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706B1 -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706B1
KR101722706B1 KR1020140070097A KR20140070097A KR101722706B1 KR 101722706 B1 KR101722706 B1 KR 101722706B1 KR 1020140070097 A KR1020140070097 A KR 1020140070097A KR 20140070097 A KR20140070097 A KR 20140070097A KR 101722706 B1 KR101722706 B1 KR 10172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side
electric field
hand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666A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닉
Priority to KR102014007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9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detachable from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의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에 따른 증기를 외부로 조속히 방출시키기 위한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히터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와 용기부와 전장부의 덮개 사이가 이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으로 증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 및 덮개부의 상부에 상측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측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어 전장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증기가 전정부로 사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장부로 이미 유입된 증기를 조속히 외부로 방출함으로 인한 기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기기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Multi-functional food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가공기 내 음식물을 가열시 발생하는 열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전기적, 기계적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에 좋을 뿐만 아니라 두부에 함유된 레시틴 성분의 경우 위벽을 보호하여 위를 편안하게 해주며, 장을 편하고 하고 식이섬유 성분과 함께 올리고당 성분이 장운동 촉진 효능으로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에 재래식으로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가 행해짐에 따라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두부 등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음식 재료를 넣고 용기에 열을 가하고 용기 내부의 재료를 회전날에 의하여 갈면서 분쇄 및 조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조리시 음식물에 열을 가하면서 발생하는 증기가 구동부로 유입되어 내부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실리콘 접합부재를 삽입단 외면에 도포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기의 경우에도 내부의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기밀을 위한 패킹부재 외의 부분인 나사부나 부품을 통해 구동부에 유입이 되며 이러한 증기의 유입은 제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증기를 조속히 외부로 방출하지 않으면 제어부와 모터 및 히터가 습기에 의해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전기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공보(등록번호 : 20-03385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기술과 달리 하부하우징의 제어부 및 모터 등에 발생하는 증기로 인한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장부와 용기 사이에 소정의 높이의 돌기을 설치하고 용기의 상측 손잡이에 홀을 만들어 증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도록 하여 기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안전한 음식물을 만드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막기 위해 하부 하우징 외부의 전체를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열전도율과 부식률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복사열의 유입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의 유해물질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히터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 및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의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의 상면 또는 상기 전장부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장부 또는 상기 용기부의 각 접촉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은 각각 체결홈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에 나사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의 끝단이 후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홈에 삽입시 이탈을 억제하는 후크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상부에 상측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손잡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장부는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막기 위해 상기 전장부와 상기 용기부가 접하는 면부터 상기 전장부의 하측 끝단까지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으로 덮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부, 상기 용기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히터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상측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손잡이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손잡이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된 단부의 하면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홀에 의한 증기의 배출이 상기 덮개부 외부로 이탈되도록 이탈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측 손잡이는 아치의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아치형의 손잡이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바를 포함하여 증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의 하면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의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막기 위해 상기 구동부와 상기 용기부가 접하는 면부터 상기 구동부의 하측 끝단까지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으로 덮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는 전장부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돌기를 형성하여 제어부 등으로 열기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기기 불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기기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장부의 하부하우징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결로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결로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열기를 조속히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여 사후 유입된 열기로 인한 기기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장부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막기 위해 열전도율 및 부식률이 낮은 재료를 하부 하우징에 둘러쌓아 열의 유입을 방지하고 유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의 전장부와 용기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형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손잡이에 배치된 홀로 증기가 배출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가공기 열기 방출장치는 용기부(100), 전장부(200), 돌기부(300) 및 배출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은 음식물이 담기며, 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30)가 장착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하부하우징(2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있는 돌기(310)와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소이고 열기가 배출되는 장소이다.
용기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조리용기(110)를 가지며, 용기부(100) 외측에는 조리용기(110)에 담긴 음식물을 이동하기 위하여 외측 손잡이(150)가 구비되며, 외측 손잡이(150)의 상측에는 전장부(200)의 전원연결소켓(225)과 연결될 수 있는 전원연결 플러그(170)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손잡이(150)의 하측에는 전원을 연결하여 다기능 조리기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전원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130)의 경우에 용기부(100) 내부에 부착되어 열을 가하는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부하우징(220)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221)에 따라 열을 가할 수 있는 전열부(미도시)가 용기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용기부(100)내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원기둥 형태의 상측이 개방된 걸음망(190)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장부(200)는 용기부(100)의 조리용기(110)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용기부(100) 상측으로부터 용기부(100) 내부 하단까지 배치되며, 상부하우징(210)과 하부하우징(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장부(200)는 각 구동장치 및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등이 구성요소로 장착되어 용기부에 담긴 음식물이 알맞게 조리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부하우징(210)은 용기부(100) 상측에 용기부(100)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용기부(100) 상측에는 덮개부(211)가 구비되어 용기부(100)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 조리시 발생한 증기가 전장부(200)로 유입된 경우에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측 손잡이(215) 내에 홀(217)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11) 외측에 용기부(100)의 전원연결플러그(170)와 연결되는 전원연결소켓(225)이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211) 상측에는 상측 손잡이(215)가 구비되어 전장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덮개부(211)의 상면에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시간와 방법의 모드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선택버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20)의 상측은 상부하우징(210)의 하측에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하부하우징(220) 하측은 용기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중심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20)은 조리용기(110)에 담긴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열을 가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하우징(220)은 상부하우징(210)과 맞닿은 부분에 돌기부(300)이 구비되어 있고 하단에는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착탈 가능한 회전날(224)과 회전날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23)및 회전날(224)과 모터(223)을 연결하는 구동축(22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220)의 하면 외측에는 단턱을 설치하여 열기가 공급될 수 있는 히터(130)(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20) 상측에는 제어부(221)이 구비되어 모터를 조절하여 회전날(224)를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하며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히터(130)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기부(300), 배출부(400), 하부하우징(220)의 구성요소인 밀봉부(226) 및 상부하우징(210)의 상측 손잡이(215)에 있는 홀(217)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4 내지 도 5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00)는 용기부(100)와 전장부(200)의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전장부(200)의 하부하우징(220)의 상측 가장자리와 용기부(100)의 상측 가장자리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생긴 내부열에 의한 증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면 구동부와 용기부의 연결 나사부나 부품의 결합부위를 통해 열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장부(200)의 결로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장부(200)의 제어부(221)나 모터(223) 등이 전기적으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기의 손상으로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400)는 용기부(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증기가 배출되어 전장부(200)의 열기 유입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조리시 적당한 열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300)는 용기부(100)의 상면 또는 상기 전장부(20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4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전장부(200) 사이를 이격시키는 돌기(3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300)는 용기부(100) 상면 또는 전장부(200) 하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10)를 배치하여 간격을 형성할 수 있고, 돌기(310)의 끝단이 용기부(100) 상면 또는 전장부(200) 하면과 대응되는 전장부(200) 및 용기부(100)와 접하여 복수개의 돌기(310) 사이로 증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300)는 전장부(200)의 하부하우징(220) 상면 가장자리 또는 상부하우징의 하면 가장자리에 있는 복수개의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 후 반대편으로 나와 용기부(100) 상측의 원주면 끝단 또는 전장부(20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는 복수개의 돌기(310) 사이와, 하부하우징(220)의 원주면 끝단에 접촉되며 틈이 생기지 않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다수의 홀이 있는)실링부재(3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증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20)에는 상부하우징(210) 하측과 하부하우징(220)의 상측 끝단의 가장자리 즉, 원주면의 둘레 사이에 위치하여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기(310) 이외에도 상부하우징(210)과 하부하우징(220)이 나사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20)는 상부하우징(210)과 하부하우징(220)의 결합 시 생기는 부품 간격에 따른 열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정의 얇은 두께로 형성된 실리콘 등의 내수성 및 절연성이 있는 소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각 하우징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일 실시예에 따라, 돌기(310)는 링 형상으로 구성된 실링부재(32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로 구성되며, 하부하우징(2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있는 돌기의 수만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반대편의 홀 밖으로 나와 소정의 높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되는 돌기(310)은 전장부(200)과 용기부(1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게 되며 돌기(310)가 없는 부분으로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할 수 있다.
돌기(310)의 구성요소로는 실링부재(320)과 동일한 재료인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탄성력이 있는 성분의 사용으로 증기의 유출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양의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하우징(210) 또는 하부하우징(220)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도 4 참조) 돌기(310)의 형태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 다수개의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는 것 이외에, 돌기(310)의 두께를 두껍게 한 단턱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나사가 포함되어 상부하우징(210)과 하부하우징(220)을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돌기부(300) 내에 나사부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나사부의 결합 사이에 음식물 조리시에 발생하는 열기에 따른 증기의 유입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돌기(310)의 형태는 상기에 제시된 것 이외에도 탄성력이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돌기의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에 따른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음식물을 균형있게 조리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돌기(310)와 배치되는 하부하우징(220)의 끝단에 개폐가 가능한 홈을 형성하여 돌기(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전장부(200)과 용기부(100)를 밀착시키거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하도록 하는 개폐 조절부(330)를 구성할 수 있다.
돌기(310)의 돌출과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와 완성된 후에 이물질이 배출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가공기를 운반시 조리된 음식물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여 이동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200)의 상측 손잡이(215)부분의 안쪽에는 전장부(200) 내부로 들어온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홀(217)을 구비할 수 있다.
열기로 인한 증기가 상기의 돌기부(300)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도 내부의 남은 열기로 인한 증기가 전장부(200)과 용기부(100)의 접합면에 있는 나사부나 부품을 통하여 전장부(200)로의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장부(200)의 내부로 유입된 열기는 결로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조속히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으면 제어부와 모터 등의 내부 기기의 손상 및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장부(200) 내부에 있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 될 수 있도록 상기 홀(217)은 손잡이에 배치되어 유입된 열기 및 습기가 외부로 조속히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홀(217)은 구동부의 내부의 열을 쉽게 유출시킬 수 있어야 하는바 전장부(200) 내부에는 외부로 통하는 경로가 형성 되어야 한다.
홀(217)의 위치는 상측 손잡이(215) 안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기기들처럼 덮개 상면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 조리시 발생하는 물이 유입되거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부에서 열린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
상측 손잡이(215)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17)을 설치하여 증기의 유출을 조속히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이 직접 닿지 않는 부분에 홀(217)을 설치하거나, 상측 손잡이 부분을 아치 형태로 배치하고, 아치형 손잡이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바를 형성하여 상측 손잡이 부분은 가공기의 이동을 위하여 사용하고 하측 바의 하면에는 열기로 인해 발생한 증기의 유출을 위한 홀(217)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홀(217)의 구성을 손잡이의 안쪽 면에 설치하는 것 이외에도 손잡이 외측에 단턱을 형성하고 단턱이 형성된 아래쪽으로 홀(217)을 배치하고 전장부(200)의 내부로 연결되는 경로를 형성하여,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조속히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의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측 손잡이는 손잡이부(214)와 지지대(216)로 구성되며, 손잡이부(214)의 단부가 상기 지지대(216) 상면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설치하고,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된 단부의 하면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211) 상면에 배치되며, 홀(217)에 의한 증기의 배출이 덮개부(211) 외부로 조속히 이탈되도록 이탈부(212)를 형성하여 덮개부(211)와 상측 손잡이(215) 사이에서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200)과 용기부(100)이 접하는 면부터 상기 전장부(200)의 하부하우징(220) 하단 끝단까지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부(226)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220)의 끝단까지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물질로 밀봉하여 구동부와 하부하우징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복사열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으로 효과를 극대화하고 고온에 변화가 있는 플라스틱의 경우 인체의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물질은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하여 복사열을 감소시키는 효과 뿐만 아니라 부식률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열전도율이 낮은 세라믹 또는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밀봉하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기부: 100 히터: 130
전장부: 200 모터: 223
돌기부: 300 덮개부: 211
배출부: 400 실링부재: 320
상부하우징: 210 상측 손잡이: 215
하부하우징: 220 손잡이부: 214
조리용기: 110 지지대: 216
돌기: 310 홀: 217
이탈부: 212 체결홈 : 341

Claims (14)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소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의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면 또는 상기 전장부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장부 또는 상기 용기부의 각 접촉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은 각각 체결홈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에 나사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5. 삭제
  6.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소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의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면 또는 상기 전장부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장부 또는 상기 용기부의 각 접촉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부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끝단이 후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홈에 삽입시 이탈을 억제하는 후크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7. 제 1항,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의 상부에 상측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손잡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막기 위해 상기 전장부와 상기 용기부가 접하는 면부터 상기 전장부의 하측 끝단까지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으로 덮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9.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부;
    소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의 상부에 상측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손잡이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홀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손잡이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된 단부의 하면에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10. 삭제
  11.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부;
    소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의 상부에 상측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손잡이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부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홀에 의한 증기의 배출이 상기 전장부 외부로 이탈되도록 이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손잡이가 배치되며,
    상기 상측 손잡이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바를 포함하여 증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의 하면에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13. 제 9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와 상기 전장부의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내부로 유입되는 열을 막기 위해 상기 전장부와 상기 용기부가 접하는 면부터 상기 전장부의 하측 끝단까지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으로 덮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1020140070097A 2014-06-10 2014-06-10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10172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97A KR101722706B1 (ko) 2014-06-10 2014-06-10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97A KR101722706B1 (ko) 2014-06-10 2014-06-10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659A Division KR101436451B1 (ko) 2013-07-01 2013-07-01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66A KR20150003666A (ko) 2015-01-09
KR101722706B1 true KR101722706B1 (ko) 2017-04-03

Family

ID=5247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97A KR101722706B1 (ko) 2014-06-10 2014-06-10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58Y1 (ko) 2003-12-09 2004-03-22 김래진 가열용기 뚜껑의 증기배출구조
KR100516835B1 (ko) 2003-10-01 2005-09-26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두유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제조방법
KR101157337B1 (ko) 2010-03-22 2012-06-15 김홍배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15U (ko) * 1999-03-05 2000-10-05 강기채 남비
KR200338580Y1 (ko) 2003-10-20 2004-01-16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835B1 (ko) 2003-10-01 2005-09-26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두유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제조방법
KR200345758Y1 (ko) 2003-12-09 2004-03-22 김래진 가열용기 뚜껑의 증기배출구조
KR101157337B1 (ko) 2010-03-22 2012-06-15 김홍배 위생 기능이 향상된 자동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66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13B1 (ko)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KR101183239B1 (ko) 가열 효율 및 밀폐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
US20170273508A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apparatus
JP2019525821A (ja) ガラス製調理容器を備えた調理機器およびその取っ手の構造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CN108463019B (zh) 半导体微波烹饪器具
KR20170091433A (ko) 식품 가공 조리기기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AU2017309338A1 (en) Cooking appliance
CN112105279B (zh) 低温真空烹饪器具
KR20190001513U (ko) 발열기능을 갖는 배달용 가방
KR102020609B1 (ko)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KR101722706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910002940B1 (ko) 요리기구
CN109152500B (zh) 具有玻璃烹饪碗的烹饪装置和其手柄结构
KR100742609B1 (ko) 분리형 그물덮개를 가진 식품 조리장치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CN210611938U (zh) 转轴组件及食物料理机
KR101833279B1 (ko) 내부 체결 및 접속식 조리기기
CN208463815U (zh) 防溢组件、杯盖组件及料理机
KR200338580Y1 (ko)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KR101874157B1 (ko) 음식물 가공기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CN209595484U (zh) 料理机
KR101401507B1 (ko) 다기능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