 쌍의 제2지지대(620)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봉(630); 일단이 상기 회전봉(6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걸름포대(40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끈(640); 및 상기 회전봉(630)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650); 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기(600)는, 상기 회전봉(630)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걸림기어(660); 및 상기 제2지지대(620)에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기어(660)와 맞물려서 상기 걸림기어(660)의 타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핀(67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압축장치(700)는, 상기 가열용기(200)와 상기 견인기(600)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100)에 회전되게 장착되어 상기 가열용기(200)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게 회전되는 제1압축판(710) 및 제2압축판(72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에는 여과홈(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장치(700)는, 상기 제1압축판(7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고리(730); 상기 제2압축판(7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고리(740);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에 삽입되는 조임봉(750); 상기 조임봉(75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760);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두부 제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걸름포대 내부에 상기 두유기로 생성된 콩물을 수용함으로써, 콩물의 가열시 상기 걸름포대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지 않아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나 화학 약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노력이 불필요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친환경적인 두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걸림핀으로 상기 걸림기어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역회전되는 것)을 저지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봉에 상기 걸림포대가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이 임의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포대가 상기 가열용기에 담긴 걸러진 두유와 다시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2고리 사이에 상기 조임봉을 삽입하고, 상기 조임너트를 상기 조임봉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걸름포대를 짜낼 때 상기 제1압축판과 상기 제2압축판을 상기 조임너트의 나사결합력으로 가압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걸름포대를 쉽게 압축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열용기에 담긴 콩물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계속 상기 가열용기 내에서 가열 및 응고 작업을 진행하므로, 콩물을 옮기는데 들어가는 인력 및 시간이 감소되어 능률 향상에 현저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두유기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스팀분사기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측면에서 바라본 견인기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평면에서 바라본 압축장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가열용기에서 두부를 응고시키는 상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두유기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스팀분사기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견인기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압축장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가열용기에서 두부를 응고시키는 상황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부 제조기는 받침대(100), 가열용기(200), 두유기(300), 걸름포대(400), 스팀분사기(500), 견인기(600) 및 압축장치(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00)는 두부 제조를 위한 작업대로써, 사각형의 싱크대와 같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작업 중 외부로 유출되는 물을 막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용기(200)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사각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다.
상기 가열용기(200)의 재질은 스텐리스 또는 무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던 솥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가열용기(200)는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두유기(300)의 배출구(32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두유기(300)는 두부를 만들기 위해 물에 불린 콩을 가는 기계로써, 외측에 투입구(310)와 배출구(3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현대식 회전맷돌 또는 회전 스크류 등의 믹서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두유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310)로 투입된 콩을 갈아서 상기 배출구(320)로 배출시키며, 콩을 갈 때 약간의 물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두유기(300)로 콩을 갈 때 상기 배출구(320)에는 상기 걸름포대(400)가 연결된다.
상기 걸름포대(400)는 일명 삼베주머니, 즉 삼으로 짠 천으로 만든 포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상기 가열용기(200)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름포대(400)는 입구의 외주연을 조임끈(410)으로 감기게 하여 상기 걸름포대(400)의 입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두유기(300)로 콩을 갈 때, 상기 걸름포대(400)는 상기 가열용기(200)에 담긴 상태에서 입구를 상기 배출구(320)에 위치시키고, 내부에 상기 두유기(300)로 갈려진 콩물을 담는다.
상기 두유기(300)로 콩을 모두 갈아 상기 걸름포대(400)에 모두 담은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분사기(500)를 상기 걸름포대(400)에 넣어 콩물, 즉 두유를 가열시킨다.
기존에는 두유기(300)로 갈린 콩물에서 비지를 걸러낸 후 콩물을 바로 상기 가열용기(200)에 담아 상기 가열장치(미도시)로 가열시켰지만, 이러한 경우 콩물이 끓을 때 거품이 많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물을 첨가하거나, 불의 세기를 조절하는 등의 수작업으로 거품을 가라앉히곤 하였다,
또한, 화학적 방법으로 소포제를 두유에 첨가하여 거품을 제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자의 작업량이 많아 인건비가 많이 들어가고, 또한 소포제를 사용할 경우 시식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유기(300)로 갈린 콩물을 상기 걸름포대(400)에 담긴 상태로 후술할 상기 스팀분사기(500)로 콩물을 가열시킨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걸름포대(400)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지 않아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나 화학 약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좋은 두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팀분사기(500)는 보일러실(미도시)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수증기를 분사하는 기구로써, 원통형의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분사구(510)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실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견인기(600)는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름포대(400)와 연결되어 상기 걸름포대(400)를 상기 가열용기(200)의 상부로 부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기(600)는 제1지지대(610), 제2지지대(620), 회전봉(630), 연결끈(640), 작동레버(650), 걸림기어(660) 및 걸림핀(6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대(610)은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진 사각형 형상의 기둥으로써, 2개로 이루어져 상기 가열용기(200)의 후방에 좌우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610)의 상단에는 상기 제2지지대(6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620)은 사각 기둥 프레임으로,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대(610)의 상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610)와 직교되게 정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620)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610)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2개의 상기 제2지지대(620)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회전봉(630)이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봉(630)은 좌우 방향으로 긴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지지대(620)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봉(630)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결끈(640)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끈(640)은 단단한 밧줄이나 천끈, 노끈 등 수분이나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끈(640)은 일단이 상기 회전봉(6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열용기(200)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끈(640)은 후술할 상기 견인기(600) 사용시 타단을 상기 걸름포대(400)의 조임끈(410)에 묶어서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걸름포대(400)를 상기 회전봉(630)에 매달아 놓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작동레버(65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63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650)는 상기 제2지지대(620)에 외측 방향에 각각 배치되며, 작업자가 상기 회전봉(630)을 회전시킬 때 좀더 작업을 편리하게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한편, 좌측에 배치된 상기 작동레버(650)와 상기 제2지지대(620) 사이에는 상기 걸림기어(660) 배치된다.
상기 걸림기어(66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기어치가 형성된 원형 형상의 기어로써, 상기 회전봉(63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봉(630)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기어(660)는 후술할 상기 걸림핀(670)에 맞물림 결합된다.
상기 걸림핀(670)은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대(620)의 타단에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걸림핀(670)은 상기 걸림기어(660)의 전방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620)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기어(660)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걸림기어(660)의 기어치에 맞물림 되어 상기 걸림기어(660)의 타방향 회전을 저지한다.
즉, 상기 걸림핀(670)은 상기 걸림기어(66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림기어(660)가 자유롭게 회전되게 하고,상기 걸림기어(66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에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림기어(660)의 타방향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핀(670)으로 상기 걸림기어(66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봉(630)에 상기 걸름포대(400)가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630)이 임의로 회전하여 상기 걸름포대(400)가 상기 가열용기(200)에 담긴 걸러진 두유와 다시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압축장치(700)는 상기 견인기(600)에 의해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걸름포대(400)를 압축하여 상기 걸름포대(400)의 내부에서 콩물을 걸러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장치(700)는 제1압축판(710), 제2압축판(720), 제1고리(730), 제2고리(740), 조임봉(750) 및 조임너트(7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은 사각형의 넒은 판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친환경적인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여과홈(H)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홈(H)은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으로 상기 걸름포대(400)를 압축하여 내부에 수용된 콩물을 짜낼 때, 상기 걸름포대(400)에서 걸려져 나오는 콩물이 상기 가열용기(200)로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의 타단에는 각각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가 장착된다.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는 반호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의 세로 방향 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 사이에는 상기 조임봉(750)이 끼워진다,.
상기 조임봉(750)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정지턱(7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턱(751)은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조임봉(750)에는 상기 조임너트(76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조임너트(760)는 외주면에 회전을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 돌기(761)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조임봉(7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턱(751)이 상기 제1고리(7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임너트(760)가 상기 제2고리(740)의 우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76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에 사이에 상기 조임봉(750)을 삽입하고, 상기 조임너트(760)를 상기 조임봉(75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걸름포대(400)를 짜낼 때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을 상기 조임너트(760)의 나사결합력으로 가압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걸름포대(400)를 쉽게 압축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두부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불린 콩을 상기 두유기(300)의 투입구(310)에 넣은 후 상기 두유기(300) 내부에 설치된 믹서 장치로 콩을 간다. 이때, 약간의 물이 조금씩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두유기(300)의 배출구(320)로 나오는 콩물을 상기 가열용기(200)에 배치된 상기 걸름포대(400)의 내부에 담는다.
두유기(300) 작업이 완료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름포대(400)의 입구에 상기 스팀분사기(500)의 분사구(510)를 넣고 스팀을 분출한다.
그러면 상기 걸름포대(400)에 담긴 콩물이 가열되며, 이때 상기 걸름포대(400)에 의해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가열 작업이 완료된 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끈(640)의 타단과 상기 조임끈(410)을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연결끈(640)을 감아 올리기 위해 상기 작동레버(650)를 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봉(630)이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끈(640)이 상기 회전봉(630)에 감기게 되며, 상기 연결끈(640)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걸름포대(400)는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670)은 일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어 상기 걸림기어(660) 및 상기 회전봉(630)이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반면, 상기 걸름포대(400)가 올려진 후에는, 상기 걸름포대(400)에 수용된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회전봉(630)이 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걸림핀(67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걸림기어(660)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기어(660) 및 상기 회전봉(630)의 시계방향 회전을 저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름포대(400)는 올려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걸름포대(400)가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에 부상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장치(700)는 상기 걸름포대(400)를 압축하여 상기 걸름포대(400)의 내부에서 콩물을 걸러낸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을 상기 걸름포대(40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을 수작업으로 약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에 상기 조임봉(75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는 중심축 선이 서로 일치되도록 회전된다.
이 후, 상기 조임봉(750)을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에 삽입하고, 상기 정지턱(751)을 상기 제1고리(730)의 좌측에 배치시키며, 상기 조임너트(760)를 상기 제2고리(740)의 우측에서부터 돌려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혀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걸름포대(400)는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 사이에 압축되어 내부에 수용된 콩물을 상기 가열용기(200) 내부로 걸러내게 되며, 상기 걸름포대(400) 내부에는 비지가 남게 된다.
가열용기(200)에 수용된 콩물의 경우, 그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낮으면 재차 가열한 후 간수를 넣어 응고시키고, 이를 성형틀에 넣어 두부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두부 제조시 상기 걸름포대(400) 내부에 상기 두유기(300)로 생성된 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콩물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걸름포대(400)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지 않아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나 화학 약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좋은 두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두부 제조기를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할 때, 상기 가열용기(200)에 담긴 콩물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계속 상기 가열용기(200) 내에서 가열 및 응고 작업을 진행하므로, 콩물을 옮기는데 들어가는 인력 및 시간이 감소되어 작업을 좀더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인 두부 제조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받침대, 200 : 가열용기,
300 : 두유기, 400 : 걸름포대,
500 : 스팀분사기, 600 : 견인기,
610 : 제1지지대, 620 : 제2지지대,
630 : 회전봉, 640 : 연결끈,
650 : 작동레버, 660 : 걸림기어,
670 : 걸림핀, 700 : 압축장치,
710 : 제1압축판, 720 : 제2압축판,
730 : 제1고리, 740 : 제2고리,
750 : 조임봉, 760 : 조임너트,

Claims (5)

  1.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용기(200);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에 배출구(320)가 배치된 두유기(300);
    상기 가열용기(200)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구(32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320)로 배출되는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걸름포대(400);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포대(400) 내부로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기(500);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포대(400)와 연결되어 상기 걸름포대(400)를 상기 가열용기(200) 상부로 이동시키는 견인기(600); 및
    상기 받침대(100)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기(600)와 상기 가열용기(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견인기(600)에 매달린 상기 걸름포대(400)를 가압하는 압축장치(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기(600)는,
    상기 받침대(100)에 장착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지지대(610);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대(610) 각각의 상면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대(620);
    상기 한 쌍의 제2지지대(620)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봉(630);
    일단이 상기 회전봉(6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걸름포대(40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끈(640); 및
    상기 회전봉(630)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6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기(600)는,
    상기 회전봉(630)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걸림기어(660); 및
    상기 제2지지대(620)에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기어(660)와 맞물려서 상기 걸림기어(660)의 타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핀(67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장치(700)는,
    상기 가열용기(200)와 상기 견인기(600)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받침대(100)에 회전되게 장착되어 상기 가열용기(200)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게 회전되는 제1압축판(710) 및 제2압축판(72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압축판(710)과 상기 제2압축판(720)에는 여과홈(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장치(700)는,
    상기 제1압축판(7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고리(730);
    상기 제2압축판(7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고리(740);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에 삽입되는 조임봉(750);
    상기 조임봉(75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고리(730)와 상기 제2고리(740)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7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기.
KR2020120011824U 2012-12-14 2012-12-14 두부 제조기 KR200465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824U KR200465509Y1 (ko) 2012-12-14 2012-12-14 두부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824U KR200465509Y1 (ko) 2012-12-14 2012-12-14 두부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509Y1 true KR200465509Y1 (ko) 2013-02-22

Family

ID=513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824U KR200465509Y1 (ko) 2012-12-14 2012-12-14 두부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23Y1 (ko) 2014-08-07 2014-10-22 김승철 청정 유기농 두부 제조기
CN112602888A (zh) * 2021-01-11 2021-04-06 南宁海关技术中心 一种腐竹的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631B1 (ko) 1996-08-27 1999-10-15 김신호 가정용 두부 제조기
KR200376472Y1 (ko) 2004-12-09 2005-03-10 야호코리아주식회사 두유 제조기
KR101183239B1 (ko) 2010-12-30 2012-09-14 김홍배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631B1 (ko) 1996-08-27 1999-10-15 김신호 가정용 두부 제조기
KR200376472Y1 (ko) 2004-12-09 2005-03-10 야호코리아주식회사 두유 제조기
KR101183239B1 (ko) 2010-12-30 2012-09-14 김홍배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23Y1 (ko) 2014-08-07 2014-10-22 김승철 청정 유기농 두부 제조기
CN112602888A (zh) * 2021-01-11 2021-04-06 南宁海关技术中心 一种腐竹的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602888B (zh) * 2021-01-11 2023-10-31 南宁海关技术中心 一种腐竹的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4593B (zh) 家用豆腐机
CN210902550U (zh) 一种家用电动榨汁机的榨汁结构
US20110072984A1 (en) Automatic bean curd maker
KR200465509Y1 (ko) 두부 제조기
CN107072426A (zh) 浓缩咖啡提取装置
KR101065022B1 (ko) 항아리를 이용한 음식가공용 압착기계
KR100942246B1 (ko) 소형 두부제조장치
KR200464107Y1 (ko) 청소가 용이한 두부제조기용 두유응고장치
CN208404171U (zh) 一种半自动咖啡机
KR200474823Y1 (ko) 청정 유기농 두부 제조기
CN209489448U (zh) 一种魔芋压滤机
CN204708643U (zh) 一种粉末加液体的加压渗透装置
CN204670987U (zh) 一种料理机的榨汁杯
KR101606869B1 (ko) 걸름망 케이스가 설치된 기능성 두부제조기
KR20220124473A (ko) 다기능 두부 제조기
CN109907667A (zh) 一种家用多功能豆浆机
CN106820981A (zh) 一种改进型手工操作咖啡机
CN208925788U (zh) 豆腐柴清凉饮料机
CN207857100U (zh) 一种具有水循环冷却功能的粉碎装置
CN208491680U (zh) 一种榨汁机
CN216393875U (zh) 一种静音式的豆浆机
CN205695384U (zh) 一种豆制品加工装置
CN208300862U (zh) 一种快速即成豆腐点浆机
CN208972497U (zh) 一种小型家用豆腐机
CN216457262U (zh) 一种化工用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