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206B1 - 음식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206B1
KR101613206B1 KR1020150112428A KR20150112428A KR101613206B1 KR 101613206 B1 KR101613206 B1 KR 101613206B1 KR 1020150112428 A KR1020150112428 A KR 1020150112428A KR 20150112428 A KR20150112428 A KR 20150112428A KR 101613206 B1 KR101613206 B1 KR 10161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unit
rotar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9169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132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5011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206B1/ko
Priority to CN201811294583.8A priority patent/CN109222688B/zh
Priority to CN201620119672.9U priority patent/CN205612341U/zh
Priority to CN201610084913.5A priority patent/CN105877535B/zh
Priority to US15/503,696 priority patent/US20170273508A1/en
Priority to JP2017513021A priority patent/JP2018504940A/ja
Priority to PCT/KR2016/001468 priority patent/WO2016129968A1/ko
Priority to MYPI2017700492A priority patent/MY166956A/en
Priority to EP16749508.4A priority patent/EP3257412B1/en
Publication of KR10161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006
    • A23L1/0121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조리시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탈착 가능한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및 상기 용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의 회전날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에 상기 동력부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에 조리에 필요한 전자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전자 장치 주변을 패킹하여 가공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다 정확한 요리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이 손쉽고 안전하게 분리되어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가공기{food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조리시 구동되는 동력장치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의 세척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에 좋을 뿐만 아니라 두부에 함유된 레시틴 성분의 경우 위벽을 보호하여 위를 편안하게 해주며, 장을 편하고 하고 식이섬유 성분과 함께 올리고당 성분이 장운동 촉진 효능으로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에 재래식으로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가 행해짐에 따라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와 같은 기기들은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를 하던 것을 가정에서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두부 등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음식 재료를 넣고 용기 하부 또는 내부에서 열을 가하고 용기 내부의 재료를 회전날에 의하여 갈면서 분쇄 및 조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조리기는 음식물을 가공하는 동력장치 내부에 유체와 같은 이물질이 쉽게 들어가게 되어 요리의 분쇄 등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고장으로 인한 수명이 단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날이 기기와 고정 장착되어 요리가 완료된 후 사용된 회전날을 청결하게 재사용하기 위하여 세척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음식물 가공기 내부의 전자 장치 주변에 패킹부를 구비하여 유체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음식물 조리가 완료된 후, 세척이 필요한 칼날이 손쉽고 안전하게 분리되어 세척되고 세척이 완료된 칼날이 손쉽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조리시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탈착 가능한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및 상기 용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의 회전날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에 상기 동력부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가 상기 스테이지부에 안착시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날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와 회전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 결합부 및 상기 회전 결합부가 상기 용기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용기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된 홀과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용기부 외부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된 회전 결합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링 형상의 고정편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돌기부가 포함된 날개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의 날개부는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된 단턱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하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부와 상기 회전결합부의 잠금 또는 풀림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부의 커플러는 커플러 홈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 홈은 상기 고정편의 날개부의 배치가 잠금 모드에만 상기 용기부가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용기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또한, 상기 용기부의 하단의 가장자리는 링 형상의 제 1패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와 결합시 유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전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단턱이 구비된 원형의 단턱홀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의 단턱홀의 상부에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제 2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패킹부 또는 제 2패킹부 내부에는 철판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 1패킹부 또는 제 2패킹부는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부에 삽입되는 하단부가 상기 용기부와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덮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 패킹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링 형상의 돌기가 포함되어 상기 용기부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에 조리에 필요한 전자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전자 장치 주변을 패킹하여 가공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다 정확한 요리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와 덮개부의 강한 결속을 구비하도록 덮개부 주변을 패킹 처리하여 음식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고 용기부 내 음식물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이 손쉽고 안전하게 분리되어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하면에 분리 배치된 회전날 및 회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회전부재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의 용기 본체와 베이스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내부의 회전날 및 분쇄돌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내부의 회전날 및 분쇄돌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는 용기부(10), 스테이지부(20), 동력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는 음식물이 수용되며, 용기부(10) 내부 또는 스테이지부(20) 내부에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8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히터(180)가 용기부(10) 내 하부 또는 스테이지부(20) 내측(도 2)에 용기부(10) 하부면과 유사하게 원형 또는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외 음식물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 등 다양한 형태로, 용기부(10) 또는 스테이지부(2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80)가 스테이지부(20) 내부에 배치된 경우, 용기부(10)와 일정한 거리를 두어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용기부(10) 바닥에 음식물이 눌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용기부(10)로부터 침투할 수 있는 유체나 이물질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용기부(10)를 통해 운반시 피부 접촉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용기부(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측면에 조리시 열기에 의해 데워진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고 유해물질의 발생을 막음으로써 위생상의 안전성을 갖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부식내구성 및 내열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의 외측은 보호부재가 구비되며, 이는 음식물을 조리시 내부의 열이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호부재는 용기부(10)의 내벽 또는 외벽을 2중 구조의 단열성능이 우수한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내부의 고온으로 인해 사용자의 접촉시 화상을 방지하거나, 전기적 접촉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와같은 보호부재는 용기부(10)의 외측에 탈착식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 또는 스테이지부(20)의 히터(180) 측면에는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2)는 온도 센싱에 따라 조리시 전달되는 열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과 연동되어, 적절한 온도가 용기부(10) 내부로 전달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용기부(10) 내부 상측 또는 덮개부(120) 하단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거품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리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용기부(10) 내부 안쪽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60)를 구성하여 조리시 회전날(110)에 따른 음식물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참조) 분쇄돌기(160)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며, 분쇄력이 상승하여 기존의 조리기의 경우보다 빠른 음식물의 완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쇄돌기(160)는 음식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돌출된 분쇄돌기(160)는 음식물과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거나 회전날(110)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다시 분쇄되도록 하여 전체 음식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60)는 용기부(10) 내부 안쪽 벽면에 형성되어, 음식물과 회전날(110) 사이의 거리를 좁힘에 따라 음식물과 회전날(110)의 접촉 가능성을 높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60)는 음식물을 회전날(110) 쪽으로 유도하여, 회전날(110)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용기부(10) 내에는 거름망(미도시)이 삽입되어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름망은 지지대와 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망의 경우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도록 직조한 철망 혹은 직조한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는 상부가 일정부분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덮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용기부(1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용기부(10)의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는 상기 덮개부(120)가 용기부(10)와 결합시 분리되지 않고 고정 결합할 수 있는 덮개 걸쇠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 걸쇠부(130)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 슬라이드 형식으로 스위칭되는 락/언락 모드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덮개부(120)를 용기부(10)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는 상측에 배치되며, 조리 재료를 용기부(10) 안으로 넣을 수 있은 상측 주입구(19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주입구(190)의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마개(191)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개(191)는 용기부(10)에 담긴 음식물이 분쇄되는 도중에 나오지 못하도록 하거나 계량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 및 마개(191)는 회전에 의하여 용기부(10)의 개구면에 대한 락/언락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용기부의 측면으로 음식물을 꺼낼 수 있도록 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는 음식물의 조리 중 간을 보거나 음식물의 조리 후 용기부가 스테이지에 체결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부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는 조리시 밀폐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의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개폐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경첩구조를 이용한 배출부를 채택하는 경우, 개방시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용기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부는 국물만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밸브가 추가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 액체상태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같은 배출구의 구성은 일 예일 뿐,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덮개부(120)는 용기부(10)와 맞닿는 가장자리면에 덮개 패킹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 패킹부(121)는 용기부(10)와 덮개부(120)가 결합시, 단단한 결속을 유지하고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 패킹부(121)는 덮개부(120)의 단턱에 배치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링 형상의 돌기를 포함하여 이중 이상의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덮개 패킹부(121)는 고무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시되어있지 않지만, 용기부(10) 일측면에는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외측 주입구(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 주입구는 깔대기의 일부 형태 및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용기부(10) 내의 조리된 음식물이 곡면을 따라 외부로 잘 배출되어 흐르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용기부(10) 하부에 배치된 회전날(110)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용기부(10)와 착탈할 수 있는 회전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하면에 분리 배치된 회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회전부재의 락 또는 언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용기부(10)는 용기부(10) 내 하측에 배치되고, 동력부(30)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용기부(1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1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날(110)은 동력부(30)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용기부(10)의 내주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날(110)의 날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성하거나 칼날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회전에 의한 분쇄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음식물은 주로 회전날(110)의 안쪽에 배치되는바, 음식물이 닿는 면적을 더욱 높힐 수 있다.
용기부(10) 외면 하부에는 동력부(3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300)는 회전날(1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부(30)의 동력이 스테이지부(20)를 거쳐 용기부(10) 내의 회전날(110)에 전달되는 역할을 한다. 즉, 용기부(10)가 스테이지부(20)에 안착시, 스테이지부(20)의 커플러(23)와 용기부(10)의 회전부재(300)는 서로 회전이 가능한 암수 결합이 이루어지고 스테이지부(20)의 커플러(23)에 전달된 동력이 용기부(10)의 회전부재(300)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암수 결합에 따른 커플러(23)와 결합이 이루어질 때, 흔들림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모서리가 포함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돌출 모서리를 포함된 형상은 별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나타나 있으나, 단단한 결속을 이룰 수 있는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삼각 및 사각의 형상 등의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300)는 회전 결합부(310)와 고정편(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310)는 회전날(110)과 연결되어 커플러(23)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회전날(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용기부(10) 하단에 배치된 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음식물의 조리가 완성된 후, 혹은 요리 시작 전에 음식물에 직접 맞닿아 분쇄하는 회전날(110)은 청결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리기의 경우, 회전날(110)이 용기에 고정되어 있거나, 분리가 쉽지 않아 세척이 불편하고 이로 인한 청결을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는 용기부(10) 하단에 배치된 회전날(110)이 손쉽게 탈착되도록 설계하여 음식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회전날(110)과 회전 결합부(310)를 연결하여, 세척시 회전날(110)을 직접 잡지 않고 회전 결합부(310)를 잡은 상태로 세척이 가능하여 안전한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고정편(320)은 상기 회전 결합부(310)가 용기부(10) 하부에 결합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편(320)은 링 형상의 고정편 본체(321)과 고정편 본체(321) 외부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용기부(10)에 결속된 회전부재(300)의 락(on) 또는 언락(off)을 조절할 수 있는 날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23)는 날개부(323)와 수직방향으로 외부면을 향해 돌출 배치되며, 고정편(320)을 손으로 회전하여 용기부(10)와의 결합에 따른 락/언락을 보조하는 돌기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 결합부와 고정편이 결합되어 락(a) 모드로 되거나 언락(b) 모드로 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회전 결합부(310)가 용기부(10) 하부의 하단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회전 결합부(310)는 용기부(10) 내측으로 들어가서 결합하고, 고정편(320)은 용기부(10) 외측에서 상기 하단 홀에서 튀어나온 회전 결합부(310)를 잡아 용기부(10)와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편(320)은 용기부(10) 하부에 배치된 단턱에 안착하고, 상기 날개부(323)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부(10)와 회전 결합부(31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요리 도중에 회전날(1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이중 잠금을 위해, 회전부재(300)와 커플러(23)의 결합은 날개부(323)가 락 모드(on)가 되어 잠금이 확실히 이루어진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23)는 가장자리 측면에 락 모드(on)의 고정편(320)만 삽입되거나 안착될 수 있는 홈(미도시)을 구성하여, 회전부재(300)가 락 모드로 회전되어 있을때에만 결합이 가능하고 용기부(1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락 모드과 반대 순서대로 진행하여 회전날(110) 및 회전부재(300)를 용기부(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300)를 언락 모드(off mode)로 설정하고 회전날(110)을 용기부(10)에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300)의 회전 결합부(310)가 상기 슬라이드 회전에 의하여 언락 모드(off mode)로 배치될 경우(도 5(b)참조), 용기부(10) 내부에 배치된 회전날(110)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칼날을 손쉽게 세척하여 음식물 조리 전이나 후, 청결한 회전날(110)을 유지하고 요리시 회전날(110)의 구동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의 용기 본체와 베이스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부(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00) 및 용기 본체(100) 하단에 배치되어, 열은 전달하는 히터(180)와 같은 전자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베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상기 전술한대로,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 등을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용기 본체(100) 하단에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터(180) 등의 전자장치가 외부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0)는 내부에는 상기 회전부재(300)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의 홀을 포함하는 링 형상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이물질로부터 내부 공간을 보호하는 패킹부(210,220)는 외측 가장자리 측면을 패킹하는 제 1패킹부(210)와 내측 가장자리 측면을 패킹하는 제 2패킹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패킹부(210)는 용기부(10) 하단에 접촉 배치되며, 히터(180) 등의 전자 장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패킹부(220)는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된 원통형 홀 외면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홀 외면은 제 2패킹부(220)가 밀착되고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단턱홀(2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210,220) 내부에는 패킹부가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판이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210,220)는 고무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어, 히터(180) 등의 전자장치 내부로 유체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기단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기계의 일정한 품질수준을 유지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00)와 베이스(200)가 단단히 결속될 수 있도록 용기 본체(100)과 베이스(200)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스크류(2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240)는 3개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보다 단단한 결속을 위해 스크류(240) 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스테이지부(20)는 용기부(10)와 결합시 움직임을 방지하고 소음을 감소할 수 있도록 용기부(10)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 가능한 안착홈(21) 및 회전부재(300)와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러(2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안착홈(21)은 용기부(1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용기부(10) 안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발생하는 용기부(10)의 움직임이 최소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홈(21)은 용기부(10)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안착홈(21) 내측으로 안착된 용기부(10)를 보다 흔들림없이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10)와 접촉하는 안착홈(21)의 하면에는 용기부(10)의 각종 부재들과 암수 결합할 수 있는 홀 또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21) 중심부에는 용기부(10)의 회전부재(30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커플러(23)가 구비될 수 있다.
커플러(23)의 상기 설명한대로, 회전부재(300)와 암수 결합을 하여 용기부(1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회전날(110)이 구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23)는 회전부재(300)의 락 모드에서만 결합이 가능하고 언락 모드에서는 결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이 완료된 회전날(110)이 용기부(10)와 확실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만 회전부재(300)가 삽입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23)의 구조를 회전부재(300)가 락 모드에서만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조리시 회전날(110)이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커플러(23)는 회전부재(300)의 형상에 맞도록 대응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복수개의 돌출 모서리가 포함된 형상의 회전부재(300)의 경우, 이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암수 결합할 수 있다. 커플러(23)의 외면은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절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부(20) 내부 안쪽 면에는 용기부(10)에서 흘러넘친 액상의 음식물, 조리시 생성되는 물이나 누수된 물이 스테이지부(20) 안쪽의 히터(180) 및 내부 기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로(2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로(26)는 스테이지부(20) 바닥면에서 외부로 통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 9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로(26)는 스테이지부(20)를 관통하는 관로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 또한 스테이지부(20)의 안쪽면에서부터 외부로 액체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의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 에 나타난 배수로(26)의 형태는 일 예일 뿐 스테이지부(20)의 안쪽면에 있는 액상의 물질을 배출하도록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단턱홈(24)은 용기부(10)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면(170)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21)의 가장자리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홈(24)은 용기부(10)가 조리시 진동 및 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용기부(10)가 스테이지부(20)에 안착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턱홈(24)은 단턱면(170)의 수와 배치에 따라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단턱홈(24) 및 단턱면(170)은 안정적인 가공기의 조리를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하고 용기부(10)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부(30)는 상기 스테이지부(2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고 용기부(10)가 스테이지부(20)에 안착시 용기부(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설계된 외면홈(31)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부(3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5), 각 동력에 따른 조리 조절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34) 및 상기 구동모터(35)로 생성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5)는 동력부(30) 내 하측에 설치되며, 각종 전장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35)는 상기 전장부(3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35)와 연결된 회전날(110)를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함으로서, 용기부(10)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장부(34)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히터(180)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모터(35)의 외측에 배치된 모터속도 감지센서(미도시)는 구동모터(35)가 회전하는 속도 등을 센싱할 수 있으며, 센싱 여부를 전장부(34)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된 속도 등을 전달받은 전장부(34)는 회전날(110)의 과속 또는 감속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날(110)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 수준의 조리가 완성될 수 있다.
동력부(30)의 외면홈(31)은 용기부(10)가 스테이지부(20)에 안착시, 용기부(1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스테이지부(20)의 안착홈(21)과 함께 용기부(10)를 고정하여 용기부(10)의 작동시 흔들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의 하단과 외면이 동시에 지지되어 종래 기술과 다르게 용기부(10)의 흔들림을 이중으로 억제하여 진동 및 소음발생 방지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력부(30) 상측에는 덮개부(120)를 고정할 수 있는 상측 걸쇠부(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측 걸쇠부(32)는 락/언락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구조이며, 용기부(10)를 커버하는 덮개부(12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진동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보조 역할을 한다.
또한, 상측 걸쇠부(32)는 용기부(10)와 덮개부(120)가 조리 중에 어긋나서 벌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음식물 가공기 : 1 용기부 : 10
스테이지부 : 20 동력부 : 30
안착홈 : 21 온도감지부 : 22
커플러 : 23 단턱홈 : 24
배수로 : 26 상측 걸쇠부 : 32
전장부 : 34 구동모터 : 35
용기 본체 : 100 베이스 : 200
회전부재 : 300
회전날 : 110 덮개부 : 120
덮개 패킹부 : 121 덮개 걸쇠부: 130
분쇄돌기 : 160 히터 : 180
상측 주입구 : 190 마개 : 191
제 1패킹부 : 210 제 2패킹부 : 220
회전 결합부 : 310 스크류 : 330
고정편 : 320 고정편 본체 : 321
날개부 : 323 돌기부 : 325

Claims (19)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조리시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탈착 가능한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및
    상기 용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의 회전날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에 상기 동력부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가 상기 스테이지부에 안착시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날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와 회전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 결합부 및 상기 회전 결합부가 상기 용기부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하단의 가장자리는 링 형상의 제 1패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와 결합시 유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용기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된 홀과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용기부 외부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된 회전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링 형상의 고정편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돌기부가 포함된 날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날개부는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된 단턱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하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부와 상기 회전결합부의 잠금 또는 풀림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의 커플러는 커플러 홈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 홈은 상기 고정편의 날개부의 배치가 잠금 모드만 상기 용기부가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용기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킹부 또는 상기 제 2패킹부 내부에는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킹부 또는 제 2패킹부는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부에 삽입되는 하단부가 상기 용기부와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덮개 패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패킹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링 형상의 돌기가 포함되어 상기 용기부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 내부 안쪽 면에는 상기 용기부에서 흘러넘친 액상의 음식물 또는 조리시 생성되는 물이나 누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스테이지부의 내부 안쪽면으로부터 상기 외부까지 통하는 관로 또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측면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외측에 단열 및 절연 가능한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측면으로 음식물을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KR1020150112428A 2015-02-13 2015-08-10 음식물 가공기 KR10161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28A KR101613206B1 (ko) 2015-08-10 2015-08-10 음식물 가공기
CN201811294583.8A CN109222688B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CN201620119672.9U CN205612341U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CN201610084913.5A CN105877535B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US15/503,696 US20170273508A1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apparatus
JP2017513021A JP2018504940A (ja) 2015-02-13 2016-02-15 食品加工調理機器
PCT/KR2016/001468 WO2016129968A1 (ko) 2015-02-13 2016-02-15 식품 가공 조리기기
MYPI2017700492A MY166956A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EP16749508.4A EP3257412B1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28A KR101613206B1 (ko) 2015-08-10 2015-08-10 음식물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206B1 true KR101613206B1 (ko) 2016-04-18

Family

ID=5591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428A KR101613206B1 (ko) 2015-02-13 2015-08-10 음식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9360A (zh) * 2017-08-24 2019-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豆浆制取的方法及计算机装置
KR102351746B1 (ko) * 2020-09-15 2022-01-14 김대진 일체형 휴대용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26B1 (ko) 2006-12-20 2008-04-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식품가공방법
KR101272179B1 (ko) 2011-03-28 2013-06-07 김홍배 자동조리기의 체결 구조
KR101384979B1 (ko)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26B1 (ko) 2006-12-20 2008-04-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식품가공방법
KR101272179B1 (ko) 2011-03-28 2013-06-07 김홍배 자동조리기의 체결 구조
KR101384979B1 (ko)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9360A (zh) * 2017-08-24 2019-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豆浆制取的方法及计算机装置
CN109419360B (zh) * 2017-08-24 2022-05-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豆浆制取的方法及计算机装置
KR102351746B1 (ko) * 2020-09-15 2022-01-14 김대진 일체형 휴대용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412B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JP5436536B2 (ja) スタンド式ミキサー構成の改良
US10765249B2 (en) Baby food maker
TW201221098A (en) Electrical kitchen machine with a cooking vessel, and vessel with a cover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TW201811245A (zh) 用於電動廚用設備之烹製容器
KR100819826B1 (ko)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식품가공방법
CN109276159A (zh) 一种烹调器具
US20200397185A1 (en) Baby food maker
KR101874157B1 (ko) 음식물 가공기
CN205697422U (zh) 一种蒸汽加热、消毒的食物搅拌装置
KR102276757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360373B1 (ko) 이유식 조리기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CN113940559B (zh) 烘烤装置、食品加工机以及食物制作方法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20180030002A (ko) 음식물 가공기
KR20150048614A (ko) 다기능 가공기
KR101401507B1 (ko) 다기능 가공기
CN214284458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N114788650B (zh) 食物制作方法、食品加工机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9895492U (zh) 料理杯及料理机
KR101794408B1 (ko) 음식물 가공기
CN214230984U (zh) 具有热空气循环与蒸汽结合加热方式的烹饪器具
KR200493417Y1 (ko) 휴대용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16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18

Effective date: 201802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3017;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